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不空羂索陀羅尼自在王呪經) 상권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不空羂索陀羅尼自在王呪經) 상권
보사유(寶思惟) 한역
김영덕 번역
나모라다나다라야야 나모아리야 아미다바야 다다아다야 나모아리야 바
南謨囉哆那怛囉夜耶 南謨阿唎耶 阿弭哆婆耶 怛他孽多耶 南謨阿唎耶 跋
로기뎨슈바라야 보디사다야 마하사다야 마하가로니가야 다질타 옴 아모
嚧吉帝失筏囉耶 菩地薩埵耶 摩訶薩埵耶 摩訶迦嚧尼迦耶 怛跌他 唵 阿慕
가 바라디하타훔훔바타 사바하
伽 鉢囉底喝多𤙖𤙖𠰢吒 娑婆訶
위에서 말한 불공다라니자재왕주(不空陀羅尼自在王呪)는 바로 모든 비밀스러운 신주(神呪)1)의 으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능히 이 신비한 주문을 염송하여 이를 성취하면, 곧 능히 모든 신비한 주문에 통달하리라. 그리고 이 주법은 지금 하는 사업을 모두 원만하게 하리라.
1. 성취존자설불공신주공덕분(成就尊者說不空神呪功德分)
그때 성스러운 관자재(觀自在) 보살마하살이 또한 불공견삭신주왕법(不空羂索神呪王法)을 말씀하셨다.
“만일 이 법을 성취하면 복이 헛되이 없어지지 않는다. 능히 한량없고 끝없이 많은 중생계로 하여금 일체의 업장(業障)을 모두 깨끗이 하고, 능히 한량없이 많은 복덕의 훌륭한 공덕을 모으게 한다. 증장한 선근(善根)과 뛰어난 방편으로 끝없는 지혜의 경계에 통달하고, 6바라밀다(波羅蜜多)를 모두 원만히 성취하게 한다. 또한 능히 위없는 깨달음[無上菩提]과 네 가지 두려움 없음[四無所畏]과 18불공(不共)2)의 모든 부처님 법과 4성제(聖諦)와 신족통(神足通)3)과 5근(根)4)과 5력(力)5)과 보리분법(菩提分法)6)을 증득하게 한다. 또한 능히 모든 정려(靜慮)의 해탈과 삼마지(三摩地)와 삼마발저(三摩鉢底)7)를 나타내 보인다.
또한 능히 성문(聲聞)과 벽지불(僻支佛) 및 여래지(如來地)를 얻어, 반야의 밝은 지혜와 뛰어난 근기를 성취하며, 큰 위덕과 정진의 큰 힘이 있게 한다. 뛰어난 말솜씨를 원만하게 모두 갖추며, 공중에 오르고 형상을 감추는 힘을 얻게 한다. 작갈라벌뢰저갈라사(斫羯囉伐賴底曷囉闍)8)가 되어 모든 것에 자재하게 되며, 주선(呪仙)이 되어 세상의 안락을 누리게 된다. 길상병(吉祥甁)9)과 여의주(如意珠)를 얻어 행하는 바에 따라서 모든 것을 얻으며, 사자(使者)10)를 부려서 나아가고 물러섬에 어긋남이 없게 하여 뜻대로 나찰사(羅刹娑)11)를 부리게 된다. 또한 능히 아소락굴(阿素洛窟)12)에 들어가며, 혹은 온갖 향을 피우거나 혹은 약을 눈에 넣어서 능히 땅 속에 있는 모든 숨겨진 것[伏藏]13)을 보며, 행하는 사업을 뜻대로 성취하게 된다. 모든 병을 치료하고, 귀신을 조복키며, 단장(壇場)을 수호하게 된다. 그리고 모든 용왕(龍王)으로 하여금 기뻐하고 즐겁게 하여 비를 오게 하고 그치게 하는 것을 모두 마음대로 한다. 또한 능히 모든 사람들 가운데에서 자재함을 얻어 능히 일체의 온갖 죄와 재난을 없애며, 구하려는 재물과 보물을 모두 얻게 한다. 그리고 능히 끝없는 다라니문(多羅尼門)과 삼마지문(三摩地門)을 성취한다.
이 대불공견삭신주(大不空羂索神呪)의 법은 모든 주문 가운데에서 공덕이 가장 뛰어나고 광대하여 능히 모든 천(天)ㆍ용(龍)ㆍ야차[藥叉]ㆍ건달바[乾闥縛]ㆍ아수라[阿素洛]ㆍ가루라[迦嚕洛]ㆍ긴나라[緊捺洛]ㆍ마후라가[莫呼勒伽]과 여러 부다귀(部多鬼)14)와 모든 아귀(餓鬼)와 필사차(畢舍遮)15)ㆍ구반다(鳩槃茶)16)ㆍ나찰사(羅刹娑)ㆍ성수귀(星宿鬼)17)ㆍ장애귀(障碍鬼)18) 등으로 하여금 받들어 섬기게 하고 공양케 하며, 존중하고 찬탄케 한다. 또한 제석(帝釋)19)과 여러 범왕(梵王)20) 등이 옹호하게 되며, 또한 주문을 성취한 모든 선인에게 축하와 격려를 받는다. 또한 항상 모든 산란한 마음을 떠나서, 집착이 없는 자가 받들어 익히고 설한 바를 잘 간직하며, 공양하고 공경하며 존중하고 찬탄하게 될 것이다.”
2. 성취수지공양신주법분(成就受持供養神呪法分)
그때 성관자재 보살마하살은 또한 신주(神呪)의 법을 말씀하셨다.
“만일 이 신령스러운 주문을 염송하려고 할 때에는, 마땅히 먼저 몸을 씻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서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여 주문을 외워야 한다. 보살계(菩薩戒)를 받고, 자비심을 일으켜 욕락에 빠진 중생들을 가엾이 여기며, 진실한 말을 하고 시기와 질투를 멀리 여의며, 일체의 유정(有情)들을 이롭게 하고 안락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곧은 마음과 깨끗한 믿음으로 공덕을 쌓기를 바라며, 탐애와 성냄과 어리석음을 버리고, 삼보를 마음에 새겨서 잊지 않고 은혜에 보답할 것을 다짐해야 한다.
마땅히 성관자재 보살마하살에게 널리 공양하되, 사르는 향[燒香]ㆍ산화(散花)21)ㆍ바르는 향[塗香]ㆍ가루 향[末香]을 공양하고, 당기ㆍ번기[幢幡]22)과 꽃 덮개[華蓋]23)들로써 장엄하라. 존자(尊者) 앞에서 한마음으로 청정히 믿어 마음에 바라는 것을 굳게 하며, 마땅히 성자불공견삭심신주왕(聖者不空羂索心神呪王)을 백팔 편 염송하라. 곧 불공다라니삼마지문(不空多羅尼三摩地門)에 든 채 연화인(蓮華印)24)을 맺고, 들고 나는 숨을 조절하고 고요히 머물러라. 그러면 이로 말미암아 이 사람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이 모두 다 갖추어지게 된다.
곧 꿈에 성관자재보살을 뵐 수 있으니, 혹은 비구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혹은 바라문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혹은 동자(童子)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혹은 제왕(帝王)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혹은 관리[宰官]의 형상으로 나타나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을 칭찬하면서 이와 같은 말씀을 하실 것이다.
‘훌륭하도다, 장부(丈夫)여. 그대는 능히 내가 말한 것을 받아 지니었으니, 그대가 원하는 것을 모두 원만히 이루어 주겠다. 그대가 지금 주문을 받아 지니면서 마음속으로 원했던 것이 무엇인가? 마음으로 바라고 구하는 것이 무어이든 그대가 바라는 것을 속히 성취시켜 주겠노라.’
이에 의하여 온갖 업장(業障)을 멸할 수가 있고, 영원토록 지옥이나 축생에 떨어지지 않으며, 항상 모든 여러 좋은 세상에 태어나게 된다. 반야가 앞에 나타나 뛰어난 말솜씨가 막힘이 없으며, 바른 마음[正念]이 더욱더 늘어나게 된다. 모든 천(天)이 순순히 따르고 벗이 되며, 행하는 바가 자유자재하게 되어서 막힘이 없고, 큰 위신(威神)을 갖춘다.
또한 능히 주문을 지니면, 뜻하는 대로 이루어지리니, 모든 원수나 도적에게 침탈을 당하지 않게 되고, 어진 성자들에게 찬탄을 받으며, 항상 국왕이나 대신과 바라문ㆍ거사 등에게서 존중을 받으며, 모든 중생이 좋아하고 사랑하여 공양하고 공경하며, 받들어 예배하고 좋은 말로 찬탄하게 된다. 항상 모든 두려움을 가진 자를 위하여 귀의처가 되어 주고, 능히 모든 선한 사람의 깊은 마음을 얻게 된다. 만일 항상 이 신주를 염송하는 자가 있으면, 3업(業)의 모진 장애가 모두 사라진다. 만일 만 번을 염송하면, 필요로 하는 음식과 침구와 탕약과 의복과 생활용품 등이 부족함이 없게 되며, 평안하고 병이 없으며 장수하고 자재하게 될 것이다.”
3. 성취친견성관자재보살법분(成就親見聖觀自在菩薩法分)
“만일 어떤 사람이 성관자재보살을 친히 뵙기를 바라거든, 마땅히 고요한 산속 절의 탑묘(塔廟)로 가거나, 혹은 동산의 숲ㆍ강변ㆍ깊은 산ㆍ산골짜기ㆍ아란야처(阿蘭若處)25)로 가야 한다. 그리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 8계재(戒齋)26)을 지니고 보살계를 받고, 3업(業)을 깨끗이 하고 삼마지에 들어 4범행(梵行)27)을 닦아서 인색하지 않으며, 계(戒)를 지니고 복덕이 있는 모든 사람의 곁에서 항상 환희를 구해야 하다. 그렇게 한 후에 성관자재보살의 형상 앞에서 그 주법(呪法)을 받고, 이미 법을 받고 나서는 바로 청정한 곳에서 길상초(吉祥草)28)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마땅히 불공견삭심주를 외워야 한다.
한마음으로 집중하여 동요하지 말아야 하니, 낮이나 밤이나 놀라거나 두려워 말고, 혹은 홀연히 공중에서 호랑이의 울음소리가 들리더라도 역시 놀라지 말라. 또는 공중에서 여러 하늘의 음악과 노래, 춤과 향연[唱伎]을 보고 듣더라도 놀라거나 이상하게 여기지 말라. 혹은 하늘로부터 만다라화(曼陀羅華)29)ㆍ마하만다라화(摩訶曼陀羅華:白蓮華)ㆍ발특마화(鉢特摩華:紅蓮華)ㆍ올발라화(嗢鉢羅華:靑蓮華)ㆍ구올다화(俱沒陀華:黃蓮華)ㆍ분다리화(奔茶利華:활짝 핀 백련화) 등이 비 오듯이 내리는 것을 보더라도 또한 놀라거나 괴이하게 여기지 말라. 이때 성관자재보살이 그 사람 앞에 이르러 큰 소리로 말할 것이다.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그대는 능히 이와 같이 나에게 공양하고 신주(神呪)를 외워 지니었구나. 바라는 것이 무엇인가?’
주문을 외우는 사람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존자의 앞에서 향을 피우고 꽃을 뿌리며, 멥쌀[粳米]을 물에 섞은 것과 여러 온갖 꽃을 성관자재보살에게 공양한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 나서 머리를 땅에 대어 발에 예배하라. 그때 보살이 그가 하고 싶어 하는 것을 모두 이루어 주실 것이다.”
4. 성취화상탱법분(成就畵像幀法分)
그때 존자(尊者)께서 화상법(畵像法)과 주문을 성취하는 법을 말씀하셨다.
“만일 성관자재보살의 형상을 그릴 때에는, 마땅히 고운 비단을 짜되 길고 짧은 대로 두어서 양 끝을 자르지 말라. 사용할 채색에는 향교(香膠)를 섞되, 다른 아교는 섞지 말아야 한다. 그림을 그리는 사람[畵師]은 먼저 8계재법(戒齋法)을 받은 뒤에, 성관자재보살의 형상을 그려야 한다.
그 몸은 황백색이고, 머리에는 꽃으로 장식한 관을 쓰며, 검푸른 머리가 갈라져서 두 어깨의 앞과 뒤를 덮게 한다. 얼굴은 자비롭고 온화하며 기뻐하는 모습으로 하며, 백천의 빛을 뿜어내는데, 청정하고 뛰어난 얼굴에는 눈이 세 개가 있다. 순백색의 실[綖]로 어깨와 가슴을 가로질러 이으며, 예니야녹왕(瑿泥耶鹿王:사슴왕)의 가죽으로 어깨 위를 덮고, 장식한 보배 띠[寶帶]를 그의 허리에 두른 모습으로 한다. 존자는 팔이 네 개인데, 왼쪽 위의 손에는 연꽃[蓮花]을 쥐고 아래의 손에는 조병(澡甁)30)을 지니며, 오른쪽의 위의 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을 맺고, 아래의 손은 염주를 잡고 있다. 모두 진귀한 보배로써 장식을 하니, 몸에 하늘의 옷을 걸치고 연꽃 위에 서서 큰 위덕(威德)을 지니며, 짧고 긴 영락(瓔珞)이 어깨에 메여 늘어져 있고, 귀걸이와 팔찌와 반지 등은 모두 보배로 장식한다. 정수리 위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아미타불)을 그려 넣고, 그 그림족자 안에 여러 가지의 꽃을 그려라.
만일 단(壇)을 만들려면, 봄과 가을에 백월(白月)31) 8일 혹은 15일의 길상성(吉祥星) 아래에서 좋은 때를 택하되, 바람이 없고 구름이 없어야 한다. 성 밖에 좋은 곳을 잡되, 그곳의 사방에는 여러 가지 수목(樹木)이 있는데 그 뿌리ㆍ기둥ㆍ가지ㆍ잎ㆍ꽃ㆍ열매가 무성하고 가지와 넝쿨이 얽혀 있으며, 주변에는 흐르는 샘물과 몸을 씻을 수 있는 연못이 있고 곳곳에 푸른 풀이 우거져 있어야 한다. 마땅히 황토로써 진흙을 만들어 땅에 바르며, 여러 가지로 다지고 정리하되 법에 맞게 시행해야 하니, 가시덤불ㆍ기와조각ㆍ뼈ㆍ돌이 있는 나쁜 땅에서는 하지 말라.
그 단의 사면에 금정(金精)ㆍ적토(赤土)ㆍ웅황(雄黃)ㆍ석회(石灰) 및 자금(紫金)으로 하고, 색은 푸른 색ㆍ누런 색ㆍ붉은 색ㆍ흰 색 및 자색(紫色)으로 그 계도(界道)32)를 그린다. 단의 사면에 각각 하나의 문(門)을 만들어야 하니, 문 밖에 각각 두 개의 길상주(吉祥柱)를 세운다. 그 단 안에는 소라의 모양[螺形]과 만자향인(萬字香印)33)을 그려야 한다. 문 안에는 각각 두 개의 길상병(吉祥甁)을 둔다. 그 장소에 따라 몸을 씻을 수 있는 연못을 만들어야 하니, 못 안의 주변에는 우발라꽃ㆍ구무다꽃ㆍ분다리꽃을 그리고, 연못의 네 변에는 거위의 형상을 그려 넣어서, 마치 꽃 장식[花鬘]이 주변을 두르고 있는 것과 같이 해야 한다.
마땅히 관자재보살의 형상을 그린 족자는 단 안에 놓아야 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꽃을 뿌리고 갖가지 향을 피우며 번기ㆍ당기[幢幡]와 보배 일산[寶蓋]으로 이를 공양한다. 혹은 금이나 은, 여러 보배 및 적동(赤銅)으로 길상병(吉祥甁)을 만들어 모든 여러 가지 묘한 향약(香藥)과 보배구슬[末尼]과 진주(眞珠)ㆍ금ㆍ은 등의 보배를 가득 채우는데, 섞어서 이를 채워라. 갖가지 꽃으로 만든 줄을 그 병의 목에 걸어라. 쌀을 태워 만든 꽃[燒稻穀作華]34)을 뿌려 단 위를 장식하고, 마땅히 흰 비단[白縵]으로 이를 덮어야 한다. 단의 네 모퉁이에 각각 한 사람씩을 세우되, 몸에 갑옷을 입혀 이를 지키게 한다.
이때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呪師]은 매일 아침ㆍ낮ㆍ저녁 세 때에 몸을 씻어 청결히 하고 깨끗한 새 옷을 입으며, 3업(業)을 청정히 하고 율의(律儀)를 받아 지닌다. 그리고 성관자재보살의 상 앞에서 마땅히 우유죽[乳糜]ㆍ소락(酥酪)35)ㆍ사탕(粆糖)ㆍ석밀(石蜜:氷砂糖)을 그릇에 가득 담아 이를 공양하라. 그런 후에 전단향ㆍ침수향ㆍ소합향ㆍ용뇌향 등 이와 같은 향을 섞어 이를 태워 공양하라. 관자재보살의 형상을 그린 족자 앞에 길상초를 깔고 결가부좌하고는, 연화인(蓮華印)을 맺어 마음을 고요히 하고, 합장하여 모든 부처님과 보살님께 공경히 예배하고, 곧 호신주(護身呪)를 염송하라. 다음은 두 번째 주문이다.
옴 아모가 바라디하다락샤락샤 훔바타
唵 阿慕伽 鉢囉底訶多囉叉囉叉自稱名𤙖泮吒
만일 몸을 지키려고 할 때에는 자신의 머리카락 하나를 취하여 이 주문을 스물한 번 염송하라. 그러면 항상 자기의 몸이 보호되어 손해를 입지 않게 되리라.
다음은 세 번째, 귀신을 저주하는 주문[呪鬼神呪]이다.
옴 아모가 만다 훔훔 바타
唵 阿慕伽 漫陀 𤙖𤙖 泮吒
만일 귀신에게 주술을 걸려면 우선 이 주문을 외워야 하니, 다섯 가지 색의 실에 주문을 백팔 번 외우고, 단의 사면에 매어 놓는다. 그런 다음에 물에 백팔 번 주문을 외우거나, 혹은 개자(芥子)36)에 주문을 외우고, 혹은 깨끗한 재[淨灰]에 주문을 외워 가지하고서, 사면을 따라서 단 안에 이것을 뿌려라. 곧 모든 악한 귀신이 괴롭히지 못하게 되리라.
다음은 네 번째, 악귀를 막는 주문[禁惡鬼呪]이다.
옴 아모가 바라디하다옴훔바타
唵 阿慕伽 鉢囉底訶多唵𤙖泮吒
만일 악귀를 금하려면 마땅히 이 주문을 외워야 하니, 물에 주문을 백팔 번 외우거나 혹은 흰 개자[白芥子]에 주문을 외우거나 혹은 깨끗한 재에 주문을 외워 가지하고, 사면을 따라서 단 밖에 이를 뿌려라. 그러면 모든 악귀들로 하여금 틈을 얻지 못하게 한다.
다음은 다섯 번째, 악마를 막는 주문[禁惡魔呪]이다.
옴 아모가 뎨샤로기야 비쟈야 구로마 훔바타
唵 阿慕伽 帝曬路枳耶 毘闍耶 俱嚕磨 𤙖泮吒
만약 마귀를 금하려면 마땅히 이 주문을 염송하여야 하느니라. 물에 주문을 백팔 번 외우거나 혹은 흰 개자에 주문을 외우거나 혹은 깨끗한 재에 주문을 외워 가지하고, 사면을 따라서 단 밖에 이를 뿌려라. 그러면 모든 악마를 금하여, 괴롭히지 못하게 한다.
다음은 여섯 번째, 모든 악마와 악귀를 금하는 주문[禁諸惡魔鬼呪]이다.
옴 아모가 락차 사바하
唵 阿慕伽 囉叉自稱名娑婆訶
만약 모든 악마와 악귀를 금하려고 할 때에는, 마땅히 물에 주문을 백팔 번 외우거나 혹은 흰 개자나 깨끗한 재에 주문을 외워 가지하고, 자기의 정수리와 이마와 심장 위 및 두 어깨 위에 찍어 바르고, 그 몸에 두루 뿌릴지니라. 그러면 모든 악마와 악귀가 괴롭히지 못하게 된다.
다음은 일곱 번째, 동반인(同伴人)에게 거는 주문이다.
옴 아모가 훔카
唵 阿慕伽 𤙖佉
만약 동반인에게 주문을 걸어 주려고 할 때에는 마땅히 이 주문을 염송해야 한다. 물에 백팔 번 주문을 외우거나 혹은 흰 개자나 깨끗한 재에 주문을 외워 가지하고, 단 안에서 그것을 동반인에게 뿌려라. 그러면 그 사람을 보호하여, 악마와 악귀들이 괴롭히지 못하리라.
다음은 여덟 번째, 향(香)에 거는 주문이다.
옴 아모가 다마다마 훔바타
唵 阿慕伽 淡磨淡磨 𤙖泮吒
향을 피울 때에는 우선 이 주문으로써 여러 가지 향에 스물한 번 주문을 외워 가지하고, 그 다음에 향을 피워 공경하고 공양하라.
다음은 아홉 번째, 음식과 꽃과 과일에 거는 주문이다.
옴 아모가 그흐리녜 그흐리녜 훔바타
唵 阿慕伽 䞘醯利儜 䞘醯利儜 𤙖泮吒
만약 음식과 꽃과 과일을 뿌리려고 할 때에는 먼저 이 주문을 백팔 번 염송해야 하니, 그 다음에 단 밖의 사방에 이를 두루 뿌려라.
다음은 열 번째, 일을 행하는 대로 모두 성취하는 주문[隨作事成就呪]이다.
옴 아모가 비쟈야 훔바타
唵 阿慕伽 毘闍耶 𤙖泮吒
만약 이 주문을 염송하면, 어떠한 일을 하더라도 모두 성취하리라.
주문을 수행하는 자37)는 이 법을 행하고 나서, 그 단 안에서 마땅히 불공다라니자재왕주를 염송해야 한다. 만약 성관자재보살의 모습을 그린 족자가 움직이거나 연기가 나거나 불꽃이 일어나는 현상이 생기더라도, 평상시와 같이 주문을 외워서 놀라거나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족자가 움직이는 것이 보이면 부귀의 자재함을 얻고, 만약 연기가 나는 것이 보이면 갈라사(曷囉闍)38) 지위를 성취하며, 만약 불꽃이 일어나는 것을 보면 공중에 오르는 것이 자재해지며 주선(呪仙)을 성취할 수 있다. 그 주문을 염송하는 자가 만약에 불꽃이 일어나는 것을 보더라도, 놀라거나 두려워하는 마음이 없고 몸을 움직이지 않으면, 곧 성관자재보살이 그 사람의 앞에 나타나서 그를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마음을 위로하실 것이다. 그 사람은 보고 난 후에 바라는 것을 모두 이룰 것이니, 곧 보살의 여러 삼마지를 얻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물러남이 없게 되고, 현재의 몸으로 과거 생에 살아온 일을 잊지 않고 기억할 수 있게 되며,39)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공덕을 얻을 것이니라.”
5. 성취사자능변사법분(成就使者能辨事法分)
그때 성관자재보살이 또한 사자(使者)를 능히 부리는 법을 말씀하셨다.
“이 사자는 곧 성관자재보살 불공견삭왕신주의 사자이다. 만약 이를 부리려고 하면, 마땅히 고운 색의 물감을 사용하여 비단 족자 위에 사자의 형상을 그려야 하니, 야차[藥叉] 동자(童子)의 형상으로 그려야 한다. 머리카락은 곧게 서서 타오르는 불길과 같고, 얼굴과 눈은 성내는 모습이다. 눈은 초록색이고 코는 납작하며, 몸 전체가 붉은색인데 몸에 붉은색 옷을 걸쳤다. 입 밖으로 네 개의 이빨이 삐져나와 있는데, 둘은 위로 치솟았고 둘은 아래로 향해 있다. 그의 혀는 혹은 입안에 들어가 있고 혹은 입 밖으로 나와 있게 한다. 한 손에는 칼을 잡고 한 손에는 밧줄을 잡고 있으며, 몸을 온갖 장엄구로 두루 장식한 모습으로 그린다.
법을 행하고자 할 때에는, 백월(白月) 8일 혹은 14일에 재계(齋戒)를 지켜서 청정히 하고, 관자재보살을 그린 족자를 네거리의 길 가운데나 혹은 빈 방에 안치한다. 꽃과 향 등 여러 가지로 공양하고, 피나 고기 등을 제외한 여러 음식으로 공양하라. 그 주문을 수행하는 자는 먼저 주문을 염송하여 스스로 몸을 방호(防護)하고 비단 족자 앞에서 불공견삭왕신주[不空王呪]를 백팔 번 염송하라. 이때 사자(使者)는 그 사람 앞에 나타나서 주문을 수행하는 자에게 ‘무엇을 바라는가’라고 말하리라. 만일 처분을 받으면, 그는 그것들을 모두 능히 이룰 것이니, 그 주문을 수행하는 자가 마음으로 바라는 대로 사자가 행할 것이다. 그때에 사자가 보고 듣는 것은 모두 와서 말해 줄 것이다. 만일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하루에 금전(金錢) 100문(文:돈을 세는 단위)을 요구하면, 그때에 바로 응해서 곧 얻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달리 개인적으로 사용하거나 아끼는 마음을 내서는 안 된다. 그것으로는 오직 불ㆍ법ㆍ승 삼보만을 공양하는 데에 사용하라.
그리고 다음과 같은 사실을 마땅히 알아 두어야 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이러한 일을 공공연하게 말하지 말라. 또한 남과 더불어 원한을 맺지 말라. 마땅히 깨끗한 음식을 먹으며, 잡식을 먹지 말라. 음식을 먹을 때마다 먼저 자기 음식의 일부분을 덜어서 사자(使者)에게 공양하고, 그 다음에 자신이 먹어야 하니, 반드시 생각하고 기억하여 항상 이를 잊지 말라. 마음에 항상 탐냄ㆍ성냄ㆍ어리석음 등을 버리고, 망령된 말을 하지 말라. 정성되고 진실한 말을 하여 다른 자에게 법을 설하고, 일체 중생에게 항상 자비로운 마음을 일으켜라. 또한 향화ㆍ의복ㆍ깃발ㆍ보배 덮개ㆍ바르는 향ㆍ가루향ㆍ사르는 향ㆍ산화(散花)로써 항상 성관자재보살을 공양하고 보은(報恩)의 마음을 가져라.
만일 능히 이와 같이 하면, 곧 그 사자(使者)가 나날이 공양하고 받들어서 500인분의 생활도구[資具]와 음식ㆍ의복ㆍ바르는 향ㆍ가루향ㆍ사르는 향ㆍ산화 등 일체를 모두 갖추어 줄 것이니, 주문을 수행하는 자의 수명이 다하도록 뜻에 따라 제공하여서 다하거나 모자람이 없게 할 것이니라.”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4749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不空羂索陀羅尼自在王呪經) 하권 (6) | 2024.09.02 |
---|---|
[적어보자] #4748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不空羂索陀羅尼自在王呪經) 중권 (8) | 2024.09.02 |
[적어보자] #4746 불공견삭다라니경(不空羂索陀羅尼經) (37) | 2024.09.02 |
[적어보자] #4745 불개해범지아발경(佛開解梵志阿颰經) (12) | 2024.09.01 |
[적어보자] #4744 분신왕문경(奮迅王問經) 하권 (2) | 2024.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