통합대장경 결정장론(決定藏論) 상권 6편
진제(眞諦) 한역
김철수 번역
【답】여기에는 네 가지 경우가 있다. 첫째, 사람이 무심(無心)하게 수면 상태에 있을 때, 의식이 민절(悶絶)되거나 혼미(昏迷)하여 인사불성일 때, 무상정(無想定)에 들었을 경우, 무상천(無想天)에 태어났을 경우, 아나함인(阿那含人)이 멸진정에 들었을 경우이니 이 다섯 종류의 사람에게는 아라야식은 존재하나 의식은 없다. 둘째, 아라한ㆍ벽지불ㆍ불퇴 보살(不退菩薩)ㆍ여래 세존 이 네 종류의 사람은 마음이 있는 곳에 6식을 존재케 하지만 아라야식은 얼다. 셋째, 범부인이나 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은 마음이 있는 곳에 6식도 존재하고 아라야식도 존재한다. 넷째, 모든 아라한ㆍ벽지불ㆍ보살ㆍ세존께서 멸진정에 들었을 경우나 또한 세존께서 무여열반에 들었을 경우에는 아라야식도 없고
6식도 없다. 일체의 내외법(內外法)에는 각기 일정한 성품이 있어 상(相)에 대해서 흔들림이 없다. 무엇 때문에 18계(界) 가운데 단지 6식만을 말하는가? 일정한 성품이 있기 때문이다. 나머지 모든 계(界)는 근(根)이나 진경계(塵境界)가 함께하기 때문이다. 이 모든 식은 낮이나 밤, 모후라(牟㖃羅)ㆍ라바(羅婆)ㆍ찰나6)를 넘어서기 때문에 갖가지 인연을 지으니 안(眼) 등 모든 근(根)과 색(色) 등 모든 진경계와 심수(心數)를 짝으로 삼아 갖가지 인연을 낳는 것이다. 그 생하는 처소에 따라 이름을 얻으니, 이름이 같지 않다. 비유하자면 불이 태우는 사물은 태우는 처소에 따라 갖가지 이름을 얻으니 예를 들면 초화(草火)ㆍ목화(木火)ㆍ분화(糞火)가 있다. 이렇듯 안과 색이 식을 따르는 것으로 인해 생겨나는 것을 모두 안식(眼識)이라 하며 나아가 심식(心識)도 역시 이와 같다. 안 등의 계(界)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과보가 무기(無記)여서 다양한 모습이 존재할 수 있으나 식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식계(識界)는 분별할 수 있으나 다른 나머지 계는 분명하게 밝힐 수 없다. 만약에 어떤 비구가 식의 덩어리[聚]를 알고자 하면 이러한 행을 닦아 익혀 마음을 청정하게 해야 한다. 많은 종류의 상모를 훤히 알 수 있는 마음에는 간략하게 말해 세 가지가 있으니 번뇌를 즐겨 집착하는 경우와 물든 마음이 허물이 되는 경우와 번뇌[惑]를 끊는 방편인 경우이다. 어떻게 비구는 번뇌를 알 수 있는가? 이렇게 사유해야 한다. 즉 ‘이 마음은 오랜 옛날부터 번뇌를 즐겨 집착하였고 번뇌를 즐겨 한 까닭에 설령 다시 그 마음을 뽑아 버리고 무욕처(無欲處)에 안치하여도 탐욕에 이끌려 잠깐 머무는 것도 좋아하지 않고 신속히 다시 퇴전하여 돌아가 다시 욕처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탐욕처ㆍ진에처ㆍ우치처(愚癡處)ㆍ수면처와 나아가 방일처(放逸處)까지도 설령 다시 그 마음을 뽑아버리고 무방일처에 안치하여도 신속히 퇴전하여 돌아가 방일처에 들어가는 것도 역시 이와 마찬가지이다’라고. 이와 같이 비구는 번뇌에 대해서 이해한다. 어떻게 물든 마음[染心]이 허물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가? 이 마음에 물듦이 있으면 그것은 자신을 손상시키고 또한 다른 사람도 손상시키며, 현세에 악을 일으키고 내세에도 역시 그러하다. 그것이 짓는 근심[憂]ㆍ슬픔[悲]ㆍ고통[苦]ㆍ고뇌[惱] 등
모든 악한 인연과 나아가 방일에 이르기까지 허물과 병통이 있기 때문에 갖가지 고(苦)를 받는 것 역시 이와 같으니 자신의 마음에 모든 허물과 병통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떻게 번뇌를 끊는 방편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가? 자신의 마음속에 이와 같은 허물과 근심ㆍ슬픔ㆍ고통ㆍ고뇌가 있음을 알고 나는 지금 이와 같은 마음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모든 고뇌를 받지 않아야겠다고 응당 자신의 마음이 아(我)를 쫓아 따르는 것을 억제하고 내[我]가 마음을 쫓지 않아야겠다고 사량(思量)하며 마음에는 탐욕[欲]이 있음을 알아 욕심을 뽑아버리고 무욕처에 안치하여 자신의 마음으로 하여금 복리(福利)를 볼 수 있게 하며, 나아가 방일심을 뽑아버리는 것도 역시 이와 같다. 이와 같이 수행하여 선근(善根)을 쌓고 익히면 이 때 이 마음은 다시는 다른 나머지 인연이 없으며 모든 선법에 대하여 닦아 익혀 증장하여 안주함을 얻는다. 번뇌와 증오는 앞서의 허물과 병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617 불교(결정장론 상권 8편 / 決定藏論) (0) | 2021.10.02 |
---|---|
[적어보자] #616 불교(결정장론 상권 7편 / 決定藏論) (0) | 2021.10.02 |
[적어보자] #614 불교(결정장론 상권 5편 / 決定藏論) (0) | 2021.10.01 |
[적어보자] #613 불교(결정장론 상권 4편 / 決定藏論) (0) | 2021.10.01 |
[적어보자] #612 불교(결정장론 상권 3편 / 決定藏論) (0) | 2021.10.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