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아유월치차경(佛說阿惟越致遮經) 하권
불설아유월치차경 하권
서진 월지 축법호 한역
김두재 번역
13. 여래품(如來品)
그때 세 보살이 각각 먼 곳으로부터 와서 이런 변화를 보고 또 부처님께서 연설하시는 법문을 듣고 일찍이 없었던 일을 증득하게 되었다.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 세 보살은 어느 곳에서 왔습니까?”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동쪽으로 항하강 모래알같이 많은 국토를 지나가면 거기에 한 세계가 있으니 그 이름이 신초수미산(身超須彌山)인데 그 본토(本土)에 머물고 있다가 이 경을 설하는 소리를 들었기 때문에 여기에 왔느니라.”그때 세 보살이 부처님 앞에 이르러 모두 향과 꽃을 세존께 공양하고 함께 부처님께 아뢰었다.
“저희들은 모두 이 법을 믿고 즐거워하며 조금의 의혹도 없습니다. 왜냐 하면 가슴 속이 시원하고 상쾌하기 때문입니다. 비유하면 마치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의 은혜가 널리 이 세계를 덮고 있는 것을 보는 것과 같습니다.”그때 첫째 보살이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었다.
“제가 말씀드린 것은 진실로 거짓이 아닙니다. 저는 정말 이 경을 듣고 전혀 의심이 없었습니다.”
둘째 보살이 또 부처님께 아뢰었다.
“저도 이 법에 대하여 또한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셋째 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제가 드린 말씀은 거짓말이 아닙니다. 이른바 부처란, ‘제가 곧 부처’라고 말하더라도 이 경을 밝게 깨달아 안다면 의심이 없을 것입니다.”그때 이 모임에 와 있던 무수한 백천 대중들이 모두 합장하고 자리에 앉기를 즐거워하지 않으면서 이렇게 생각하였다.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태어나 계시는데 어째서 이 무리들은 이런 말을 하는 것일까?’
그밖에 다른 중생들도 각각 잠자코 있으면서 마음 속으로 생각하였다.
‘지금 여기 계신 부처님께서 스스로 분별해 주실 것이다.’아난이 또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들 보살의 이름은 무엇입니까?”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첫째 보살의 이름은 득여래주(得如來住)이고, 둘째 보살의 이름은 지득세존음(志得世尊音)이며, 셋째 보살의 이름은 지체득불성(志逮得佛聲)이니라.
이와 같아서 아난아, 저들의 말과 전혀 다름이 없으므로 그들은 여기에 온 것이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금 여기 모인 무수한 백천 대중들이 놀라서 소란을 피우며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모두 각각 일심으로 부처님을 향하여 합장한 채 그 의미가 어떤 것인지를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이 중생들의 공덕은 점점 증가(增加)하고 있으니, 비유하면 마치 단정하고 매우 특이하며 얼굴 모양이 수려한 어떤 사내가 깨끗한 물로 목욕하고 전단향(栴檀香)을 그 몸에 쐬여 향기가 배게 하고 좋은 옷을 입으면 그 사람의 몸 색깔이 더더욱 희고 빛나는 것처럼, 이 무리의 공덕에 있어서도 큰 도를 믿고 즐거워하며 합장하고 부처님을 향하니, 그 복덕은 미치기 어려울 것입니다.”부처님께서 그때 게송을 설하셨다.
여래께서 과거를 알거나
미래에 대해서도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모든 법이 본래 없음을 본다면
그런 까닭에 여래라 말하네.
현재의 일 다 깨닫고
미래도 모두 깨달아 알며
세 가지 행을 지어 건립하지 않으면
마침내는 여여(如如)하여 생각이 없어지리라.
비유하면 과거의 모든 부처님께서
깨달은 것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네.
어디서부터 온 것도 아니요 한결같이 평등하니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과거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의지함이 없는 성인의 도 구하셨네.
깨달은 이도 마땅히 그러하니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모든 법이 본래 머무는 바와
도의 소리는 모두가 적연한 선정이라네.
소리가 돌아갈 곳 얻을 수 없으니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오로지 과거의 계율 따르고
미래에도 또한 그렇게 하며
현재에도 본래 없음을 증득하니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만일 용맹스럽게 인욕 행하여
보살행 하는 사람이 되며
저 배움도 또한 이와 같이 하면
이 사람은 최상의 경지에 이르리라.
본래 보살이 되었을 때부터
부지런한 힘 얻음이 이와 같고
굳은 의지로 정진하면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모든 법이 평등한 것처럼
설법도 특별히 다르지 않네.
집착하지 않는 마음 있으면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평등하여 집착 없으며
항상 자연 그대로 평등하고 바르되
평등하다는 생각조차 없으면
생각도 없고 기억도 일으키지도 않으리라.
본래 삼매를 성취하여
이 음성을 원만히 갖춤도 없고
선정[定意]을 따르고 닦으면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모든 법은 본래 다 청정하여
근본도 없고 처소도 없네.
모든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인연 또한 형상이 없네.
지혜의 모양 밝게 깨달으면
법 또한 그렇게 공한 것임을 밝게 하리라.
진실로 의심하는 바 없으면
지혜도무극(智慧度無極:智慧波羅蜜)이라 하네.
만일 성인의 저 언덕에 이르면
근본을 체득함이 무사의(無思議)하나니
그 지혜 얻을 수 없음을 깨달으면
한량없는 적멸의 경지에 이르리라.
지혜의 상쾌함을 얻으면
저 언덕에 이르름도 또한 그러하며
이 지혜는 머무는 곳 없나니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불도(佛道)는 얻을 수 없는 것
마음 속에 생각도 또한 그러하며
일체법은 얻을 수 없으니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무위법(無爲法) 성취하여
가령 많은 지혜 체득하면
모든 법은 헤아릴 수 없으며
도를 찬탄함도 한정할 수 없으리라.
세존의 위엄과 광명
그 궤적(軌跡) 닦을 수 없나니
저 도의 청아한 진리
모두가 지혜 따라 일어나리.
도가 높으면 무루와 같나니
각각 이와 같이 분별해 알면
그 도는 곧 정진(正眞)이요
일체 중생의 뜻도 마땅히 자연 그대로이리라.
성인의 교화 밝게 깨달아 알고
모든 법 평등함을 알아
장차 중생들에게 본래 없다는 이치 깨닫게 하니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성인과 평등법은 동일한 것
밝은 법 따라 머물러야 하리.
도와 몸은 모두 본래 없는 것이므로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말하네.
지금 내가 법을 강설하지만
음성도 이와 같이 평등한 것이니
가령 여기에 머물면
너는 곧 큰 도를 구한다 하리.
아난아, 나는 이런 까닭에
이런 이치를 설법하였나니
이 일도 설법한 바와 같아
곧 지식 있는 이가 행해야 할 것이니라.
불퇴전(不退轉)의 법 밝게 깨달으면
곧 용맹한 보살이라네.
열심히 닦고 정진하는 까닭에
그 이치를 찬양하였네.
아난아, 이런 인연으로
보살의 의지 연설하였나니
그런 까닭에 여래께서는
용맹한 보살의 지혜 설법하셨네.
[그때 아난이 게송으로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 모든 인연 따르는
그런 법은 어떤 유(類)이며
무슨 까닭에 여래께서는
보살에게 두려움 없는 자신감을 수행하라 말씀하셨나이까?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억백 겁에 도를 강설하여서
그로 인해 대도(大道)를 성취하였으니
불도(佛道)란 생각으론 어려운 것
혜명(慧明)의 자취 성취하였네.
모두 스스로 몸을 위해 구하나니
영원히 두려움 없음을 보았네.
그런 까닭에 세존이라 하나니
일찍이 나고 죽음 두려워 않네.
나고 죽음에 머물지 않으니
이로써 중생을 제도하네.
그런 까닭에 세존이라 하나니
어찌 나고 죽음 두려워한다 말하리.
어찌 나고 죽음에 머무르면서
어떠한 인연으로 중생을 제도하리.
세존은 최상의 깨달음 성취한 분으로
이익의 법을 말씀하지 않으시네.
법은 무너져 없어지는 것도 아니요
견고하지도 않고 흩어지는 일도 없네.
중생들을 수고롭고 괴로운 걱정에서 건져주시니
이것이 곧 나고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네.
이 법은 나고 죽음에 머무는 것이 아니니
중생을 제도하는 것도 이와 같아야 하네.
그런 까닭에 세존이라 하나니
일찍이 모든 법을 두려워 않으시네.
영원히 모든 이치와
일체 부처님의 경을 두려워 않고
중생들로 하여금 무수한 법 듣게 하여
밑바닥도 없고 변두리도 없게 하네.
중생법이 모두 공(空)한 것은
모든 불도(佛道)가 자연이기 때문이니
여러 가지 법의 근본 보지 않고
곧 이 법만을 의지하고 따라야 하리.
모든 법에 대하여 오로지 정진하며
법은 공하여 자연 그대로라는 이치 깨달으면
두렵지도 않고 두려워할 것도 없으며
도혜(道慧)의 공법(空法) 깨달아 알리라.
모든 법은 속임이 침노한 것인 줄 알고
분별하여 의지하는 바 없으며
정진의 차례를 연설하면
이는 곧 모든 법의 근본을 아는 것이리라.
일체의 어려운 일 힘써 넘기고
갖가지 악한 세계 다 버리니
일찍이 두렵고 무서움 없어서
중생의 악한 세계 면하게 됐네.
억 중생을 제도하여
나고 죽는 큰 두려움 초월케 하고
언제나 나고 죽음에 동요하지 않으면
그것이 곧 중생을 제도함일세.
생사의 바다 건너 열반의 언덕에 이르러
최상의 높은 경지 무위(無爲)에 머물게 하여
명성 얻은 사람을
세존이라 말하네.
중생 위해 분별하여 설법하지만
그 설법 오히려 허공과 같고
또한 두렵거나 어려움조차 없으니
그런 까닭에 세존이라 말하네.
일체법을 의지함으로 인하여
여러 곳에서 열어 인도하네.
도(道:菩提道)는 평등하여 다름이 없고
성현도 또한 집착할 것 없다네.
중생들도 그와 같아서
모두 부처님의 도 성취하리니
분별해 설법한 것처럼 수행하면
두렵고 어려운 것 없으리라.
닫히고 막힌 중생 열어 교화하여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 제도하고
모든 두려움에서 초월하게 하나니
그런 까닭에 세존이라 말하네.
모든 중생이라는 생각 끊어버리고
오로지 도의 생각만 닦아
중생의 뜻 뽑아버리면
그런 까닭에 세존이라고 말하네.
중생이 고정관념 여의고
보살에 대해서도 사모함이 없으면
그런 까닭에 명호 얻으니
이를 곧 세존이라 말하네.
적멸과 모든 법은 평등한 것
이러한 이치를 밝게 깨닫고
미래에 뜻 세우면
이를 곧 세존이라 말하네.
최상의 미묘한 도 구하지 않고
저 명자(名字) 또한 구하지 않으며
무위라 일컬음까지 해탈하고서
중생들 위해 경(經)의 이치 강설하네.
갖가지 교만 버리라 말하고
소원도 세우지 않으며
중생들은 존귀한 명칭 구하지만
불도(佛道)까지 사모하지 않아야 하네.
음성을 이리저리 헤아리고
갖가지 생각으로 인해
헛된 음성에 집착하니
내 명성도 이와 같다.
모든 음성도 존재하지 않는 것
말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하리라.
보살은 방일하지 않나니
그런 까닭에 세존이라 말하네.
대성(大聖)께서 설법하실 적에
이와 같이 상법(像法)에 비유하셨으며
보살의 이름도 임시로 붙인 것이라 하시니
그런 까닭에 세존이라 말하네.
그러므로 분별을 일으키면
미혹하지 않을 이 없으리니
지성으로 부처님 도 구하여
헤아려 생각 안하면 번뇌[有漏]가 없어지리라.
이 인연법과 그 밖의 일들
세존께서 음성으로 찬탄하여 말씀하시니
아난아, 그 원인 따를 줄 알면
그것을 이름하여 보살이라 하리라.
아난아, 나는 그런 까닭에
이런 설법 하였을 따름이니
인연한 바 밝게 깨달아 알면
부처님께서 이름하여 세존이라 하시네.
온갖 진애(塵埃) 깨달아 알면
일찍이 미혹되지 않으며,
평등함을 깨달아 욕심 제거하면
그런 까닭에 부처라고 말하네.
무슨 까닭에 세존이라 하는가
이 이름을 나타내 보였네.
어찌 말만을 좇아 부처님께
도법(道法)을 강설한다 아뢰리.
부처님 법은 존재하는 실체 없으니
공하여 적멸함을 깨달아 아네.
일체법에 집착하지 않으면
그런 까닭에 부처라 이름하네.
이 몸은 다 공한 것임을 깨달아 알고
이 몸이 소속된 곳 없음을 알면
저것은 견고한 게 아니요,
이 몸뚱이 오래도록 부지할 수 없네.
어리석고 둔한 이는 혜명(慧明) 여의고
긴요치 않은 것을 항상 긴요하다 말하네.
이 모두가 본래 없음을 깨달아 알면
그런 까닭에 부처라고 말하네.
밝은 지혜로 모든 것은 없는 것임을 분별하면
자연 형체가 없는 것임을 알리라.
큰 성현의 지혜 체득하면
그런 까닭에 부처라고 말하네.
과거에 일으켰던 생각
분별해 알면 생각 없음을 깨달으리니
갖가지 생각이 처소 없음을 깨달으면
생각 때문에 미혹되지 않으리라.
과거의 색음[色] 깨달아 알면
남도 없고 머무르는 곳도 없거늘
어리석은 이는 생각으로 미혹되어
색음을 헤아려 성취할 게 없다고 하네.
물질은 근본이 없는 것임을 깨달으면
그 근원(根源) 얻을 수 없나니
일체법에 집착하지 않으므로
아프고 가려운 느낌도 없어지리라.
생각은 환상 같은 것임을 깨달아 알면
어떤 물질이든 형상 없다네.
이미 이런 지혜 분별하면
일체법 또한 이와 같다네.
총지법(總持法) 행할 바 없고
온갖 몸 과거도 없네.
공하여 다스릴 게 없는 까닭에
이 몸도 얻을 수 없다네.
사람의 몸 견고하거나 요긴치 않아
마치 파초나무와 같네.
이런 이치 다 분별해 알면
그런 까닭에 부처라고 말한.
저 인식작용은 자연 그대로의 공한 것이요
몸도 헤아려보면 안에 있는 것도 아니고
또한 밖에서도 얻을 수 없으니
어떠한 등류(等類)의 인식작용 일어나리.
인식작용 존재하는 실체가 아님을 알면
모든 법 또한 그러하리라.
처소도 형상도 없으니
궁극에 이르러도 얻을 수 없으리라.
인식작용 이러함을 알면
근본은 다 적멸과 같음을 알리니
만약에 모든 생각 밝게 깨달으면
곧 볼 것도 없으리라.
밝게 깨달아 이런 견해 일으키지 않아야 하니
모든 중생도 그렇게 해야 하리.
온갖 중생의 무리도 마찬가지여서
그런 까닭에 인식할 것도 없느니라.
자연 그대로여서 열어 보일 것도 없고
모든 법 또한 작용 없으며
일체법에 느낌을 받지 않나니
중생법도 또한 다 그러하니라.
일체 법인(法忍)의 과거도
깨닫고 보면 일찍이 생겨난 적 없네.
약간의 방일함도 없었으니
그런 까닭에 부처라고 말하네.
부처님의 온갖 경(經) 깨달아 알면
그 경은 곧 바른 진리인 것을
일체법은 처소가 없나니
그런 까닭에 부처라고 말하네.
4제(諦)법도 그러하여 공과 같으니
깨달은 바 경(經)도 본래 없는 것
부처님의 도도 다름이 없으니
그 근본 얻을 수 없네.
애초에 발심한 이래로
오직 뜻한 건 큰 도(道)뿐이나
그 뜻도 없는 것임을 깨달아 알면
모든 법도 얻을 게 없네.
무슨 인연으로 그런 마음 내어
성인의 도 사모하고 구하였던가.
그 마음과 도는 같은 것
깨달아 알면 형체 없으리라.
아난아, 나는 그런 까닭에
이 경을 연설했을 뿐이니
성인의 법 강설한 까닭에
나는 불ㆍ도사(導師)가 되었느니라.
이 법상(法像)과 비슷한 까닭에
부처라는 이름 얻었으니.
가령 그 가르침대로 따라 행하면
곧 불도(佛道)를 구하게 되리라.
바른 도에 가까워질 수 있으면
이 법을 안다고 하리라.
다시는 두 마음 품지 않아야 하니
모든 법도 이와 같다네.
부처님의 경적(經籍) 의심치 않으면
세간에서 최상의 경지 이루리라.
이렇게 강설한 법 깨닫게 하기 위해
널리 이와 같이 법을 설하셨네.
부처님께서 이 여래(如來)ㆍ세존(世尊)ㆍ부처님의 뜻을 분별하여 설하실 때에 무앙수(無央數) 백천 중생들이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었다.
“저희들은 의심을 제거하여 다시는 번뇌의 그물이 없게 되었습니다. 그런 까닭에 보살의 이름을 여래ㆍ세존ㆍ부처님이라고 하게 된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 법을 깨달아 알았으므로 스스로 마음 속에 모든 법은 공(空)한 것이건만 사람들이 의혹을 품고 있다는 사실도 깨달아 알았습니다.
부모와 처자가 서로 연모하고 애처로워 하는 것 같은 은혜로운 마음으로 여래께서 심오하고 절묘한 이치를 설하여 주셨으므로 그 마음이 견고하게 머물러 다시는 경솔하게 발동하지 않고 동요하지 않는 법을 깨달았으니, 그것은 마치 허공과 같아서 흔들리지도 않고 흔들 수도 없다는 이치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모든 법은 변천하여 움직임이 없습니다. 왜냐 하면 모든 법이 허공과 같기 때문입니다.”
그때에 무수히 많은 백천 대중들이 부처님의 발에 머리를 대어 예를 올리고 부처님의 주변을 세 바퀴 돌고 나서 다시 제자리에 돌아가 앉았다.
14. 개화품(開化品)
그때 어떤 보살이 있었으니, 그 이름은 제근상열(諸根常悅)이었다. 그는 이런 게송을 설하였다.
중생들이 과보의 생각 일으킴으로
다른 생각에서 구제 받았네.
진실한 도와 평등하게 해주셨기에
세간의 밝으신 지혜에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언제나 덕의 실상 강설하시고
과보도 평등함을 연설하시어
평등한 정각(正覺) 증득케 하시므로
세간의 밝으신 지혜에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무수히 많은 중생 과보 탐하고
중생의 실상에 의지하여 행하지만
부처님은 이런 것에서 해탈하셨으므로
세간의 밝으신 지혜에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설법에 특별히 다름 없고
머무르는 곳도 바르고 골라
모든 법이 평등함을 깨달았으므로
세간의 밝으신 지혜에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중생들은 흔히 덕의 과보 사모하지만
힘써 그들로 하여금 집착하지 않게 하시고
갖가지 뒤바뀜에서 해탈케 하셨으므로
세간의 밝으신 지혜에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온갖 덕을 원만히 갖추시고
중생들로 하여금 도에 굳게 머물게 하시어
일체의 덕 성취하게 하셨으므로
세간의 밝으신 지혜에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그때 제근상열보살이 게송을 설하여 부처님을 찬탄하고 나서 부처님의 주위를 세 바퀴 돌고, 부처님 계신 곳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서 거룩한 존안(尊顔)을 우러러 보면서 싫어함이 없었으며, 마음이 활짝 열려 기쁨을 감추지 못하였다.그때 연화수장(蓮花首藏) 보살이 곧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위에 연꽃을 뿌리고는 찬탄하며 말하였다.
중생들을 모두 망상을 품지만
이들을 모든 집착해서 해탈시키고
영원히 두려움에서 떠나게 하셨으므로
최상의 능인(能仁)께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모든 처소 적멸하게 없애시고
법 설하여 경계도 없애주시며
영웅으로서 모든 집착 초월하셨으므로
최상의 능인께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모든 법은 공(空)한 것임을 알려주시고
자연 그대로 견고하지 못함도 깨우쳐 주시며
평등법으로 어려움 초월케 하셨으므로
최상의 능인께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모든 근주(根株) 끊어 없애고
번뇌에 집착한 중생을
제도하여 두려움 없애주셨으므로
최상의 능인께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무서움과 나약함도 없애주셨고
큰 사자후(師子吼)로써
모든 경계에서 해탈시켜 주셨으므로
최상의 능인께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갖가지 근심 걱정 없애주시고
슬픔과 번뇌 이미 다 끊게 하셨네.
흉악함과 해로움 끊어 멀리 하셨으므로
최상의 능인께 머리 숙여 예배합니다.
연화수장보살대사가 부처님을 찬탄하여 마치고 나서 곧 부처님께 아뢰었다.
“만약 어떤 중생이 이 법을 수행하면 저는 마땅히 예배를 하겠습니다. 최후의 세간에 이 심오한 경을 들으면 지혜가 밝아지고 모든 일을 통달하여 일찍이 두려움과 나약함이 없어질 것입니다.”또 어떤 보살이 있었으니, 그 이름은 이욕적(離欲迹)이었다. 그는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었다.
“가령 어떤 사람이 이 심오한 경을 듣고 기뻐하면서 믿는 이가 있으면 그를 곧 밝은 지혜를 가진 이라 말할 것이니 저는 마땅히 꽃과 향으로써 밤낮으로 그를 공양할 것입니다.”광심(廣心)이라는 또 다른 보살이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었다.
“이 경의 법을 설하여 부처님의 도를 일으키고 이를 의심하지 않는 이는 그 덕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것입니다. 공양의 이익을 이룩하고 그 마음이 견고(堅固)하며, 이 경을 믿는 이가 있으면 원하는 것은 모두 다 얻을 수 있지만, 만약 믿지 않는 이가 있으면 마군의 법에 견고하게 되어 곧 마군의 행을 따르게 될 것입니다.”또 연화목(蓮花目)이라는 보살이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고 게송으로 찬탄하여 말하였다.
만약 이 경을 믿는 이가 있으면
그는 세간에서 눈 밝은 이 되어
의심하는 마음 없을 것이며
사람들에게 가야 할 길을 지시할 것입니다.
또 심신열(心信悅)이라는 보살이 부처님 앞에서 게송을 말하였다.
이 경의 법을 들은 이가
기뻐하며 믿으면 최상의 사람 되리니
이러한 사람들은
곧 세간의 신명(神明)이 될 것입니다.
희신령(喜神靈)아리는 보살이 게송으로 말하였다.
이 경을 들은 이가
믿음 가져 의심하지 않으면
세간에서 위신력(威神力) 갖추어
중생들 중에 가장 존귀하게 될 것입니다.
또 다른 보살이 있으니 그 이름은 상척(常慼)이었다. 부처님 앞에 나아가 게송으로 말하였다.
만약 이 경을 의심하면
마땅히 비애(悲哀)를 일으켜
허망한 법에 뜻을 두어
자주 생사를 윤회할 것입니다.
또 보의(寶衣)라는 보살이 게송으로 말하였다.
수없이 많은 의복(衣服)
청정하고 가장 미묘합니다.
빨리 교화하여 존장(尊長)이 되어
중생들로 하여금 의심하지 않게 하겠습니다.
또 선식(禪食)이라는 보살이 부처님 앞에서 게송을 설하였다.
어떤 사람이 심오한 경 믿으면
마땅히 그를 위해 좋은 음식 베풀겠나이다.
온갖 맛 다 갖추어
오로지 큰 성인의 정진 수행을 돕겠나이다.
또 견인주성(見人住聖)이라는 보살이 부처님 앞에서 게송을 설하였다.
이 경을 의심하는 이 있으면
마땅히 그를 위해 비애(悲哀) 일으켜
소리 높여 울면서 눈물 흘리리니
심오한 경의 법 믿지 않기 때문입니다.
혹은 지옥에서 오거나
또는 악한 세계에 들어가는 이는
아주 잠깐 동안이라도
이 상법(像法)을 의심했기 때문입니다.
악한 친구에게 포섭되거나
심오하고 미묘한 이치 알지 못하여
의심 그물에 얽매이게 되면
그런 까닭에 머물지 않아야 할 곳에 돌아가게 됩니다.
바른 계율 지키지 않고
진에(䐜恚)와 고뇌 품어서
이러한 데에 머무는 것은
비유하면 마치 사나운 짐승과 같습니다.
이미 도술(道術)을 닦지 않고
게으름 피우며 정진하지 않으면서
삿된 것만 믿고 지혜 없으므로
이 경전을 믿지 않는 것입니다.
중생들 생사[始終]에 집착하여
나라는 견해와 은애(恩愛)에 끄달리며
3계의 근심에 머물러 있기에
이 미묘한 법 믿지 않습니다.
어리석고 어두워 해칠 마음 품고
욕망과 즐거움에 집착하며
스스로 제 몸만 탐하고 의존하면서
이 도의 가르침을 비방합니다.
좋은 의복이나 탐하고 집착하거나
맛있는 음식이나 좇으며
잠시도 청백(淸白)한 법엔 머물지 않나니
그런 까닭에 이 경전 비방합니다.
중생들은 욕계에 머물기를 즐거워하고
덕과 진실 없음을 탐하고 사모하나니
그런 사람은 스스로 도를 멀리하여
세존을 친근히 할 수 없습니다.
또 다른 보살이 있었으니, 그 이름은 기악법(棄惡法)이었다. 부처님 앞에서 게송을 설하였다.
마땅히 이런 사람 버리기를
비유하면 변소를 멀리하듯 해야 하네.
어리석은 사람 이 경을 의심하면서
경계에 의지하여 해탈 구합니다.
마땅히 그런 사람 멀리하기를
죽은 시체와 같이 해야 하고
심오한 경 의심하는 이를
멀리하는 것도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합니다.
이런 행을 비방하는 사람은
도적이 마을을 약탈함과 같나니
도적이 어두운 곳에 머물고 있으면
악한 마음 알고 달아나듯 해야 합니다.
이런 것을 보고서 그것에 치달리나니[馳]
도적 같은 흉악한 사람 보듯 해야 합니다.
만약 이 경전 비방하면
마음에 혼란이 없지 않을 것입니다.
그때 아난이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었다.
“일찍이 없었던 일이옵니다, 천중천이시여. 이 모든 보살들이 경을 분별하는 지혜가 이와 같습니까? 아니면 삼매(三昧)의 힘으로 인하여 이런 말을 하는 것입니까? 부처님의 거룩한 뜻을 받들어 밝게 깨달은 것입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부처님의 위신력(威神力)을 받들고 이 경의 이치로 인연하여 삼매의 힘을 얻었으며 무위(無爲)의 경지에 이르게 되었느니라. 왜냐 하면 지금 여기에 머물고 있는 족성자(族姓子) 등은 60억이나 되는 부처님의 처소에서 이 경전을 듣고는 믿고 즐거워하며 찬송(讚誦)하였기 때문이니라. 또한 지금 여기에서 삼매력에 뜻을 두고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이 경을 강설하였느니라. 왜냐 하면 그의 말은 평등하여 다름이 없는 것을 명백하게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만일 이 경을 듣고 곧 기뻐하면서 믿어 의심하지 않으면 족성자(族姓子)와 족성녀(族姓女)는 어떤 복을 얻게 됩니까?”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족성자와 족성녀가 마음으로 더할 나위 없는 정진(正眞)의 도를 구한다면, 가령 이 천하에 가득 채울 만큼 많은 칠보(七寶)로써 여래에게 보시하는 이가 있고, 만일 또 어떤 사람은 이 심오한 경을 듣고 곧 기뻐하면서 믿고 의심하지 않는다면 그 복은 저것보다 더 많을 것이니라.”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이 천하를 가득 채울 만큼 많은 보배로 항하강 모래알처럼 많은 모든 세계의 부처님을 공양하거나 이 세계를 가득 채운 진귀한 보배로써 여래를 공양하는 이가 있고, 또한 이 경을 듣고 기뻐하면서 믿기만 하더라도 그 복은 저것보다 훨씬 뛰어나느니라.”부처님께서 그때 게송을 설하셨다.
가령 이 천하를
가득 채울 만한 칠보로써
여래를 공양하고 보시하여
세존의 진리의 지혜 성취하게 할지라도
지혜 있는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믿고 즐거워하며 동요하지 않으면
이 복은 최상(最上)이 될 것이요
그 덕은 한정할 수 없으리라.
가령 항하강 모래알처럼 많고
모든 부처님 세계와 같이 많은 보배로써
거룩하신 세존을 공양한다 하여도
이 경을 듣는 것에는 미치지 못하리라.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족성자와 족성녀가 이 경의 법을 듣고 기뻐하면서 믿어 지니고 외워 독송한다면 그 복은 얼마나 되겠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족성자와 족성녀가 무상정각(無上正覺)을 구하기 위해 백 겁을 여래에게 공양하고 보시(布施)ㆍ지계(持戒)ㆍ인욕(忍辱)ㆍ정진(精進)ㆍ일심(一心:禪定)ㆍ지혜(知慧)를 닦고, 또 다섯 가지 신통을 얻어 각각 백 겁 동안에 이 세간을 밝게 깨달아 의심할 게 없다고 하더라도 이 경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 사람은 부처님을 공양하지 않은 것과 같느니라.”부처님께서 그때 게송을 설하셨다.
만약 백 겁이 넘도록
세존을 받들어 공양하되
음식을 모두 갖추었다 하더라도
그것은 곧 부처를 공양하지 않은 것이니라.
만일 이 경을 받아들인 이는
큰 성현 받들되
도의 생각에 의지하려는 생각 버리고
모든 부처님께 법공양을 하여라.
이와 같이 가르침을 따르고 받들면
곧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는 것이리라.
등각(等覺)께 법공양하는 것은
여래는 곧 법신(法身)이기 때문일세.
가령 백 겁이 지나도록
좋은 의복 가려내어
세존 정각을 받든다 해도
이것은 부처님을 공양함이 아니니라.
만일 이 경을 받아서
곧 세존을 공경하고 따르면
이것은 마땅히 부처를 받들어 섬기는 것으로
의복을 공양한 것보다 나으리라.
만약 백 겁이 넘도록
맑은 구슬과 좋은 꽃과 향을
세존 등각에게 진상한다 하더라도
부처님을 공양함이 아니니라.
가령 이 경을 받아 지니고
과보에 의존하는 생각 모두 없애면
이것은 곧 세존 최상의 지혜로운 분을
공양함이 되리라.
만약 칠보탑을 세우되
세웅(世雄)을 위해 세우며
그 높이 수미산과 같게 하여도
그것은 부처님을 공양함이 아니니라.
가령 이 경전 받아
스스로 나라고 집착하지 않으면
그것은 최상존(最上尊:世尊)을 공양함이요
일체의 더 높을 이 없는 분 공양함일세.
만약 백 겁이 지나도록
어떤 사람 금계(禁戒) 지켜도
이 경전 지니지 않으면
그의 계율은 이름 떨치지 못하리라.
만일 이 경전 받아 지니면
이 계행으로 큰 이름 떨치리니
만약 청정한 계율 받들면
이 계율은 가장 높으리라.
밝은 지혜로 이 경을 따르는 공덕 한량없고
그것을 인연하여 받들어 섬기면
그 금계는 항상 갖추어 만족하리라.
저 금계를 끝까지 잘 지키면
계율을 깨뜨렸다 말하지 않으리.
만일 이 경전 배우게 되면
곧 마땅히 위에서 가르친 것과 같으리라.
만일 이 경을 배우지 않으면
불도(佛道)를 구하지 않는 것이니
성인을 받들어 비록 원만히 갖추었다 해도
이 또한 배우는 것 없네.
계율 닦아 이와 같이 지키며
이 경의 이치 분별해 알고
계율 지켜 이렇게 기르면
금계(禁戒)를 원만히 갖추게 되리라.
가령 백 겁이 지나도록
일심으로 인욕 행하면
비록 성내고 꾸짖는 이 있다 할지라도
일체를 다 참는 사람 되리라.
만약 이 경을 받아들여서
듣고 지니고 외우며
인욕하면 이것은 최상이 되니
그 미묘함 헤아릴 수 없으리라.
혹 손과 발을 끊을지라도
마음 속에 일찍이 원한 품지 않으며
싫어하지 않고 극한 지경 이르지 않으면
그 마음은 애초부터 일어나지 않으리라.
이와 같이 인욕을
백 겁 동안 행한다 해도
이와 같이 따르고 행하면
이런 인욕은 가질 필요조차 없게 되리라.
만약 이 경을 받아서
듣고 지니고 외워 독송하면
이 인욕은 가장 으뜸이 되니
미묘하기 한량이 없네.
괴로울 때 이 경을 가지면
그 인욕 가장 으뜸이 되리.
높고 높아 짝할 수 없으면
곧 헛되고 거짓되지 않으리라.
지극하고 정성스런 가르침 끊지 않으면
부처님의 지혜 이보다 더 높을 것 없네.
이 경을 경솔하게 헐뜯지 않으면
일체를 소원대로 이루리라.
가령 백 겁 동안을
정진하되 게으름을 피우지 않고
밤낮으로 자지 않고 닦으면
일체를 소원대로 성취할 수 있으리라.
만약 이 경을 배워 닦으며
남을 위해 강설하여 밝은 지혜 이루게 하면
이것은 가장 으뜸가는 정진이 되고
부지런한 수행 비유할 데 없으리라.
만약 백 겁 동안을 지내면서
5통신선(通神仙)이 되었다 해도
이 경전을 듣지 못하면
신족통이 없는 이라 하리라.
가령 이 법을 받아
분별해 알고 집착하지 않으면
신통력을 통달해 이룩하여
일체가 이보다 더 높음이 없으리라.
가령 백 겁 동안을
지혜를 닦고 받들어
세간을 초월한 밝음이 되고
행하고 의지하는 바를 즐긴다 해도
만약 이 책 배우지 않으면
지혜를 이루지 못하겠지만
이 성인은 용맹스러워
심오한 경전 지닐 수 있네.
이런 이는 도의 지혜 있어서
거룩하고 밝은 지혜 깨달아 아나니
만약 심오한 경전 중요함을 들으면
기뻐하며 받아 지니고 받드네.
깊은 지혜 분별해 알고
모든 법의 이치 깨달아 알아
마땅히 이 경을 통해 말하면
이것은 상법[像]의 지혜라 하리.
바른 경전 닦고 익히면
일체지 증득하여 두 가지 법 없으리니
그런 까닭에 정진하여 닦아 행하고
중요한 경전 지니고 따르리라.
그때 현자 아난이 부처님 앞에서 게송을 설하였다.
가령 4천 리가 넘거나
또한 4천 리의 머나먼 길일지라도
그곳까지 가서 이 경전 듣고
부처님의 덕과(德果)를 증득하겠나이다.
문득 그 집에 이르러야 하는 일이라면
그 길은 어려움 되지 않으리니
지혜로운 이는 마땅히 빨리 가서
그 경이 있는 곳 찾겠나이다.
만약 속히 선정을 닦아
일체를 초월하여 해탈하려면
이 경의 도를 외우고 강설하며
받아 지녀 그 뜻을 알아야 하네.
가령 모든 편안함을 구하기 위해
보살행을 마음 속으로 사모하거든
이 경전을 강설하게 되면
곧 안락(安樂)한 국토에 이르게 되리라.
평등각(平等覺:佛)과
아미타(阿彌陀) 부처님을 뵙고자 하면
이 경의 이치대로 닦아서
모든 부처님께서 연설하신 것과 같이 하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아난아. 진실로 네 말과 같아서 모든 법은 평등하여 다름이 없으니, 족성자와 족성녀가 이 경을 찬양하고 외워 독송할 때엔 그 마음이 어지럽지 않고 일체의 생각을 여의며 그가 사는 곳에서 자재(自在)로우리라.
만일 불ㆍ세존을 뵙고자 할 경우, 이 경을 찬양하여 혼란에 빠지지 않으면 목숨을 마칠 즈음에 눈앞에 무수한 여러 볼ㆍ세존이 보일 것이니라. 왜냐 하면 족성자와 족성녀들은 모든 부처님께서 모두 구원해 주시기 때문이요, 이 경전을 받다 지니고 독송하였기 때문이니라.”
15. 사자녀품(師子女品)
그때 사휴동녀(私休童女)와 오백 동녀가 함께 부처님께 여쭈었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어떤 여인이 만약 이 경전을 배우면 어떤 공덕을 획득할 수 있으며 가령 외우거나 독송하면 어떤 복을 받나이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떤 여인이 만약 무상정진(無上正眞)의 도를 구하고자 하면 이 경전을 배워서 다른 여인에게 보여주어야 하느니라. 왜냐 하면 만약 이 경전을 배워서 오로지 정진하고 혼란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른 여인이 번뇌를 탐하고 집착하는 것을 본받지 않으면 이런 인연 때문에 여인의 몸을 해탈하리라.”사휴(私休)가 다시 여쭈었다.
“어떤 것을 여인의 번뇌[塵勞]라고 말하며, 어떤 욕애의 미혹으로 여인의 몸을 받았습니까?”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만약 어떤 여인이 다른 여인의 단정하고 아름다운 모습에 좋은 보배나 영락으로 장엄한 것을 보게 되더라도 즐거워하거나 기원하지 않아야 하고 스스로 자신의 몸을 관찰하되 마치 더러운 변소와 같이 여겨서 즐거워하거나 희망하지 않아야 하며, 더러운 길을 만드는 것을 보면 이를 청정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야 하는데도, 만약 이를 탐하거나 즐겁게 생각하면 곧 여인의 몸을 받느니라.
또 헤아려 보면 여인은 대부분 질투심을 가지고 마음과 말이 각각 달라서 서로 가깝지도 않고 앞뒤가 맞지도 않으며, 비록 비구들을 보아도 다만 명예와 소문만을 구하고 경전의 이치는 아랑곳하지 않으며, 성내는 마음을 많이 품고 사람들만 많이 모으며, 일찍이 이익이 있는 이와 같은 경전은 구하려 하지도 않느니라.
또한 경전을 읽더라도 마음속엔 늘 집착하여 구하는 게 있어서 그 뜻이 시끄럽고 혼란하여 진애(塵埃)에 빠져 있으니, 이러한 까닭에 여인의 몸으로 태어나서 죄를 제거할 수 없느니라.
이러한 여인들이 가령 애욕(愛欲)을 제거하고 삿된 생각을 일으키지 않으려면 이 경을 받아 지녀서 외워 읽거나 독송해야 하나니, 왜냐 하면 이 심오하고 존귀한 경전은 여인의 몸을 받지 않게 하기 때문이니라.”또 여쭈었다.
“가령 여인이 그 여인의 몸을 원하지 않을 때에 이 경전의 법을 받아 지녀서 외우거나 읽고 독송하면 무슨 인연으로 여인의 형상이 바뀌어집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여인의 몸을 바꾸려고 하면 이 경전을 받아 지녀서 외워 읽거나 독송하되 여인의 몸을 원하지 말고 늘 두려워하고 더럽게 여겨야 하느니라.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큰 불길이 치솟는 것을 보고 스스로 그 불 속에 뛰어들면서 말하기를 ‘불에 타지 않게 해주소서. 그리하여 화상을 입지 않게 해 주소서’라고 한다면 동녀야, 네 생각엔 어떠하냐? 그 사람의 말대로 정녕 소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그렇게 될 수 없습니다, 천중천이시여. 왜냐 하면 생각건대 불의 요소란 주요 성분이 모든 물질을 태우는 것이라서 살점이 헤어져 떨어지게 되나니, 상처를 입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이 경전도 그러하여 진애(塵埃)와 애욕을 남김없이 다 태우나니, 설령 정욕의 자태에 탐착(貪着)하여 여러 세상을 스스로 위태롭게 지내왔다 하더라도 이러한 여인의 몸을 변신시키고자 하거나 하루 속히 구경의 경지에 이르러 성현의 도를 성취해 무앙수의 여러 불ㆍ세존을 뵙고 한량없는 말재주를 갖추고자 하면 마땅히 이 경전을 받아 지녀서 외워 읽고 독송해야만 하느니라.”사휴(私休)동녀와 오백 명의 사람이 다함께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이 살펴 기억해보니 과거 정광(定光)불ㆍ여래ㆍ지진ㆍ등정각 때에도 이 경을 받아 지녀 외워 읽고 독송하였으며 한량없는 억백천의 중생들을 위하여 그 뜻을 연설하였습니다.”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 사휴의 몸뚱이는 비록 여인의 형태이긴 하나 이는 여자가 아니옵니다. 왜냐 하면 제가 지금 마지막으로 이를 살펴보았는데 사휴동녀는 변화로 곧 이러한 여인의 몸을 나타내 보인 것입니다. 그것은 모든 여인들을 불쌍하게 생각한 나머지 그들을 해탈시키기 위한 것이니, 만약 남자의 몸으로 태어나서 여러 남자에 포함된다면 여인의 사는 처소엔 갈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여인의 몸으로 나타나 뭇 여인들을 감동시켜 변화하려는 것이었습니다.”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저 사휴는 남자도 아니요 여자도 아니니, 본래 여자니 남자니 하는 법이 없기 때문이니라. 왜냐 하면 모든 법의 근본을 관찰해 보면 남자도 없고 여자도 없어서 모든 법은 다 얻을 수 없으며 평등하여 차이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이와 같이 헤아려 볼 때 남자도 아니고 여자도 아니기 때문이니, 사휴동녀는 이 경을 분별해 알아서 걸릴 게 없고 법의 광명을 체득하였느니라.
그러므로 아난아, 만약 어떤 여인이 남자의 몸을 구하고자 하면 마땅히 사휴가 수행하는 법을 따르고 이 경전을 받아 지녀서 외워 읽고 독송해야만 하느니라.”그때 오백 비구니가 부처님 앞에서 아뢰었다.
“저희들은 지금에야 비로소 이 경을 받아 지녀서 외워 읽고 독송하게 되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여인의 몸을 즐거워하지 않고 이 몸을 더럽게 여겨 싫어하겠습니다. 오늘부터 이후로는 다시는 자리에 누워 자지 않고 이 경을 독송하여 이익을 얻고 곧 안정하겠습니다.”그때 부처님께서 찬탄하여 말씀하셨다.
“훌륭하구나. 이 경을 외워 독송하겠다는 네 말이 참으로 훌륭하구나. 큰 덕의 갑옷을 입고 정진하여 통달하여 여인의 형상을 흠모하지 않겠다고 하는구나. 어진 이들이여, 그런 까닭에 더더욱 부지런히 닦고 이 경전을 받아 자녀서 외워 읽고 독송하겠다고 말하는구나.”그때 비구니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을 듣고 크게 기뻐하면서 곧 입었던 옷을 벗어 부처님의 위를 덮고 찬탄하며 게송을 설하였다.
저희들이 오늘 즐거움을 얻어
남자의 몸 받아 나기를 바라나이다.
정각(正覺:如來)께서 다른 말씀 없으시니
반드시 세상의 존귀함을 얻을 것입니다.
그때 오백 장자의 아내들은 비구니가 이러한 덕의 갑옷을 입었다는 말을 듣고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었다.
“오직 천중천(天中天:佛)이시여, 저희는 지금에야 비로소 이 경전을 받아 지녀서 외워 읽고 독송하게 되었사오니, 바라옵건대 저희들로 하여금 자재(自在)함을 얻도록 해주십시오. 그리하여 남에게 얽매이지 않고 다른 이의 얼굴을 살피지 않게 하고 마군의 부림을 받지 않으며 어렵고 견고한 근심을 여의게 해 주십시오.
왜냐 하면 설사 여인의 몸으로 왕가(王家)에 태어난다 하더라도 소속된 곳이 있어서 자재로움을 얻지 못하고, 이 목숨이 마칠 때까지 남편의 일을 도와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까닭에 저희들은 오늘부터 열심히 정진하겠습니다.
가령 어떤 사람이 이 경전에서 한 구절의 뜻을 설법한다 하더라도 감히 비방을 듣지 않고 이 목숨이 다할 때까지 남자를 가까이하지 않겠사오니, 저희들로 하여금 이 경전을 읽고 이해하도록 해주십시오.”그때 세존께서 장자 아내의 말을 칭찬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이 여인들이 지금 부처님 앞에서 큰 사자의 목소리로 ‘그 말이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무극(無極)의 갑옷을 입은 것과 같습니다’라고 하니 그대들이 뜻한 바와 같이 다른 사람의 얼굴을 살피지 않고 무거운 짐을 지지 않으며 열 달 동안 아기를 갖는 일도 없을 것이요, 또한 남자를 만나 잉태하는 일도 없을 것이다. 또 청정한 부처님의 국토 중에서도 여인이 살지 않는 곳에 태어나서 조금의 하자도 없을 것이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 모든 여인들이 태어나게 될 세계는 그 이름이 무엇이길래 하자가 없으리라고 말씀하십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 세계의 이름은 보련화장(寶蓮華藏)이니, 틀림없이 저 국토에 태어날 것이니라.”또다시 부처님께서 여쭈었다.
“그 국토의 성호(聖號)는 무슨 여래ㆍ지진ㆍ등정각입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 국토의 부처님 이름은 일체제보묘진지광(一切諸寶妙珍之光) 여래ㆍ지진ㆍ등정각이신데 지금 현재 설법하고 계시니, 이 장자(長者)의 아내가 이 경전을 배움으로 해서 그 여래를 보게 되었느니라.”그때 장자의 아내가 기뻐 날뛰면서 착한 마음이 생겨났다. 그리하여 목에 걸고 있던 백천 가지 보배와 칠보(七寶)의 구슬과 영락을 풀어 부처님 위에 뿌리고 똑같은 음성으로 게송을 설하였다.
오늘 큰 바람[望]얻어
마땅히 여인의 몸 버렸나이다.
등각의 말씀 특이함 없이
지극히 진실한 말씀 하셨습니다.
마땅히 이 어리석은 몸뚱이 버리고
여인의 재앙과 죄로 뭉쳐진 몸 버렸나이다.
범부는 어리석고 아둔한 뜻에 탐착(貪着)하여
모든 법은 본래 공하여 없음을 모른답니다.
다시는 포태(胞胎)에 들지 않으며
이미 받은 몸까지 버렸나이다.
위없는 이치를 체득하여
일찍이 머무르지 않겠습니다.
그때 장자의 아내는 이 게송을 말하고 나서 존안(尊顔)을 우러러보며 눈조차 깜빡이지 않았다.
16. 탄법사품(歎法師品)
그때 천제석(天帝釋)이 하늘에서 꽃을 가져다가 부처님 위에 뿌리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저희들도 이 미묘한 경전을 받들어 가지겠습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구익(拘翼:帝釋)이여, 이 경전의 은혜를 입었으므로 아수륜(阿須倫)이 하늘에서 전쟁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니라.”그때 문수사리가 무수히 많은 백천 사람의 대중들을 인도하고 교화하여 그들로 하여금 덕의 근본을 세우게 하려고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었다.
“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서는 본래 도의 뜻을 내셔서 이 큰 법이 담긴 책을 외우고 독송하셨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어진이여,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백억 나술(那術:那由陀) 보살이 가장 존귀한 광명과 지혜로 시방 모든 부처님의 국토를 두루 비추니, 마치 일궁전(日宮殿)의 해가 비추지 않는 곳이 없는 것과 같느니라.”
이 말씀을 하실 때에 이 국토가 여섯 가지로 반복하여 진동하였으며, 모든 하늘이 꽃 비를 내렸다.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무슨 까닭에 땅이 진동하고 하늘에서 꽃 비가 내립니까?”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무수히 많은 억(億) 하늘이 문수사리가 찬탄하여 읊은 말을 듣고 마음이 뛸 듯이 기뻐 이 하늘 꽃을 뿌리면서 소원하기를 ‘저희들도 마땅히 이 경전을 받아 도혜(道慧)를 체득하여 문수사리가 말한 것과 같이 되어지이다’라고 하였으므로 온갖 죄악이 소멸되고 이 경전을 가까이 할 수 있었으니, 그런 까닭에 기뻐하면서 부처님 발에 머리 대어 전하고 또다시 문수사리에게도 예를 올렸나니, 그러므로 이 땅이 진동하였느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 경전의 덕이 넓고도 크며 끝이 없어서 이 경전을 듣게 되면 그 얻는 것이 적지 않고 허망함도 만나게 되지 않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아난아. 족성자와 족성녀가 전후로 무앙수의 많은 부처님을 공양하였기 때문에 곧바로 이 경전의 법을 들었으니, 만약 이 경을 듣고 믿고 즐거워하며 받아 지녀서 외우고 독송하면 천상 천하에 가장 신성한 사람이 되리라.”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가령 이 경이 유포된 곳이면 곧 허망(虛妄)함도 없으리니, 부처님과 비슷하게 되리라.
만약 이 경을 받아 지녀서 외우고 독송하여 배우는 자가 있으면 의심의 그물을 무너뜨리고 숱한 마군을 항복받을 것이며 법의 진수를 체득하고 법을 밝게 연설하여 많은 어둠을 밝혀 지극한 도량을 이룰 것이니라.
만약 나로부터 이 경전을 듣고서 기뻐하며 받아 지녀서 외우고 독송하여 배우면 불자(佛子)가 되리니, 법신으로부터 나왔기 때문이니라.
좋은 옷을 입고 좋은 음식을 먹기 위해 불수(佛樹:菩堤樹) 아래 앉으며 마치 내가 앉아 있던 때와 같으며, 경전의 법을 강설하면 마치 부처님께서 연설하는 것과 같으리니, 마땅히 이 경전을 받아 지녀서 외우고 독송해야 하느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오직 바라옵건대 세존이시여, 미래 세계에 이 경을 설하면 뒷세상에 어떤 이가 이 경전의 법을 받아 지녀서 독송하겠습니까?”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지금 현재세에 부처님 앞에서 믿음을 내면 그 사람은 후세에도 믿게 되어 이 경을 받아 지녀서 외우고 독송하리라.
그러나 내가 관찰하기로는 천상과 천하 인간들과 모든 마군ㆍ범천(梵天)ㆍ사문(沙門)ㆍ범지(梵志)와 여러 하늘의 백성들과 아수륜(阿須倫:阿須羅)이 경전을 듣지 않았다가 후세에 듣고서 믿고 즐거워한 이는 아직까지 없었느니라. 그러니 지금 이 경전을 들어야만 후세에도 믿게 될 것이니, 비유하면 마치 장자(長者)와 장자의 아들이 무수히 많은 재물을 혼자만 아는 곳에 간직해 두고 다른 나라를 돌아다닌다면 아난아, 네 생각은 어떠하냐? 그 사람은 간직해 둔 보물을 얻을 수 없겠느냐?”“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왜냐 하면 그 숨겨둔 곳을 알고 있기 때문에 찾으면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지금 이 경전을 들으면 후세에 돌아가는 것이 마치 간직해 두었던 보물을 취하는 것과 같으리라.
부처인 내가 도안(道眼)으로 관찰해 보니 지금 현세에 이 경전의 법을 듣고 기뻐하면서 믿고 받아 지녀서 외우고 독송하는 이는 후세에도 반드시 얻게 됨이 이와 같으리라. 그러니 아난아, 너는 부처님 앞에 앉아서 이 심오한 경전을 듣도록 하라.”
17. 기방품(譏謗品)
그때 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만일 이 경전을 듣고도 믿고 즐거워하지 않으며 도리어 헐뜯고 비방하면 무슨 죄를 얻으며 어느 곳으로 나아가게 됩니까?”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잠자코 있어라. 또한 그런 질문은 하지 마라.”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바라옵건대 부디 말씀해 주십시오. 그리하여 만약 믿지 않는 이가 있을 경우 비방하다가 얻게 될 죄를 듣게 하면 혹 스스로 고칠 수도 있을 것입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5역죄(逆罪)를 지었거나 또는 삼천대천세계의 사람들에게 해를 가한다면 그 죄가 어떻겠느냐?”아난이 말하였다.
“매우 많고도 많을 것입니다, 천중천이시여. 흉악한 죄앙이 한량없을 것입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법을 비방하는 이가 있으면 그 죄는 여기에 이르리라. 만약 또 어떤 사람이 항하강가의 모래알처럼 많고 많은 부처님의 탑사(塔寺)를 파괴하거나 훼손하고 부처님이 니원(泥洹:涅槃)에 든 뒤에 사찰을 불태운다면 죄는 어떠하겠느냐? 많겠느냐, 그렇지 않겠느냐?”아난이 대답하였다.
“매우 많고도 많을 것입니다, 천중천이시여. 이들이 받을 과보는 마땅히 보고 들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마땅히 그런 사람들을 위하여 이 죄를 설하여 나타내리라. 만약 어떤 사람이 과거ㆍ미래ㆍ현재에 부처님의 법을 헐뜯고 혼란하게 하여 소멸해 없애면 그 죄가 어떻겠느냐?”아난이 말하였다.
“그 죄가 매우 많아 이루 다 헤아릴 수도 없을 것입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경을 비방한 사람도 그 재앙이 이와 같으리라. 만약 다른 이를 만류하여 이 경을 배우지 못하게 한 이의 죄는 또한 어떠하겠느냐?”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가령 삼천대천세계의 중생이 열 가지 선행(善行)을 닦고 또 무상정진도(無上正眞道)의 뜻을 내었는데 만약 어떤 사람이 이 사람의 눈을 뽑아버린다면 그 죄가 어떻겠느냐?”아난이 말하였다.
“그 죄는 매우 많고도 많을 것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무앙수 겁 동안 항상 태어날 때마다 봉사가 될 것이요 또한 니리(泥犁:地獄)에서 불에 타는 고통을 받을 것입니다.”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내가 너에게 말하여 은근히 부촉하노니, 가령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비방하여 한 사람이라도 금지하게 하고 이 법을 얻지 못하게 한다면 그 죄는 저것보다 더 클 것이니라.”아난이 또 여쭈었다.
“만약 어떤 사람이 발심하여 큰 도를 구하되, 이 경을 의심하지만 비방하지는 않는다면 그 죄는 어떠하며 어디로 나아가겠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도에 대하여 발심하고 앞뒤로 의심함이 약간의 수만 되어도 언제나 모든 불ㆍ세존을 어기고 멀리하되 그 의심낸 수만큼 따르게 되고, 또 의심한 수만큼 약간 겁 동안 도의 가르침과는 어긋나게 되리라.”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만약 어떤 사람이 믿어 기뻐하지 않고 여러 사람들까지 금지시켜 그들로 하여금 배우지 못하게 하면 그 사람은 어떠한 재앙으로 어떤 몸을 받으며 또한 얼마나 많은 죄를 받게 됩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만두어라, 아난아. 그런 질문은 하지 마라.”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바라옵건대 부디 연설해 주셔서 이 사부 대중들 가운데 혹시라도 그런 이가 있거나, 미래 세상 변두리 지역의 국토에 있는 여러 큰 나라의 백성들 가운데 이 경의 법을 듣고 많은 의심을 내는 이가 있으면, 마땅히 그들로 하여금 믿고 알아서 다시는 비방하지 않게 해주시기 바랍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런 사람은 마땅히 일만 해(姟)나 되는 큰 몸으로 태어나서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괴로움과 독으로 인한 고통을 받게 될 것이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그 사람의 혀는 큽니까, 작습니까?”부처님께서 대답하셨다.
“그 사람의 혀는 너비와 길이가 각각 사만 리나 되어 얼룩소에 멍에를 메어 오백억 년 동난 혀를 갈게 되며, 각 오백억 년 동안 마땅히 구리 녹인 물을 삼키게 되어 그 불꽃이 타올라 그의 몸 위에 구릿물이 뿌려져서 태우고 굽고 지지게 되리라. 왜냐 하면 그가 말을 삼가지 않았기 때문이니라.”그때 이 모임에 온 사부 대중들이 이 말을 듣고 옷자락과 털이 모두 곤두서고 눈물을 흘리며 두려워서 땅에 쓰러져 동시에 한목소리로 불쌍히 여겨주기를 간청하며 잘못을 뉘우쳤다.
“마땅히 이 선남자와 선여인을 위하여 그 죄를 구원해 주십시오. 그리하여 독으로 아프고 약간의 고뇌를 당하는 일과 그 몸이 장대(長大)하여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을 받지 않게 해 주십시오.”또 다른 사람이 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부처님께 아뢰었다.
“금세(今世)와 후세에서 마음에 의심 일으킴을 스스로 살펴 알지 못하고 지금 현재에도 부처님 앞에서 시방 모든 불ㆍ세존의 경전 속에 들어있는 가르침을 어겨서 음개(陰蓋)가 덮였건만 스스로 그 허물을 보지 못하거니와 이제 모두 스스로 부처님 앞에 귀의하여 죄업이 덮어 가리지 않게 하겠사오니, 부디 부처님께서 그 원래 지은 죄를 사(赦)하여 주십시오. 비유하면 마치 어리석고 아둔하며 지혜 없는 사람이 저 바른 이치를 어긋나게 하여 스스로 죄를 지었을 때, 오직 부처님께서만이 크게 불쌍히 여기는 마음에서 그 원죄(原罪)를 사해주는 것과 같습니다.”부처님께서 사부 대중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도 훌륭하구나. 족성자와 족성녀가 이 법을 의심하여 지었던 자신의 죄를 알고 그 재앙을 뉘우치고 있으니, 밝은 태양이 어둠을 제거해주는 것과 같느니라.”그때 아난이 부처님 앞에 나아가 아뢰었다.
“지금 이 모임에 있는 대중들이 마음 속에 의심을 내었기에 마땅히 이런 죄를 얻은 것입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비록 의심을 내었으나 이제 다시 그 죄를 뉘우쳤으니, 이 무리들의 죄는 오히려 경미(輕微)해졌느니라.”아난이 또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바라옵건대 그 일을 말씀해 주십시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목숨이 끝날 때에 지옥에 들어가 하나하나의 털구멍마다 고통을 받고 마땅히 다시금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근심이 있겠지만 그리도 그 나머지는 모두 그치게 될 것이니라. 왜냐 하면 부처님 앞에서 의심을 버리고 잘못을 뉘우쳤으므로 시방에 무수한 여러 부처님께서 불쌍히 여겨 은덕을 베푸실 것이기 때문이니라.
그런 까닭에 아난아, 선남자와 선여인은 마땅히 스스로 살펴야 하나니, 이와 같이 한량없는 고통을 당할 일을 했을지라도 이 경전을 듣고 기뻐해야 하고 마땅히 의심을 내어서는 안 되느니라.
만일 불법과 성중(聖衆), 그리고 과거ㆍ미래ㆍ현재 부처님의 거룩한 법의 가르침을 버리고자 하지 않는다면, 마땅히 이 경전을 믿어 지녀서 외워 읽고 독송해야 하느니라.”
18. 촉루품(囑累品)
현자(賢者)아난이 세존께 아뢰었다.
“모든 불대성(佛大聖)께서는 다 똑같이 불퇴전법륜(不退轉法輪)을 설법하십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모두가 똑같아서 다름이 없느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가령 모든 부처님께서 똑같이 불퇴전법륜을 설하신다면 무슨 까닭에 대성(大聖)께서는 지난번에 ‘가령 어떤 사람이 부처님의 법과 성중(聖衆)을 멀리하지 않고 부처님의 처소에서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부처님께서 가르친 진리를 나타내 일으키려고 하면 마땅히 이 경전을 멀리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까?”아난이 또 여쭈었다.
“부처님께서 설법하신 진리를 어느 곳에서 빛내겠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불퇴전법륜을 행하는 대중들이 부처님의 법을 드러내느니라. 합하고 모여 물러남이 없는 요소를 여래께서는 말씀하셨느니라.”아난이 또 말하였다.
“물러남이 없는 여러 보살대사(菩薩大士)를 마땅히 성중(聖衆)이라 해도 되겠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청정하고 생각이 바르며 큰 도에 대하여 발심해서 그 이치를 자세히 관찰하면 이런 무리들을 모두 물러남이 없는 대중이라고 말하느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일찍이 없었던 일이옵니다. 모든 불ㆍ세존께서는 훌륭한 방편으로 때에 맞게 적절한 이치로써 큰 도를 드러내십니다.”그때 천제석이 곧바로 하늘꽃을 부처님께 흩뿌리면서 찬탄하면서 말하였다.
“일체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훌륭한 방편을 받들어 경전을 연설하겠습니다.”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구익이여, 만일 이 경전을 듣고 기뻐하며 믿음을 일으키는 이러한 무리들은 마땅히 이 훌륭한 방편을 중생들에게 설법하여 인도하고 교화해서 그들로 하여금 발심하여 정진하게 하는 것이 또한 나와 같아서 다름이 없을 것이니라.”그때 수없이 많은 여러 하늘 대중들이 모두 하늘꽃으로 세존께 공양하고 다함께 이런 말을 하였다.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이 법을 체득하도록 하겠습니다.”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오직 바라옵건대 세존이시여, 큰 자비를 베푸시어 이 경전이 후세 사람들에게까지 그 혜택이 미치도록 해주십시오.”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와 선여인과 이 모임에 온 이는 누구나 다 후세에 틀림없이 이 경전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니라. 가령 차질이 생겨 큰 바다에 있다 하여도 마땅히 이 경전을 얻게 되어 마침내는 들을 수 있을 것이니라.
왜냐 하면 과거 모든 부처님의 신통변화로 이 경의 법을 섭수(攝收)하기 때문이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비록 과거 모든 부처님의 위신력이라 말씀하시지만 또한 현재의 여래ㆍ지진ㆍ등정각께서 건립하신 것이기도 합니다.”
이 말을 하고 있을 때 삼천대천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니, 때마침 부처님 앞에 있던 무앙수(無央數) 백천 송이의 꽃 사이로 갖가지 보배로 된 연꽃이 저절로 솟아오르더니 모든 모임에 널리 빛을 발하여 각각 시방의 항하강 모래알처럼 많은 국토를 비추었다. 그러자 이 모임에 모였던 이들이 두루 시방 항하강 모래알처럼 많은 국토를 돌아보니 불ㆍ세존 앞에 보배 연꽃이 있는데 그 잎은 억백천 개나 되어 미치지 못하는 것이 없었다.그때 천제석이 스스로 그 모습을 변화하여 장자의 몸이 되어서 약간의 꽃을 받들어 사부 대중에게 나누어주며 이렇게 말하였다.
“부디 이 꽃을 가져다가 여래ㆍ지진ㆍ등정각에게 뿌려라. 그리고 이 심오한 경전의 이치에도 공양하도록 하라.”사부 대중은 그 말대로 각각 꽃을 가져다가 여러 부처님 위에 뿌리니, 이 모임에 모인 대중들이 모두 흩어지는 꽃이 여러 부처님 위에서 변화하여 일산이 되는 것을 보았다. 그때에 사부 대중들이 각기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것은 무엇으로 생긴 상서로움이기에 광명이 저렇게도 찬란합니까? 또 대지(大地)는 왜 크게 진동하며 갖가지 보배꽃이 부처님 앞에 변화로 나타나는 것입니까? 왜 흩어진 모든 꽃은 여러 부처님 위에서 변하여 보배 일산이 되는 겁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이것은 모두 경전의 변화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 까닭에 이 경전을 건립하여 모든 곳에 유포(流布)하는 것이니, 이를 받은 이는 마땅히 알아서 생각해야 할지니라.”그때 아난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금 세존의 성스러운 뜻의 덕도 이 경전으로 건립된 것입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니라. 이 경전으로 건립하고 보호하였으니, 현재의 부처님도 또한 이와 같이 동등하여 차이가 없느니라.”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지금 이 경전의 이름을 무엇이라고 불러야 하며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합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이 경의 이름은 『불의과실제덕적상(不猗果實除德迹想)』이라 부를 것이요, 또『지신봉법도적왕래불환무착성문연각(持信奉法道迹往來不還無着聲聞緣覺)』아라고 이름하며, 또『개화폐마(開化弊磨)』라고 이름하며, 또 『준봉육도무극(遵奉六度無極)이라고 부르리니, 마땅히 그렇게 지녀야만 하리라. 왜냐 하면 이 경전을 듣고 만일 믿고 즐거워하는 이가 있으면 곧 마땅히 여섯 가지 도무극(度無極:波羅蜜)을 원만히 갖추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아난이 또 여쭈었다.
“어떻게 믿고 즐거워하며 받들어 지녀야 여섯 가지 도무극을 원만히 갖출 수 있습니까?”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어떤 족성자와 족성녀가 이 경전에 대하여 믿고 기뻐하여 의심하지 않고 보시하면 보시도무극이요, 계율을 헐뜯어 잃지 않으면 금무극(禁無極:持戒波羅蜜)이며 인욕행을 잘 닦으면 인무극(忍無極:忍辱波羅蜜)이며, 또한 게으르지 않고 비겁하거나 나약함을 여의면 진무극(進無極:精進波羅蜜)이요, 하는 바를 일으켜 세워서 경솔하게 행동하지 않으면 선무극(禪無極:禪定波羅蜜)이며, 일체를 기억하지 않고 모든 법을 평등하다고 생각하면 지무극(智無極:智慧波羅蜜)이니 이런 까닭에 아난아, 이 경의 이름을 『육도무극(六度無極)』이라고 말하였으며, 또『불퇴전륜방등법(不退轉輪方等法)』이라고 말하였느니라.”“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의 이름만 들어도 크게 요익(饒益)한데 하물며 받아 지녀서 외우고 독송하는 사람이겠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와 같아서 이 경을 만나기 어렵느니라.”아난이 또 여쭈었다.
“이 경의 이름을 들으면 몇 겁이나 초월할 수 있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이 경의 이름을 듣고 물러나지 않고 환희하면서 믿는 이는 곧 마땅히 무수한 천백 겁 동안 나고 죽는 근심을 초월할 것이니라.”“가령 또 다시 들어서 교만한 마음을 버리고 믿음을 내어 도의 마음을 내면 이러한 중생은 어떻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부처님께서 모두 수결(授決:授記)을 주어 위없는 정진도의(精進道意)를 얻을 것이니라.”그때 이 모임의 사부대중들 개개인마다 그 앞에 변화로 만들어진 연꽃의 광명이 한량없었다. 그 낱낱의 꽃은 무앙수(無央數) 백천이었고 모든 꽃에 대해 각각 기쁨을 내어 연꽃을 가져다가 세존께 공양하면서 똑같은 음성으로 찬탄하며 말하였다.
“바라옵건대 우리들로 하여금 세상마다 이 법을 만나 지금처럼 분별하여 설법할 수 있게 해주십시오.”그때 부처님께서 곧 빙그레 웃으셨다. 그러자 문득 훌륭한 음악이 저절로 울리면서 향기가 시방에 그윽하였으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천(千) 하늘이 공중에서 꽃 비를 내리고 전단(栴檀)ㆍ속금(粟金)ㆍ천심화(天心華) 등을 내렸으며, 모든 하늘이 옷을 벗어 세존 위에 뿌렸다.현자 아난이 합장하고 꿇어앉아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는 웃으신 것은 거짓이 없으실 것이니, 틀림없이 이 모임에 어떤 뜻이 있을 것입니다.”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지금 모든 사대부중들과 하늘ㆍ용ㆍ귀신과 사람ㆍ사람 아닌 것 등이 이 경을 들으면 후세에 태어나는 곳마다 문득 이 경을 만나게 되어 그 이치를 연설하되, 오늘의 나와 같아서 조금도 다름이 없을 것이니라.”부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실 때 현자 아난ㆍ문수사리 보살ㆍ여러 하늘과 세상 사람들이 모두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541 불설안택신주경(佛說安宅神呪經) (0) | 2025.02.08 |
---|---|
[적어보자] #5540 불설아함정행경(佛說阿含正行經) (0) | 2025.02.07 |
[적어보자] #5538 불설아유월치차경(佛說阿惟越致遮經) 중권 (0) | 2025.02.07 |
[적어보자] #5537 불설아유월치차경(佛說阿惟越致遮經) 상권 (0) | 2025.02.07 |
[적어보자] #5536 불설아속달경(佛說阿遫達經) (0) | 2025.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