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경제공부] #103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도시재생뉴딜사업의 스마트기술 적용 가능성과 활용방안)

by Kay/케이 2021. 7. 14.
728x90
반응형

103번째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발간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스마트기술 적용 가능성과 활용 방안이다.

 

시민 체감형 스마트 도시재생을 구현하기 위해 기성 시가지 거주민의 needs에 근거하여 정보 및 서비스를 연계하는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이 20176, 20185곳 선정, 추진중이다. 그러나 주민 수요에 기반한 스마트 도시재생이 다양하게 실행되기보다는 공모를 위한 단기 계획 수립 결과, 사업계획의 획일성과 거버넌스 미비 등 현실적인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맞춤형 스마트 기술 적용 방안과 사업 실행력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코자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도시재생 현장에 적용가능성이 높은 스마트 도시재생 기술별 성숙도, 적용 규모 및 적용 대상지의 특성, 단위 기술별 가격 등 스마트 도시재생의 확산을 위한 기술 설명서를 제공하여 3년차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 도시재생사업이 보다 실질적인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기술적 측면에서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 도시재생 기술이란 IoT 정보 기술로 한정하지 않고 수요자 니즈에 기반한 지속가능성 확보 기술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도시재생에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기반인 도시재생제도 및 계획을 핵심기술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개별 요소의 기술을 필요기술로 정의하였다. 핵심기술은 필요기술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이자 근거로 작용하며 필요기술은 핵심기술을 검증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요소기술의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재생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기술의 검토는 제도적 접근과 기술적 접근의 양 측면에서 다루었다. 따라서 스마트 도시재생 실현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스마트도시형 도시재생 사업 현황을 거버넌스 및 추진 체계 구축과 제도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정책적 검토와 둘째, 요소 기술 적용 가능 조건과 도시재생 관련 스마트 기술의 특성을 소개하는 기술적 검토가 그것이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스마트기술 적용 가능성과 활용 방안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Barthelemy de Mazenod on Unsplash


1. 제목: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스마트기술 적용 가능성과 활용 방안

2. 연구기관: 한국토지주택공사

3. 저자: 이영은 외

4. 발간일: 2019.04.29

5. 주요내용

시민 체감형 스마트 도시재생을 구현하기 위해 기성 시가지 거주민의 needs에 근거하여 정보 및 서비스를 연계하는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이 20176, 20185곳 선정, 추진중이다. 그러나 주민 수요에 기반한 스마트 도시재생이 다양하게 실행되기보다는 공모를 위한 단기 계획 수립 결과, 사업계획의 획일성과 거버넌스 미비 등 현실적인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맞춤형 스마트 기술 적용 방안과 사업 실행력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코자 한다.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s://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571013

최종보고서(도시재생뉴딜사업의 스마트기술 적용 가능성과 활용방안).pdf
7.79MB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