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3203 불교 (대방광보협경/大方廣寶篋經) 상권

by Kay/케이 2023. 10. 29.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대방광보협경(大方廣寶篋經) 상권

 

대방광보협경(大方廣寶篋經) 상권


송(宋) 천축(天竺)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김달진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舍衛國)의 기타숲[祇陀林]에 있는 급고독정사[給孤窮精舍]에서 큰 비구 1,250사람과 보살 5천 사람과 함께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가리라(迦利羅) 화원(花園)에 머무르시면서 보살과 성문 대중에 둘러싸인 채 법을 말씀하셨다.
마침 문수사리 동자도 5백 보살과 제석천(帝釋天)과 범천(梵天)과 사천왕[護世] 등과 더불어 공경히 둘러싸인 채 세존 앞에 나아가 부처님 발아래 예배하고 일곱 번 돈 다음 한쪽으로 물러앉아 있었으며, 그 권속도 한쪽으로 물러앉아 있었다.
이에 문수사리 동자는 세존께 여쭈었다.
“오늘 여래께서 무슨 법을 말씀하십니까? 차례대로 계속 말씀하셔서 끊임이 없게 해주십시오.”
이 무렵에 대덕(大德) 수보리(須菩提)가 문수사리에게 말하였다.
“세존께서 먼저 성문을 위하여 설법하셨으니, 저는 지금 당신에게 보살법을 말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문수사리 동자는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대덕이여, 지금 그대 수보리와 일체 성문ㆍ연각 등 보살의 법기(法器)가 아닌 이를 위하여 보살법을 말하겠습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말씀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모든 근기의 중생들이 마땅히 들어 받겠습니다.”
문수사리는 동자에게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지금 그대는 부처의 법기와 부처의 법기가 아닌 것을 알겠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저희들 성문은 남의 소리만을 듣고서 아니, 어찌 부처의 법기와 부처의 법기가 아닌 것을 알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문수사리시여,
저는 당신께서 이 부처의 법기와 부처의 법기가 아닌 것을 말씀하여 주시기를 청하는 바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정위(正位)에 드는 것은 이미 법계에 얽매였기 때문에 모두 법기가 아닙니다.
만일 법계를 관찰하되 일체 중생을 버리지 않아 정위에도 떨어지지 않고 얽매인 데도 같이 머물지 않는다면 그런 무리는 이 부처님의 법기라 합니다.
또한 대덕 수보리여, 만일 법을 배움이 무학(無學)의 자리에 이르러 법계에 얽매여 버린 이가 일체 중생을 버리고 얽매인 데도 초조하여 게으른 마음이 생기고 삼계를 무서워하며, 나아가 잠깐 동안이라도 얽매인 데에 머물기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런 무리는 부처의 법기(法器)가 아니라 합니다.
대덕 수보리여, 만일 능히 미래제(未來際)의 겁이 다하도록 훌륭한 장엄을 일으켜 놀라지도 않고 무서워하지도 않으며 삼계를 헤매되, 3독[三垢]에 더럽혀지지 않으며, 생사 가운데서도 마치 원림(園林)과 같다는 생각을 내어서 모든 유(有)를 좋아하되 또한 유에 얽매이지도 않는다면 그런 무리는 부처의 법기라 합니다.
또한 대덕 수보리여, 만일 탐욕이 없되 탐욕을 나타내 보이고, 성냄이 없되 성냄을 나타내 보이고, 어리석음이 없되 어리석음을 나타내어 번뇌를 끊어버리고, 현재 삼계에 머물러 중생을 인도하되 스스로 높은 체함이 없으며, 능히 일체 중생의 무거운 짐을 짊어져서 더할 나위 없는 삼보의 종성(種性)을 끊이지 않게 하고 삼매문에 머물게 한다면, 그런 무리는 부처의 법기라 합니다.”
대덕 수보리는 문수사리에게 말하였다.
“법성(法性)이 바로 하나인 진여이며 하나인 실제(實際)인데 어찌 ‘법기다, 법기가 아니다’라고 분별하여 말씀하십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비유컨대 질그릇 굽는 이가 한 가지 진흙으로 갖가지 그릇을 만들고, 또한 똑같은 불로 갖가지 그릇을 굽는데, 혹은 기름 그릇을 만들기도 하고, 혹은 소(蘇) 담는 그릇을 만들기도 하고, 혹은 꿀물 그릇을 만들기도 하고, 혹은 부정(不淨)한 것을 담는 그릇을 만들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진흙의
성질은 차별이 없습니다.
불 또한 아무 차별이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대덕 수보리여, 하나의 법성에 하나인 진여와 하나인 실제인데도 다만 그 업행을 따라 근기의 차별이 있습니다. 즉 소(蘇)나 기름 담는 그릇은 성문이나 연각에 비유하였고, 꿀물 담는 그릇은 모든 보살에 비유하였고, 부정한 것을 담는 그릇은 조그마한 범부에 비유한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이 그릇인 것을 그릇이 아니라 하기도 하고, 그릇이 아닌 것을 그릇이라 할 수도 있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럴 수도 있습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어찌 그렇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일체 번뇌를 그릇이 아니라 하고 일체 번뇌의 쌓임도 그릇이 아니라 하여 이것을 모두 그릇이 아니라고 하지만 도리어 부처의 법이라 하기도 하고, 또한 일체 번뇌를 아주 끊은 그러한 그릇은 부처의 법기가 아니라 합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말씀하신 그릇이란, 무엇을 담은 것입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담은 것 없음이 즉 담은 것입니다. 만일 담은 것이 새지[漏] 않는다면 바로 완전한 그릇이며, 그 담은 것이 샌다면 바로 깨뜨려진 그릇입니다. 대덕 수보리여, 마치 허공과 같아 모든 약초ㆍ나무나 덤불ㆍ숲 등의 기체(器體)도 이 그릇이 아닌 것입니다.
그러므로 대덕 수보리여, 보살 또한 그러하여 부처의 법기도 바로 법기가 아닌 것입니다. 또한 대덕 수보리여, 땅으로부터 생겨나는 나무도 허공을 그릇으로 삼는지라, 점차 증장(增長)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대덕 수보리여, 보살도 착한 마음을 쫓아 수행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의 그릇이 점차 증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보살은 무엇이 증장합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저 허공이 증장한 것과 보살이 증장한 것이 또한 마찬가지라 하겠으나, 사실 보살은 증장하는 것도 없고 감퇴하는 것도 없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번뇌[結使]를 증장하지도 않고 불법을 감퇴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시여, 불법과 번뇌는 어떤 차별이 있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수미산의 광채가 비추는 곳에는 죄다 같은 빛깔뿐인 것이니, 즉 금빛을 말합니다. 대덕 수보리여, 반야의 광명이 일체 번뇌를 비추는 곳에는 죄다 같은 빛깔뿐인 것이니, 즉 불법의 빛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여, 불법이나 번뇌를 반야, 지혜로써 관조한다면 평등하여 아무 차별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대덕 수보리여, 일체 모든 법이 모두 이 불법인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무슨 까닭에 일체 모든 법이 모두 이 불법이라 하십니까?”
문수사리는 대답하였다.
“부처님의 지혜라야 깨달을 바입니다.”
또 물었다.
“어찌 부처님의 지혜라야 깨달을 바라 합니까?”
문수사리는 대답하였다.
“그대여, 처음도 나중도 똑같이 진여(眞如)를 여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부처님의 지혜라야 깨달을 바라 한 것입니다.”
또 물었다.
“말씀하신 처음과 나중이란 무엇을 이른 말씀입니까?”
문수사리는 대답하였다.
“처음은 비고[空] 나중은 고요하기 때문에 처음과 나중이라 말한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빈 것과 고요한 것이 어떤 차별이 있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그대의 의향에는 어떻습니까? 저 생금(生金)과 숙금(熟金)이 무슨 차별이 있겠습니까?”
대답하였다.
“말[言說]로써 차별이 있는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말로써 비었다 말하고 고요하다 말하지만, 지혜로운 이는 문자(文字)에 집착하지도 않고 문자를 고집하지도 않는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시여, 범부와 지혜로운 이가 어떤 차별의 모양이 있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업(業)의 모양 때문에 범부라 하고, 또한 업의 모양 때문에 지혜로운 이라 하는 것입니다.”
수보리는 물었다.
“문수사리여, 업은 무슨 모양이 있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인연이 즉 모양이니, 그 행을 따라 차별이라는 이름이 있는 것이며, 만일 그 행이 없다면 차별이란 이름도 없는 것입니다. 범부는 행이 있으므로 차별이란 이름이 있는 것이며, 지혜로운 이는 행이 없으므로 차별이란 이름도 없는 것입니다. 또한 유(有)와 무(無)의 중간을 거룩한 행이라 하나, 이 거룩한 행을 모든 범부에 대해서는 행이 아니라 합니다.”
또 물었다.
“문수사리여, 말씀하신 거룩하다는 것은 무엇을 이른 말씀입니까?”
문수사리는 대답하였다.
“똑같이 집착 없고 다툼 없는 구절[勾]에 들기[入] 때문입니다.”
또 물었다.
“문수사리여, 모든 법도 집착 없고 다툼 없는 구절에 들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들 수 있습니다, 대덕 수보리여.”
“어찌 그렇습니까?”
대답하였다.
“수보리여, 일체 온갖 흐름[流]도 큰 바다에 들어가서는 똑같이 짠맛이 되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여, 일체 모든 법도 모두 집착 없고 다툼 없는 데에 들어가서는 똑같이 한맛이 되어버리니, 이를 해탈의 맛이라 합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해탈이란 무엇 때문에 해탈이라 합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무엇 때문에 속박됨이 있기도 하고 혹은 없기도 하겠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지혜가 없기 때문에 속박됨이 있는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지혜 없는 것[無智]을 끊어버렸기 때문에 해탈이라 합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모든 법은 평등한 것인데, 어찌 지혜롭다, 지혜롭지 않다는 말을 합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저 물을 무더운 여름철에는 더운 물이라 하고 추운 겨울철에는 차가운 물이라 합니다. 그러나 그 물의 자성만은 차별이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여, 바르게 생각[思惟]하지 않는 번뇌에 열(熱)을 띤다면 지혜 없다 이르고, 바른 생각을 낸다면 지혜롭다 이릅니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는 어떤 사람을 지혜가 있다, 지혜가 없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그 이치를 깨닫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두 가지 행을 행하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 이치도 보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지혜의 안목이 없기 때문이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 이치에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밑[底]을 얻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 이치도 알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뛰어난 체[增上慢]하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 이치도 깨닫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바른 깨달음을 여의었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 이치를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소굴(巢窟)에 집착하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 이치도 사의(思議)하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것은 형상 없는 행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 이치도 깨닫기 어렵고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 가운데에는 말[言說]이 없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 이치도 얻기 어렵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 가운데에는 내지 아무 뜻도 없기 때문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렇다면 그 이치는 이제 지혜로운 이라고 알겠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자기 마음의 진여를 알기 때문입니다.”
“문수사리여, 여래는 이로움과 이롭지 않은 것을 말씀하셨으니, 세존께서는 무슨 까닭에 이런 구절을 말씀하셨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이른바 이로움이란 이루 얻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인데, 만일 그 가운데에서 얻으려고 한다면 그건 이로움이 아니라 합니다.
대덕 수보리여, 또 이로움이란 적정(寂靜)함을 말한 것인데, 만일 그 가운데에서 몸과 마음의 행을 일으킨다면 이로움은 이로움이 아니라 합니다. 그러므로 여래께서는 이로움과 이롭지 않은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부처님께서는 일체 법과 법 아닌 것을 말씀하셨으니, 이는 무엇을 말씀하신 것입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부처님께서는 ‘능히 나의 법을 알고 보면, 저 떠도는 떼[筏]와도 같은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으니, 법도 오히려 버리는데, 더구나 법이 아닌 것이겠습니까? 만일 법을 버리고 보면 법이라 하지도 못하고 법이 아니라 하지도 못하는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그렇다면 여래 부처님의 법은 법이 아닌 것입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여래 부처님의 법은 결정지을 수 없으니, 만일 결정지을 수 없다면 바로 법이다, 법이 아니다 따질 나위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는 일체 법은 법이 아니라 말씀하신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희유합니다, 문수사리여. 처음 수행하는 보살이 이 말씀을 듣고 놀라거나 겁내지 않겠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대의 의향에는 어떠합니까? 사자의 새끼가 사자의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듣고 놀라거나 겁내겠습니까? 또한 기러기 새끼가 공중을 날 때에 공중에서 떨어질 것을 무서워하겠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아닙니다, 문수사리여.”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수보리여. 여래의 종자를 지닌 보살은 진여 가운데에 이르러서 그 진여 가운데로부터 출발하므로, 일체 법과 일체 소리와 일체 말한 것을 듣고도 놀라거나 무서워하지 않는 것입니다. 대덕 수보리여, 대체 무서워하는 이는, 무엇 때문에 무서워하겠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아견(我見)으로써 참으로 있다고 억측하는 이는 무서움이 있는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보살은 아견을 분명히 알기 때문에 일체 법과 일체 소리와 일체 말한 것에 놀라거나 무서워하지 않는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만일 보살이 아견을 분명히 알았다면 어찌 과위를 얻지 못합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보살은 과위를 얻으려 들지 않습니다. 보살은 다만 부처님의 지혜에 나아갈 것을 관찰하여 알고 과위를 얻으려 들지 않는 것이며, 보살은 언제나 일체 중생에게 대비(大悲)를 수행하므로 아무리 아견을 알았을지라도 과위를 증득하는 것에 타락하지 않는 것입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러기에 보살은 아무리 선교(善巧)한 방편으로 아견을 알았을지라도 증과만을 얻으려 들지 않는 것입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대덕이여. 만일 보살로서
지혜와 방편을 가져 중생을 거두어 교화할 그러한 보살이라면, 아무리 아견을 알았을지라도 증과만을 얻으려 들지 않습니다.
대덕 수보리여, 비유컨대 어떤 역사(力士)가 예리한 칼을 들고 사라수(娑羅樹)나무를 벤다고 해도, 아직 살아 있어 곧 시들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여, 보살은 일체 중생을 위하여 큰 자비와 큰 방편과 지혜를 내어서 아무리 아견을 알았을지라도 증과만을 얻으려 들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대덕 수보리여, 어쩌다가 하늘에서 흐뭇한 비가 온다면, 그 사라수나무는 곧 되살아나 잎과 꽃과 열매를 내어 사람에게 이로움을 줍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여, 만일 보살로서 큰 자비를 내어 중생을 흐뭇하게 할 이라면, 보살의 지혜를 가져 삼계에 돌아나면서 족성(族姓)에 태어나는 길과 생사 받는 길을 나타내 보이며, 모든 중생을 위하여 큰 이로움을 짓는 것입니다.
또한 대덕 수보리여, 가령 거센 바람이 그 사라수나무에 덮친다면, 고립된 가지와 열매가 모두 땅바닥에 넘어집니다. 그러므로 대덕 수보리여, 모든 보살도 큰 지혜를 구하다가 자칫 모진 바람이 덮친다면, 도량(道場)에 떨어져 있다가 그냥 멸도(滅度)하고 마는 것입니다.”
그때 세존께서는 문수사리를 칭찬하였다.
“훌륭하다, 훌륭하다. 보살의 지혜와 방편의 경계를 잘 말하였으며, 큰 자비로 알맞게 법을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나의 말을 들을지어다. 비유컨대 큰 용왕은 그 자재한 마음을 갖는다. 즉 그가 많은 구름을 일으키려 들면 구름이 일고, 뜨거운 벼락을 치려 들면 닿는 곳마다 죄다 타버리고, 많은 비를 내리려 들면 모두 생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방편을 내는 보살도 지혜와 방편의 구름을 일으켜 일체 모든 범부의 행을 나타내어 범부를 교화하고 훌륭한 행을 나타내어 중생을 다스린다.
문수사리여, 비유컨대 큰 향나무는 뿌리의 향기와 다르고, 줄거리의 향기와 잎사귀의 향기와 꽃의 향기와 열매의 향기가 제각기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이 가진 지혜의 향기가 나는 몸도 그와 같아 모든 중생이 듣고 이해할 바를 따라 알맞은 법의 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대비(大悲)의 뿌리만은 이동하지 않는다.
문수사리여, 비유컨대 제석의 목에 드리워 있는 비릉가 마니보주(毘楞伽摩尼寶珠)는 삼십삼천을 두루 비추는데, 이는 보배 구슬의 힘으로써 일체 소유를 모두 비추는 것이다. 그러나 그 보배 구슬로는 아무 생각도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깨끗한 보배 구슬이란, 보살이 지성(智性)으로 온갖 일을 나타낼지라도 보살로서 일체 아무 생각도 없음을 비유한 것이다.
문수사리여, 여의주(如意珠)는 능히 일체 중생의 마음을 만족하게 한다. 그러나 그 보배 구슬은 아무 생각도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이 가진 깨끗한 보배 구슬도 능히 일체 중생의 소원을 만족케 한다. 그러나 온갖 곳에 아무 생각도 없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허공으로 인하여 불꽃이 치성해지고, 허공으로 인하여 비를 내릴지라도 허공에게는 아무 차거나 뜨거움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방편을 가진 보살도 삼계에 머물러 있으면서 열반을 수행하는 데도 속박되지 않고 불법 가운데 있어서도 집착하지 않아서 이 두 가지가 한꺼번에 이익이 된다.
또한 문수사리여, 허공으로 인하여 독한 나무가 생겨나고, 또한 약(藥)나무가 날지라도 그 허공은 독한 나무로 해서 침해되지 않고 약나무로 해서 청정해지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지혜와 방편을 가진 보살도 저 5음(陰)의 몸은 독한 나무처럼 여기고, 신(信) 등 5근(根)을 약나무처럼 여기되, 5음의 더러움에도 결합하지도 않고 근(根)의 깨끗함에도 속박되지 않아서 이 두 가지가 한꺼번에 이익이 된다.
문수사리여, 거르는 물통에 만일 잠깐이라도 물을 막는다면 물이 통하지 못할 것이며, 만일 다시 그를 터놓는다면 물이 곧 통할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지혜와 방편을 가진 보살도 삼매(三昧)에 머물러서는 큰 신통을 이루어 삼계에 집착하지 않고 잠시 선정으로부터 일어나서는 삼계에 나타나 그 응할 데를 따라 법을 연설한다.
문수사리여, 몹시 사치스러운 새[鳥]는 솜털만을 잘 보호할 뿐이며, 몸을 아끼지 않는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대비에 머무는 보살도 중생만을 잘 옹호할 뿐이며, 몸을 아끼지 않는다.
문수사리여, 사자는 짐승 가운데 왕으로서 다만 모진 불을 제외하고는, 무서워하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방편을 가진 보살도 다만 성문ㆍ연각의 해탈법을 제외하고는 일체를 무서워하지 않는다.
문수사리여, 이라녕(伊羅寧)용왕은 한낱 축생에 지나지 않으나 능히 일체 모든 장엄한 일을 나타내니, 이는 제석의 복덕의 힘을 입은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혹은 축생으로 화현하여 법의 장엄한 것을 나타내고, 마땅히 제도할 데를 따라 제도하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부싯돌[火燧]도 불을 내고 보배 구슬도 불을 내니, 이 두 가지는 모두 태우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처음 일으킨 마음과 마지막 도량(道場)에 임(臨)하는 마음이 있으니, 이 두 가지가 모두 일체 중생의 온갖 번뇌를 태운다.
문수사리여, 모든 나무에는 갖가지 빛깔과 갖가지 향기와 갖가지 열매가 있으니, 이는 모두 4대(大)로 인하여 성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갖가지 법문으로 모든 선근(善根)을 모아 일체를 모두 보리 마음에 거둬들인 다음에 보리에 회향(廻向)하여 증장하도록 한다.
문수사리여, 전륜왕의 윤보(輪寶)는 한번 움직이기만 하면 그 4병(兵:象兵ㆍ馬兵ㆍ車兵ㆍ步兵)이 모두 그의 뒤를 따르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방편과 지혜바라밀로써 가는 곳마다 소유한 일체가 모두 보리법(菩提法)을 도와 잇따르게 된다.

문수사리여, 가릉빈가(迦陵頻伽)의 알[卵] 속에서 갓 깨어난 새끼는 그 입부리가 아직 야물지 못하였어도 바로 가릉빈가의 묘한 소리를 내게 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불법의 알 안에 있는 모든 보살은 아견(我見)을 무너뜨리지 못하였고, 삼계를 벗어나지 못하였어도 능히 불법의 묘한 소리를 내니, 즉 공(空)과 무상(無想)과 무작행(無作行)의 소리를 말한 것이다.
문수사리여, 가릉빈가는 공작(孔雀)의 무리에 가서는 끝내 울지 않고, 도로 가릉빈가 무리로 와야만 곧 우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일체 성문ㆍ연각들 가운데 가서는 이루 헤아리지 못할 모든 부처님의 법을 끝내 연설하지 않고, 보살들 가운데 이르러야만 이에 연설하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거센 회오리바람[旋嵐風]은 염부제(閻浮提) 안에 있는 나무와 모든 산이 능히 당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이루 사의(思議)하지 못할 불법을 연설할 때에 유학[學]ㆍ무학(無學)과 성문ㆍ연각 등 부처님께서 호지(護持)하시는 이를 제외하고는 능히 믿고 알지 못하니, 만일 믿고 아는 이라면 이 부처님께서 호지하신 것이다.
문수사리여, 일궁(日宮)에서 나오는 광명은 깨끗함과 더러운 것을 평등하게 비추어 더하거나 덜함이 없고 또한 능히 꾸짖을 이가 없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방편을 가진 보살도 지혜의 광명을 놓아 아무리 일체 범부와 함께 있어도 무너뜨린바 되지 않고, 성문ㆍ연각과 함께 있어도 더럽힌바 되지 않으며, 또한 그 방편과 지혜의 광명을 능히 저지할 이가 없다.
문수사리여, 파리질다(波利質多)와 구비다라(拘毘陀羅) 나무는 잎사귀가 떨어질 무렵에는 삼십삼천이 모두 뛸 듯이 기뻐하면서, ‘이 나무는 오래지 않아서 꽃과 열매가 열릴 것이다’라는 말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능히 일체 대사(大捨)를 행할 때에는 모든
부처님께서 매우 기뻐하시면서 ‘이 보살은 오래지 않아서 일체 중생을 위하여 법의 꽃과 열매를 낼 것이다’라는 말씀을 하실 것이다.
또한 문수사리여, 능청거리는 나무는 바람 부는 대로 따라 흔들리되, 꺾일까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중생을 잘 따라서 하되, 일체 성문과 연각 가운데 떨어질까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문수사리여, 온갖 물은 낮은 데를 따라 흐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잘난 체 함[慢]이 없는 보살도 그와 같아 일체지(一切智)를 따라 향하여 가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큰 바다가 애초부터 가장 낮은 데에 위치하고 있어야 온갖 물이 모두 몰려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교만하고 높은 체 함을 제거하여야 불법이 모두 몰려드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금강보주(金剛寶珠)는 능히 일체 모든 보배를 깨뜨리되, 이 보주만은 그 무엇으로도 깨뜨릴 수 없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방편을 가진 보살은 일체 성문과 연각을 다스리되, 거기에 떨어지지 않는다.
문수사리여, 만다라꽃[曼陀羅華]은 바람이 불지 않아도 향내가 널리 1유순까지 퍼진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방편을 가진 보살은 거룩한 지혜의 근(根)이 없을지라도 대자(大慈)의 향기가 널리 일체 중생에게 퍼진다.
문수사리여, 만다라꽃과 같은 것은 만일 향내를 맡는다면 모든 병이 낫고 모든 괴로움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대자대비한 모든 보살도 만일 따라 기뻐[隨喜]하는 이가 있다면 일체 번뇌의 병이 모두 소멸하고 온갖 괴로움이 없어지게 된다.
문수사리여, 부처님께서 세상에 나오실 때에는 우담발꽃[優曇鉢華]이 곧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세상에 나올 때에는 모든 부처님의 법 꽃[法華]이 다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아나바달다(阿那婆達多) 대용왕은 큰 비로써 염부제를 두루 흐뭇하게 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그와 같아 큰 법의 비와 평등한 마음으로 일체 중생을 두루 흐뭇하게 한다.
문수사리여, 아나바달다못[阿那婆達多池池]은 네 하수[四河水]를 배출하여 큰 바다에 넘실거리게 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모든 보살도 4섭법[攝法]으로써 일체 지혜 바다에 쏟아 꽉 차게 한다.
문수사리여, 큰 바다가 있음으로 말미암아 염부제 사람들이 모든 진기한 보배를 소유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이 있기 때문에 모든 성문ㆍ연각으로 하여금 해탈하는 법보(法寶)를 충족하게 하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일체 모든 빛깔은 모두 4대에 의지한 것이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이 소유한 일체 모든 법은 모든 중생이 의지하여 해탈하게 한다.
문수사리여, 험악한 산골짜기에 난 커다란 약나무는 능히 많은 중생에게 이익을 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성문법으로 다스린[調伏] 이는 능히 일체 중생에게 이익을 주지 못한다.
문수사리여, 큰 성(城) 안에 난 커다란 약나무는 능히 많은 사람에게 이익을 준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도 대자와 대비 가운데로부터 출발하여 일체 지혜 보배[智寶]의 마음을 놓지 않은 이는 능히 많은 일체 중생에게 이익을 준다.
문수사리여, 소낙비는 그 기세가 오랫동안 흐르지 못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성문의 설법도 그 법력(法力)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지 못한다.
문수사리여, 봄철에 흐르는 물은 오랫동안 지탱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보살의 설법도 오랫동안 세상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문수사리여, 설산(雪山)에 난 나무는 비록 몇 차례를 벨지라도 오래지 않아 다시 돋아난다.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여래께서는 모든
불사(佛事)를 지으신 다음 바로 열반에 드실지라도 삼보(三寶)의 종자만은 끊지 않으신다.”
그때 대덕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지금 보살이 소유한 한량없고 그지없는 온갖 법다운 공덕과 진실한 공덕을 연설하다니 말입니다. 세존이시여, 또한 배나 더 희한합니다. 보살이 이 진실한 공덕과, 기꺼워함도 없고 잘난 체함도 없는 것을 듣다니 말입니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모든 보살의 근기는 본래가 저절로 청정한 까닭에 모든 공덕을 들으면 기꺼워하지도 않고 높은 체하지도 않는다.”
수보리는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의 근기는 본래가 저절로 청정하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나[我]라고 함을 없앤 것이 근기가 청정한 것이며, 중생이라 함을 없앤 것이 근기가 청정한 것이며, 수명(壽命)이라 함을 없앤 것이 근기가 청정한 것이며, 장부(丈夫)라 함을 없앤 것이 근기가 청정한 것이며, 남[人]이라 함을 없앤 것이 근기가 청정한 것이며, 신견(身見)을 없앤 것이 근기가 청정한 것이며, 무명과 유애(有愛)를 없앤 것이 근기가 청정한 것이며, 아집(我執)과 아소(我所)를 없앤 것이 근기가 청정한 것이다.”
수보리는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무엇을 청정이라고 합니까?”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속박함도 없고 해탈함도 없는 것을 바로 청정이라 하며, 남도 없고 멸함도 없고 감도 없고 옴도 없는 것을 청정이라 하며, 망상도 없고 분별도 없고 높음도 없고 낮음도 없고 조작함도 없고 조작하지 않음도 없고 어둠도 없고 밝음도 없고 괴로움도 없고 괴롭지 않음도 없고 얽매인 것도 없고 풀린 것도 없고 생사도 없고 열반도 없는 것을 바로 청정이라고 한다.”
수보리는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생사도 없고 열반도 없다면 어찌 청정이라고 합니까?”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그 청정이란 생각과 생사와 열반도 없고 또한 집착도 없는 것이다. 수보리야, 모두들 말하기를, ‘저 허공은 무척 청정하다’고 하지만, 사실 허공이란 그 무엇으로도 씻어서 청정하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보리야, 말한바 청정이란 실제로 아무 법조차도 없는 것을 청정이라 이름하며, 이런 말을 듣고도 놀라거나 겁내지 않는 것을 청정이라 한다. 그럼 수보리야, 너는 지금 청정하냐?”
수보리는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는 청정하여
때가 없는가 합니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만일 때가 없다면 무엇이 청정하냐?”
수보리는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는 이미 법성(法性)의 청정함을 알았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너는 지금 능히 법계의 성품을 알겠느냐?”
수보리는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법계를 여의고 다른 법이 있을지라도 법계를 알겠고, 그 법계가 없을지라도 능히 법계를 알겠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한 가지 법도 없이 법계를 여읜다면 누가 법계를 알겠느냐?”
이에 수보리는 잠자코 말이 없었다.
그때 문수사리는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대덕이여, 그대는 지금 무엇 때문에 여래께 대답하지 못하였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제가 본래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의 마음을 일으키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저는 본래 끝없고 걸림 없는 변재를 익히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끝없고 걸림 없는 변재는 바로 보살이 소유한 것이며, 걸림 있고 끝 있는 변재는 이 성문이 소유한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이 법계 가운데에는 막힘이 있고 걸림이 있는 것입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이 법계 가운데에는 막힘도 없고 걸림도 없으니, 막힘도 없고 걸림도 없는 것이 이 법계의 모양인가 합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이여, 만일 이 법계가 막힘도 없고 걸림도 없다면, 그대는 지금 무슨 까닭으로 말할 때에 걸림이 있었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시여, 저는 이미 단(斷)을 증득한 까닭으로 말할 때에 걸림이 있는 것입니다. 만일 법계를 알고 증득하지 않았다면 말할 때에 걸림이 없었을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이 법계란 끊어버릴 수 있는 것입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문수사리시여, 이 법계란 능히 끊어버릴 이가 없으니 일체 법문이 모두 법계이기 때문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만일 일체 법문이 모두 바로 법계라면 그대는 무슨 까닭으로 나에게 단(斷)의 증득을 말하였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성문의 경계는 제한이 있는 까닭으로 말할 때에 끊어짐이 있는 것이며, 부처님의 경계는 한량이 없는 까닭으로 말할 때에 걸림도 막힘도 없는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법계란 생겨남이 있는 것입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이 법계는 경계가 없으므로 모든 경계가 멸한 것을 바로 법계라 합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만일 경계가 없으므로 모든 경계가 아주 멸한 것이라 한다면, 그대는 지금 무엇 때문에 경계가 없는 가운데서 법계를 말하고, 또한 갖가지 경계를 말합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제가 아까 ‘걸림 있고 막힘 있는 것은 바로 성문의 변재이며, 걸림 없고 막힘없는 것은 바로 보살의 변재이다’라고 말씀드리지 않았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그대는 지금 걸림 없는 변재를 얻었단 말입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문수사리여. 저는 그런 변재를 얻었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걸림 없는 변재를 얻었다면, 무엇 때문에 잠자코 있었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일체 중생의 근기를 알지 못한 까닭에 변재가 막히고 걸림이 있는 것입니다. 만일 일체 중생의 근기를 안다면 이는 보살의 변재입니다. 그러기에 보살이라야 말할 때에 걸림이 없는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그대는 법계를 알아서 변재를 얻을 때에 그 경계가 걸림이 있는 상(相)인 줄로 알고 있습니까?”
수보리는 말하였다.
“아닙니다, 문수사리여. 이 지혜의 경계는 걸림이 없는 상이지, 바로 걸림이 있는 상이 아닌 줄로 압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만일 경계가 걸림이 없는 상인 줄을 안다면, 어찌 그대는 말하지 않고 잠자코 있었습니까?”
이때 수보리는 대덕 사리불에게 말하였다.
“부처님께서는 일찍이 그대를 으뜸가는 지혜라고 칭찬하셨다 하니, 지금 그대가 문수사리에게 묻는다면 틀림없이 그대에게 대답하여 주실 것입니다.”
사리불은 말하였다.
“그대가 그냥 말하여 주십시오. 나는 그대와 문수사리로부터 법을 듣고 싶습니다.”
수보리는 말하였다.
“나는 지금 말을 하지 못하겠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나는 일찍이
문수사리가 모든 불국토를 유행하면서 백천만억의 부처님 앞에서 법문을 말할 때에 모든 성문으로 하여금 죄다 입을 다물게 하는 것을 직접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내가 어찌 감히 문수사리가 있는 앞에서 말을 하겠습니까?
그러나 대덕 사리불이여, 동쪽에 있는 국토의 이름은 단엄(端嚴)이며, 거기에 계시는 부처님의 명호는 광상(光相) 여래ㆍ응공[應]ㆍ정변각(正遍覺)이신데 현재 법을 말씀하고 계시며, 또한 거기에는 지등(智燈)이라 하는 큰 성문(聲聞)이 있는데, 지혜가 으뜸이었습니다.
어느 때 그 여래께서 선정에 드셨는데, 그 지등 대성문이 바로 범천(梵天) 세계에 올라서 큰 소리로 법문을 말하자, 그 소리가 삼천대천세계에 울려 퍼졌습니다. 그때 나는 문수사리를 따라 그 세계에 이르렀고, 또한 한량없는 보살과 백천의 천자들도 문수사리를 모시고 따라서 법문을 들으려고 하였습니다.
때에 문수사리가 광음천(光音天)에 머무르며 큰 음성을 내니, 소리가 또한 삼천대천세계에 울려 퍼졌습니다. 그때 그 지등 대성문은 그와 같은 큰 음성을 듣자, 능히 그 몸을 가누지 못하고 위로부터 굴러 떨어지면서 마음이 떨리고 털끝이 쭈뼛하였습니다.
바로 광상부처님께 이르러 발아래 예배하고 세 번 돈 다음 합장하고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세존이시여, 누가 그와 같은 두려운 음성을 내셨습니까? 저는 그 소리를 듣자, 몸을 가누지 못하고 위로부터 굴러 떨어지기를 마치 회오리바람이 조그마한 새[鳥]를 덮치는 듯하였습니다.’
이에 그 부처님께서는 지등 비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는 물러나지 않는 지위에 이른 보살로서 이름은 문수사리인데, 큰 신통을 나타내고 이 국토에 이르러 나를 본 다음 공경히 공양하고 존중히 찬탄하기 위하여 우선 광음천에 머물러 큰 음성을 내므로, 그 소리가 삼천대천 부처님세계에 울려 퍼지고, 일체 마군의 집이 죄다 자취를 감춰버린 것이다.’
그 지등 성문은 광상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그 위대하고 훌륭한 장부(丈夫)인 문수사리를 뵈옵기 원합니다.’
그 광상 부처님 여래께서 곧 문수사리로 하여금 모양을 나타내게 하시자, 문수사리가 여러 보살과 제천 권속과 함께 부처님 계시는 데에 이르러 발아래 예배하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며 연꽃 사자좌(師子座)를 신통으로 지은 다음 한쪽으로 물러나 앉았습니다.
그때 지등 대성문은 문수사리에게 물었습니다.
‘당신께서는 무슨 이로움을 주시기 위하여 이 국토에 오셨습니까?’
이에 문수사리 동자는 말하였습니다.
‘대덕 지등이여, 나는 지금 광상여래를 뵈옵고 예배하고 친근하며 문안하고 법을 청문(請問)하기 위한 까닭에 여기까지 왔습니다.’
지등은 물었습니다.
‘문수사리여, 무엇을 청정하게 부처님을 뵙는다고 이르며, 무엇을 부처님께 예배한다고 이르며, 무엇을 친근히 한다고 이르며, 무엇을 듣는다고 이릅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습니다.
‘대덕 지등이여, 만일 법이 청정한 것을 보았다면, 이를 부처님이 청정한 것을 보았다고 이릅니다. 몸과 마음은 오르내리지[低仰] 않을 것입니다. 만일 오르내리지 않고 바르게 멈춰 흔들리지 않는다면, 그 마음이 적정하고 그 행이 적정해지니, 대덕 지등이여, 이를 부처님께 예배한다고 이릅니다.
만일 자신도 보지 않고 또한 남도 보지 않고, 부처님도 보지 않고 법도 보지 않고 승가도 보지 않고, 어려움도 보지 않고 쉬움도 보지 않고, 조작함도 보지 않고 조작하지 않음도 보지 않는다면 한낱 몸뚱이와 일체 불신(佛身)이 법신(法身)에 똑같이 들어가고 자신도 똑같이 법성에 들어감을 볼 것이나 보아도 보지 않음과 같아서 가까워짐도 없고 멀어짐도 없으니, 대덕 지등이여, 이를 부처님께 친근히 한다고 이릅니다.
여래께서 행하시는바 수행을 질문한다면 수행 아님이 없는 것이므로, 그 법을 보지 않아서 수행에 들지 않는 이도 있고, 또는 자신과 법을 보아서 수행에 드는 이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행하는 데도 마음이 산란하지 않고 안정하여서 문안하는 이와 문안 받는 이와 문안하는 법이 모두 얻을 수도 없고
탐착한 바가 없어서 3세 가운데서 구하나 얻지 못하니, 이와 같은 것이 삼계[三場]의 청정한 물음이니, 대덕 지등이여, 이를 부처님께 질문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만일 주고받는 문답에서 잘못을 찾아낼 수 없다면, 여래께서는 묻는 대로 따라서 인가하여 주시고 대중도 기뻐하여 그 물음을 질투하지 않으며, 묻고 난 다음에는 이에 한량없는 중생으로 하여금 장엄한 도를 일으키고, 나아가 도량(道場)에 이르게 하니, 대덕 지등이여, 이를 부처님께 듣는다고 이르는 것입니다.’
그때 광상여래께서는 문수사리를 칭찬하셨다.
‘훌륭하다, 훌륭하다, 문수사리여. 여래를 뵐 때에는 마땅히 이같이 뵈어야 하며, 이같이 예배하여야 하며, 이같이 친근히 하여야 하며, 이같이 문안하여야 하며, 이같이 들어야 한다.’
그때 문수사리 동자는 지등 비구에게 물었다.
‘대덕 지등이여, 어떻게 부처님을 뵈올 것이며, 어떻게 부처님께 예배할 것이며, 어떻게 친근히 할 것이며, 어떻게 문안할 것이며, 어떻게 청문할 것입니까?’
지등은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당신께서 물으신 바는 저의 경계로서 알 바가 아닙니다. 저는 남의 음성을 따라서 그런 말씀만을 들었을 뿐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지등이여, 만일 이를 알지 못한다면, 그대는 어떻게 마음의 해탈을 얻겠습니까?’
지등은 대답하였다.
‘거룩한 진리를 인한 까닭에 마음의 해탈을 얻는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무엇을 거룩한 진리라 합니까?’
지등은 대답하였다.
‘혼자 수행하여서 반려(伴侶)가 없는 것이 거룩한 진리입니다.’
다시 물었다.
‘만일 독립적으로 수행하여서 반려가 없는 것을 거룩한 진리라 한다면, 어떻게 평등한 마음을 보고 거룩한 해탈을 얻겠습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저는 세속의 진리[世諦]에 의하여 말하였을 뿐이며, 제일의(第一義)로 말한 것이 아닙니다.’
또 물었다.
‘이 세속의 진리가 제일의에 들어갑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만일 그 가운데 들어가지 못한다면, 제일의가 아닙니다.’
또 물었다.
‘지등이여, 그대는 어찌 세속의 진리에 의하여 말하였을 뿐이며, 제일의를 말한 것이 아니라고 하는가?
실은 그 세속의 진리로서 제일의에 들기만 한다면, 바로 일제(一諦)이니 곧 제일의를 말합니다.’
지등은 말하였다.
‘문수사리여, 만일 처음 수행하는 보살이 당신의 말씀을 듣는다면, 놀라고 무서워하겠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 지등이여, 그대 또한 놀라고 무서워할 터인데, 더구나 처음 수행하는 이이겠습니까?’
지등은 대답하였다.
‘도무지 저에게 놀라거나 무섭게 할 이가 없을 것 같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대덕이여, 만일 생사를 겁내고 무서워하지 않는다면, 어찌 마음의 해탈을 얻으려고 하겠습니까?’
지등은 말하였다.
‘문수사리시여, 무서워하고 언짢게 여김이 있기 때문에 마음의 해탈을 얻으려 합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러기에 내가 “대덕 지등 또한 무서워할 터인데, 더구나 처음 수행하는 이겠습니까?”라고 말하였던 것입니다.’
지등은 물었다.
‘문수사리시여, 보살은 어떻게 해탈을 얻습니까?’
문수사리는 대답하였다.
‘무서워하지도 않고 언짢게 여기지도 않는 것이 보살의 해탈입니다.’
또 물었다.
‘문수사리시여, 무서워하지도 않고 언짢게 여기지도 않음이 이 해탈을 얻는 것이라 하시니,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수사리는 대답하였다.
‘보살은 백천만억의 모든 마군을 무서워하지 않고, 보살은 일체 나고 죽는 중생 위하는 것을 언짢게 여기지 않으며, 보살은 모든 선근(善根)을 모으는 것을 겁내지 않으며, 보살은 지혜의 장엄을 모으는 것을 언짢게 여기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내가 무서워하지 않고 언짢게 여기지 않아 마음의 해탈을 얻는다고 말한 것입니다.’
그때 모임 가운데 모든 천자는 갖가지 꽃을 가져 문수사리 동자에게 흩어 뿌리며 공양하고 찬탄하였다.
‘만일 머무는 곳에서 문수사리를 보는 이라면 곧 부처님을 뵌 것처럼 여겨서 마땅히 그 설법하신 곳에 탑을 세울 마음을 일으킬 것이며, 또는 중생으로서 이 법문을 들은 이라면 마땅히 모든 공덕을 포섭한 사람인 줄을 알아야 합니다.’
그때 문수사리는 지등 비구에게 말하였다.
‘부처님께서 그대는 으뜸가는 지혜를 가졌다고 말씀하셨으니, 그 지혜란 유위(有爲)입니까, 무위(無爲)입니까? 만일 유위라면 이 생멸하는
세 모양[三相]이 있는 것이며, 만일 무위라면 이 생멸하는 세 모양이 없는 것입니다.’
지등은 대답하였다.
‘함이 없음을 수행한 까닭에 부처님께서는 그것을 성(聖)이라 말씀하신 것이다.’
문수사리는 물었다.
‘대덕 지등이여, 이 무위란 이루 수행할 수 있는 것입니까?’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문수사리여.’
문수사리는 또 말하였다.
‘그러면 어찌하여 그대는 무위를 수행하는 것을 성(聖)이라 한다고 말합니까?’
이때 지등 대성문은 듣고 곧 입을 다물어 버렸습니다.
그때 광상여래께서는 문수사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대는 법문을 말하여 이 모든 대중으로 하여금 위없이 바르고 참된 도에서 물러가지 않게 하라.’
문수사리는 아뢰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 모든 법도 이 적정(寂靜)한 문(門)이며, 일체 말씀[言說]도 이 적정한 문이므로 이 적정한 것을 나타내 보일까 합니다.’
그때 마침 법용(法勇)이라 하는 보살이 좌중에 앉아 있다가 문수사리에게 물었다.
‘여래께서 말씀하신 탐(貪)ㆍ진(瞋)ㆍ치(癡)도 이 적정한 문입니까? 그리고 아울러 그 적정한 것을 나타내 보이시겠습니까?’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선남자여, 그 탐ㆍ진ㆍ치는 어느 곳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입니까?’
그는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망상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입니다.’
문수사리는 또 물었다.
‘그 망상은 어디에 머물러 있는 것입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뒤바뀐 데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문수사리는 물었다.
‘그 뒤바뀜은 다시 어디에 머무르고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바르지 못한 생각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문수사리는 또 물었다.
‘그 바르지 못한 생각은 어디에 머물러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아(我)와 아소(我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문수사리는 또 물었다.
‘그 아와 아소는 어디에 머무르고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신견(身見)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문수사리는 또 물었다.
‘그 신견은 어디에 머무르고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아견(我見)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문수사리는 또 물었다.
‘그 아견은 어디에 머무르고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그 아견이란 머무를 데가 없으니, 머무를 데가 없는 것이 곧 아견의 처소입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그 아견이란 시방을 둘 러 탐구하여 보아도
이루 다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 무슨 처소가 있겠습니까?’
문수사리는 또 물었다.
‘선남자여, 만일 법을 시방을 둘러 찾아보아도 얻지 못한다면 그것은 무슨 문입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도무지 문이 없습니다.’
문수사리는 또 물었다.
‘선남자여, 그 적정함에도 이에 문이 있습니까?’
대답하였다.
‘문수사리여, 그것 또한 문이 없습니다.’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선남자여, 그러기 때문에 내가 모든 법도 적정한 문이요, 일체 말씀도 적정한 문이므로 그 적정함을 나타내 보이겠다고 말한 것입니다.’
이 법문을 말씀하실 때, 8백 보살은 법의 지혜를 얻었습니다. 문수사리는 이 법문을 자세히 말한 다음 자리로부터 일어나 광상세존의 발아래 예배하고 그 자리를 떠났습니다.
그러므로 사리불이여, 나는 성문이나 보살이 능히 문수사리의 변재를 당할 수 없는 줄로 아는데, 내가 어찌 감히 문수사리와 함께 변론을 하겠습니까?”
대덕 수보리는 이어 사리불에게 말하였다.
“대덕이여, 당신도 문수사리가 어떤 신통한 변화로써 모든 불국토에 유행(遊行)는 것을 보았습니까?”
이에 사리불은 말하였다.
“대덕 수보리여, 나도 일찍이 전에 문수사리를 모시고 서쪽으로 모든 불국토에서 노닐 때에 어떤 불국토에서 큰 화재가 일어났는데, 문수사리가 그 불 속에다 연꽃 그물을 변화로 만들어 놓고 그 속을 지나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또한 문수사리가 불길이 가득 찬 어떤 불국토 속을 지나가는데, 그 불이 몸에 닿기만 하면 도리어 몸에 좋은 전단향을 바르고 가시옷[迦尸衣]을 입고 누워 있는 것처럼 보드랍고 알맞아 매우 유쾌하고 즐거운 것도 보았습니다.
또 어떤 불국토는 텅 비어 아무것도 없는데, 문수사리가 범왕(梵王)의 궁전을 변화로 만들어 놓고 선정에 든 채 그 속을 지나가는 것도 보았습니다. 또 어떤 불국토는 몹시 좁고 그 속의 중생은 모든 악업을 일삼고 있었는데, 문수사리가 그 속을 지나갑니다.
그들로 하여금
모두 악업을 그치고 환한 지혜와 어여삐 여기는 마음을 이루게 하며, 아울러 ‘나는 마땅히 위없는 바른 도를 이루고 중생의 탐ㆍ진ㆍ치를 없애기 위하여 법문을 연설하여 자삼매(慈三昧)를 얻도록 하겠다’고 하는 말도 들었으니, 이를 보살의 깨달은 지혜의 사랑이라 합니다.
대덕 수보리여, 그때 나는 그런 일들을 보고 혼자서 이런 생각을 하였습니다.
‘문수사리가 지닌 신통이 나의 신통과 평등하여 다름이 없을 것인가?’
문수사리는 나의 이런 마음을 알고 바로 나를 이끌고 모든 불국토를 유행하면서 어떤 화재가 일어난 불국토에 이르러 나에게 말하였습니다.
‘그대는 신통력으로 이 속을 지나가 보십시오.’
이에 나는 신통력을 다하여서 그 불이 꺼진 지 이레 낮과 이레 밤이 경과한 뒤에 문수사리를 모시고 그 세계를 지나갔으며, 또한 거기를 지나서는 전보다 갑절이나 더 광대한 두 번째 삼천대천의 불의 세계에 이르러 머무르게 되었습니다.
문수사리가 나에게 말하였습니다.
‘누구의 신통력으로 이런 세계를 지나왔습니까?’
이에 나는 대답했습니다.
‘당신의 신통력으로 이런 세계를 지나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