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번째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발간한 “주택금융 Insight(2020-11호)”이다.
금번 주택금융 Insight의 주제는 “언노운 리스크로 'ETF/ETN 시장' 안정화 집중”과 “고령화 시대의 디지털 금융” 2가지다. 금번 보고서는 주택 시장 보다는 조금더 금융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 주제인 “언노운 리스크로 'ETF/ETN 시장”의 경우에는 최근 과열된 투기수요에 대한 건전화 방안이 주로 되어있다. 원유 레버리지 등 시장의 변화가 크면서 수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들이 확대되고 있기에 문제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주제는 “고령화 시대의 디지털 금융”이다. 이런 문제는 직간접적으로 이미 느끼고 있던 문제이다. 스마트폰도 쓰기 어려운 부모님께 은행가면 스마트폰 앱 설치를 권유하고 공인인증서 등을 발급하는 은행의 트렌드와 하나씩 내용을 몰라 자식들에게 물어보는 부모님들을 보면 이렇게 빨리 세상이 바뀌고 있구나 하는 내용을 볼 수 있다. 젊은 층들은 대출도 은행을 가지않고 빠르게 앱으로 처리하는 반면, 부모님들은 은행에 직접가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내용을 이번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주택금융 Insight”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1. 제목: 주택금융 Insight(2020-11호)
2. 연구기관: 한국주택금융공사
3. 저자: 유선영 안지영
4. 발간일: 2020.06.11
5. 주요내용
□ 언노운 리스크로 'ETF/ETN 시장
ㅇ 최근 원유 레버리지 ETF, ETN 시장 투기수요 급증 및 괴리율 확대로 인한 투자자 손실 우려에 대응하여 ETF, ETN 시장 건전화 방안 발표
ㅇ 해외 주요국들응 ETF 등 상장지수상품(ETP) 시장 규제를 강화한 한국보다 규제강도나 세부담이 상대적으로 약함
ㅇ 이번 방안으로 투자자 보호, 효율적인 괴리율 관리 등이 기대되나, 해외 시장으로의 투자자 유출 및 국내 ETP 시장 축소 우려도 존재
□ 고령화 시대의 디지털 금융
ㅇ 한국은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국가 중 하나로 고령 인구 증가로 인해 나타나는 사회 및 경제적 환경 변화 발생
ㅇ 핀테크 및 디지털 금융으로 인한 고령층의 금융 절벽, 금융 소외에 대한 우려 존재
ㅇ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권에서는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상품 개발
ㅇ 고령층 고객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시니어 전용 서비스 운영
ㅇ 은퇴금융시장 활성화에 따라 고령층을 위한 핀테크 스타트업 등장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및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729734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37 기관 보고서로 본 부동산 시장(주택금융 Insight(2020-12호) ) (0) | 2020.11.23 |
---|---|
[경제공부] #36 기관 보고서로 본 부동산 시장(2020년도1분기 주택시장 현황 및 정책분석) (0) | 2020.11.22 |
[경제공부] #34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방수성능 유지관리 개선방안 연구) (0) | 2020.11.20 |
[경제공부] #33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2020년 1분기 주택시장 현황 및 정책분석) (0) | 2020.11.19 |
[경제공부] #32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금과 주식 및 주택매매가격간 상호 연관성 분석) (0) | 2020.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