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고용 공부] #7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직업능력 연구)

by Kay/케이 2020. 12. 23.
728x90
반응형

  이번 한국고용정보원이 올린 보고서 주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직업능력 연구이다.

 

  코로나 이후 4차 산업에 대한 환경이 밀접하게 접하게 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진행되어야할 미래직업능력 연구가 필요하다.

 

  미래 유망기술 및 정책적 동인은 상호 연관성을 지니고 일과 삶의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제미래 역량에 대해 예측하여보면 미래 방향은 2가지이다. 변화를 지향하면서 열린 미래를 수용하지만, 개인의 자유보다 공동체의 연대를 더욱 중시하거나, 변화보다 안전을 지향하고, 미래보다는 현재를 중시하며, 공동체의 연대를 더 중시하는 미래가 될 수 있다. 두 미래는 다르지만 미래에서 중요할 역량으로 언급된 것은 통찰적 실행력, 호기심 탐구 능력 등이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직업능력 연구를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Morgan Housel on Unsplash


1. 제목: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직업능력 연구

2. 연구기관: 한국고용정보원

3. 저자: 박가열 외

4. 발간일: 2019.12.31

5. 주요내용

미래기술 및 정책 환경 스캐닝

  ㅇ 미래 유망기술 및 정책적 동인은 상호 연관성을 지니고 일과 삶의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미래 워크숍을 활용한 미래역량 도출

  ㅇ 미래에서 중요할 역량으로 언급된 것은 통찰적 실행력, 호기심 탐구 능력 등

  ㅇ 변화를 지향하면서 열린 미래를 수용하지만, 개인의 자유보다 공동체의 연대를 더욱 중시

  ㅇ 변화보다 안전을 지향하고, 미래보다는 현재를 중시하며, 공동체의 연대를 더 중시하는 미래

 

결론 및 제언

  ㅇ 혁신 성장 8대 선도 분야를 중심으로 파악한 산업 특수적인 핵심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해당 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이에 대한 수요를 파악

  ㅇ 8대 선도 분야을 중심으로 보다 공정하고 체계적인 선발과장을 개발

  ㅇ 산업 특수적 역량기반의 교육훈련 체계 구축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링크 및 파일 공유)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0223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직업능력 연구(II).pdf
4.96MB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