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해룡왕경(佛說海龍王經) 1권
불설해룡왕경(佛說海龍王經) 제1권
서진(西晉) 월지국(越氏國) 축법호(竺法護) 한역
김달진 번역
이렇게 들었다.
언젠가 부처님께서 왕사성(王舍城) 영취산(靈鷲山)에 계실 적에 큰 비구의 무리와 함께하셨는데, 비구 8천과 보살 1만 2천의 일체 거룩한 이들이 시방에서 와서 모였다.
그들은 뭇 덕을 구족하여 모든 총지(摠持)를 얻었고, 견문이 넓지 않은 바가 없어 말 재주가 지극히 진실하였으며, 일체의 의심을 결단하여 훌륭한 신통(神通)에 들어갔고, 지혜로써 모든 바라밀을 분석하여 피안(彼岸)으로 건넌 구경(究竟)을 통달한 보살[開士]로서, 그들의 선정과 정수(正受)1)를 모든 부처님께서 감탄하셨다.
널리 여러 곳에서 유행(遊行)하면서 뜻대로 움직이는 신통으로 날아다니면서 뭇 마군을 항복하였으며, 모든 법을 분별하여 진리 그대로를 알았고, 일체 중생의 근원을 관찰하였으며, 도품(道品)을 쌓아 세간의 여덟 가지 법에 집착한 바가 없었고, 큰 자비(慈悲)로서 몸과 입과 뜻을 엄정히 하였으며, 무극(無極)의 갑옷을 입고서 뛰어나게 정진하며 무수한 겁 동안 싫증내거나 게으름 피우지 않았고, 사자후(獅子吼)로 외도(外道)를 개화(開化)하였으며, 불퇴전(不退轉)으로써 도장을 찍듯이 믿음을 세워 모든 부처님의 깊고 요긴한 법장(法藏)을 환히 깨우쳤으니, 그 이름은 산광(山光)보살ㆍ혜산(慧山)보살ㆍ대명(大明)보살ㆍ총지산강(摠持山剛)보살ㆍ산개왕(山鎧王)보살ㆍ산정(山頂)보살ㆍ산당(山幢)보살ㆍ산왕(山王)보살ㆍ석마왕(石磨王)보살ㆍ뇌음(雷音)보살ㆍ우왕(雨王)보살ㆍ보우(寶雨)보살ㆍ보영(寶英)보살ㆍ보수(寶首)보살ㆍ보장(寶藏)보살ㆍ보명(寶明)보살ㆍ보당(寶幢)보살ㆍ보정(寶頂)보살ㆍ보인수(寶印手)보살ㆍ보장(寶場)보살ㆍ보엄(寶嚴)보살ㆍ보수(寶水)보살
ㆍ보광(寶光)보살ㆍ보개(寶鎧)보살ㆍ보현(寶現)보살ㆍ보조(寶造)보살ㆍ낙엄법(樂嚴法)보살ㆍ정왕(淨王)보살ㆍ엄정상(嚴頂相)보살ㆍ금광식(金光飾)보살ㆍ보계(寶髻)보살ㆍ천관(天冠)보살ㆍ천광(千光)보살ㆍ원염(原焰)보살ㆍ조명(照明)보살ㆍ월변(月辯)보살ㆍ발의전법륜(發意轉法輪)보살ㆍ금광정(金光淨)보살ㆍ상시무외(常施無畏)보살 등이었다.
1만 2천의 보살들의 덕이 모두 이와 같았으며, 이 현겁(賢劫)2) 가운데 대사(大士)인 미륵(彌勒)ㆍ연수(軟首) 등 60성인(聖人)과 불가사의해박(不可思議解縛) 등 16정사(正士)와 제석(帝釋)과 사천왕(四天王)도 도리천과 함께하였고 염천(焰天)ㆍ도솔천ㆍ불교락천(不憍樂天)ㆍ화자재천(化自在天)ㆍ마자도사(魔子導師)ㆍ범천왕(梵天王)ㆍ범정천왕(梵淨天王)ㆍ선범천왕(善梵天王)ㆍ범구족천왕(梵具足天王)ㆍ대신묘천(大神妙天)ㆍ정거천(淨居天)ㆍ이구광천(離垢光天) 그리고 일선천(一善天)ㆍ연거천(燕居天)ㆍ무선신왕(无善神王)도 각기 권속 6만을 거느리고 함께하였다.
산수신왕(山樹神王)과 그의 권속 4만 2천, 지화(持華)라고 하는 역사신왕(力士神王)과 그의 권속 3만 2천이 향음신왕(香音神王)과 함께하였으며, 무분용왕(無焚龍王)도 7만 2천의 모든 용들과 함께하였고, 사방의 금시조왕(金翅鳥王)과 나머지 일체의 모든 크고 높은 신들과 천(天)ㆍ용(龍)ㆍ귀신ㆍ무선신(無善神)ㆍ봉황신왕(鳳凰神王)ㆍ산수신왕(山樹神王)ㆍ염유신(恬柔神) 등도 각기 권속들과 함께 부처님 계신 곳으로 와서 예배를 마치고 한쪽에 머물렀으며, 비구ㆍ비구니ㆍ청신사ㆍ청신녀들도 앞으로 나와 부처님께 예배하고 각기 한쪽에 앉았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많은 백천(百千)의 무리들에게 둘러싸여 모든 하늘의 장엄하고 깨끗한 사자좌(獅子座) 높고 넓은 자리에 앉아 사부대중들을 위하여 널리 법을 설하셨다.
부처님께서 대중들 가운데 계시니 마치 안명산왕(安明山王)이 큰 바다에 나타난 것과 같았으며, 덕(德)이 모든 하늘들을 뛰어넘어 세상에서 견줄 데가 없었고, 광명이 거룩하여 비추지 않는 곳이 없었다.
여래의 위신력은 때에 맞게 변하여 공중에서 보배 일산을 만드시어 뭇 보배가 사방을 두루 덮으니, 수없이 많은 백천의 늘어진 영락(瓔珞)과 푸르고 노랗고 빨갛고 하얀 티없는 보배 구슬이 허공을 비쳐 빛이 구슬로부터 나와 그 색(色)이 한이 없어서 이루 헤일 수 없었으며, 모든 향기로운 꽃을 비처럼 내리시어 꽃이 무릎까지 닿았고, 공중에는 우렛소리가 진동하면서 뭇 이름난 향이 비처럼 내렸다.
이에 현자 대목건련이 부처님의 거룩한 뜻[聖旨]을 받들어 앞으로 나아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지금 감응한 바는 일찍이 보지도 듣지도 못하였으니, 이 무슨 좋은 조짐 입니까.”
부처님께서 목련에게 고하셨다.
“지금 해룡왕이 와서 부처님을 뵙고 싶어하기 때문에 먼저 이런 조짐을 나타낸 것이다.”
부처님 말씀이 끝나지도 않은 바로 그때 용왕이 72억의 채녀(婇女)들과 84억의 권속들과 함께 향기로운 꽃과 당기(幢旗)와 번기(幡旗)와 보배 일산(日傘)과 백천 가지 기악(伎樂)을 준비하여 부처님 계신 곳으로 왔으며, 머리를 조아려 예를 올리고 부처님을 일곱 번 돌고는 각기 지녔던 물건들을 부처님 위에 흩뿌리면서 기악으로 공양하고, 왕비[中宮]와 권속들과 함께 부처님 앞에서 게송으로 찬탄하였다.
자비를 베푸시어 세속을 불쌍히 여기시기에
드러내 나타내시어 세간의 안목이 되시니
비록 세속에 나셨어도
집착 없음이 연꽃과 같으시며
세속의 편안함을 베푸시어
세간에서 3세(世)를 비추시고
해탈하심이 해의 광명 같으시니
세상에서 가장 높으신 분께 머리 조아립니다.
10력(力)과 뛰어난 보시ㆍ지계로
스스로의 권속을 이루시어
번뇌의 어둠을 소멸하시고
중생을 말[馬]처럼 길들이시며
일곱 가지 법재(法財)를 베푸시고
중생에게 은혜와 사랑을 더하시어
일체의 부모가 되셨으니
최상의 복전(福田)에 머리 조아립니다.
눈썹 사이 백호상(白毫相)의 광명은
마치 햇빛이나 눈[雪]빛 같아서
범천의 사람들이 천상에서도
그 정수리를 볼 수 없으며
부처님 얼굴에서 나오는 거룩한 광명은
그 빛을 쬐면 편안함을 얻으며
널리 백천의 국토를 비추고
무택지옥(無擇地獄)3)까지 미치며
유연(柔軟)하게 열반[無極]을 말씀하시어
중생들의 의심을 해결하시니
그 소리 하늘과 세간에 두루 미치고
청정하여 때[垢穢]가 없으며
음(婬)ㆍ노(怒)ㆍ치(癡)의 어둠을 제거하여
지혜의 광명으로 비추시고
편안함을 베풀어 기뻐하게 하시어
해탈을 나타내 보이시며
걸림없이 3세(世)를 통달하시어
견줄래야 견줄 데 없으시며
사람들의 속셈을 짐작하여
선악의 갈래를 아시며
사람의 근기를 관찰하시어
한꺼번에 모두 다 볼 수 있으며
마음을 열어 해탈케 하시니
최상의 지혜 앞에 머리 조아립니다.
백천억의 모든 마군들이
나무로 찾아와 틈을 노렸지만
지극한 덕과 서원과 위신력으로
삿된 마음 항복시키시며
성내거나 싫증내지 않으시어
자비의 힘으로 인도하시니
세간에 가장 거룩하신 이를 공양하길
누가 감히 게을리 하리오.
모든 법은 있는 바가 없어
마치 허공과 같고
번개나 안개나 물거품이나
허깨비나 아지랑이와 같으며
인연도 모양도 본래 공뿐이라
따져보면 ‘나’가 없음을 관찰하시어
나고 죽는 법을 나타내 보이셨으니
그러므로 공양하지 않을 수 없으며
셀 수 없는 겁 동안,
억(億) 나술(那術)4) 동안 부지런히 행하셔서
억만(億萬) 해(垓)5)의 헤아릴 수 없는
모든 부처님을 공양하셨으며
보시와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과 지혜로서
높으신 서원 이미 구족하셨으니
거룩하신 부처님[世雄]께 머리 조아립니다.
이렇듯 해룡왕은 이 게송을 읊어 부처님을 찬탄하고 나서, 앞으로 나아가 부처님에게 아뢰었다.
“바라건대 묻고 싶은 것이 있으니, 혹 기꺼이 들어주신다면 이에 감히 여쭙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대가 만일 의심나는 것을 묻는다면, 여래는 마땅히 그대를 위해 모두 밝혀 풀어 주겠노라.”
용왕이 듣고 기뻐 뛰면서 물었다.
“무엇을 일러 보살이 모든 악취(惡趣)를 제거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모든 어려움을 뛰어넘는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하늘과 인간에 태어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모든 부처님을 떠나지 않는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선지식을 만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언제나 편안하다고 합니까?
무엇을 일러 보살이 언제나 돈독한 믿음을 품는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기뻐 호념(護念)하는 바가 많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중생을 인연에 따라 구제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선법(善法)을 길이 이롭게 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덕의 근본을 짓기 좋아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언제나 의(義)6)를 좋아한다고 합니까?
무엇을 일러 보살이 5음(陰)에 집착하지 않는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언제나 법을 좋아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법락(法樂)을 좋아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들음을 싫증내지 않는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더 듣기를 청하여 의(義)를 관(觀)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듣고서 능히 받들어 행한다고 합니까?
무엇을 일러 보살이 출가의 공덕을 갖추었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집을 떠나 계율을 따른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무거운 짐[擔]을 버린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언제나 나무 밑에 머문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한가한 데 있기를 좋아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홀로 한가히 있다고 합니까?
무엇을 일러 보살이 모든 아첨을 떠났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출가의 지혜를 갖추었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깊고 요긴한 법에 들어갔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법을 허깨비[幻]와 같이 본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단견(斷見)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상견(常見)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합니까?
무엇을 일러 보살이 인연법을 뛰어넘었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모든 삿된 소견을 떠났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신통을 얻어 스스로 즐거워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여섯 가지 신통을 얻었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지혜의 통달함을 얻었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의 번뇌를 다한 신통이라고 합니까?
무엇을 일러 보살이 다함이 없는 지혜를 나타낸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경계에 걸림이 없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중생심의 행하는 바를 분명하게 안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행함에 만족함이 없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가르침 받은 말을 분별한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마군과 원수를 항복시켰다고 합니까?
무엇을 일러 보살이 모든 공포를 여의었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물러나는 이를 막는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물러나지 않음을 얻었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불기인(不起忍)7)에 이르렀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모든 청정함보다 뛰어나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의 모든 행이 청정하다고 하며, 무엇을 일러 보살이 부처님께 수결(授決)을 받는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도다, 훌륭하도다, 해룡왕이여! 이렇게 여래에게 이런 뜻을 물었으니, 자세히 듣고 자세히 들어 잘 생각할지어다.”
용왕이 말하였다.
“그러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바라건대 즐거이 듣고자 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은 네 가지 일이 있어 모든 악취(惡趣)를 버리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보살은 중생을 해(害)하려는 마음이 없어 항상 열 가지 덕으로 보호하며, 다른 이의 단점을 말하지 않으며, 또한 가벼이 여기거나 업신여기지 않으며, 스스로 자기의 허물을 살펴 남의 잘못을 따지지 않으니, 이것이 네 가지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모든 고난을 뛰어넘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언제나 불ㆍ법ㆍ승 삼보(三寶)를 찬탄하며, 법을 좋아하는 이를 어지럽히지 않으며, 사람들의 의심꺼리를 만들지 않으며, 망설이는 이를 모두 열어 인도하니, 이것이 네 가지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하늘과 인간에 태어나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도의 마음을 버리지 않고 또한 다른 사람을 가르치며, 계를 훼손하지 않아 마음과 서원(誓願)이 청정하며, 사람들을 위하여 경(經)을 설하며, 훌륭한 자비를 일으키니, 이것이 네 가지니라.
다시 여덟 가지 일이 있어 모든 부처님을 떠나지 않느니라. 무엇이 여덟 가지인가? 언제나 모든 부처님을 염(念)하며, 여래를 공양하며, 세존을 찬탄하며, 불상(佛像)을 만들며, 중생을 권화(勸化)하여 여래를 보게 하며, 아무 지방에 부처님이 계심을 들으면 그 국토에 태어나기를 원하며, 뜻이 겁내거나 유약하지 않으며, 언제나 부처님의 미묘한 바른 지혜를 좋아하니, 이것이 여덟 가지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선지식을 만나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거만함도 아첨함도 없어서 언제나 공경을 더하며, 말이 유순하고 화평하며 스스로 훌륭한 체 하지 않으며, 언제나 가르침[言敎]을 받으니, 이것이 네 가지니라.
다시 세 가지 일이 있어 언제나 편안하니라. 무엇이 세 가지인가? 강하지도 부드럽지도 않아 아첨함이 없으며, 모든 탐욕과 질투를 버리며, 남이 공양 받는 것을 보면 대신하여 기뻐하니, 이것이 세 가지니라.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어 언제나
돈독한 믿음을 품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해탈의 힘을 깨우치며, 공덕의 힘을 쌓으며, 보응(報應)의 힘을 얻으며, 도심(道心)의 힘을 따르며, 법을 제어하는 힘을 얻음이니, 이것이 다섯 가지이니라.
다시 두 가지 일이 있어 즐거이 호념(護念)하는 바가 많으니라. 무엇이 두 가지인가? 기뻐함을 버리지 않으며, 성내거나 원한을 두지 않으니, 이것이 두 가지니라.
다시 스무 가지 일이 있어 중생을 인연에 따라 보호하느니라. 무엇이 스무 가지인가? 언제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다른 인연에 집착하지 않으며, 자기가 지은 것은 자기가 받고, 남이 지은 것은 남이 받는 줄을 알며, 법과 법이 서로 호응하고, 법과 법이 서로 비추며, 선과 악의 과보에 응하고, 어지럽거나 따르지 않음이 없으며, 마음에 상념(想念)이 없고, 나도 없고, 남도 없으며, 전혀 가진 바가 없고, 가고 옴도 없으며, 돌아갈 곳이 없고, 인연의 과보를 제거하며, 죄와 복으로 말미암아 편안하고 위태로우며, 모든 인연 있는 이를 보호하며, 모든 불세존도 모두 청정함으로 말미암아 도덕을 이루었으며, 모든 악한 일을 제거하고, 이 때문에 우리들도 선(善)의 근본을 수행하니, 이것이 스무 가지니라.
다시 두 가지 일이 있어 선법(善法)을 길이 이롭게 하느니라. 무엇이 두 가지인가? 삼품(三品)8)을 알고, 행함에 멋대로 하거나 게으름이 없는 것이니, 이것이 두 가지니라.
다시 두 가지 일이 있으니, 무엇이 두 가지인가? 덕의 근본 짓기를 좋아하고, 또한 과보를 생각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두 가지니라.9)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어 언제나 의(義)를 좋아하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빛과 소리와 냄새와 맛과 촉감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이 다섯 가지니라.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어 언제나 법을 좋아하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빛이나 괴로운 느낌이나 생각을 탐하지 않고 지혜를 얻어 일체를 보호하니, 이것이 다섯 가지니라.
다시 여섯 가지 일이 있어 언제나 법을 좋아하느니라. 무엇이 여섯 가지인가? 5근(根)을 좋아하여 5욕(欲)을 좋아하지 않으며, 언제나 법회(法會)를 좋아하여 세속의 말을 좋아하지 않으며, 경(經)을 강설(講說)하길 좋아하여 입고 먹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법을 관찰하기 좋아하여 깨끗하지 않은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법을 따라 닦기를 좋아하여 문자(文子)를 좋아하지 않으며, 부처님 법을 좋아하여 성문과 연각법을 좋아하지 않으니, 이것이 여섯 가지니라.
다시 여덟 가지 일이 있어 법락(法樂)을 좋아하느니라. 무엇이 여덟 가지인가? 부처님의 도를 강설하기 좋아하고
비천(卑賤)한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6바라밀을 좋아하고 성문과 연각의 도를 좋아하지 않으며, 네 가지 은혜를 찬탄하기를 좋아하고 법이 아닌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크신 자비를 좋아하고 세속의 일을 좋아하지 않으며, 거룩한 도를 설하기를 좋아하고 생사[終始]를 좋아하지 않으며, 깊은 법과 연기(緣起)의 근본을 강설하기 좋아하고 영원함과 영원하지 않음과 나와 남과 수명(壽命)을 좋아하지 않으며, 텅 비어 모양 없음과 서원이 없는 진리의 법을 좋아하고 희롱하거나 진리를 떠나 멋대로 게으른 생각을 좋아하지 않으며, 장엄한 불국토를 좋아하고 소멸(消滅)을 관찰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니, 이것이 여덟 가지니라.
다서 다섯 가지 일이 있어 들음[聞]을 싫증내지 않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널리 지혜를 들으면 밝게 통달함에 이로우므로 들음을 싫증내지 않으며, 널리 들음을 게을리 하지 않으면 여우 같은 모든 의심을 결단하므로 들음을 싫증내지 않으며, 들음으로 인하여 번뇌와 성냄을 깨닫는 까닭에 싫증내지 않으며, 들음으로 인하여 애욕을 끊어서 일체 중생의 번뇌와 집착을 제거하는 까닭에 싫증내지 않으며, 들음으로 인하여 용맹스럽게 일체의 의혹을 결단하는 까닭에 싫증내지 않으니, 이것이 다섯 가지니라.
다시 두 가지 일이 있어 이치를 관찰하여 듣기를 구해 게으르지 않느니라. 무엇이 두 가지인가? 현성(賢聖)들의 바른 소견의 행을 일으켜서 걸림이 없는 변재(辯才)와 총지(總持)의 요체를 얻으니, 이것이 두 가지니라.
다시 열 가지 일이 있어 들으면 능히 받들어 행하느니라. 무엇이 열 가지인가? 이로움[利]에 만족할 줄 알아 한가한 데 있으며, 몸과 입과 뜻이 고요하여 나아가고 그침이 차분하며, 듣고 관찰하는 바가 청정하며, 홀로 일이 적은데 처하여 여러 가지 시끄러움을 좋아하지 않으며, 초야(初夜)에도 후야(後夜)에도 언제나 관찰하여 정진하며, 선지식을 존경하며, 부끄러움을 품으며, 언제나 큰 자비로 일체를 보호하며, 현성들의 선정과 평등하여 지극한 덕을 구족하며, 지혜로 하늘과 세간을 구원하니, 이것이 열 가지니라.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어 출가의 공덕을 갖추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지을 바를 이미 이루어 다시 잊어버리지 않으며, 번뇌의 속박을 제거하며, 그 마음에 마땅히 일체의 모든 집착을 버리며, 모든 불세존도 그 잘못을 따지지 않으며, 이미 해탈을 얻어 모든 번뇌를 아는
이는 그를 위해 해탈법을 말해 주니, 이것이 다섯 가지니라.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어 집을 떠나 계율을 따르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금법(禁法)을 따르기를 구하여 계를 훼손함을 구제하며, 모든 들은 것을 따라서 적게 들음을 구제하며, 선정을 따라서 어지러운 마음을 구제하며, 지혜를 따라서 나쁜 지혜를 구제하며, 바라밀을 따르므로 많은 사람들 가운데 서있어도 편안하여 일이 없으니, 이것이 다섯 가지니라.
다시 다섯 가지 버림이 있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무거운 짐을 버려 5음(陰)을 없애며, 애착의 속박과 모든 습기(習氣)를 끊으며, 언제나 선정으로 적멸(寂滅)을 버리며, 도덕에 들어가 8정도를 받들어 행하며, 거룩한 진리에 들어가 일체의 사람들을 진리의 법에 서게 하니, 이것이 다섯 가지니라.
다시 네 가지 법이 있어 언제나 나무 밑에 머무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몸과 목숨을 아끼지 않고, 일체의 모든 덕과 선법(善法)을 받들어 행하며, 신통한 지혜를 일으키고, 적정(寂靜)한 일을 수행하여 천인(天人)이 기뻐하니, 이것이 네 가지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한가한 데 있기를 좋아하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큰 자비를 일으켜 한가한 데 머물러서 모든 부처님의 찬탄하는 바가 되어 중생들을 구제하고자 하며, 치우치고 삿된 행이 없이 앉아서 부처를 이룰 때 스스로 장엄하여 번뇌에 속박되지 않으며, 다른 보살들의 구경의 행을 배워 한가히 거처하는 공덕을 쌓으며, 나라와 취락(聚落)에 들어가 중생들을 위해 법을 말하니, 이것이 네 가지니라.
다시 세 가지 일이 있어 한가히 앉아서 가장 거룩하여 더할 나위없는 공덕으로 현성의 미묘한 행으로 삼음을 익히느니라. 무엇이 세 가지인가? 미워함도 사랑함도 익히지 않고 또한 사모하는 바도 없으며, 자재롭게 애욕을 여의어 마음에 속박과 집착이 없어서 걸음걸이도 자재로우며, 마음이 일체에 평등하여 빨리 선정을 얻으니, 이것이 세 가지니라.
다시 세 가지 일이 있어 모든 아첨을 여의니, 그 마음이 솔직하고, 성내거나 원망함이 없으며, 이미 행에 머물러 뭇 속박을 곧 끊어버리니, 이것이 세 가지니라.
다시 여덟 가지 일이 있어 출가의 덕10)을 구족하느니라. 무엇이 여덟 가지인가? 현성(賢聖)의 지혜를 구족하여 혼자 거처하며,
한계를 알 수 있으며, 모든 것을 널리 들으며, 원한을 버리고 욕됨을 참으며, 도의 마음을 버리지 않고 4의지(意止)11)를 행하며, 정진과 선정을 오로지 하며, 지혜에 응하며, 일체의 일으키는 바를 행으로 요체를 삼으니, 이것이 여덟 가지니라.
다시 열 가지 일이 있어 깊고 요긴한 법에 들어가느니라. 무엇이 열 가지인가? 몸의 스스로 그러함[自然]을 봄으로 모든 법도 스스로 그러하며, 몸의 청정함을 얻으므로 일체법도 청정하며, 이미 내[我]가 없음을 봄으로 모든 법에 내가 없으며, 스스로 몸의 공(空)함을 관찰하므로 모든 법도 공함을 의심하지 않으며, 자기 몸에 소리가 없음으로 모든 법도 메아리와 같으며, 몸의 적정함을 관찰하므로 모든 법도 고요하며, 내가 진리를 관찰하므로 모든 법의 진리를 관찰하며, 나의 뜻이 깊고 오묘하므로 모든 법의 오묘함을 보며, 나의 몸에 들음이 없으므로 모든 법도 귀머거리와 같으며, 내가 받는 바가 없으므로 일체의 법도 취할게 없음을 보니, 이것이 열 가지니라.
다시 열 가지 일이 있으니, 모든 법은 허깨비와 같아 속이는 모양을 일으키며, 모든 법은 꿈과 같아 보는 바에 진실함이 없으며, 모든 법은 아지랑이와 같으니 뒤바뀐 생각을 일으켜 진리가 아닌 것을 보기 때문이며, 모든 법은 그림자와 같으니 지은 바 인연을 좋아할 것이 없으며, 모든 법은 물속의 달과 같아서 잡으려 해도 잡을 수 없고 그 모양이 행을 여의었으며, 모든 법은 메아리와 같아서 처음과 끝이 모두 공(空)하며, 모든 법은 번개와 같아서 나타났다가 바로 없어지며, 모든 법은 그림과 같아서 음(婬)ㆍ노(怒)ㆍ치(癡)를 떠났으며, 모든 법은 본래 깨끗하여 바깥의 때에 더럽혀지지 않으며, 모든 법은 허공과 같아서 마침 일어났다가 바로 없어져 있는 곳이 없으니, 이것이 열 가지니라.
다시 두 가지 일이 있어 단견(斷見)에 떨어지지 않느니라. 무엇이 두 가지인가? 자재한 지혜로 죄와 복에 들어가며, 모든 부처님의 거룩한 지혜의 밝음을 명확히 분별하니, 이것이 두 가지니라.
다시 두 가지 일이 있어 상견(常見)에 떨어지지 않느니라. 무엇이 두 가지인가? 지혜도 마침 일어났다가 바로 없어지며, 뜻[意]도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는 일체가 덧없음(無常)을 말하여 주니, 이것이 두 가지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인연법을 뛰어넘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어리석은 습기(習氣)는 생사의 습기에 들어가며, 어리석음을 아주 멸하면 생사가 곧 제거되며, 단견에도 떨어지지 않으며, 상견에도 머물지 않으니, 이것이 네 가지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모든 삿된 소견을 떠나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공의 지혜를 깨우쳐 ‘저’와 ‘나’가 있다고 보지 않으며, 모양 없음을 알아 수명(壽命)이 있다고 보지 않으며, 원(願) 없음을 알아 3처(處)가 있다고 보지 않으며, 연기(緣起)를 분별하여 상(常)과 무상(無常)을 여의니, 이것이 네 가지니라.
다시 여섯 가지 일이 있어 모든 신통을 얻어 스스로 즐거워하느니라. 무엇이 여섯 가지인가? 악한 눈으로 중생을 보지 않아 천안(天眼)이 청정함을 얻으며, 악한 소리를 들으면 능히 욕됨을 참아 천이(天耳)가 청정함에 이르며, 그 마음이 어지럽지 않아 타심(他心)이 청정함을 보며, 뭇 덕의 근본을 심어 지나간 일을 알며, 입으로 말한 것을 몸으로 행함이 또한 그러하여 신족(神足)이 청정함을 얻으며, 모든 법을 수행하되 법사(法師)를 속이지 않아 모든 번뇌[漏]가 다하여 청정하니, 이것이 여섯 가지니라.
다시 여섯 가지 일이 있어 여섯 가지 통함을 얻느니라. 무엇이 여섯 가지인가? 등(燈)을 켰기 때문에 천안이 청정함을 얻으며, 모든 음악(音樂)을 베풀었기 때문에 천이가 청정함을 얻으며, 바라는 마음 없이 보시하였기 때문에 중생의 마음을 분명히 알며, 뭇 덕의 근본을 심었기 때문에 과거의 일을 알며, 모든 쌓임[陰]과 가리움[蓋]을 물리치고 중생의 여우 같은 의심을 결단하였기 때문에 신족이 청정함에 이르며, 법으로 보시하였기 때문에 모든 번뇌가 다하여 청정하니, 이것이 여섯 가지니라.
다시 여섯 가지 일이 있어 신통한 지혜를 얻느니라. 무엇이 여섯 가지인가? 마침 여래를 뵈었으므로 천안이 청정함을 얻으며, 모여서 법을 말하였으므로 천이의 청정함을 얻으며, 그 마음을 조복하였으므로 중생의 마음을 보며, 항상 6념법(念法)을 익혔으므로 숙명(宿命)을 알 수 있으며, 모든 탐욕으로 흐려진 마음을 버렸으므로 신족통을 이루어 가벼이 날아다닐 수 있으며, 모든 법을 따라 닦았으므로 번뇌가 다함을 얻으니, 이것이 여섯 가지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은 신통이 있음으로 스스로 즐거워하느니라. 성문ㆍ연각과 외도(外道)의 신선(神仙)과 하늘ㆍ용ㆍ귀신과 무선신(無善神)ㆍ봉황신왕(鳳凰神王)ㆍ산신왕(山神王)ㆍ첨유신(甛柔神)과 사람 및
사람 아닌 것들이 소유한 천안(天眼)을 보살의 천안과 비교해보면, 더할 나위 없고 더없이 깨끗하며 훤하게 꿰뚫어서, 여래의 천안을 제외하고는 보살의 천안이 보지 못하는 바가 없으니, 사람과 하늘의 상(相) 및 모든 법의 근본에 걸림이 없느니라. 또한 성문ㆍ연각과 하늘ㆍ용ㆍ귀신과 사람 및 사람 아닌 것들의 귀를 보살의 귀와 비교한다면, 더할 나위 없고 더없이 깨끗하며 훤하게 꿰뚫어서, 여래의 귀를 제외하고는 보살의 귀가 듣지 못하는 바가 없으니, 사람과 하늘의 음성 및 모든 법을 강론하는 소리에 걸림이 없느니라.
모든 음성을 듣고 3세의 일에 통달하여 일체 중생들 마음의 행하고 기억하는 바와 인연의 보응(報應)과 오고 가는 생각과 청정하고 청정하지 않음과 집착하고 집착하지 않음을 모두 알며, 몇 가지 씨앗이 되는 마음인 거슬리는 마음과 순종하는 마음과, 속박된 마음과 해탈한 마음과, 의지하는 마음과 의지하지 않는 마음과, 미혹된 마음과 정해진 마음과, 처소가 있는 마음과 처소가 없는 마음과, 일으키는 마음과 쇠퇴하는 마음을 이미 밝고 분명하게 알아서 사람의 근기를 다 보고 알맞게 법을 말하여 주느니라. 숙명(宿命)을 알아 저와 나의 근본을 알고 처음부터 끝까지 일어나는 바를 통달하지 못함이 없으되 진실하여 헛되지 않으며, 신족(神足)이 기울어짐이 없어서 나타나지 않는 바가 없으니, 이것이 바로 보살의 다섯 가지 신통이니라.
또 마음이 자재하여 하는 일을 구족하니, 이것이 바로 즐거움이고, 불신(佛身)은 열반에 들되 영구히 멸도(滅度)하지 않음을 나타내 보이느니라.
무엇을 일러 보살의 번뇌를 다한 신통이라 하는가? 보살은 성문과 연각을 초월하고 부처님의 지혜에 의지하여 해탈을 얻으며, 일체 중생이 본래 청정하되 모든 번뇌를 다하지 못하여 증과를 얻지 못함을 환히 깨우쳐서 일체의 사람들을 위하여 모든 번뇌를 다하도록 도와주니, 이것이 바로 여섯 번째 신통이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다함이 없는 지혜를 나타내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지혜의 공덕을 닦아 이 5신통을 이루며, 훌륭한 자비를 행하여 4해행(解行)을 알며, 훌륭한 권도(權道)의 지혜를 받들어 4무애지(無礙智)에 미치며, 선정과 정수(正受)와 공(空)과
무상(無相)과 무원(無願)으로 37조도품(助道品)에 이르니, 이것이 바로 네 가지니라.”
부처님께서 다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무엇을 일러 본 것에 걸림이 없다고 하는가? 모든 번뇌 속에서 일체의 때[垢]를 제거하고, 모든 걸림 속에서 생사의 근본을 나타내어 열반에 이르도록 조어(調御)하며, 성문과 연각승을 나타내어 도량(道場)에 이르도록 교화하며, 세속에 따라 권유하여 사람들에게 적정을 행함을 보이니, 이것을 일러 걸림이 없다고 하느니라. 다시 걸림이 없음12)이 있나니, 일체의 수(數)를 나타내어 소유가 없는 데 이르고, 모든 수가 멸한 것을 나타내어 집착할 것이 없음에 미치며, 아무리 수가 있는 모든 행과 수가 없는 모든 법에 있어도 걸릴 것이 없으며, 쌓임과 가리움을 없애어 무위법에 이르되 유위법에도 또한 걸림이 없으니, 이것을 일러 보살이 걸림 없는 지혜를 나타낸다고 하느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중생심의 행하는 바를 분명하게 아니, 세속의 지혜와 정수(正受)를 따라 익히며, 의식(意識)하는 바를 환히 알며, 훌륭한 권도방편으로 모든 법에 자재하니, 이것이 바로 네 가지니라.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어 행함에 만족함이 없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이미 크게 편안함을 얻어 중생으로 하여금 편안하게 하며, 가엾이 여기는 마음이 굳건하며, 일체의 사람들을 보기를 자신의 골수(骨髓)같이 하며, 사람의 행하는 바를 따라서 행을 나타내 보이며, 지극히 높고 기특한 공덕에 서니, 이것이 다섯 가지니라.
다시 여섯 가지 일이 있어 가르침 받은 말을 분별하느니라. 무엇이 여섯 가지인가? 총지를 얻음에 이르러 마음이 적정에 서며[立], 진리의 청정함을 관찰하여 마음이 모든 지혜에 들어가며, 변재(辯才)에 집착도 없고 멈춤도 없으며, 방편의 지혜로 차례차례 해설하니, 이것이 여섯 가지니라.
다시 여덟 가지 일이 있어 마군과 원수를 항복하느니라. 무엇이 여덟 가지인가? 5음(陰)은 마치 허깨비와 같음을 환히 알아서 탐착과 소견과 번뇌를 여의고 공(空)을 행하며, 일체 법이 모두 생기는 바가 없음을 알아서 그 생겨나는 바를 따라 열어 인도하며, 도의 뜻을 놓지 않아서 굳건히 정진하며, 부처님 도를 버리지 않아서 삼계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소유를 여의고서 사람과 사물을 관찰하며, 진리의 지혜를 구하고 살펴서 덧없는 상(相)을 관찰하며,
공덕 쌓기를 싫증내지 않아서 지혜를 모으며, 성문과 연각의 지혜를 좋아하지 않으니, 이것이 여덟 가지니라.
다시 열 가지 일이 있어 모든 공포를 여의고 보살의 일을 행하느니라. 무엇이 열 가지인가? 보시를 행하여 생각[想]을 장엄하며, 계율을 세워 모든 나쁜 길을 끊으며, 인욕에 노닐어 모든 감관이 어지럽지 않으며, 정진을 굳건히 하여 선(善)을 심기를 게을리 하지 않으며, 선정을 수행하여 그 마음이 허황하지 않으며, 지혜를 이루어 번뇌를 여의며, 훌륭한 권도의 방편으로 그지없고 거룩한 지혜의 원(願)을 환히 깨우쳐 분별사식(分別事識)을 얻으며, 법의 이치를 이해하여 변재(辯才)를 갖추며, 총지를 얻어 중생의 여우 같은 모든 의심을 해결하여 주며, 부처님이 계신 곳에 머물러 일체의 법을 보호하니, 이것이 열 가지니라.
다시 여덟 가지 일이 있어 물러나는 이를 막느니라. 무엇이 여덟 가지인가? 말과 행동이 서로 부합하며, 자신의 잘못을 살피고 남의 모자람을 말하지 않으며, 차라리 목숨을 잃을지언정 가볍거나 무거운 죄를 짓지 않으며, 이익을 얻어도 기뻐하지 않고 이익이 없어도 걱정하지 않으며, 해치려는 마음을 품지 않고 일체를 인도하여 세존[衆祐]의 뜻을 일으키며, 계율[禁戒]을 똑같이 펼쳐서 사법(師法)을 버리지 않으며, 여러 사람들을 편안하고 기쁘게 하되 자신의 편안함을 구하지 않으며, 일체의 아끼는 것을 보시하되 후회하지 않으니, 이것이 여덟 가지니라.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어 위없이 바르고 참된 도에서 물러나지 않음을 얻느니라.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훌륭한 권도의 방편으로 모든 바라밀을 이루며, 깊고 묘한 법에 들어 진리의 이치를 끝까지 살피며, 걸림 없는 신통으로 중생의 근기를 보아 모든 지혜를 분별하며, 행함에 집착하는 바가 없으므로 행함이 다할 수 없으며, 연기(緣起)에서 노닐어 일체의 모든 번뇌를 증지(證知)함을 다하지 않으니, 이것이 다섯 가지니라.
다시 세 가지 일이 있어 불기인(不起忍)에 이르느니라. 무엇이 세 가지인가? 사람도 청정하여 내[我]가 없고, 법도 청정하여 적정하며, 지혜도 청정하여 집착이 없음을 관찰하니, 이것이 세 가지니라.
다시 세 가지 일이 있어
모든 청정함보다 뛰어나니, 과거에도 청정하여 모든 법이 모두 다하였고, 미래에도 청정하여 법이 일어날 바가 없으며, 현세에도 청정하여 법이 머물 바가 없으니, 이것이 세 가지니라.
다시 세 가지 일이 있으니, 몸으로 행함이 청정하므로 공덕이 왕성하고, 입으로 하는 말이 청정하므로 지혜가 훌륭하고, 뜻과 생각이 청정하므로 결정하여 물러나지 않으니, 이것이 세 가지니라.
다시 네 가지 일이 있어 불세존께 수결을 받느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성정(性情)이 화순(和順)하여 법을 따라 받들며, 모든 행이 구족하여 청정한 행을 관찰하며, 지혜의 힘을 얻어 일체의 마음을 알며, 모든 법이 본래 청정하여 일어나지도 멸하지도 않음을 알아 말미암는 바가 어지럽지 않느니라.
이것이 네 가지 법이니, 보살이 행하여 불세존께 수결을 받느니라.”
2. 분별품(分別品)
부처님께서 이것을 말씀하시고 나니, 12억 백천의 모든 하늘ㆍ용ㆍ귀신ㆍ향음신(香音神)과 사람 및 사람 아닌 것들이 모두 더없이 바르고 참다운 도의 마음을 일으켰고, 7만 2천의 보살들은 생사 없는 법인[不起法忍]을 얻었으며, 140만 대중들은 법의 안목이 청정함을 얻어 번뇌의 때를 멀리 여의었고, 8천의 비구들은 번뇌가 다하고 뜻이 풀렸으며, 5천의 천자(天子)들은 애욕을 여의었다. 삼천대천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였으며, 그 큰 광명이 널리 세계를 비추었고, 공중에서는 저절로 하늘 꽃이 비처럼 내렸다.
모든 하늘들이 위에서 백천의 기악(伎樂)을 연주하면서 함께 찬탄하였다.
“지금 여래께서 말씀하신 경법은 두 번째 굴리신 법 바퀴[法輪]이니, 바라내국(波羅奈國)에 계실 때보다 지금 말씀하신 이 경법이 몇 갑절이나 더합니다. 왜 그런가 하면, 이 경법은 무수히 많아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이로운 이치를 열어 인도하시기 때문입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것을 듣는다면 덕의 근본(德本)을 잊지 않으리니, 어찌 하물며 받아 지니고
받들어 수행한 이에 있어서 이겠습니까? 사람 몸을 잘 받아서 여래를 일찍 뵙고 이 법을 자세히 들을 것입니다. 이 법을 듣고 나서 곧 위없이 바르고 참된 도를 일으키는 이는 악도(惡道)는 막히고 천인(天人)의 길이 열릴 것이니, 마땅히 이것을 관찰하여 비교한다면 거의 멸도를 얻을 것입니다.”
이에 세존께서 모든 천자들을 칭찬하셨다.
“훌륭하도다, 훌륭하도다. 명석하게 이 말을 설명하였도다. 이 경법을 듣고 환희하여 믿는 이는 모두 부처님께서 건립(建立)하신 대승(大乘)을 열어 교화할 것이며, 이러한 무리들은 여래의 지혜를 이루리니, 불퇴전(不退轉)의 법인(法印)을 찍어 끝내 다른 길로 가지 않고 부처님 도에 이르러 모든 고난을 뛰어넘느니라.”
이에 용왕은 이 경법을 설하심을 듣고 기뻐 뛰면서 착한 마음이 생겨서, 이름이 입해청정보엄보명(立海淸淨寶嚴普明)이요 그 값어치가 삼천대천세계와 같은 마니주(摩尼珠)를 세존께 바치니, 그 구슬의 광명이 해와 달의 밝음을 덮어 가렸다. 일체의 모인 대중들은 일찍이 없었던 것을 얻었으므로 부처님께 예를 올리고 일어서서 한 목소리로 찬탄하였다.
“부처님이 나오시는 때는 만나기 어려우니, 이제 세상에 나오시어 이와 같이 일찍이 없던 법을 나타내 보이시는구나.”
때에 해룡왕이 보배 구슬을 드리고 나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 덕의 근본으로 걸림 없는 불신(佛身)의 광명을 얻어, 그 광명으로 널리 시방 모든 국토를 비추게 한다면 그 빛을 쬔 사람은 모든 번뇌를 제거할 것이니, 마치 지금 여래의 두 눈썹 사이에서 나오는 광명이 저로 하여금 이와 같은 온갖 어둠을 물리치고 평등각(平等覺)을 얻게 하는 것과 같아서 그 삿된 길에 들어간 이를 바른 길에 서도록 할 것입니다.”
3. 육도품(六度品)
해룡왕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무엇을 일러 보살이 온갖 어둠을 물리친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은 지혜가 특별하여 손에 지혜의 등(燈)을 잡아 지혜를 분별하고, 지혜가 뛰어나므로 지혜의 칼을 잡아
조작할 바가 있으면 모두 지혜로써 지혜를 건립하니,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ㆍ지혜로 지혜를 건립하고,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을 수행해서 널리 모든 법을 관찰하고 지혜를 건립하여, 중생을 열어 교화하느니라.
보살은 무엇을 일러 지혜를 건립하여 보시를 행하되 보시에 평등하다고 하는가? 보시가 이미 평등하면 나에게도 평등하고, 나에게도 이미 평등하면 곧 다른 사람에게도 평등하며, 이미 다른 사람에게도 평등하면 모든 법에도 평등하고, 모든 법에도 이미 평등하면 모든 부처님에게도 평등하니라. 비록 보시한 것에 이와 같이 평등하게 보시하지 않음이 있다 하더라도 이미 보시한 이는 번뇌를 따르지 않으며, 보시할 때에는 일체의 번뇌를 버리니, 또한 이와 같아서 일체의 생(生)을 보시하면 일체를 보시하는 것이니라. 모든 소견을 여의고 모든 소유도 버리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지혜를 건립하여 저에게 보시하는 것이니라.
무엇을 일러 보살이 지혜를 건립하여 금계(禁戒)를 받든다고 하는가? 보는 것과 몸과 뜻이 고요하여 금계를 보호하니, 몸과 입과 뜻에 의지하지 않으며, 현세와 미래에도 의지하지 않고, 또한 안과 밖도 두지 않으며, 5음(陰)과 5개(蓋)와 4대(大)와 6입(入)에도 의지하지 않고, 깨달음[覺意]과 열반[滅度]에도 의지하지 않으며, 일체법(一切法)13)에도 또한 의지하는 바가 없다면, 계율을 보호해서, 계율을 지녔다고 거들먹거리지도 않고 또한 방일(放逸)하지도 않을 것이니라. 이것이 바로 보살이 지혜의 계율을 건립하는 것이니라.
보살이 인욕을 행하되 나도 없고 남도 없고 또한 나와 남도 없으므로 내 것에 머물지 않으며, 내 것에 머물지 않으므로 내가 청정하고 남이 청정하며, 내가 청정하고 남이 청정하므로 일체법이 모두 청정하다고 보니, 이것이 바로 인욕을 행하는 것이니라. 보살은 비록 인욕을 행하더라도 모든 법에 작위함이 없고, 모든 법을 일으키지도 멸하지도 않으며, 보살은 비록 인욕을 행하더라도 모든 법에 대해 적정함도 적정하지 않음도 없으며, 보살은 비록 인욕을 행하더라도 남도 비어 고요하고 나도 없다고 보아서 또한 두려워하지 않느니라. 또한 보살은 비록 인욕을 행하더라도 몸과 입과 뜻으로 하지 않아서
아무리 몸뚱이를 파괴하고 팔 다리를 자르더라도 스스로 그 몸 보기를 마치 초목(草木)이나 담장[墻壁]과 같이 여기나니, 이것이 바로 인욕을 행하는 것이니라. 보살은 나쁜 말과 꾸짖는 말과 함부로 하는 말과 같잖은 말과 청정한 말과 질서 없는 말을 듣더라도 맺힌 곳이 없으므로 그 말들을 훤히 아니, 이것이 바로 인욕을 행하는 것이니라. 보살은 아무리 마음이 어지러울지라도 마음에 묶인 바가 없으며, 본래 없는 마음은 각각 실다운 것이 없으므로 잠깐 동안에 사라져 없어지니, 이와 같이 관찰하는 것이 바로 인욕을 행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지혜를 건립하여 인욕을 행하는 것이니라.
보살은 정진을 수행하여 모든 선법(善法)을 자라게 하되 그 법계는 늘어나지도 줄어들지도 않음을 관찰하여 평등하게 법계를 조어하며, 일체법을 관찰하되 모든 법이 서서 이루어진다고 보지 않으며, 세간에 의지하는 것이란 진실하지 못하여 뒤바뀜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임을 관찰하느니라. 보살은 청정한 지혜의 밝음으로 일체 법을 관찰하되 모든 법을 따르지도 않고 버리지도 않으며, 모든 법이 쌓여 모임도 보지 않으며, 오고 가는 것이 어디로부터 오고 어디로부터 가는지도 보지 않아서, 모든 법을 훤히 깨우치고 법을 따르기를 이와 같이 하여 괴로움의 진리[苦諦]와 뒤바뀐 일을 분별하고, 사람들을 위해 법을 말하여 수행 정진하느니라. 저 모든 중생들은 진실함도 없고 진리도 없으므로 만일 사람에서 얻지 못한다면 일체의 모든 법에서도 또한 얻을 수 없으니, 왜 그런가 하면, 사람은 법을 떠나지 않고 법은 사람을 떠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자연(自然)스러우면 나도 자연스럽고 내가 자연스러우면 모든 법도 자연스럽고 모든 법이 자연스러우면 불법도 자연스런 것이니라. 모든 불법을 구하되 이같이 자연대로 하여 자연을 알고 나면, 곧 불법을 이루리니, 이제 구하는 이나 이미 구한 이나 처음으로 구하는 이라도 저가 이것을 구하고 나면 얻을 것이 없음을 구할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지혜를 건립하여 정진을 행하는 것이니라.
보살은 선정에서 정수(正受)로써 평등을 파괴하지도 또한 성취하지도 않으며, 보살은 선정에서 정수로써 모든 법을 사유함도 없으며
또한 버림도 없고 화합하지도 않아서, 모든 경계에서 집착 없는 선(禪)을 행하고 모든 선법(禪法)을 세우며, 모든 법에 평등하여 또한 뒤섞여 어지러움도 없느니라. 몸도 아니요 마음도 아니요 선정을 사유(思惟)하되 뜻과 성품으로 따라 지어가는[行] 바가 없으므로, 선정을 행하지 않아도 본래 없음[無]에 평등하여 정수(正受)로 본래 청정한 법에서 평등함을 이루며, 일체의 사람들과 평등하여 평등함을 이루느니라. 모든 법은 본래 청정하여 색(色)이 없으므로 삼매(三昧)를 행하지 않아도 가는 바에 그대로 응하여 마음이 안에도 머물지 않고 또한 밖에도 노닐지 않으며 머무는 곳이 없음을 알아서 일체의 뒤바뀜에 떨어진 이를 제도하니, 5신통을 얻은 성문ㆍ연각의 선정과 정수보다 뛰어나니라. 보살은 선정으로 지혜를 내어 번뇌에 물든 견해를 제거하고, 선정으로 도(道)에 원을 세워 중생을 열어 교화하니, 이것이 바로 여래가 한결같은 선정으로 열반에 이름이며, 이것이 바로 보살이 지혜로써 선정을 건립하는 것이니라.
보살은 모든 법을 관찰하되 혜안(慧眼)으로 관찰하니, 맨눈[肉眼]도 아니요 또한 하늘눈[天眼]도 아니니라. 모든 법을 관찰하고 나서 모든 법의 적정(寂靜)함과 모든 법의 적묵(寂黙)함을 보니, 모든 법은 적막(寂寞)하여 감도 없고 머무름도 없으며, 모든 법은 청정하여 성취할 바가 없느니라. 널리 모든 법을 다 이렇게 관찰하니, 이와 같이 관찰하는 것이 바로 법을 관찰하는 것이니라. 법을 이와 같이 관찰한다면 모든 법이 돌아가 나아가는 바를 보지 아니하여 법을 보고도 관찰하지 않으며, 법을 보지 않고도 관찰하나니, 구함도 없고 깨우침도 없고 알지도 못하고 보지도 않는 것이 바로 법을 보는 것이요,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수(壽)도 없고 명(命)도 없는 것이 바로 법을 보는 것이니라. 가령 보살이 법을 관찰함이 이와 같다면 뒤바뀐 사람을 보고는 중생을 이롭게 하려고 큰 자비를 일으키느니라. 법의 청정함이 이와 같으므로 뭇 사람들이 의지하고 집착하니, 이에 보살은 넓고 큰 뜻을 일으켜 어리석은 중생들을 제도하고자 하느니라.
이것이 바로 보살이 지혜를 건립하여 법을 관찰하는 것이니라.”
4. 무진장품(無盡藏品)
부처님께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무엇을 일러 보살이 지혜를 건립하여 사람을 위하여 법을 말하되 사람이 있음을 보지 않는다고 하는가? 사람이란 나[我]도 아니고 남[人]도 아니고 몸도 아니며, 사람이란 적막(寂寞)하며, 사람이란 소유가 없으며, 사람이란 본래가 청정하며, 사람이란 음성(音聲)이며, 사람이란 이름뿐이며, 사람이란 텅 비어서 모양도 없고 소원도 없으며, 사람이란 수(數)가 있지 않으며, 사람이란 진리를 살피며, 사람이란 태어나는 바가 없으며, 사람이란 일어남이 있지 않으니, 사람을 위하여 법을 말하되 사람은 청정해서 나도 없고 수명(壽命)도 없어 자연도 멸(滅)하지 않고 소유도 멸하지 않음을 강설(講說)하느니라. 사람의 본래 행을 따라서 법을 말해주니, 어찌 하물며 중생은 본래 청정함도 자연스럽고 나 없음도 자연스럽고 모양 없음도 자연스러워서 곧 사람도 자연스러운 것이겠는가. 만일 사람이 자연스럽다면, 이 자연스러움으로써 모든 법도 자연스럽고, 모든 법이 자연스럽다면 일체의 불법(佛法)도 또한 자연스러우니, 이것을 일러 일체의 모든 법이 다 불법이 된다고 하느니라.
일체의 모든 법은 다만 이름을 빌렸을 뿐이요 이것을 불러서 이름이 있는 것이니, 만일 모든 법을 설한다 해도 법이 아닌 것을 강설하는 것이니라. 왜 그런가 하면, 말한 바가 법과 같다면 법 아닌 것도 또한 그러하며, 법음(法音)을 부르는 것 같아도 법음이 아닌 것이니라. 왜 그런가 하면, 모든 법과 법계는 모두 본래 청정하여 말로 다 하지 못하고, 또한 얻을 바가 없으며, 법계는 본래 청정하여 잡을 것이 없느니라. 일체의 법계와 모든 법이 본래 청정하나 일체의 법을 무너뜨린다면 무엇을 성취(成就)하겠는가? 이것이 모든 불법(佛法)이 경법(經法)을 말하는 이유이며, 이로써 인연이 적막(寂寞)하여 이와 같이 모든 불법에 소리로 교화하여 아는 것이 있지 않느니라.
불법은 가르침이 없어서 유위(有爲)에도 무위(無爲)에도 머물지 않으니, 왜 그런가 하면, 유위와 무위를 여의지 않고 해탈을 얻기 때문이니, 어찌
다른 법이 있어서 그 수를 헤아릴 수 있겠는가?”
용왕이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모든 법도 셀 수 없고 여래도 셀 수 없나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렇다. 그대가 말한 바와 같이 모든 법도 셀 수 없고 여래도 셀 수 없다면, 다르지 않다는 것이니, 용왕의 뜻에는 어떠한가? 셀 수 없다는 말에 머무는 곳이 있는가?”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이 관(觀)을 마땅히 알고 마땅히 지을 것이니, 불법은 머무는 곳도 없고 말씀도 없으며, 불법이 말씀도 없고 머무는 곳도 없는 것처럼 일체의 모든 법도 머무는 곳이 없고 말씀도 없음이 또한 이와 같으니라.
용왕이여, 여래를 관(觀)하여 보라.
크신 자비가 높고 높아 이 같은 자비로 중생들을 열어 교화하여 견고하게 서도록 하시며, 또한 일체 법은 머무는 곳도 없고 가르침도 없으므로 인연을 말하여 가르치시니, 이 법은 샘[漏]이 있고 이 법은 샘이 없으며, 이것은 세간이 있고 이것은 세간의 일을 뛰어 넘으며, 집착이 있고 집착이 없으며, 셀 수 있고 셀 수 없으며, 함이 있고 함이 없으며, 번뇌와 성내고 원망함, 이것을 익힘과 이것을 버림, 범부(凡夫)의 법과 현성(賢聖)의 법, 배우는 법과 배우지 않는 법, 성문법과 연각법과 보살법과 불법(佛法)이니라.”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용왕이여, 여래는 이와 같이 사람들을 위하여 법을 말하고 그 머무는 곳을 강설(講說)하되, 또한 법을 보지 않으며 모든 법에 대한 생각도 없으니, 비유하자면 어떤 사람이 허공은 빛깔도 없고 보이지도 않는데 모든 색으로 허공에 그리고자 해서 하늘 모양과 모든 사람들의 형상과 코끼리와 말과 수레와 시종들을 그린다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어렵지 않겠느냐?”
대답하였다.
“매우 어렵고, 매우 어려습니다. 일찍이 전혀 없던 일입니다, 천중천(天中天)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용왕이여, 여래가 하는 일이 매우 어려우니라. 저 빛도 없고 취할 수도 없고 볼 수도 없으며 또한 문자(文字)도 없고 얻을 것도 없는 모든 법에 대해 일체를 위하여 언교(言敎)를 강설(講說)하고 문자를 나타내어 방편을 베푸니, 이것이 매우 어려우니라.
이와 같은 상법(像法)을 믿고 들어가는 이가 있다면,
이러한 모든 사람들은 이루는 바가 많을 것이요, 이 깊고 묘한 이치를 받는 이가 있다면 그는 모든 마군에게 틈을 내주는 바가 되지 않을 것이니라.
용왕이여, 나의 전생 일을 생각하건대 수없는 부처님을 번갈아 받들어 섬겼으며, 항상 번번이 집을 버리고 청정하게 범행(梵行)을 닦았으나, 저 여래들께서는 일찍이 나를 위하여 깊고 묘한 법을 말씀하여 주시지 않았으며, 병(病)에 따라 보시하고 계율을 지녀서 도(道)를 배우는 법을 강설하여 주셨으니, 욕됨을 참고 인자하게 화합하는 가르침을 귀 기울여 듣고서, 고요한 곳에 편안히 거처하여 공덕을 그치고 만족하였느니라. 왜 그런가 하면, 덕(德)을 행함을 아직 마치지 못하였기 때문이니라.
덕을 행하여 마치고 나서 대수요(大殊曜)여래로부터 이 깊고 묘한 법을 들었으며, 때에 응하여 유순법인(柔順法忍)을 이루었느니라. 이런 까닭에 마땅히 이 이치를 알았으며, 마땅히 이 관(觀)을 지어서 이 깊은 법을 듣고 공덕을 구족하였으니, 과거 부처님으로부터 모양도 없고 이름도 없는 모든 번뇌의 인연과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수(壽)도 없고 명(命)도 없는 이 깊은 경(經)을 믿어 좋아하고 받아 지니고 외워서 다른 사람을 위해 말해 주었으므로 그 복이 매우 많으니라.
만약 어떤 보살이 일체를 가엾이 여겨 편안하게 해주고자 해서 삼천대천세계 하나하나 중생들로 하여금 모두 편안함을 얻게 하고, 모든 하늘의 인민(人民)들도 이 공덕을 모아 한 사람에게 베풀어 준다면, 용왕의 뜻에는 어떠한가, 보살이 어찌 중생을 위하여 끝없는 편안함을 더하여 주는 것이 아니겠는가?”
대답하였다.
“매우 훌륭하십니다, 매우 훌륭합니다, 천중천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 어떤 보살이 모든 중생들에게 약간의 편안함을 베풀어 주었을 뿐이요, 만약 사람들을 위하여 한 구절[句]의 덧없고 괴롭고 공(空)하며 몸이 아니라는 이치[義]와, 공하여 모양도 없고 서원도 없고,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수(壽)도 없고 명(命)도 없으며, 생기지도 않고 일어나지도 않는 현상[事]을 말하여 준다면, 이는 편안함을 베풀어 주는 것이니 복을 헤아리기 어려우니라. 왜 그런가 하면, 함[爲]이 있는 편안함은 중생들이 모두 겪었지만 함이 없는 편안함은 일찍이 체험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니, 저가 이
깊고 묘한 법으로써 음성을 펼친다면 함이 없는 편안함으로 의복과 음식을 삼을 것이니라.
그러므로 보살이 스스로 이치를 세우고 세간 사람들의 서원을 구족하게 하려면, 마땅히 깊고 묘한 법을 배워야 하느니라. 만일 보살이 대중이 모인 자리에서 깊고 묘한 법을 버리고 잡된 구절을 꾸며서 말한다면 이는 바른 법의 교화를 끊는 것이니, 왜 그런가 하면, 이 깊고 묘한 법은 염부리(閻浮利)14)에 유통되어 없어지지 않아서 사람마다 귀 기울여 듣고 받느니라. 법을 좋아하는 이는 말할 것도 없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몹시 많으니, 만일 법사(法師)가 깊고 묘한 법을 감추고 잡된 법문을 말해서 깊은 법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하늘도 기뻐하지 않으며 ‘이 족성자(族姓子)가 세속의 좋아하는 바를 따라 세속의 일을 말하고 있으니, 아! 슬프도다. 이 모임 가운데는 바른 법을 말하는 이가 없다’라고 하면서 속으로 울분을 품고 물러나 가버릴 것이니라.”
이때에 해룡왕이 세존께 아뢰었다.
“보시하고 계율을 지녀 도를 배우는 법은 세속의 일입니까? 집을 버리고 나와 배워서 청정하게 범행을 닦는 것은 불법(佛法)이 아닙니까?”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모든 부처님은 세간에 나와서 생멸 없는 법[無起法]을 일으키셨으니, 삼계의 모든 행에서 구호(救護)하는 바가 있는 것은 모두 이 세속의 일이며 부처님 말씀은 아니니라.
그것은 곧 무엇을 말하는가? 4선(禪)과 4등심(等心)과 4무색정(無色定)과 5신통(神通)과 10선행(善行)과 보시와 지계와 인욕과 정진과 선정과 지혜와 서장(書章)과 산수(算數)와 경권(經卷)과 의술(醫術)과 방약(方藥)과 공교로운 기술(技術)과 신상(身相)과 의식(衣食)과 재물(財物)과 아끼는 바의 선정(禪定)이니, 삼계(三界)의 모든 행 가운데 있으므로 모두 세속 일이요 부처님 말씀이 아니니라.”
부처님께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부처님은 세간에 나오시어 일찍이 영원하지 않는 괴로움과 내가 없다고 주장하는 이를 들은 적이 없으므로, 괴로움의 이치를 제거하고 익힘[習]의 이치를 끊으며 다함[盡]의 진리를 증득하고 도의 이치를 따라 닦으며, 공(空)의 이치에 들어가고 모양 없음[無相]을 건너며 바람[願]이 없는 데로 인도하여,
모든 행(行)을 내지도 일으키지도 않느니라. 4의지(意止)와 4의단(意斷)과 5근(根)과 5력(力)과 신족(神足)과 8각의(覺意)와 8정도(正道)로 진리와 본래 청정함을 구하며, 5음(陰)과 6입(入)에 일으키는 바가 없으므로 텅 비어 고요한 이치가 되느니라.
말미암은 모든 이치가 모든 법을 무너뜨리지 않고 법 아닌 것도 무너뜨리지 않으니, 일체의 법이 나지도[生] 않고 자라지도[長] 않음을 알아 아무것도 일으키지 않으며, 항상함과 항상하지 않음을 따지지 않느니라. 연기(緣起)로 말미암아 태어나지 않으므로 본래 깨끗한 것을 돌이켜서 색욕(色欲)을 여의며, 수없이 많은 법을 나타내어 도법(道法)에 들고, 도법에 머무르되 생각함도 생각지 않음도 없고 응함도 응하지 않음도 없으며, 일체의 깨끗하다거나 깨끗하지 않다는 생각을 버려서 들어 올림도 없고 내림도 없느니라. 번뇌의 어리석은 문(門)이 저절로 허공과 같아져 평등한 행을 얻으니, 상(想)에 대해 평등하다고 생각하여 상(想)을 생각함이 없어서 상(想)을 여의고, 하나의 상(想)을 똑같이 하여 일체의 상(想)을 여의느니라. 관(觀)하여 보는 바가 없어서 모든 소견이 적연(寂然)하며, 모든 뒤바뀜을 나타내어 일체가 평등하니, ‘과(果)의 흔적 얻되 모두 소리뿐이다’라고 하느니라. 그리하여 얻을 것도 없고 또한 얻지 않음도 없으며, 받지도 않고 또한 버리지도 않느니라.”
부처님께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이것이 앞에서 말한 모든 법의 주장이니, 이루 다 얻을 수도 없고 이루 다 칭하여 말할 수도 없어서, 성문에 이르면 성문승을 얻고, 연각에 이르면 연각승을 이루며, 보살에 이르면 불기법인(不起法忍)을 얻어 여래의 위없이 바르고 참다운 도를 이루어 최정각(最正覺)이 되느니라. 이를 부처님 말씀이라고 하니, 이 말씀은 세속에서 익힌 것을 따라 가르치나, 이는 모두 불법(佛法)이며, 진리를 가르치는 것이니라.
부처님의 도(道)는 문자가 없으며, 부처님의 말씀은 말이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자취가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생각[想]이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찬탄함이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교화함이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그침이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이름이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생각[思]이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마음[心]과 생각[意]과 앎[識]15)이 없고 또한 염두에 두는 바도 없으니, 이것을 부처님의 가르침이라고 하는데, 이루 말로 다 할 수도 없고, 또한 말로 다 가르칠 수도 없으며, 또한 가리켜 나타낼 수도 없느니라.”
부처님은 이어
용왕에게 말씀하였다.
“이와 같이 견주어 가르침이 바로 부처님의 말씀이니, 여래는 문자(文字)의 뜻으로 설법하지 않느니라. 문자의 가르침 없이 설법하시니, 그러므로 문자가 없는 것이 곧 부처님의 가르침이니라. 부처님이 말씀하신 법은 이루는 바가 없으며, 부처님이 말씀하신 법에서 일체의 얻음[得]을 없애니, 그러므로 얻음이 없는 것이 곧 부처님의 말씀이니라. 부처님이 말씀하신 경(經)은 일찍이 언어 문자로 가르침이 없었지만 적멸을 말하여 가르치셨으니, 그러므로 가르침이 없다고 말하느니라.
부처님이 말씀하신 법은 취(取)함이 없는 법이요, 의지함이 없는 법이며, 방일(放逸)함이 없는 법이며, 생각[想]하지 않는 법이며, 일으킴이 없는 법이며, 파괴함이 없는 법이며, 구경(究竟)이 없는 법이며, 얻을 것이 없는 법이며, 뜻[志]하는 바가 없는 법이며, 기억[念]할 것이 없는 법이며, 행할 것이 없는 법이며, 분별함이 없는 법이며, 생각[想]이 있지 않은 법이며, 이를 곳이 없는 법이며, 사유[惟]할 것이 없는 법이니라.”
부처님께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여래가 사람들을 위하여 법을 말하되 일찍이 행(行)함에 증득할 바가 있지 않으니, 내가 말한 것도 일체가 본래 청정하여 법(法)에 모양과 빛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용왕이여, 모든 법이 모양이 없는 것을 바로 부처님 말씀이라고 하느니라.
또한 무엇을 일러 부처님 말씀이라고 부르는가? 일체의 소리를 알아 통달하지 못함이 없기 때문에 부처님 말씀이라 하며, 과거와 미래와 현세를 관찰하여 걸림이 없기 때문에 부처님 말씀이라 하며, 온갖 말을 환히 깨닫기 때문에 부처님 말씀이라 하며, 모든 물음에 대답하기 때문에 부처님 말씀이라 하며, 일체의 말한 바 인연법을 통달하지 못함이 없기 때문에 부처님 말씀이라 하며, 모든 말한 바를 깨달음이 마치 부르는 소리에 메아리가 울리듯 하기 때문에 부처님 말씀이라 하며, 문자도 없고 언교(言敎)도 없기 때문에 부처님 말씀이라고 하느니라.
그러나 모든 문자와 언교도 또한 모두 부처님 말씀이니, 왜 그러한가? 이 모든 문자는 과거와 미래와 현세의 부처님 말씀이니, 현세의 부처님이 말씀하신 것과 과거의 부처님이 말씀하신 것과 미래의 부처님이 말씀하실 것이므로, 이런 까닭에 일체의 문자와 모든 언교를 모두 부처님 말씀이라고 하느니라. 이와 같이 견줌에 들어가 뭇 지혜를 환히 깨우치는 이것을 보살이
도(道)의 이치를 분별한다고 하는 까닭에 문자와 언교도 모두 부처님 말씀이라고 하며, 법계를 헐지 않고 일미(一味)인 지혜를 잊지 않는 이것을 보살이 경(經)의 근본을 분별한다고 이르는 까닭에 문자와 언교도 모두 부처님 말씀이라고 하며, 마음대로 응하되 법의 지혜에 따르는 이것을 보살이 수순(隨順)한 적정을 분별한다고 하니, 그러므로 문자와 언교도 모두 부처님 말씀이라고 하느니라.
그 지혜를 말하되 머무는 곳도 없고 집착함도 없는 이것을 보살이 분별하여 환히 깨우친다고 하니, 그러므로 용왕이여, 일체의 모든 법이 이 네 가지 이치를 분별함에 귀결(歸結)되지 않는 것이 없느니라. 보살로서 네 가지 이치를 이해한 이는 문자와 언교의 모든 귀착점(歸着點)과 몸이 있는 곳에서 인도하여 나아가 모두 부처님의 가르침에 들어가지 않음이 없으니, 그러므로 집착도 없고 본래 머무는 곳도 없어서 백천 겁 동안 말한 것이 있어도 능히 막을 이가 없느니라.
왜 그런가 하면, 이것을 이름하여 다함이 없는 법장(法藏)의 총지문(總持門)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만약 보살이 이 총지를 얻는다면 다함이 없는 법구(法句)를 말하되 교리에 잘 따르고, 오고 가는 번뇌를 버리며, 자재하여 의지함이 없어서 백천 가지 진묘(眞妙)한 구절을 장엄하며, 본래 깨끗한 것에 차분히 머물러서 가지고 보호하여 어지럽지 않고, 높고 낮은 이치를 평등하게 깨우치며, 가지고 있는 번뇌와 성냄을 환히 비추고, 일체의 행에 들어가 따라서 해탈하느니라.
8만 4천의 모든 근(根)을 곧 마음대로 하고 본래의 성품을 잘 강설하여 법을 말하되 8난(難)을 다함이 없고, 음성과 모든 법도 또한 다함이 없으며, 비유하는 지혜와 3세(世)도 다함이 없으니, 과보의 응함과 과보의 서원이 모두 다하겠는가?
경전(經典)이 따라 넓어짐을 이루 다하겠으며, 마음이 드는[入] 바를 이루 다하겠으며, 인연의 어리석은 자취를 이루 다하겠으며, 애욕을 따라 있음이 이루 다하겠으며, 이 총지를 일으킴을 이루 다하겠으며, 승(乘)이 머무는 곳을 설함을 이루 다하겠으며, 법이 머무는 곳을 분별함이 이루 다하겠으며, 깊고 미묘하게 섞여 있는 구절이
이루 다하겠는가?
구경(究竟)에 이름이 이루 다하겠으며, 따르고 거스르는 말이 이루 다하겠으며, 명자(名字)의 가르침이 이루 다하겠으며, 불ㆍ법ㆍ승을 찬탄함이 이루 다하겠으며, 바른 진리를 설함이 이루 다하겠으며, 부처님의 도법품(道法品)이 이루 다하겠으며, 죄와 복이 응하는 바를 이루 다하겠으며, 바라밀을 강설함이 이루 다하겠는가?”
부처님께서 용왕에게 말씀하셨다.
“이것을 이름하여 말한 바가 다함이 없다고 하는 까닭에 이를 다함이 없는 법장의 총지문이 된다고 부르느니라.”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888 불설해룡왕경(佛說海龍王經) 3권 (0) | 2025.04.19 |
---|---|
[적어보자] #5887 불설해룡왕경(佛說海龍王經) 2권 (2) | 2025.04.19 |
[적어보자] #5885 불설항수경(佛說恒水經) (0) | 2025.04.18 |
[적어보자] #5884 불설함수유경(佛說鹹水喩經) (0) | 2025.04.18 |
[적어보자] #5883 불설필추오법경(佛說苾芻五法經) (0) | 2025.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