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국고용정보원이 올린 보고서 주제는 “고용서비스 사업 심층평가” 이다.
하기 연구 보고서는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핵심으로 살펴볼 항목은 바로 “제2장 우리나라 여성의 고용서비스 참여 현황”, “제5장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실태조사 분석”, “제7장 결론 및 정책 개선 과제”이다. 여러 해외사례나 심층모니터링(FGI) 등이 있지만 보면 어렵다. 이 보고서는 여성의 고용서비스 참여 현황을 보여주는데 2017년 기준으로 고용서비스 참여자의 약 61.4%가 여성이다.(고용서비스사업 참여자 1,212,829명) 또한 연령별로 살펴보면 연령별로는 청년층이 47.6% 였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참여자가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참여자가 많아 좋을 수 있지만 사업 성과를 분석해보면 약간 다른 시선으로 볼 수 있다. 바로 일자리 경험이 없거나, 경력단절 기간이 길수록 취업률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보건업 및 사회서비스업’의 비율이 높게 치중되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산 보조 필요, 파트너쉽, 사업평가 현실화 등의 개선 과제가 남아있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고용서비스 사업 심층평가”를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1. 제목: 고용서비스 사업 심층평가 -공공고용서비스 사업의 품질개선 방안-(여성일자리 중심으로)
2. 연구기관: 한국고용정보원
3. 저자: 권태희 외
4. 발간일: 2018.12.28
5. 주요내용
□ 우리나라 여성의 고용서비스 참여 현황
ㅇ 2017년 기준 재정지원일자리 사업에서 고용서비스사업 참여자 1,212,829명 중 여성 비율이 61.4%
ㅇ 연령별로는 청년층이 47.6% 였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참여자가 낮아지는 특징
□ 고용보험 DB와 e새일 DB 연계분석 : 여성고용서비스 사업성과 분석
ㅇ 개별 사업별로 살펴보면 서비스 대상에 해당하는 연령대 참여자가 집중
ㅇ 같은 연령대에 대한 취업성과가 사업별로 매우 다르게 나타남
ㅇ 여성이 참여하는 모든 사업에서 이전 일자리 경험이 없거나, 경력단절 기간이 길수록 취업률이 낮게 나타남
ㅇ 고용서비스 참여 이후 진출한 업종을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서비스업’의 비율이 매우 높음
□ 결론 및 정책 개선 과제
ㅇ 새일센터 운용의 지속성과 서비스 품질 유지에 기초적인 유지를 위한 예산 보조 필요
ㅇ 직업교육훈련프로그램의 품질에 대한 대한 검토 필요
ㅇ 사업평가방식의 현실화
ㅇ 개선방안이 기업, 지역사회 등의 지원과 함께 상화 파트너십을 가지고 추진 필요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660544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 공부] #3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직업훈련 사업 심층평가 -구직자훈련사업 동종분야 취업에 관한 연구-) (0) | 2020.12.19 |
---|---|
[고용 공부] #2 기관 보고서로 본 고용 현황(청년창업지원 사업군 심층평가) (0) | 2020.12.18 |
[경제공부] #57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주택금융 Insight(2020-21호) ) (0) | 2020.12.16 |
[경제공부] #56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주택금융 Insight(2020-20호) ) (0) | 2020.12.15 |
[경제공부] #55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주택금융 Insight(2020-19호) ) (0) | 2020.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