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경제공부] #77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실유속 적용에 따른 급경사지 하수도 맨홀 안정성 확보방안 연구)

by Kay/케이 2021. 6. 9.
728x90
반응형

77번째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발간한 실유속 적용에 따른 급경사지 하수도 맨홀 안정성 확보방안 연구이다.

 

하수관거 내 유속은 저유속에 따른 관로내 오물침전, 침전물 준설에 따른 유지관리비용과 과유속에 따른 관로손상, 내용연수 감소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하류방향 흐름에 따라 점차로 커지고, 관로경사는 점차 작아지도록 고려하여 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수도 설치기준에 대해 관로시설 설계기준(환경부, 2017)에 따르면 우수관로 및 합류식관로는 계획우수량에 대해 최소유속 0.8m/s, 최대유속 3.0m/s로 제시하고 있으며,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토사류의 침전방지가 필요하며, 급경사지 등에서 과유속에 따른 관로손상, 유달시간 단축에 따른 하류지점 유량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차 및 계단을 두어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최근 급경사지를 포함한 도시개발이 증가하는 추세로 급경사지는 도로, 배수로 진입로 등이 포함이 되며 강우시 급경사지 구간의 강우유출수는 측구 등을 통한 하수관로 내 유입보다 지표면에서 흐름이 대부분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 일반적으로 하수관로 설계는 만관흐름에 대한 유속 기준을 맞추는 실정으로 급경사지 구간에는 적합하지 않는 기준으로 급경사지 내 강우유출수의 흐름양상을 고려한 기준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실유속 적용에 따른 급경사지 하수도 맨홀 안정성 확보방안 연구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Egor Myznik on Unsplash


1. 제목: 실유속 적용에 따른 급경사지 하수도 맨홀 안정성 확보방안 연구

2. 연구기관: 한국토지주택공사

3. 저자: 이정민 외

4. 발간일: 2019.02.07

5. 주요내용

국외 우수관에 대한 최대 유속 기준검토

유출모니터링을 통한 급경사지 하수관로 내 실유속 측정

ㅇ 연구대상지구 선정 및 모니터링 계획 수립

ㅇ 급경사지 내 하수관로 유출모니터링 수행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한 급경사지 하수관로 유출모의 수행

ㅇ 도시유출모형의 선정

ㅇ 대상지구에 대한 도시유출모형의 구축 및 우수수리계산서와 비교분석

ㅇ 실유속 측정자료를 이용한 하수관로 내 우수유입비율 산정

ㅇ 급경사지 내 맨홀 및 관로의 추가 여부에 따른 하수관로 유속 분석

ㅇ 급경사지 상류부 유역의 U형 측구 적용에 대한 하수관로 유속 분석

현장모의실험을 통한 하수관로 내 유속에 따른 맨홀부 수충격력 측정

ㅇ 맨홀부의 구조적 안정성 분석을 위한 수충격력 실험 개요

ㅇ 맨홀부 수충격력 측정을 위한 연구대상지구 선정 및 현장모의실험 수행

현장모의실험 결과를 이용한 수치해석모형의 구축 및 급경사지 하수관로 유출에 따른 맨홀부 영향 분석

ㅇ 수치해석모형의 선정

ㅇ 현장모의실험 지구의 모형구축 및 맨홀부 충격압 분석

ㅇ 급경사지 도로부에 대한 모형 구축 및 경사별 강우 유출 모의

급경사지 하수관로 및 맨홀부에 대한 LH 설계지침 개선 방안 제시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s://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534373

연구보고서(PDF)_맨홀안정성 확보방안연구.pdf
5.01MB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