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16권
마하반야바라밀경 제16권
후진 구자국 구마라집 한역
최봉수 번역
김형준 개역
54. 대여품(大如品)거란본에는 대여상품(大如相品)으로 되어 있음
그때 욕계의 모든 천자들과 색계의 모든 천자들이 천상의 가루 전단향과 청련화ㆍ적련화ㆍ홍련화ㆍ백련화를 가지고 멀리고 부처님 위에 뿌리면서 부처님 처소에 다가와 부처님 발에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고 한쪽으로 물러나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심오해서 보기 어렵고 알기 어려우며 사유(思惟)로써 알 수가 없습니다. 미묘한 적멸을 깨달은 지자만이 능히 알 뿐 일체의 세간이 능히 믿을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 심오한 반야바라밀 가운데에서는 ‘물질이 바로 살바야이고 살바야가 바로 물질이다. 나아가 일체종지가 바로 살바야이고 살바야가 바로 일체종지이다. 물질의 여상(如相)과 살바야의 여상은 하나의 여(如)이어서, 둘이 없고 다름이 없으며, 나아가 일체종지의 여상과 살바야의 여상은 둘이 없고 다름이 없다’라고 이처럼 설하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욕계와 색계의 모든 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모든 천자들아, 물질이 바로 살바야이고 살바야가 바로 물질이니라. 나아가 일체종지가 바로 살바야이고 살바야가 바로 일체종지이니라. 물질의 여상 내지 일체종지의 여상은 하나의 여이어서 둘이 없고 다름이 없느니라.
모든 천자들아, 의미가 이러한 까닭에 부처님은 처음 성도를 했을 때에 그 마음은 잠자코 있기를 좋아했고 법을 설하기를 좋아하지 않았느니라. 왜냐하면 이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심오해서 보기 어렵고 알기 어려우며, 사유로써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니라. 미묘한 적멸을 깨달은 지자만이 능히 알 뿐 일체의 세간은 능히 믿을 수조차 없는 것이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는 자도 없고, 얻는 장소도 없으며, 얻는 때도 없기 때문이니라. 이것을 모든 법의 매우 깊은 모습이라고 말하니, 이른바 두 가지 법이 있을 수 없느니라.
모든 천자들아, 허공이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여(如)가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법성이 매우 깊고 실제가 매우 깊고 불가사의하여 끝이 없음이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오는 것도 없고 가는 것도 없음이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생한 적도 없고 멸한 적도 없으며, 더럽지도 않고 청정하지도 않으며, 앎도 없고 얻음도 없음이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모든 천자들아, 나가 매우 깊고, 나아가 아는 자와 보는 자가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모든 천자들아, 물질이 매우 깊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이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단나바라밀에서 반야바라밀에 이르기까지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내공에서 무법유법공에 이르기까지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4념처에서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 매우 깊은 까닭에 이 법도 심오하니라.”
그때 욕계와 색계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께서 말씀하신 법은 일체의 세간들로서는 능히 믿지 못할 것 같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심오한 법은 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하신 것이 아니고, 물질을 버리기 위하여 설하신 것이 아닙니다.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하신 것이 아니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을 버리기 위하여 설하신 것이 아닙니다. 수다원의 과위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하신 것이 아니고, 수다원의 과위를 버리기 위하여 설하신 것이 아닙니다. 나아가 일체종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하신 것이 아니고,
일체종지를 버리기 위하여 설하신 것이 아닙니다.
모든 세간은 모두가 수용하고 집착한 채 행하는 것이라고 설하시니, 이른바 물질이 나이고 나의 것이며,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이 나이고 나의 것이며, 나아가 18불공법이 나이고 나의 것이며, 수다원의 과위가 나이고 나의 것이며, 나아가 일체종지가 나이고 나의 것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모든 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모든 천자들아, 이 법은 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한 것이 아니고, 물질을 버리기 위하여 설한 것이 아니니라. 나아가 일체종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한 것이 아니고, 일체종지를 버리기 위하여 설한 것이 아니니라.
모든 천자들아, 만약 어떤 보살이 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행하고, 나아가 일체종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행한다면, 이 보살은 반야바라밀을 수행할 수 없느니라. 선나바라밀ㆍ비리야바라밀ㆍ찬제바라밀ㆍ시라바라밀을 수행할 수가 없고 단나바라밀을 수행할 수가 없느니라. 나아가 일체종지를 수행할 수가 없느니라.”
이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이 법은 온갖 법을 수순(隨順)합니다. 이 법이 어떠한 온갖 법을 수순합니까?”
이 법은 반야바라밀에서 단나바라밀에 이르기까지를 수순합니다. 이 법은 내공에서 무법유법공에 이르기까지를 수순합니다. 이 법은 4념처에서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를 수순합니다.
이 법은 장애가 없는 것이어서 물질에 걸리지 않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에 걸리지 않으며, 나아가 일체종지에 걸리지 않습니다.
모든 천자들이여, 이 법을 장애 없는 모습이라고 말하니, 허공 등과 같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와 법성과 법주와 실제와 불가사의한 성품 등과 같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과 무상, 무작 등과 같기 때문입니다.
이 법은 생하지 않은 모습이니, 물질은 생하지 않는 것이어서 얻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은 생하지 않는 것이어서 얻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나아가 일체종지는 생하지 않는 것이어서 얻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 법은 처소가 없으니, 물질의 처소는 얻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처소는 얻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나아가 일체종지의 처소는 얻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때 욕계와 색계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수보리는 부처님의 입으로부터 태어난 부처님의 아들입니다. 왜냐하면 수보리가 말한 것은 모두가 공과 합치하기 때문입니다.”
그때 수보리가 모든 천자들에게 말했다.
“그대들은 수보리가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난 부처님의 아들이라고 했는데 무엇을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났다고 하는지요?
모든 천자들이여, 여상(如相)인 까닭에 수보리는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난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래의 여상은 오지도 않고 가지도 않으며, 수보리의 여상도 오지도 않고 가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는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난 것입니다.
또한 수보리는 원래부터 줄곧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났습니다. 왜냐하면 여래의 여상은 바로 온갖 법의 여상이고, 온갖 법의 여상은 바로 여래의 여상으로서, 이러한 여상 가운데에는 또한 여상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를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났다고 하는 것입니다.
또한 여래의 여는 바로 항상 머무는 모습이고, 수보리의 여도 항상 머무는 모습입니다. 여래의 여상은 다름이 없고 차별이 없으며, 수보리의 여상도 또한 다름이 없고 차별이 없습니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를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났다고 하는 것입니다.
여래의 여상은 걸림이 있을 수 없고, 온갖 법의 여상도 또한 걸림이 없습니다. 이 여래의 여상과 온갖 법의 여상은 하나의 여이어서 둘이 없고 차별이 없습니다. 또한 지음이 없어서 마침내 여가 아닌 것이 아닙니다. 그러한 까닭에 이 여상은 하나의 여이어서 둘이 없고 차별이 없으니,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를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났다고 하는 것입니다.
여래의 여상은 모든
곳에서 사념이 없고 차별이 없으며, 수보리의 여상도 또한 그와 같이 모든 곳에서 사념이 없고 차별이 없습니다. 또한 여래의 여상은 다르지 않고 차별하지 않으며 얻을 수가 없고, 수보리의 여상도 또한 그와 같습니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를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났다고 하는 것입니다.
여래의 여상은 모든 법의 여상을 멀리 떠나지 않으니, 이 여는 마침내 여가 아닌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의 여도 다르지 않습니다. 나아가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난다고 해도 또한 부처님으로부터라는 곳은 없습니다.
또한 여래의 여상은 과거가 아니고 미래가 아니고 현재가 아니고, 모든 법의 여상도 또한 과거가 아니고 미래가 아니고 현재가 아닙니다. 이러한 까닭에 수보리를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났다고 하는 것입니다.
또한 여래의 여(如)는 과거의 여 가운데에 있지 않고, 과거의 여는 여래의 여 가운데에 있지 않습니다. 여래의 여는 미래의 여 가운데에 있지 않고, 미래의 여는 여래의 여 가운데에 있지 않습니다. 여래의 여는 현재의 여 가운데에 있지 않고, 현재의 여는 여래의 여 가운데에 있지 않습니다. 과거ㆍ미래ㆍ현재의 여와 여래의 여는 하나의 여이어서 둘이 없고 차별이 없습니다.
물질의 여가 여래의 여이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여가 여래의 여입니다. 이 물질의 여와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여와 여래의 여는 하나의 여이어서 둘이 없고 차별이 없습니다.
나의 여 내지 아는 자ㆍ보는 자의 여, 그리고 여래의 여는 하나의 여이어서 둘이 없고 차별이 없습니다. 단나바라밀의 여에서 반야바라밀의 여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내공의 여에서 무법유법공의 여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4념처의 여에서 일체종지의 여에 이르기까지 여래의 여는 하나의 여이어서 둘이 없고 차별이 없습니다.”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그와 같은 여를 얻은 까닭에 여래라고 부르느니라.”
이러한 여상품(如相品)을 설할 때에 이 삼천대천국토의 대지가 여섯 종류로 진동하였으니 동쪽에서
솟아 서쪽으로 잠기고, 서쪽에서 솟아 동쪽으로 잠기고, 남쪽에서 솟아 북쪽으로 잠기고, 북쪽에서 솟아 남쪽으로 잠기고, 중앙에서 솟아 사방으로 잠기고, 사방에서 솟아 중앙으로 잠겼다.
이때 욕계의 모든 천자들과 색계의 모든 천자들이 천상의 가루 전단향을 부처님 위에 뿌리고 수보리 위에도 뿌리면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일찍이 없었던 일입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는 여래의 여로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났습니다.”
수보리가 다시 모든 천자들을 위하여 말했다.
“모든 천자들이여, 수보리는 물질 가운데에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고, 물질의 여 가운데에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물질을 떠나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고, 또한 물질의 여를 떠나고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수보리는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 가운데에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고, 또한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여 가운데에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을 떠나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고, 또한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여를 떠나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나아가 일체종지 가운데에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고, 일체종지의 여 가운데에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일체종지를 떠나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고, 또한 일체종지의 여를 떠나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수보리는 무위(無爲) 가운데에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고, 무위의 여 가운데에서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무위 가운데를 떠난 채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고, 또한 무위를 떠난 것의 가운데를 떠난 채 부처님으로부터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이 온갖 법은 모두 있는 바가 없고 얻는 바가 없어서, 따라서 생하는 자도 없고, 또한 따라서 생하는 법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때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그러한 여는 진실 되고 허망하지 않습니다. 법상(法相)과 법주(法住)와 법위(法位)는 심오해서 이 가운데서는 물질을 얻을 수 없고, 물질의 여를 얻을 수 없습니다. 물질도 오히려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물질의 여이겠습니까.
느낌ㆍ
생각ㆍ지어감ㆍ분별도 오히려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여이겠습니까.
나아가 일체종지를 얻을 수 없고, 일체종지의 여를 얻을 수 없습니다. 일체종지도 오히려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일체종지의 여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사리불아, 여는 진실 되어 허망하지 않느니라. 법상과 법주와 법위는 심오해서 이 가운데서는 물질을 얻을 수가 없고, 물질의 여를 얻을 수 없느니라. 물질도 오히려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물질의 여이겠느냐.
내지 일체종지를 얻을 수 없고, 일체종지의 여를 얻을 수 없느니라. 일체종지도 오히려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일체종지의 여이겠느냐.”
사리불에게 이 여상을 설할 때, 2백 명의 비구는 온갖 법을 수용하지 않은 까닭에 치솟는 번뇌를 다하여 아라한이 되었다. 그리고 5백 명의 비구니는 티끌을 멀리하고 때를 떠나 모든 법 가운데서 법의 눈을 얻어 천상 사람으로 태어났다.
그리고 5천 명의 보살마하살은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었고, 6천 명의 보살은 모든 법을 수용하지 않은 까닭에 치솟는 번뇌를 다하여 마음에 해탈을 얻고 아라한이 되었다.
“사리불아, 이 6천 명의 보살은 앞의 세상에서 5백의 부처님을 뵙고 가까이하여 공양하였고, 5백 부처님의 가르침 가운데에서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을 행하였지만 반야바라밀이 없고 방편의 힘이 없었던 까닭에 다른 별도의 모습을 행하면서 생각하기를 ‘이것은 보시이고, 이것은 지계이고, 이것은 인욕이고, 이것은 정진이고, 이것은 선정이다’라고 했느니라.
반야바라밀이 없고 방편의 힘이 없었던 까닭에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
선정에 있어 다른 별도의 모습을 행하였고, 다른 별도의 모습을 행한 까닭에 무이상(無異相)을 얻지 못했느니라.
무이상을 얻지 못한 까닭에 보살의 지위에 들어감을 얻지 못했다. 보살의 지위에 들어감을 얻지 못한 까닭에 수다원의 과위를 얻고, 나아가 아라한의 과위를 얻은 것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의 길에 공과 무상과 무작의 법이 있다고 해도, 반야바라밀을 멀리 떠나고 방편의 힘이 없으면 문득 실제를 증득하게 되어 성문승에 집착하게 되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무슨 인연으로 똑같이 공과 무상과 무작의 법을 행하는데도 방편의 힘을 멀리 떠나면 실제를 증득하게 되어 성문승에 집착하게 되는지요? 그리고 보살마하살은 공과 무상과 무작의 법을 닦을 때에 방편의 힘이 있는 까닭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는지요?”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어떤 보살이든 살바야의 마음을 멀리 떠나고 공과 무상과 무작의 법을 닦되, 방편의 힘이 없는 까닭에 성문승에 집착하게 되느니라.
사리불아, 다시 어떤 보살마하살이든 살바야의 마음을 멀리 떠나지 않고 공과 무상과 무작의 법을 닦되, 방편의 힘이 있는 까닭에 보살의 지위에 들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느니라.
사리불아, 비유하건대 마치 어떤 새의 몸의 크기가 백 유순 또는 2백 유순 또는 3백 유순이지만 날개가 없다면 삼십삼천에서 스스로 염부제로 던져지는 것과 같으니라.
사리불아,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새가 중도에서 ‘삼십삼천으로 되돌아 올라가고 싶다’라고 생각한다면 능히 되돌아갈 수 있겠느냐?”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이 새가 다시 바라기를 ‘염부제에 도착하여 몸을 다치지 않고 번뇌롭지 않아야 한다’고 한다면 사리불아,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새가 다치지도 않고
번뇌롭지도 않겠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새가 땅에 도달하면 다처서 괴로워하고 혹은 죽거나 죽을 만큼의 고통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세존이시여, 이 새는 몸은 큰데 날개가 없기 때문입니다.”
“사리불아, 보살마하살도 그와 같으니라.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겁 동안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을 닦고 큰 사업을 일으키고 큰 마음을 내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위하여 한량없는 서원을 수용한다 해도, 이 보살이 반야바라밀이 방편의 힘을 멀리 떠나면 아라한에 떨어지고, 혹은 벽지불도에 떨어지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은 살바야의 마음을 멀리 떠났으니,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은 있지만 반야바라밀이 없고 방편의 힘이 없는 까닭에, 성문의 경지나 혹은 벽지불도 가운데에 떨어지는 것이니라.
사리불아, 보살마하살이 비록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을 염한다고 해도 지계ㆍ선정ㆍ지혜ㆍ해탈ㆍ해탈지견의 모습에 집착하여 받아 지닌다면, 이 사람은 모든 부처님의 계ㆍ정ㆍ혜ㆍ해탈ㆍ해탈지견을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느니라.
단지 공(空)과 무상(無相)과 무작(無作)이라는 명자(名字)의 소리만 들을 뿐, 명자의 소리를 취한 것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는 것이 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만약 그와 같이 회향한다면,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 가운데 머물러 벗어남을 얻을 수 없느니라. 왜냐하면 반야바라밀의 방편의 힘을 멀리 떠난 채 모든 선근을 가지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어떤 보살마하살은 처음으로 뜻을 일으킨 때부터 줄곧 살바야의 마음을 멀리 떠나지 않고,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을 행했느니라. 그리고
반야바라밀의 방편의 힘을 멀리 떠나지 않는 까닭에 모습에 집착하지 않고,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의 모습에 집착하지 않고, 무상과 무작의 해탈문의 모습에 집착하지 않느니라.
사리불아, 마땅히 알야야 하니 이 보살마하살은 성문이나 벽지불도에 떨어지지 않고 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처음으로 뜻을 일으킨 때부터 줄곧 보시를 행하되 모습에 집착하지 않고, 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을 행하되 모습에 집착하지 않고,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의 계ㆍ정ㆍ혜ㆍ해탈ㆍ해탈지견에서 모습에 집착하지 않기 때문이니라.
사리불아, 이것을 보살의 방편의 힘이라고 하느니라. 모습을 떠난 마음으로써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을 행하고, 나아가 모습을 떠난 마음으로써 일체종지를 행하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이해하기로는 만약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의 방편의 힘을 멀리 떠나지 않는다면, 이 보살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가까워졌다고 알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처음으로 뜻을 일으킨 때부터 줄곧 법에 대하여 가령 색ㆍ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 나아가 일체종지에 대하여 가히 아는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보살도를 구하는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반야바라밀과 방편의 힘을 멀리 떠나면, 이 사람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혹은 얻기도 하고 혹은 얻지 못한다고 마땅히 알아야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세존이시여, 이 보살도를 구하는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은 모든 보시에서 모두 모습에 집착하고, 모든 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에서 모두 모습에 집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까닭에 이 선남자ㆍ선여인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있어서 정해지지 않는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이러한 인연으로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면, 반야바라밀의 방편의 힘을 멀리 떠나지 않아야 합니다.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의 방편의 힘 가운데에 머물러 얻음이 없고, 모습이 없는 마음으로써 마땅히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을 수행해야 하고, 나아가 얻음이 없고 모습이 없는 마음으로써 마땅히 일체종지를 수행해야 합니다.”
그때 욕계와 색계의 모든 천자들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이 마땅히 일체의 법을 안다고 해도 그 법은 또한 얻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모든 천자들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기 어려우니라. 나도 또한 온갖 법과 일체종지를 얻은 것이 없다고 해야 하리니, 얻을 것도 없고 아는 것도 없고 가히 알 수 있는 것도 없으며 아는 자도 없느니라. 왜냐하면 모든 법은 끝내 청정하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라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기 어렵겠습니다. 그러나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이해하고, 저의 마음 가운데에서 생각한 대로라면 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기가 쉽습니다.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자도 없고, 또한 얻어야 할 법도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온갖 법은 온갖 법의 모습에 있어 공하여서 얻어야 할 법도 없고, 능히 얻을 자도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왜냐하면 온갖 법은 공인 까닭에 법에 더함이 없고, 법에 덜함이 없으니, 이른바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 내지 일체종지인 이 법은 모두가
가히 얻을 수 있는 자도 없고, 능히 얻을 자도 없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이러한 인연으로 저는 마음속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기 쉽다고 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세존이시여, 물질은 물질의 모습에 있어서 공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은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모습에 있어서 공하고, 나아가 일체종지는 일체종지의 모습에 있어서 공하기 때문입니다.”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가령 온갖 법이 공이어서 허공 같을지라도 허공은 ‘나는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야 한다’라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만약 보살마하살이 일체의 법이 공인 것을 허공 같다고 믿고 이해하면서 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기 쉽다고 한다면, 지금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모든 보살마하살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구했음에도 무슨 까닭으로 물러나서 돌아오겠습니까.
수보리여, 이러한 까닭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음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보리가 사리불에게 말했다.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물질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나아가 일체종지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물질을 떠난 어떤 법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을 떠난 어떤 법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내지 일체종지를 떠난 어떤 법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사리불이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물질의
여상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여상(如相), 나아가 일체종지의 여상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색의 여상을 떠난 어떤 법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여상을 떠나고, 나아가 일체종지의 여상을 떠난 어떤 법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사리불이여,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일의 여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법성과 법주와 법위와 실제와 불가사의한 성품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사리불이여,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일의 여를 떠난 어떤 법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법성ㆍ법주ㆍ법위ㆍ실제ㆍ불가사의한 성품을 떠난 어떤 법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수보리가 사리불에게 말했다.
“만약 모든 법은 끝내 얻을 수가 없는 것이라고 하면, 어떠한 것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옵니까?”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말했다.
“수보리께서 설한 대로라면 이 법인(法忍) 가운데는 보살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하여 물러나서 돌아오는 이가 있을 수 없습니다. 실로 부처님께서는 도를 구하는 사람에게 아라한도와 벽지불도와 불도의 세 종류가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만약 물러나서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 이 세 종류는
분별이 없게 됩니다.
수보리께서 설한 대로라면 오직 하나 보살마하살만이 불도를 구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때 부루나미다라니자(富樓那彌多羅尼子)가 사리불에게 말했다.
“하나의 보살승만이 있다고 하는지, 어떤지를 마땅히 수보리에게 물어야 합니다.”
그때 사리불이 수보리에 물었다.
“수보리여, 하나의 보살승만이 있다고 설하는 것인지요?”
수보리가 사리불에게 말했다.
“모든 법의 여(如) 가운데에 세 가지 탈것인 성문승과 벽지불승과 불승이 있다고 여기십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사리불이여, 3승을 분별하는 가운데서 어떤 여를 얻을 수 있는지요?”
사리불이 말했다.
‘없습니다.”
“사리불이여, 여에는 가령 한 가지 모습이나 두 가지 모습 혹은 세 가지 모습이 있는지요?”
사리불이 말했다.
‘없습니다.”
“사리불이여, 그대는 여 가운데서 내지 하나의 보살이라도 있다고 여기십니까?”
사리불이 말했다.
‘아닙니다.”
“그와 같이 네 종류 가운데서 3승의 사람은 얻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사리불이여, ‘어찌하여 이 자는 성문승을 구하는 사람이다, 이 자는 벽지불승을 구하는 사람이다, 이 자는 불승을 구하는 사람이다’라는 생각을 하십니까?
사리불이여, 보살마하살은 이 모든 법의 여상을 듣고서 마음에 놀라지 않고, 위축되지 않으며, 후회하지 않고, 의심하지 않습니다. 이것을 보살마하살은 능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한다고 말합니다.”
그때 부처님께서 수보리를 칭찬하여 말씀하셨다.
“참으로 훌륭하구나. 수보리야, 그대가 말한 것은 모두가 부처님의 위신력이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마하살이 이러한 모든 법과 별도로 다른 것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듣고서 마음으로 놀라거나 두려워하거나 무서워하지도 않으며 위축되거나 후회하지도 않는다면, 이 보살은 능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한다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사리불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떠한 깨달음을 성취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만약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어떻게 닦아야만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평등한 마음을 일으켜야 하나니, 온갖 중생들에 대하여 또한 평등한 마음으로써 함께 말하고, 붕당(朋黨)을 짓지 말아야 하느니라. 온갖 중생들 가운데에서 대자심(大慈心)을 일으키고, 또한 대자심으로 함께 말해야 하느니라.
온갖 중생들 가운데에서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또한 겸손한 마음으로써 함께 말해야 하느니라. 온갖 중생들 가운데에서 마땅히 안정감을 주는 마음을 일으켜야 하고, 또한 안정감을 주는 마음으로써 함께 말해야 하느니라. 온갖 중생들 가운데에서 마땅히 걸림이 없는 마음을 일으켜야 하고, 또한 걸림이 없는 마음으로써 함께 말해야 하느니라.
온갖 중생들 가운데에서 마땅히 고뇌가 없는 마음을 일으켜야 하고, 또한 고뇌가 없는 마음으로써 함께 말해야 하느니라. 온갖 중생들 가운데에서 마땅히 사랑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일으켜야 하니, 아버지처럼 대하거나 어머니처럼 대하거나 형처럼 대하거나 동생처럼 대하거나 자매처럼 대하거나 아들처럼 대하거나 친족처럼 대하거나 선지식처럼 여기고, 또한 사랑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써 함께 말해야 하느니라.
이 보살마하살은 스스로 살생하지 않고, 또한 타인으로 하여금 살생하게 하지 않으며, 살생하지 않는 법을 찬탄하고 살생하지 않는 모든 사람을 환희하고 찬탄하느니라. 나아가 스스로 사견을 행하지 않고, 또한 여느 사람으로 하여금 사견을 행하지 않게 하고, 사견이 아닌 법을 찬탄하며, 사견을 지니지 않은 자를 환희하고 찬탄하느니라. 그와 같이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마땅히 이렇게 행해야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스스로 초선(初禪)을 실천하고 또한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초선을 실천하게 하며, 초선을 실천하는 법을 찬탄하고 초선을 실천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제2선과 제3선과 제4선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자심(慈心)을 실천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자심을 실천하게 하며, 자심을 실천하는 법을 찬탄하고, 자심을 실천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비심ㆍ희심ㆍ사심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스스로 허공처를 실천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허공처를 실천하게 하며, 허공처를 실천하는 법을 찬탄하고, 허공처를 실천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식처 또는 무소유처 또는 비유상비무상처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스스로 단나바라밀을 구족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단나바라밀을 원만히 구족하게 하며, 단나바라밀을 원만히 구족하는 법을 찬탄하고, 단나바라밀을 원만히 구족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ㆍ반야바라밀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또한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스스로 내공을 실천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내공을 실천하게 하며, 내공을 실천하는 법을 찬탄하고, 내공을 실천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나아가 무법유공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스스로 4념처를 실천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4념처를 실천하게 하며, 4념처를 실천하는 법을 찬탄하고, 4념처를 실천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나아가 8성도분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스스로 공삼매ㆍ무상삼매ㆍ무작삼매를 닦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공삼매ㆍ무상삼매ㆍ무작삼매를 닦게 하며, 공삼매ㆍ무상삼매ㆍ무작삼매를 닦는 법을 찬탄하고, 공삼매ㆍ무상삼매ㆍ무작삼매를 닦는 자를 환희하고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8배사(背捨)를 실천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8배사를 실천하게 하며,
8배사를 실천하는 법을 찬탄하고, 8배사를 실천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9차제정(次第定)을 실천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9차제정을 실천하게 하며, 9차제정을 실천하는 법을 찬탄하고, 9차제정을 실천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부처님의 10력을 원만히 구족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부처님의 10력을 원만히 구족하게 하며, 부처님의 10력을 원만히 구족하는 법을 찬탄하고, 부처님의 10력을 원만히 구족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4무소외ㆍ4무애지ㆍ18불공법ㆍ대자대비를 실천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4무소외 내지 대자대비를 실천하게 하며, 4무소외 내지 대자대비를 실천하는 법을 찬탄하고, 4무소외 내지 대자대비를 실천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순역(順逆)으로 12연기를 관찰하고, 또는 남으로 하여금 역과 순으로 12연기를 관찰하게 하며, 역과 순으로 12연기를 관찰하는 법을 찬탄하고, 역과 순으로 12연기를 관찰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마땅히 이와 같이 행해야 하느니라.
또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스스로 고를 알고 집을 끊고 멸을 증득하고 도를 닦아야 하느니라. 또한 남으로 하여금 고를 알고 집을 끊으며 멸을 증득하고 도를 닦게 하며, 고를 알고 집을 끊고 멸을 증득하고 도를 닦는 법을 찬탄하며, 고를 알고 집을 끊으며 멸을 증득하고 도를 닦는 이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수다원의 과위를 증득하는 지혜를 일으키되 수다원의 과위의 실제를 증득하지 않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수다원의 과위 가운데에 있게 하며, 수다원의 과위의 법을 찬탄하고, 수다원의 과위를 얻은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사다함의 과위 또는 아나함의 과위 또는 아라한의 과위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스스로 벽지불도를 증득하는 지혜를 일으키되 벽지불도를 증득하지 않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벽지불도 가운데에 있게 하며, 벽지불도의 법을 찬탄하고, 벽지불도를 얻은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보살의 지위에 들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보살의 지위에 들게 하며, 보살의 지위에 드는 법을 찬탄하고, 보살의 지위에 든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부처님의 국토를 정화하고 중생의 이익을 성취하며, 또한 남으로 하여금 부처님의 국토를 정화하고 중생의 이익을 성취하게 하며, 부처님의 국토를 정화하고 중생의 이익을 성취하는 법을 찬탄하며, 부처님의 국토를 정화하고 중생의 이익을 성취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보살의 신통을 일으키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보살의 신통을 일으키게 하며, 보살의 신통을 일으키는 법을 찬탄하고, 보살의 신통을 일으키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일체종지를 일으키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일체종지를 일으키게 하며, 일체종지를 일으키는 법을 찬탄하고, 일체종지를 일으키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 일체의 결박과 수면을 끊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일체의 결박과 수면을 끊게 하며, 일체의 결박과 수면을 끊는 법을 찬탄하고, 일체의 결박과 수면을 끊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마땅히 그와 같이 행해야 하느니라.
또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수명의 성취를 취하고, 또한 남으로 하여금 수명의 성취를 취하게 하며, 수명의 성취를 취하는 법을 찬탄하고, 수명의 성취를 취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스스로의 법의 머무름을 성취하고 법을 찬탄하고, 법의 머무름을 성취하게 하며, 법의 머무름을 성취하는 법을 찬탄하고, 법의 머무름을 성취하는 자를 환희하며 찬탄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고자 하면 마땅히 그와 같이 행해야 하고, 마땅히 그와 같이 반야바라밀의 방편의 힘을 배워야만 하느니라.
보살은 이와 같이 배우고, 이와 같이 행할 때에 마땅히 물질에 걸림이 없음을 얻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에 걸림이 없음을 얻으며, 나아가 법이 머무름에 걸림이 없음을 얻게 되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원래부터 줄곧 물질을 수용하지 않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을 수용하지 않았으며, 나아가 일체종지를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물질을 수용하지 않는 것이 물질이 될 수 없고, 나아가 일체종지를 수용하지 않는 것이 일체종지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니라.”
이 보살이 실천하는 품을 말씀하실 때에 2천 명의 보살이 무생법인을 얻었다.
55. 불퇴품(不退品)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떠한 행과 어떠한 류(類)와 어떠한 모습을 지닌다면, 그가 아유월치(阿惟越致)의 지위의 보살마하살임을 알 수 있는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보살마하살이 능히 범부의 경지 또는 성문의 경지 또는 벽지불의 경지 또는 부처님의 경지 등 모든 경지가 여상(如相) 가운데서는 둘이 없고 분별이 없다고 안다면, 여상을 사념하지도 않고 분별하지도 않아야 하느니라. 그리고 이 여 가운데 들어가서는 이 일을 듣고서 바로 지나가서 의심이 없느니라. 왜냐하면 이 여 가운데는 한 가지 모습도 없고 두 가지 모습도 없기 때문이니라. 이 보살마하살은 또한 이익이 없는 말을 하지 않고, 단지 이익에 상응하는 말만을 하며 타인의 장단점을 보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임을 알 수가 있느니라.”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다시 어떠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을 알 수 있는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보살마하살이 능히 온갖 법은 행상도 없고 종류도 없으며 특징도 없다고 관찰한다면,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한다고 알아야 하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만약 온갖 법은 행상도 없고 종류도 없으며 특징도 없다면, 이 보살은 어떠한 법을 굴리면서도 굴리지 않는다고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보살마하살이 물질 가운데서 굴리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 가운데서 굴린다면, 이것을 바로 보살이 굴리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단나바라밀 가운데서 굴리고, 나아가 반야바라밀 가운데서 굴리며, 내공 내지 무법유법공 가운데에서 굴리며, 4념처 내지 18불공법 가운데에서 굴리며,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 가운데서 굴리며,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가운데에서 굴린다면, 이것을 보살마하살이 전전하지 않는다고 알아야 하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물질은 성품이 없기 때문이니, 이 보살이 어디에 머물겠느냐.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성품이 없기 때문이니, 이 보살이 어디에 머물겠느냐.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사문 또는 바라문이 외도일 경우 그 모습이나 언어를 보지 않기에 ‘이 많은 외도의 사문 또는 바라문이 있는 대로 알고, 있는 대로 본다’고 생각하지 않느니라. 만약 바른 견해를 말한다면 이러한 일은 있을 수 없느니라.
또한 보살은 의혹을 일으키지 않고 계취(戒取)에 집착하지 않으며, 사견에 떨어지지 않고, 또한 세속적인 행복을 구하여서 청정을 삼지 않으며, 꽃ㆍ향ㆍ영락ㆍ깃발ㆍ일산ㆍ음악으로써 다른 하늘을 예배 또는 공양하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은 언제나 하천한 집안에 태어나지 않고, 나아가 여덟 가지 어려운 곳에 태어나지 않으며, 결코 여인의 몸을 받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이 보살마하살은 언제나 10선도(善道)를 행하니, 스스로 살생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살생하지 않게 하며, 살생하지 않는 법을 찬탄하고, 살생하지 않는 자를 환희하고 찬탄하느니라. 나아가 스스로 사견을 일으키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사견을 내지 않게 하며, 사견의 법을 찬탄하지 않고, 사견을 행하는 이를 환희하고 찬탄하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꿈속에서도 또한 10불선도를 행하지 않느니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온갖 중생들의 이익을 위하여 단나바라밀을 행하고, 나아가 온갖 중생들의 이익을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존재하는 모든 법을 받아 지니고 독송하고 설하고 바르게 억념하니, 이른바 수투로(修妬路)에서 우파제사(憂波提舍)에 이르기까지이니라. 이 보살은 법을 베풀 때에 이러한 생각을 하느니라.
‘이렇게 법을 베푼 인연으로 온갖 중생들의 소원이 원만해지고 이렇게 법을 베푼 공덕을 온갖 중생들과 함께하여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리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심오한 법문 가운데서 의심하지 않고 후회하지 않느니라.”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보살은 심오한 법문 가운데서 무슨 인연으로 의심하지 않고 후회하지 않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아유월치의 보살은 어떤 법에서도 의혹을 일으킬 수 있는 곳을 보지 않으니, 가령 물질 또는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법에서 의심과 후회를 일으킬 수가 있는 곳을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몸과 말과 뜻으로 짓는 업이 부드럽고 연하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즐거움을 주는 마음으로써 몸과 말과 뜻으로 짓는 업을 성취하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음욕ㆍ성냄ㆍ수면ㆍ들뜨고 후회하거나 의심하는 등의 5개(蓋)1)와 함께하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모든 곳에서 애착하는 것이 없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나가고 들어오고 가고 오고 앉고 눕고 행하고 머무는 데 있어, 언제나 일심(一心)으로 억념하느니라. 또한 나가고 들어오고 가고 오고 앉고 눕고 행하고 머물고 발을 들고 발을 내리는 데 있어, 평안하고 세심하게 하고 언제나
일심으로 생각하고 땅을 보면서 다닌다.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가지고 있는 의복 또는 침구 등에 대해 사람들은 나쁘다거나 더럽다고 하지 않느니라. 스스로 정결함을 즐기어 질병이 적으니,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통 사람의 몸속에는 8만 가지의 집벌레가 있어서 그 몸을 침식하지만, 이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의 몸에는 이러한 집벌레가 없느니라. 왜냐하면 이 보살의 공덕은 세간에서 벗어나기 때문이니, 이러한 까닭에 이 보살은 이러한 벌레가 없느니라.
그리고 이 보살은 공덕을 더욱더 늘어나게 하거니와 그 공덕에 따라서 몸의 청정을 얻고 마음의 청정을 얻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무엇을 보살마하살이 몸의 청정을 얻고 마음의 청정을 얻는 것이라고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그 얻은 바를 따라서 선근을 더욱더 늘리고 비뚤어진 마음과 삿된 마음을 소멸시키느니라. 수보리야, 이것을 보살마하살의 몸이 청정하고 마음이 청정하다고 하느니라. 이렇게 몸과 마음이 청정한 까닭에 능히 성문이나 벽지불의 경지를 지나 보살의 지위에 드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이양(利養)을 귀중하게 여기지 않고, 12 두타를 행한다고 해도 아란야(阿蘭若)2)에 머무는 것도 귀중하게 여기지 않으며, 단지 세 벌의 옷만을 가지는 법을 귀중하게 여기지도 않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언제나 아끼고 탐내고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파계의 마음 또는 화내는 마음 또는 게으른 마음 또는 산란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며, 어리석은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질투의 마음을 일으키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 부른다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마음이 흔들리지 않음에 머물고 지혜는 깊이 들어가 있으므로, 일심으로 듣고 받아들이고 다른 것에서 들은 법과 세간의 일이 모두 반야바라밀과 합치되느니라.
이 보살마하살은 산업(産業)의 일로서도 법성에 들어가지 않은 자를 보지 않으니, 이 일의 일체가 모두 반야바라밀과 합치하는 것을 보느니라. 이러한 인연으로 이것을 아유월치 보살마하살의 불퇴전지의 모습이라고 부르느니라.
또 수보리야, 만일 악마가 아유월치의 보살 앞에서 여덟 가지 큰 지옥을 변화로써 만들어 내어 하나하나의 지옥 속에 천억만의 보살을 있게 하고, 모두를 태우고 끓여서 모든 혹독한 고통을 받게 하고는 보살에게 이렇게 말하느니라.
‘이 모든 보살은 모두 불퇴전지인데, 부처님에게서 큰 지옥에 떨어지리라는 기별을 받은 것이니라. 그대가 만약 부처님에게서 불퇴전지의 기별을 받았다고 하면 마땅히 이 큰 지옥에 떨어질 것이다. 부처님께서 그대에게 지옥의 기별을 준 것이기 때문이니라. 그대는 오히려 보살의 마음을 버려서 지옥에 떨어지지 말고 천상에 나는 것을 얻음만 같지 못하리라.’
그렇지만 수보리야, 이 보살은 이러한 일을 보고 이러한 일을 듣더라도 마음이 동요하지 않고 의심하지 않으며 놀라지 않고 오히려 이렇게 생각하느니라.
‘아유월치의 보살이 지옥이나 축생 또는 악귀 가운데 떨어진다는 것은 결코 있을 리 없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악마가 변화하여 비구가 되어 그 복장을 입고 보살이 있는 곳에 찾아와서 보살에게 이렇게 말하느니라.
‘그대는 앞서 그와 같은 6바라밀을 청정하게 닦고,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청정하게 닦아야 한다고 들었지만, 이 일을 그대는 신속히 뉘우치고 버리시오. 그대는 앞서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 처소에서 초발심 보살 때부터 내지 법에 머무를 때까지의 그 중간에서 지었던 선근을 기뻐하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한다고 했는데, 이러한 일도 그대는 또한 신속히 버리시오.
만약 그대가 신속히 버린다면 내가 마땅히 그대에게 참된 불법을 말해주겠소. 그대가 앞서 들은 것은 모두가 부처님의 법이 아니고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니니, 이것은 모두 문장을 꾸미고 모아서 만든 것일 따름이고 실로 내가 설하는 것이 참된 불법이오.’
그런 경우에 만일 보살이 그렇게 말하는 것을 듣고서 마음에 놀라고 의심하고 후회한다면, 이 보살은 아직 모든 부처님에게 마땅히 부처님이 되리라는 수기를 받지 못한 것이고 아직 불퇴전지 가운데 안주하지 못한 것이니라.
만일 이 보살이 마음에 동요하지 않고 놀라지 않으며 의심하지 않고 후회하지 않는다면, 지음이 없고 생함이 없는 법에서 수순하고 의지하는 것이니, 남의 말을 믿지 않고 남의 행을 따르지 않느니라. 그리고 6바라밀을 행할 때에도 남의 말에 따르지 않고,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행할 때에도 남의 말에 따르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치솟는 번뇌가 다한 아라한은 남의 말을 믿지 않고, 남의 행을 따르지 않으며, 현전하는 모든 법의 실상을 보아 악마의 영향력이 미칠 수 없는 것과 같으니라. 그와 같이 수보리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도 또한 성문이나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이 파괴할 수가 없고, 그 마음을 굴복시킬 수가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반드시 결단코
불퇴전지 가운데 머물러서 남의 말을 따르지 않고, 나아가 부처님의 말조차 곧바로 믿어 취하지 않느니라. 어찌 하물며 성문이나 벽지불을 구하는 사람이나 악마 또는 외도 또는 범지의 말이겠느냐?
결코 그런 일은 있을 수 없으니, 왜냐하면 이 보살은 어떤 법이든 믿고 따르는 자가 있다고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이른바 물질 또는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 또는 물질의 여(如) 내지 식의 여가 있음을 보지 않고,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여가 있는 것까지도 보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한 수보리야, 악마가 비구의 몸으로 화하여 보살이 있는 곳에 찾아와서 보살에게 말하느니라.
‘그대가 행하는 것은 바로 생사의 법이지, 살바야의 길이 아니오. 그대는 이제 몸으로 괴로움이 다하는 것을 취하여 증득하시오.’
그러나 이때 악마는 보살을 위하여 세간의 행상을 사용하여 유사한 길을 설하느니라. 이 유사한 도법은 삼계에 얽매인 것으로, 이른바 골상관(骨相觀) 또는 초선에서 비유상비무상에 이르기까지이니라. 다시 그는 말하기를 ‘선남자여, 이러한 도로써 그리고 이러한 행으로써 마땅히 수다원의 과위를 얻어야 하고, 나아가 마땅히 아라한의 과위를 얻어야 하오. 그대는 이러한 도를 행하여 금세에 고통을 다할 수 있는데도 생사 가운데서 갖가지 고뇌를 받으려고 하는 것이오? 지금 이 4대(大)로 된 몸조차도 수용하지 않아야 하거늘, 어찌 하물며 다시 내생의 몸을 받으려고 하는 것이오?’라고 하느니라.
이때 수보리야, 이 보살마하살이 마음에 놀라지 않고 의심하지 않으며 후회하지 않고 곧 ‘이 비구는 나에게 이익을 준 것이 적지 않다. 나를 위하여 유사한 도법을 설하지만, 이 유사한 도법은 행한다 하여도 수다원과의 증득에 도달하는 것을 얻을 수 없고, 아라한 또는 벽지불도의 증득에 도달하는 것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도달하는 것을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생각하느니라.
그리하여 이
보살마하살은 더욱더 환희하여 생각하기를, 곧 ‘이 비구는 나에게 이익을 줌이 적지 않다. 나를 위하여 도를 막는 법을 설하였는데, 나는 이것이 도를 막는 법이라고 알아서 3승의 도를 배우는 데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리라’고 하느니라.
이때 악마는 보살이 환희하고 있는 것을 알고는 이렇게 말하느니라.
‘그대 선남자여, 그대는 보고 싶은가? 이 보살마하살은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모든 부처님에게 공양했으니, 그는 먼저 의복ㆍ음식ㆍ침구ㆍ의약ㆍ생활필수품을 공양했으며, 또한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모든 부처님의 처소에서 단나바라밀ㆍ시라바라밀ㆍ찬제바라밀ㆍ비리야바라밀ㆍ선나바라밀ㆍ반야바라밀을 행했소. 또한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모든 부처님께 다가가 보살마하살의 도를 청하여 묻기를,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은 어떻게 보살마하살의 탈것에 머물러야 하고, 어떻게 단나바라밀ㆍ시라바라밀ㆍ찬제바라밀ㆍ비리야바라밀ㆍ선나바라밀ㆍ반야바라밀ㆍ4념처 내지 대자대비를 행해야 하는지요?라고 하며, 이처럼 이 보살마하살은 부처님께서 가르친바 그대로 머물고 그대로 행하고 그대로 수행했던 것이오. 하지만 이 보살마하살은 가르침을 그와 같이 배웠지만 역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지 못했고 살바야를 얻지 못했소. 그런데 하물며 그대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있겠소?’
그렇지만 보살마하살은 이 일을 듣고서도 마음이 변하지 않고 놀라지 않으며 더욱더 환희하여 생각하느니라.
‘이 비구는 나에게 이익을 줌이 적지 않다. 나를 위하여 도를 막는 법을 설하였는데 이 도를 막는 법으로는 수다원도를 얻을 수 없고, 나아가 아라한 또는 벽지불도를 얻을 수 없다. 그런데 어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있겠는가’
이때 악마는 이 보살의 마음이 위축되지 않고 놀라지 않는 것을 알고서는 바로 그곳에서 변화로 많은 비구를 만들어 낸 뒤 보살에게 말하느니라.
‘이들은 모두 마음을 일으켜 불도를 구하는 보살들인데 지금은 모두가 아라한의 경지에 머물고 있다. 이 무리들도 오히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가 없었는데 그대가 어찌 얻겠는가?’
이에 보살마하살은 생각하느니라.
‘이것은 악마가 사이비 도의 행을 설하는 것이다.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굴리지 않고 또한 성문이나 벽지불도에 떨어지지도 않는다.’
다시 이렇게 생각하느니라.
‘단나바라밀ㆍ시라바라밀ㆍ찬제바라밀ㆍ비리야바라밀ㆍ선나바라밀ㆍ반야바라밀 내지 일체종지를 행하더라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수보리야,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또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이렇게 생각하느니라.
‘만약 보살이 능히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반야바라밀의 마음 내지 일체종지를 멀리 떠나지 않으면 이 보살은 결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물러서지 않는다. 만일 보살이 악마의 일을 안다면 또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잃지 않는다.’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떠한 것에 대하여 전전(展轉)하는 것을 일컬어 전전하지 않는다고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물질의 모습에 대하여 굴리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분별의 모습에 대하여 굴리며, 12처의 모습 또는
18계의 모습, 그리고 음욕과 진에와 우치의 모습 그리고 사견의 모습에 대하여 전전하느니라. 그리고 4념처 내지 성문이나 벽지불의 모습 내지 부처님의 모습에 대하여 전전하느니라.
이러한 까닭에 일컬어 아유월치 보살마하살의 모습이라고 하느니라. 왜냐하면 아유월치 보살마하살은 자상이 공한 법[自相空法]으로써 보살의 지위에 들어 무생법인을 얻었기 때문이니라.
무슨 까닭에 무생법인이라고 하는가? 이 가운데서는 결단코 아주 조그마한 법도 얻을 수가 없기 때문이니라. 그리고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짓지 않고, 짓지 않기 때문에 생하지 않느니라. 이것을 무생법인이라고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은 이러한 행상과 종류와 특징으로써 이를 아유월치의 보살마하살이라고 알아야만 하느니라.”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4180 불교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18권 (0) | 2024.05.11 |
---|---|
[적어보자] #4179 불교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17권 (0) | 2024.05.11 |
[적어보자] #4177 불교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15권 (0) | 2024.05.11 |
[적어보자] #4176 불교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14권 (0) | 2024.05.11 |
[적어보자] #4175 불교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13권 (0) | 2024.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