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경제공부] #98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전세임대 업무의 주거복지센터 이관방안 연구)

by Kay/케이 2021. 7. 7.
728x90
반응형

98번째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발간한 전세임대 업무의 주거복지센터 이관방안 연구이다.

 

2005년부터 공급이 시작된 전세임대주택은 현재 관리호수가 약 20만호(LH 임대재고의 약 20%)에 이를 정도로 사업규모가 확대되어 있다. 한편, LH의 임대주택 운영관리 조직체계는 LH의 임대자산인 건설임대, 매입임대의 경우 현장 고객접점 부서인 주거복지센터(2019.1.1부터 조직명이 주거복지지사로 변경됨)에서 관리하고 있으나, 집주인이 따로 있는 전세임대 주택은 12개 지역본부 내근부서에서 운영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세임대 관리조직 체계는 주거복지센터를 지역거점형 종합 주거복지 서비스의 중심으로 구축(주거복지 플랫폼)하고자 하는 LH 중장기 비전에 비추어 볼 때 적절하지 않아, 전세임대 사업을 센터로 이관 통합하는 방안을 심각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공사 전세임대사업에 대한 센터이관 여건분석, 직무분석, 인력과 조직 분석, 업무 프로세스 분석 등을 통해 이관대상 업무 분류, 인력 재배치, 센터 조직체계 재구축 등 전세임대사업의 센터 이관을 위한 합리적 기준을 마련하고, 이관의 실효성과 장단점 분석을 통해 향후 과제와 중장기 방향을 제시하고자을 목적으로 한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전세임대 업무의 주거복지센터 이관방안 연구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freestocks on Unsplash


1. 제목: 전세임대 업무의 주거복지센터 이관방안 연구

2. 연구기관: 한국토지주택공사

3. 저자: 이의중 외

4. 발간일: 2019.04.08

5. 주요내용

2005년부터 공급이 시작된 전세임대주택은 현재 관리호수가 약 20만호(LH 임대재고의 약 20%)에 이를 정도로 사업규모가 확대되어 있음

이러한 전세임대 관리조직 체계는 주거복지센터를 지역거점형 종합 주거복지서비스의 중심으로 구축(주거복지 플랫폼)하고자 하는 LH 중장기 비전에 비추어 볼 때 적절하지 않아, 전세임대 사업을 센터로 이관 통합하는 방안을 심각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s://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562699

최종보고서(전세임대 업무의 주거복지센터 이관방안 연구).pdf
1.02MB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