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2635 불교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36권

by Kay/케이 2023. 7. 6.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 136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36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30. 교량공덕품 (34)

그때 천제석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비슷한 반야ㆍ정려ㆍ정진ㆍ안인ㆍ정계ㆍ보시 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얻을 바 있는 반야ㆍ정려ㆍ정진ㆍ안인ㆍ정계ㆍ보시 바라밀다를 말하면, 이와 같은 것을 비슷한 반야ㆍ정려ㆍ정진ㆍ안인ㆍ정계ㆍ보시 바라밀다를 말한다 하느니라.”
그때 천제석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떻게 모든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얻을 바 있는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면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한다고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물질[色]의 항상함[常]과 덧없음[無常]을 말하고 느낌[受]ㆍ생각[想]ㆍ지어감[行]ㆍ의식[識]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물질의 즐거움[樂]과 괴로움[苦]을 말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물질의 나[我]와 나 없음[無我]을 말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물질의 깨끗함[淨]과 깨끗하지 않음[不淨]을 말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물질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느낌ㆍ
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물질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물질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물질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물질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물질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물질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물질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느낌ㆍ생각ㆍ지어감ㆍ의식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눈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눈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눈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눈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눈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눈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눈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눈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눈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눈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눈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눈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귀ㆍ코ㆍ혀ㆍ몸ㆍ뜻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빛깔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빛깔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빛깔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빛깔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빛깔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빛깔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빛깔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빛깔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빛깔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빛깔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빛깔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빛깔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소리ㆍ냄새ㆍ맛ㆍ감촉ㆍ법의 영역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눈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緣)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눈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눈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눈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눈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눈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눈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눈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눈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눈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눈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눈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빛깔의 경계ㆍ안식의 경계와 눈의 접촉 및 눈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귀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귀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귀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귀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귀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귀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귀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귀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귀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귀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귀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귀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소리의 경계ㆍ이식의 경계와 귀의 접촉 및 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코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코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코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코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코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코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코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코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코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코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코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코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냄새의 경계ㆍ비식의 경계와 코의 접촉 및 코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혀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혀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혀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혀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혀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혀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혀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혀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혀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혀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혀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혀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맛의 경계ㆍ설식의 경계와 혀의 접촉 및 혀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몸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몸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몸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몸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몸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몸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몸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몸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몸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몸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몸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몸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감촉의 경계ㆍ신식의 경계와 몸의 접촉 및 몸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뜻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뜻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뜻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뜻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뜻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뜻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뜻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뜻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뜻의 경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뜻의 경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뜻의 경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뜻의 경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법의 경계ㆍ의식의 경계와 뜻의 접촉 및 뜻의 접촉이 연이 되어 생긴 모든 느낌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지계(地界)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지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지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지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지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지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지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지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지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지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지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지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수계ㆍ화계ㆍ풍계ㆍ공계ㆍ식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무명(無明)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지어감[行]ㆍ의식[識]ㆍ이름과 물질[名色]ㆍ여섯 감관[六處]ㆍ접촉[觸]ㆍ느낌[受]ㆍ애욕[愛]ㆍ취함[取]ㆍ존재[有]ㆍ태어남[生]ㆍ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무명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지어감ㆍ의식ㆍ이름과 물질ㆍ여섯 감관ㆍ접촉ㆍ느낌ㆍ애욕ㆍ취함ㆍ존재ㆍ태어남ㆍ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무명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지어감ㆍ의식ㆍ이름과 물질ㆍ여섯 감관ㆍ접촉ㆍ느낌ㆍ애욕ㆍ취함ㆍ존재ㆍ태어남ㆍ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무명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지어감ㆍ의식ㆍ이름과 물질ㆍ여섯 감관ㆍ접촉ㆍ느낌ㆍ애욕ㆍ취함ㆍ존재ㆍ태어남ㆍ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무명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무명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즐거움과 과로움을 구해야 하며, 무명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무명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무명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무명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무명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무명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지어감 내지 늙음과 죽음과 걱정하고 한탄하고 괴로워하고 근심하고 번민함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보시바라밀다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정계ㆍ안인ㆍ정진ㆍ정려ㆍ반야 바라밀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정계ㆍ안인ㆍ정진ㆍ정려ㆍ반야 바라밀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보시바라밀다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정계ㆍ안인ㆍ정진ㆍ정려ㆍ반야 바라밀다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보시바라밀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정계ㆍ안인ㆍ정진ㆍ정려ㆍ반야 바라밀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보시바라밀다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정계 내지 반야바라밀다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보시바라밀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정계 내지 반야바라밀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보시바라밀다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정계 내지 반야바라밀다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보시바라밀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정계 내지 반야바라밀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보시바라밀다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정계 내지 반야바라밀다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보시바라밀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정계 내지 반야바라밀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보시바라밀다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정계 내지 반야바라밀다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보시바라밀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정계 내지 반야바라밀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내공(內空)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외공(外空)ㆍ내외공(內外空)ㆍ공공(空空)ㆍ대공(大空)ㆍ승의공(勝義空)ㆍ유위공(有爲空)ㆍ무위공(無爲空)ㆍ필경공(畢竟空)ㆍ무제공(無際空)ㆍ산공(散空)ㆍ무변이공(無變異空)ㆍ
본성공(本性空)ㆍ자상공(自相空)ㆍ공상공(共相空)ㆍ일체법공(一切法空)ㆍ불가득공(不可得空)ㆍ무성공(無性空)ㆍ자성공(自性空)ㆍ무성자성공(無性自性空)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내공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외공ㆍ내외공ㆍ공공ㆍ대공ㆍ승의공ㆍ유위공ㆍ무위공ㆍ필경공ㆍ무제공ㆍ산공ㆍ무변이공ㆍ본성공ㆍ자상공ㆍ공상공ㆍ일체법공ㆍ불가득공ㆍ무성공ㆍ자성공ㆍ무성자성공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내공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외공ㆍ내외공ㆍ공공ㆍ대공ㆍ승의공ㆍ유위공ㆍ무위공ㆍ필경공ㆍ무제공ㆍ산공ㆍ무변이공ㆍ본성공ㆍ자상공ㆍ공상공ㆍ일체법공ㆍ불가득공ㆍ무성공ㆍ자성공ㆍ무성자성공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내공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외공ㆍ내외공ㆍ공공ㆍ대공ㆍ승의공ㆍ유위공ㆍ무위공ㆍ필경공ㆍ무제공ㆍ산공ㆍ무변이공ㆍ본성공ㆍ자상공ㆍ공상공ㆍ일체법공ㆍ불가득공ㆍ무성공ㆍ자성공ㆍ무성자성공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내공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내공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내공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내공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내공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내공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내공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내공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진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법계ㆍ법성ㆍ불허망성ㆍ불변이성ㆍ평등성ㆍ이생성ㆍ법정ㆍ법주ㆍ실제ㆍ허공계ㆍ부사의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진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법계ㆍ법성ㆍ불허망성ㆍ불변이성ㆍ평등성ㆍ이생성ㆍ법정ㆍ법주ㆍ실제ㆍ허공계ㆍ부사의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진여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법계ㆍ법성ㆍ불허망성ㆍ불변이성ㆍ평등성ㆍ이생성ㆍ법정ㆍ법주ㆍ실제ㆍ허공계ㆍ부사의계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진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법계ㆍ법성ㆍ불허망성ㆍ불변이성ㆍ평등성ㆍ이생성ㆍ법정ㆍ법주ㆍ실제ㆍ허공계ㆍ부사의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진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법계 내지 부사의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진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법계 내지 부사의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진여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법계 내지 부사의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진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법계 내지 부사의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진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법계 내지 부사의계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진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법계 내지 부사의계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진여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법계 내지 부사의계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진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법계 내지 부사의계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괴로움의 발생ㆍ괴로움의 소멸ㆍ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또 교시가여, 어떤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위없는 깨달음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4정려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말하며, 4정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고 4무량ㆍ
4무색정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말하며, 4정려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나와 나 없음을 말하며, 4정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말하면서, ‘만일 이와 같은 법에 의지하여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다시 말하기를, ‘반야를 수행하는 이는 응당 4정려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해야 하며, 4정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해야 하며, 4정려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해야 하며, 4정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법을 구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들이 이와 같이 4정려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항상함과 덧없음을 구하며, 4정려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즐거움과 괴로움을 구하며, 4정려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나와 나 없음을 구하며, 4정려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고 4무량ㆍ4무색정의 깨끗함과 깨끗하지 않음을 구하면서 이러한 법들에 의지하여 반야를 행하는 이라면, 나는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행하는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교시가여,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것은
모두가 얻을 바 있고 비슷한 반야바라밀다를 말하는 것인 줄 알아야 하느니라.”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