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경제공부] #79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기존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녹색건축 인증방안 연구)

by Kay/케이 2021. 6. 10.
728x90
반응형

79번째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발간한 기존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녹색건축 인증방안 연구이다.

 

기존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성능평가 및 인증 방안이 부재하여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보급·활성화에 한계가 있으며, 그린리모델링 건축물의 가치향상과 사용자들의 인식제고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공인된 인증제도가 요구되고 있다.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그린리모델링 건축물의 인증심사기준이 행정 예고되었으나, 체계적·객관적 지표로서의 인증체계가 미흡하고, 그린리모델링 사업 실정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린리모델링은 일반적인 리모델링과 다르게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화, 유지관리 개선, 온실가스 배출 저감 등 주로 기존건축물의 에너지효율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이에 그린리모델링 성능에 대한 평가항목이나 방법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함에 따라 국내외 유사 인증제도의 현황과 효과 등을 분석하여 인증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기존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녹색건축 인증방안 연구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Milivoj Kuhar on Unsplash


1. 제목: 기존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녹색건축 인증방안 연구

2. 연구기관: 한국토지주택공사

3. 저자: 김종엽 외

4. 발간일: 2019.02.14

5. 주요내용

기존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성능평가 및 인증 방안이 부재하여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보급·활성화에 한계가 있으며, 그린리모델링 건축물의 가치향상과 사용자들의 인식제고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공인된 인증제도가 요구됨.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그린리모델링 건축물의 인증심사기준이 행정 예고되었으나, 체계적·객관적 지표로서의 인증체계가 미흡하고, 그린리모델링 사업 실정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그린리모델링은 일반적인 리모델링과 다르게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화, 유지관리 개선, 온실가스 배출 저감 등 주로 기존건축물의 에너지효율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이에 그린리모델링 성능에 대한 평가항목이나 방법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함에 따라 국내외 유사 인증제도의 현황과 효과 등을 분석하여 인증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

 

한편, 그린리모델링창조센터를 통해 대상 건축물의 에너지효율화 정도에 따른 이자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평가 지표 및 방법에 한계가 있어 그린 리모델링의 효과를 논하기가 어려움. 이에 건축물 용도(주거 및 비주거) 및 유형에 따른 그린리모델링의 효과를 일반화하고 등급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대표 모델을 대상으로 다양한 해석을 실시하여 객관성 확보가 필요함.

 

본 과제는 그린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해 평가항목 및 방법 등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축하며, 관련기관의 참여 및 의견수렴을 통해 국내 수요 및 사업 여건 등을 고려한 그린리모델링 녹색인증을 마련하는데 있음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s://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537558

기존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녹색건축 인증방안 연구.pdf
2.80MB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