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화수경(佛說華手經) 3권
불설화수경 제3권
구마라집 한역
장용서 번역
12. 무우품(無憂品)
그때에 부처님께서 미륵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아일다야, 어떤 것을 이름하여 참보살의 마음이라 하느냐. 보살의 마음이란 생각할 수 없고 베풀어 보일 수도 없느니라. 내 이제 비유를 들어 이 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아일다야, 지나간 오랜 세상 한량없고 가없는 아승기겁 동안 부처님께서 계시었는데 이름이 안왕(安王) 여래ㆍ응공ㆍ정변지ㆍ명행족ㆍ선서ㆍ세간해ㆍ무상사ㆍ조어장부ㆍ천인사ㆍ불세존이셨다.이 안왕불의 수명은 8만 4천 세요, 큰 회상이 있어 그 첫 회상에서 법을 설하시어 70억 인이 아라한(阿羅漢)을 얻게 하였고, 제2 큰 회상에서는 90억 인이 아라한을 얻게 하였고, 제3 큰 회상에서는 꼭 백억 인이 아라한을 얻게 하였다. 그들은 온갖 번뇌가 다하여 지은 것을 벌써 판단하였고, 무거운 짐을 벗어버리고 자기 이익을 얻어 여러 가지 번뇌를 끊어서 바른 지혜로써 해탈하였다.때에 관정(灌頂) 의식을 마친 대왕이 있었으니, 이름이 사자덕왕(師子德王)이었다. 큰 부인이 두 태자를 두었으니, 첫째는 이름이 무우(無憂)요, 둘째는 이우(離憂)였는데, 한꺼번에 똑같이 태어났다. 이 두 왕자는 궁전 위에서 같이 놀다가 안왕불께서 대중에게 에워싸여 희견성(喜見城)으로 들어오시는 것을 보고, 무우가 이우에게 말하였느니라.
‘안왕부처님께서 저기 오시는 것이 보이느냐?’
이우가 말하였다.
‘보인다.’
그러자 무우가 말하였다.
‘우리도 안왕불과 같이 되어야 한다.’
그는 곧 이우를 위하여 게송으로 말하였다.
이우야, 그대는
안왕부처님을 보라.
대중에게 공경 받으며 에워싸여
편안히 저기에 오시네.
나는 이런 마음 내었네.
위없는 도를 구하여
나고 늙고 병들어 죽음을 제도하리.
온갖 고통 받는 중생들은
탐욕ㆍ질투ㆍ진심ㆍ교만 때문에
여러 가지 죄업을 짓고
죄업을 짓고 나서는
여러 나쁜 세상을 바퀴 돌듯 하네.
나는 결정코 꼭 부처의 도를 구해
이들 여러 중생을 제도하고야 말리라.
이우야, 너도 또한 마땅히
이 위없는 마음 내어라.
여러 부처님 만나 뵙기 매우 어려워
마치 우담발화와 같나니.
그때에 이우도 게송으로써 답하여 말하였다.
말로는 이루어지는 것 없어
세상은 말만 많지 행하진 않아
나는 말로써 하지 않고
다만 마음으로 보리를 행하리.
세상 모두들 부처 된다고 말만 하지
말과 같이 행하지 못해
그 사람들 모두 거짓말 뿐
마침내 실지의 과보는 없네.
만일에 다만 말로써
부처의 도 능히 얻을진대
온갖 말하는 이들
모두 다 부처 되겠네.
그때에 무우가 거듭 게송을 말하였다.
행여 너의 발심과 같은 것은
이는 곧 간탐(慳貪)이 되네.
여럿이 구걸하는 것이 무서워
발심하고도 아무 말 없으니.
큰 사람은 중생을 청하여
똑같이 재법분(財法分)을 보시하네.
온갖 것 아끼는 바 없고
다만 보리 이루고자 할 뿐.
무릇 이런 발심을
이름하여 게으름뱅이라 한다네.
아마도 말과 같이 행치 않으리니
이는 곧 부끄러운 일.
그대는 위없는 도를
한량없어 혼자 이루기 어렵다 의심하니
이와 같은 마음 미리 낸 까닭에
감히 말하지 못하는 것이네.
때에 이우가 말하였다.
‘함께 안왕여래께 여쭈어 봅시다. 우리들의 발심이 누가 참된 것인지, 부처님께 들으면 스스로 알게 될 것입니다.’
이런 말을 하고 나서 곧 이우는 사다리에서 내려와서 공양하기 위하여 진주 신과 훌륭한 보배 옷 등, 값이 1억이나 되는 것을 가지고 부처님 계신 곳으로 나아갔다.
때에 무우는 곧 대궐 지붕 위에서 스스로 몸을 던져 내려왔는데 몸에 다친 데도 없이 무사히 설 수 있었다. 부처님 계신 데 나아가 몸에서 보배 옷을 벗고 진주 동곳을 뽑아 안왕불께 바치니 부처님께서 어여삐 여겨 받으셨다.이우가 뒤를 좇아 부처님 계신 데 왔다. 무우가 부처님 곁에 서 있는 것을 보고 곧 물었느니라.
‘어느 길로 왔느냐?’
무우가 답하였다.
‘나는 궁전 위에서 스스로 몸을 던져 내려왔는데 몸에 다친 데도 없이 부처님 계신 데에 무사히 서 있다.’
이우는 곧 값을 매길 수 없는 보배 옷과 마니 신을 안왕불께 바치고 게송으로 여쭈었다.
나는 지금 부처님 뵈옵고
도 아닌 도를 좇아 행하였지만
이제는 바른 길로써
여러 부처님께서 찬탄하시는 것 꼭 닦으리.
그때에 무우도 또한 게송으로 여쭈었다.
만일 사람이 몸과 목숨을 아끼면
마치 네가 와서 도 구하는 것처럼
이 사람은 자기 이로움만 위함이니
중생을 능히 이익케 못하리.
나는 몸과 목숨 안 아끼리.
온갖 괴로움 받기가 소원
중생을 이익케 하고
뭇 괴로운 이 제도하기 위해.
부처님 뵘이 곧 도(道)이니
다시 나머지 것 구하지 않으리.
범부는 바른 길 행하지만
실상은 삿된 길 가운데 떨어지네.
중생은 삿된 길에서
이것은 바른 것, 이것은 삿된 것이라 보네.
탐착함은 곧 마군의 결박
세상길을 멀리 여의기를.
나는 늘 부처님 만나기 원일세.
언제나 출가하여
범행(梵行)을 깨끗이 닦아
태어나는 세상마다 중생 제도 원하네.
착한 법에 편히 늘 머무르며
부처님 법장을 항시 지녀서
그 지니는 법으로써
중생을 크게 이익케 하려니
늘 정진을 행하여
법을 들어 곧 뜻을 알고
항상 선정에 머무는
공덕으로 높고 위함 받네.”
“아일다야, 이 두 왕자는 게송을 말한 뒤 안왕불 처소에서 출가하여 도를 닦으면서 서로 말하였다.
‘내가 먼저 부처가 되겠다.’
그때에 무우 비구가 이우에게 말하였다.
‘그대는 무슨 행으로써 먼저 성불하려 하느냐?’이우가 답하였다.
‘나는 발심하여 낱낱 중생을 위해 만억 겁 동안 지옥고를 받더라도 마음에 후회함이 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때까지 견고로써 장엄하고, 부드러운 마음으로써 참으리라. 가령 어떤 사람이 동쪽에서 와서 온갖 똥물과 독한 똥 오줌병을 가져다가 머리 위에 매어 놓더라도, 나는 진심과 원한을 내지 않고, 악한 눈으로 보지 않고, 또한 꾸짖지도 않으며다만 이 생각만 먹으리라.
‘내가 지금 참는 것은 불법을 구하기 위함이며, 부처님의 지혜를 얻기 위함이며, 이 사람으로 하여금 멸도를 얻게 하기 때문이다. 만일 내가 진심을 내고 원망한다면 너와 무엇이 다르랴. 나는 닦는 사람이요 그대는 닦지 않는 사람이다. 나는 마땅히 닦지 않는 이의 업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 나는 마땅히 닦는 이의 업을 일으켜야 한다. 이른바 진심과 원한을 스스로 끊고 한량없는 중생의 진심과 원한도 또한 끊어 주기 위하여 설법하여야 한다. 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위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장엄한다.’무우가 이우에게 물었다.
‘그대는 이 마음을 보고 이 마음을 알아서 장엄을 발하였느냐?’
이우가 답하였다.
‘이 마음이 없으면 곧 장엄이 없나니 장엄이 없으면 어떻게 보살이 도를 닦겠는가. 이러므로 꼭 알아 두라. 이 마음이 있는 까닭에 보살이 도를 닦아 세간에서 뛰어난다.’무우 비구가 이우에게 말하였다.
‘그런 말을 하지 말라. 이 마음이 있기 때문에 장엄이 있다. 왜냐하면 마음이 공하면 눈흘림 같이 생각생각이 나고 멸하며, 혹은 공은 눈흘림 같이 생각생각이 나고 멸한다. 이 법은 모양 없고 또한 모양 없음도 없다. 이우야, 있다거나 없다는 것은 모두 이름하여 견(見)이라 하나니, 견이 있으면 모두 이 삿된 견이다. 이것이 삿된 견이면, 곧 삿된 도이고, 보리라 이름하지 않는다. 이 사람은 보리의 도를 멀리 여의었고 바랄 것이 없느니라.이러므로 마땅히 알아라. 있다, 없다는 등의 법은 모두가 희론이니, 희론법이란 마땅히 보살은 친근하거나 닦아 익히지 말아야 한다. 어느 법을 보살은 꼭 익히고 가까이해야 할 것인가. 무루법은 보살이 꼭 익혀 가까이할 것이니라. 왜냐하면 법으로써 익힐 수 있다면 이는 곧 법이 아니니라. 이런 까닭에 보살은 온갖 법을 즐기거나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왜냐하면 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법에 집착하지 않는 까닭이니라. 만일 보살이 이와 같이 알면 또한 이는 법이 아니다. 왜냐하면 득해(得解)의 상이 아닌 것을 이름하여 보리라 하느니라. 또한 보살이 이와 같이 알고 관찰하는 것도 또한 법 아닌 데 떨어지나니, 왜냐하면 해탈(解脫)의 상이 없는 것이 곧 보리이기 때문이니라.
만일 보살이 이와 같이 닦고 익히면 나는 이 법에서 마땅히 이와 같이 증명하겠다. 곧 법 아닌 데 떨어진다고. 왜냐하면 성품 없고 말 없음을 보리라고 이름하기 때문이다.’그때에 이우가 무우에게 말하였다.
‘만일 보리가 있다면 그대는 반드시 있다고 말했을 것이고, 없으면 반드시 없다고 말했을 것이다. 그대는 무슨 까닭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도무지 말하는 것이 없느냐?’
무우가 답하였다.
‘선지식의 보리는 이름하여 희론법이 아니라고 하나니, 있다 혹은 없다고 그대는 희론하지 말라. 왜냐하면 여러 가지 있는 희론은 모두 보리가 아니다. 희론이 없으면 곧 이것이 보리이니라.’이우가 말하였다.
‘선지식이여, 나는 네 말 뜻을 알 수 없다. 이른바 여러 희론법은 모두 보리가 아니라 하니, 희론 없는 법은 곧 보리겠구나.’
무우가 말하였다.
‘너 선지식이여, 같이 부처님께 나아가서 청하여 의심나는 것을 결정하자.’
이때 두 비구는 부처님 계신 데에 함께 나아가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한쪽에 물러나 앉았다. 이우 비구가 먼저 논쟁하던 것을 부처님께 여쭈었다.
때에 안왕불은 무우를 옳다고 말씀하셨다.
‘착하고 착하도다.’먼저 인가(印可)하고 나서 이우에게 말씀하셨다.
‘무우의 말과 같다. 이른바 희론이 있으면 모두 보리가 아니요, 희론이 없는 법이 곧 보리이니라. 왜냐하면 여러 희론을 여읨을 이름하여 보리라 하느니라.
어떤 것이 여의는 것이 되는가. 온갖 희론은 모조리 적멸인데 ‘무엇을 이름하여 희론이라 하는가. 빛의 쌓임[色陰]이 희론이며, 수(受)ㆍ상(想)ㆍ행(行)ㆍ식(識)의 쌓임[陰]도 희론이며, 계품ㆍ정품ㆍ혜품도 희론이며, 욕심 적음, 족한 줄 아는 것, 고행, 두타(頭陀), 가득 차기 쉽고[易滿], 기르기 쉽고[易養], 비고 한가하고 고요한 것도 모두 이 희론이니, 이 여러 희론은 어느 곳으로부터 일어났는가. 모두 생각하고 분별하는 까닭에 일어나느니라.무엇을 분별이라 하는가. 색ㆍ수ㆍ상ㆍ행ㆍ식을 분별하고, 계품ㆍ정품ㆍ혜품ㆍ욕심이 적거나 족한 줄 아는 여러 공덕들을 분별하고 색을 분별하면 곧 색이 아니며, 분별 가운데는 곧 계품ㆍ정품ㆍ혜품ㆍ욕심 적음ㆍ족한 줄 아는 것ㆍ두타행 등이 없고, 분별 가운데는 또한 색공(色空)이 없다. 또 수ㆍ상ㆍ행ㆍ식을 분별하면 곧 식(識)이 아니다. 이 분별 가운데는 곧 계품ㆍ정품ㆍ혜품ㆍ욕심 적음ㆍ족한 줄 아는 것ㆍ두타행 등이 없나니, 이 분별 가운데는 또한 식공(識空)도 없느니라. 이와 같이 능히 알면 혜도 또한 공이다. 이와 같은 공 가운데 여러 상(相)의 같고 같지 않음이 없으니, 이를 이름하여 보리라 하느니라.’그때에 이우가 이 법 설하심을 들어 무생인을 얻었고, 또한 이 보리의 마음을 알아 얻었느니라. 이 마음을 쓴 까닭에 이름하여 보살이라 하였다.
두 보살은 이와 같은 법을 관하여 믿어 이해하고 따라 순종하여 8만 세 가운데 언제나 부지런히 정진하고 경행(經行)함을 쉬지 아니하여 일찍이 누워 잠자지 않았다. 8만 세 가운데 탐욕ㆍ진심ㆍ어리석은 마음을 내지 않았다. 이 두 보살은 여기서 목숨을 마치고 곧 하방(下方) 제천(第千) 세계 묘견불(妙肩佛) 계신 데에 태어나서 똑같이 출가하여 전생 일을 스스로 알아 정진을 전생과 같이 하였다.이와 같이 옮기고 옮겨서 한 부처님 처소에서 한 부처님 처소에 이르러, 608천 만억 여래 부처님 세존을 만나 뵙고 여러 부처님 법 가운데에 항상 출가하여 전과 같이 정진하였다. 그런 뒤에 무우가 먼저 성불하니 이름이 상중엄(上衆嚴)이었고, 이우보살은 나머지 부처님 나라에서 그 뒤에 부처를 이루니 이름이 일상중(日上衆)이었느니라.”부처님께서 미륵보살에게 말씀하셨다.
“이 두 부처님의 법을 널리 펴서 유포하고 한량없는 목숨은 아승기겁을 살았다. 아일다야, 이를 이름하여 보살마하살의 마음이라 하느니라. 옴도 없고 감도 없고 탐착하는 것도 없으며, 남도 없고 멸함도 없고 머무름도 없고 움직임도 없다. 이 마음을 일으키는 이는 곧 희유(希有)함을 얻느니라.”
그때에 부처님께서 이 뜻을 밝히고자 하여 게송을 말씀하셨다.
부처님 등불 세상에 나타나심
만억 겁에 만나기 어렵네.
마치 우담발화가
때때로 한 번 나타나듯이.
보리의 마음 깊이 발해
부처님 도를 바르게 행하는
이러한 큰 보살도
세간에선 또한 만나기 어렵네.
이 까닭에 만일 어떤 사람
이 큰 마음 능히 발하면
이 사람은 꼭 부처되어
대중 속에서 사자 소리 내리.
자재하게 사자 소리 쳐서
깨끗한 법바퀴 능히 굴리리.
부처님의 신통 걸림 없어서
본디 마음 가운데 모두 있네.
부처님의 32상(相)
18불공법(不共法)
이 법과 여러 상이
본디 마음 가운데 모두 있네.
여러 부처님에게 허망이 행하지 않네.
상왕이 돌이켜 관하는 법과
무견정(無見頂)의 상(相)은
본래 마음 가운데 모두 있네.
보시ㆍ지계ㆍ인욕
정진ㆍ선정ㆍ지혜
이 여러 가지 바라밀은
본래 마음 가운데 모두 있네.
이와 같은 여러 공덕
나머지 여러 부처님의 법
이 온갖 것들은
본래 마음 가운데 모두 있네.
성문의 계ㆍ정ㆍ혜
여러 가지 신통의 힘
이러한 여러 법도
또한 본래 마음 가운데 있네.
만일 내가 처음에
위없는 보리심 발하지 않았던들
온갖 부처님 지혜
어찌 능히 얻었을 것인가.
끝내 스스로 얻지 못했을 텐데
하물며 중생에게 들려줌이랴.
성문 제자들 또한
이 세간에 못 나왔으리.
만일 심행의 인연으로 벽지불 되면
세간의 복밭 되고 무여열반에 드네.
이러한 여러 공덕 또한
본래 마음 가운데 있네.
세간과 출세간의
온갖 여러 가지 즐거움
이러한 일들은
모두 보리의 마음에 인연함일세.
너희들은 이 마음을 관찰하라.
얻는 과보는
한량없고 가없는 겁 동안
그 끝이 다함이 없네.
너희들은 이 마음을 관찰하라.
생각생각이 늘 나고 멸하여
눈흘림과 같이 아무 것도 없네.
그러나 큰 과보 얻네.
이 마음 여러 인연에 얽혀
하나도 결정의 상(相) 없네.
이와 같이 부정(不定)한 마음
큰 과보 능히 얻네.
이 마음은 연에도 있지 않고
뭇 연도 또한 여의지 않아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지만
큰 과보를 능히 일으키네.
지혜 있는 이는 이 마음 아네.
부처님의 지혜 능히 내니
누가 귀중하게 여기지 않으리.
탐착하는 이만 빼놓고.
만일 어떤 사람 색에 의지하고
수ㆍ상ㆍ행ㆍ식에 의지하면
법에 두 상(相)을 지음이니
허망하고 속임으로써 스스로 얽네.
마치 사람이 허공에 있으면서
내가 결박되었다고 말함과 같이
이 사람은 스스로 얽힌 까닭에
언제든지 과보 속에 얽매여 있네.
이런 까닭으로 마음의 성품을 알라.
허망하고 속임 있어 아무 것도 없음을.
의심의 소견 내지 말라.
이 마음은 정한 상 아니네.
이 마음과 뭇 인연은
모두 공하여 자성이 없네.
누구나 이렇게만 알면
보리에서 마침내 물러나지 않네.
만일 법의 성품 스스로 공하면
이 법은 곧 남이 없네.
온갖 남이 없는 법
이것을 이름하여 참 지혜의 종자라 하네.
어떤 사람 이렇게 알면
보리의 수기 나는 주겠네.
음(陰)은 음을 여읨으로써
수기를 얻을 수 없느니라.
만일 법이 상 없음을 알고
또한 이 혜를 취하지 않으면
이와 같은 바른 지혜 가진 이
이 이름 참 발심일세.
이 견고한 마음을 얻으면
이 사람은 욕설과 여러 훼욕(毁辱)
칼ㆍ막대기 등 뭇 고통
능히 참을 수 있네.
누구나 이 참음 얻으면
탐욕ㆍ진심 모두 없네.
자기에게 이로워도 높은 체 않고
다른 사람을 또한 시기하지 않네.
이 참는 마음 일으키면
있다거나 없다는 두 가[邊]도 멸해
이 사람은 세간에서
무너지지 않는 지혜 능히 행하네.
이런 까닭에 마땅히
공무성법인(空無性法忍)을 닦으라.
나도 본래 또한 닦아 모아서
때문에 보리를 얻어 이루었네.
13. 중설품(中說品)
그때에 동쪽으로 6만 8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상의(上意)였다.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을 공성(空性)이라고 하는데, 현재 공성불은 월(月)보살마하살에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셨다.
월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또 큰 음성을 듣고, 공성불에게 여쭈었다.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이시며 음성이시나이까?”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서쪽으로 여기를 떠나 6만 8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바요,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석가모니신데 현재 보살장경을 설하고 계시느니라. 이것은 저 부처님의 광명이요, 음성이시니라.”월보살이 공성불에게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저 사바세계에 나아가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경하여 섬기고 공양하며, 저 나라의 구족 장엄한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가고 싶으면 마음대로 하여라.”
때에 월보살이 곧 자리에서 일어나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돌고 난 뒤 떠나고자 하거늘, 공성불이 흰 연꽃을 가져다 월보살에게 주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대가 이 꽃을 가지고 가서 석가모니부처님께 드리고 아울러 내 말로써 부처님께 문안 여쫍기를 ‘괴로움이 적으시며 병환이 적으시고 기거가 경쾌하시며 기력이 강건하십니까?’라고 하여라.”때에 월보살은 큰 힘센 장사가 팔을 굽혔다 펴는 듯한 동안에 저 부처님 나라에서 사라져 이 세계로 와서 왕사성에 이르렀다. 대숲 동산에 나아가서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한쪽에 물러나 부처님께 여쭈었다.
“공성여래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괴로움이 적으시며 기거하시기 경쾌하시고 걸음 걸으시기 편안하십니까?’라고 하시며, 이 연꽃을 부처님께 갖다 드리라고 하셨습니다.”부처님께서 꽃을 받으시고 월보살에게 물으셨다.
“선남자야, 공성불께서는 병환이 적으시고 괴로움이 적으시며, 기력이 편안하시냐?”
월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공성여래는 저 세계에서 편안하시고 아무 탈이 없습니다.”동쪽으로 여기를 떠나서 4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묘다라니(妙陀羅尼)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명문력왕(名聞力王)이시다. 현재 지유포(智流布)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때에 이 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큰 소리를 듣고 명문력왕불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지금 이 광명과 큰 음성은 누구의 것입니까?”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여기를 떠나 서쪽으로 4만 아승기의 세계를 지나가면 세계가 있는데 이름은 사바요, 부처님의 이름은 석가모니신데, 현재 여러 보살들을 위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고 중생을 기쁘게 하는 보살장경을 설하신다. 이것은 저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시다.”지유포보살이 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사바세계에 나아가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경 공양하고 아울러 저 나라의 구족 장엄한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
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
지유포가 허락을 들어주심을 받고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돌고 난 뒤 떠나려 하였다. 때에 명문력왕불이 곧 한 덩어리의 붉은 가루 전단향(栴檀香)을 주시면서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향을 가지고 가 석가모니께 드리고 아울러 내 말로써 부처님께 여쭙기를 ‘괴로움이 적으시고 병환이 적으시며 기거가 경쾌하시고 기력이 안녕하십니까?’라고 하여라.”때에 저 보살은 장사가 팔을 굽혔다 펴는 사이에 저 부처님 나라에서 홀연히 사라져 이 세계로 와서 왕사성에 이르렀다. 대숲 동산에 나아가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한쪽에 물러서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명문왕불께서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괴로움이 적으시며 기거가 경쾌하시고 행보하시기에 편안하십니까?’라고 하시며, 이 가루향으로써 부처님께 공양 올리라고 하셨습니다.”부처님께서 향을 받으시고 나서 물으셨다.
“명문력왕불께서는 괴로움이 적으시고 병환이 적으시며 기력이 편안하시지 않으신가?”
저 보살이 여쭈었다.
“명문력왕불은 저 세계에서 편안하시어 아무 탈이 없나이다.”동쪽으로 여기를 떠나서 3만 9천 아승기의 세계를 지나가 세계가 있으니 이름은 월출광(月出光)이요, 그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방광(放光)이시다. 현재 명륜(明輪)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때에 명륜보살이 큰 광명과 기침 소리를 듣고 방광불에게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서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9천 아승기의 세계를 지나가면 세계가 있는데 이름이 사바요, 그 가운데 계신 부처님께서는 이름이 석가모니로서 현재 여러 보살을 위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고 중생을 기쁘게 하는 보살장경을 설하고 계신다. 이것은 저 부처의 광명과 음성이시니라.”명륜보살이 방광불에게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사바세계에 나아가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경 승사 공양하며 저 국토의 구족 장엄인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
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
명륜보살은 허락해 주심을 받고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돌고 난 뒤 떠나려고 할 때에, 저 부처님께서 한 송이 큰 연꽃을 명륜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꽃을 가지고 가서 석가모니부처님께 드리며 아울러 내 말로써 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괴로움이 적으시며 기거가 경쾌하시고 걸음 걸으시기에 강건하십니까?’라고 하여라.”저 보살은 장사가 팔을 굽혔다 펴는 듯한 사이에 저 나라에서 홀연히 사라져 이 세계로 와서 왕사성에 이르렀다. 대숲 동산에 나아가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한쪽에 물러서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방광여래께서 부처님께 문안하시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노고가 적으시며 기력이 편안하신지, 편안치 않으신지’라고 하시며, 이 연꽃을 부처님께 공양 올리라고 하셨습니다.”부처님께서 꽃을 받으시고 나서 물으셨다.
“방광여래께서는 행보에 강건하시냐?”
명륜이 답하여 말하였다.
“방광세존은 저 세계에서 편안하시며 아무 탈이 없으시나이다.”여기를 떠나 동쪽으로 3만 8천 아승기의 세계를 지나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가사상(袈裟相)이요, 그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이구(離垢)시다. 현재 무변보엄(無邊寶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무변보엄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기침 소리를 듣고 이구불에게 여쭈었다.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과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는 답하셨다.
“여기를 떠나 서쪽으로 3만 8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은 사바요, 그 가운데 계신 부처님의 이름은 석가모니로서, 현재 여러 보살을 위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고 중생을 기쁘게 하는 보살장경을 설하고 계시느니라. 이것은 저 부처님의 광명과 음성이니라.”“세존이시여, 저는 저 사바세계에 나아가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배 승사 공양하고 저 구족 장엄한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
이구불이 말씀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
즉시 저 부처님께서는 가사(袈裟)를 주시면서 무변보엄보살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옷을 가져다 석가모니부처님께 드리고 아울러 내 말로써 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괴로움이 적으시며 기거가 경쾌하시고 행보에 편안하십니까?’라고 하여라.”저 보살은 장사가 팔을 굽혔다 펴는 눈 깜짝할 사이에 저 불토에서 홀연히 사라져 이 세계로 와서 왕사성에 왔다. 대숲 동산에 나아가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한쪽에 물러서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구여래께서 부처님께 문안하시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노고가 적으시며 기력이 편안하신지, 않으신지’라고 하시며, 이 가사로써 부처님께 공양 올리라고 하셨습니다.”부처님께서 옷을 받으시고 나서 물으셨다.
“이구여래께서는 저 세계에 노니시며 행보하시기에 편안하시냐?”
저 보살이 말하였다.
“이구보살은 저 세계에서 편안히 계시며 아무 탈이 없으시나이다.”
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7천 아승기의 세계를 지나가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연화(蓮華)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잡화생덕(雜華生德)이시다. 현재 무량정진(無量精進)보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때에 무량정진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기침 소리를 듣고 잡화생덕불에게 여쭈었다.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과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여기를 떠나 서쪽으로 3만 7천 아승기의 세계를 지나가면 세계가 있는데 이름이 사바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석가모니신데 현재 여러 보살을 위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고 중생을 기쁘게 하는 보살장경을 설하고 계신다. 이것은 저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시니라.”때에 무량정진보살은 잡화생덕불에게 여쭈었다.
“제가 사바세계에 나아가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배 공양하고 저 나라의 구족 장엄한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
저 부처님께서는 답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라.”
저 부처님께서 곧 큰 연꽃을 주시면서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꽃을 석가모니부처님께 드리고 아울러 내 말로써 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며 기거가 경쾌하시고 행보가 강건하십니까?’라고 하여라.”저 보살은 장사가 팔을 굽혔다 펴는 동안에 저 불토에서 홀연히 사라져 이 세계로 와서 왕사성에 이르렀다. 대숲 동산에 나아가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한쪽에 물러서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잡화생덕불께서 부처님께 문안하시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노고가 적으시며 기력이 편안하신지’라고 하시며, 이 연꽃으로써 부처님께 공양 올리라고 하셨습니다.”부처님께서는 꽃을 받고 나서 물으셨다.
“잡화생덕여래께서는 저 세계에 계시면서 노니시고 행보하시기에 강건하시냐?”
저 보살이 말하였다.
“잡화생덕세존께서는 저 세계에서 편안히 계시며 아무 탈이 없나이다.”여기서 동쪽으로 떠나 3만 7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일개(一蓋)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이포외(離怖畏)이시다. 현재 망명(網明)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때에 망명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기침 소리를 듣고 이포외불에게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과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여기를 떠나 서쪽으로 3만 7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바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석가모니시다. 현재 여러 보살을 위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고 대중으로 하여금 기쁘게 하는 보살장경을 설하시는데, 이것은 저 부처님의 광명과 음성이시니라.”망명보살이 이포외불에게 여쭈었다.
“저는 사바세계에 나아가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경 승사 공양하며 저 나라의 구족 장엄한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
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저 부처님께서 곧 백 송이의 오색 꽃을 망명에게 주시며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꽃을 가지고 가서 석가모니부처님께 드리고 아울러 내 말로써 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노고가 적으시며 기거가 경쾌하시고 행보에 편안하십니까?’라고 하여라.”
저 보살은 장사가 팔을 굽혔다가 펴는 동안에 저 부처님 나라에서 홀연히 사라져 이 세계로 와서 왕사성에 이르렀다. 대숲 동산에 나아가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한쪽에 물러서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포외불께서 부처님께 문안하시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노고가 적으시며, 기력이 편안하신지 않으신지’라고 하시며, 이 여러 가지 꽃으로써 부처님께 공양 올리라고 하셨습니다.”부처님께서는 꽃을 받고 나서 망명에게 물으셨다.
“이포외여래께서는 저 세계에서 노니시며 걸음 걸으시기에 안녕하시느냐?”
망명이 답하여 아뢰었다.
“이포외세존께서는 저 세계에서 편안히 계시며 아무 탈이 없나이다.”여기서 동쪽으로 떠나 3만 6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상청정(上淸淨)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지취(智聚)이시다. 현재 지력(智力)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때에 지력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또한 큰 음성을 듣고 지취불에게 여쭈었다.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여기를 떠나 서쪽으로 3만 6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 세계가 있는데 이름이 사바요, 그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석가모니신데 현재 여러 보살을 위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고 중생들로 하여금 기쁘게 하는 보살장경을 설하고 계신다. 이것이 저 부처님의 광명이고 음성이시니라.”지력보살이 지취불에게 여쭈었다.
“제가 사바세계에 가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경 공양하고 저 나라의 구족 장엄한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
지취불이 말씀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
지취불이 여러 연꽃을 주면서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꽃을 석가모니부처님께 드리고 아울러 내 말로써 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괴로움이 적으시고 병환이 적으시며 기력이 경쾌 강건하십니까?’라고 하여라.”
지력보살이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돌고 난 뒤 떠났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여기를 떠나 동쪽으로 3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저쪽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향취(香聚)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전단향(栴檀香)이시다. 현재 이구(離垢)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때에 이구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기침 소리를 듣고 전단향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 답하여 말씀하셨다.
“여기를 떠나 서쪽으로 3만 5천 아승기의 세계를 지나면 저쪽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바요, 그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석가모니이시다. 현재 보살장경을 설하시느니라.”
이구보살이 전단향불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저는 사바세계에 나아가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배 공양하고, 저 나라의 구족 장엄한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저 부처님께서 답하여 말씀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
저 부처님께서 곧 가루 전단향 뭉치를 싸 주시며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향을 가져다 석가모니께 드려라.”
저 보살이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돌고 난 뒤에 떠나갔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여기를 떠나 동쪽으로 3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아갈류향(阿竭流香)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대성안(大聲眼)이시다. 현재 이세(利世)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이세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또 큰 음성을 듣고 대성안불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과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는 답하여 말씀하셨다.
“서쪽으로 3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저기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바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석가모니신데, 현재 보살을 위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고 중생들을 기쁘게 하는 보살장경을 설하고 계신다. 이것은 저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시니라.”이세보살이 대성안불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저는 사바세계에 나아가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배 공양하고, 저 나라의 구족 장엄한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
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그러고는 저 부처님께서는 한 송이 높고 큰 연꽃을 주면서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꽃을 가지고 가서 석가모니부처님께 드리며 아울러 내 말로써 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괴로움이 적으시며 기력이 강건하십니까?’라고 하여라.”
이세보살이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돌고 난 뒤에 떠나갔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여기를 떠나 동쪽으로 3만 4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 저기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무변취(無邊聚)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보적(寶積)이시다. 현재 중지(重智)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중지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큰 음성을 듣고, 보적불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는 답하여 말씀하셨다.
“여기서 떠나 서쪽으로 3만 4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저기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바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석가모니신데, 현재 보살을 위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고 중생들을 기쁘게 하는 보살장경을 설하고 계신다. 이것은 저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시니라.”중지보살이 보적불에게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저는 사바세계에 가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배 공양하고 저 큰 보살 대중을 보고자 하나이다.”
저 부처님께서는 답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보적불은 곧 한 송이 오색 연꽃을 주시며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꽃을 가지고 가서 석가모니부처님께 드리며 아울러 내 말로써 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괴로움이 적으시며 기거가 경쾌하시며 걸음 걸으시기에 강건하십니까?’라고 하여라.”
저 보살은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돌고 난 후에 떠나갔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여기서 떠나 동쪽으로 3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저기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중향(衆香)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향상(香象)이시다. 현재 보상(寶象)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보상보살이 큰 광명을 보고, 큰 음성을 듣고 향상불께 여쭈었다.
“이것은 어느 부처님의 광명이고 음성이십니까?”저 부처님께서는 답하셨다.
“여기를 떠나 서쪽으로 3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바요, 부처님의 이름은 석가모니신데, 현재 거기에 계시느니라. 이것은 저 부처님의 광명이며 음성이시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다.
14. 총상품(總相品)
“여기를 떠나 동쪽으로 2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거기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은 광묘(廣妙)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상중(上衆)이시다. 현재 지중(智衆)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2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잡상(雜相)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미루견(彌樓肩)이시다. 현재 자재력(自在力)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2천 아승기의 세계를 지나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화개(華蓋)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일개(一蓋)이신데, 현재 일보장(一寶莊)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2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명(普明)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무해안(無閡眼)이시다. 현재 지자재(智自在)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선(善)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전단굴(栴檀窟)이시다. 현재 중지(重智)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선의(善意)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묘견(妙肩)이신데, 현재 익의(益意)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덕(寶德)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망명(網明)이신데, 현재 지덕(智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덕락(德樂)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보화덕(寶華德)이신데, 현재 고화덕(高華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찬탄(讚歎)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지화보명덕(智華寶明德)이신데, 현재 상엄(上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중선(衆善)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선출광(善出光)이신데, 현재 보광(寶光)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안은(安隱)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멸제포외(滅諸怖畏)이신데, 현재 무포외(無怖畏)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3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미루상(彌樓相)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미루견(彌樓肩)이신데, 현재 묘견(妙肩)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9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도일체우뇌(度一切憂惱)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안왕(安王)이신데, 현재 범음성(梵音聲)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9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법(法)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법적(法積)이신데, 현재 지적(智積)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8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안립(安立)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증십광(增十光)이신데, 현재 증백광(增百光)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8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천명(千明)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증천광(增千光)이신데, 현재 보명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8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다가루향(多伽樓香)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지광(智光)이신데, 현재 묘안(妙眼)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7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묘향(妙香)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출광(寶出光)이신데, 현재 무변명(無邊明)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7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명엄덕(明嚴德)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광(無邊光)이신데, 현재 약왕(藥王)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6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상선덕(上善德)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애음(無碍音)이신데, 현재 범음성(梵音聲)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법(法)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망광(網光)이신데, 현재 자재(自在)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중화(衆華)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의(寶意)이신데, 현재 지향(智香)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4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상청정(上淸淨)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진(無邊陳)이시다. 현재 보진(寶陳)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4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우발라(優鉢羅)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무변자재(無邊自在)이신데, 현재 담무갈(曇無竭)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3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각의처(覺意處)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우발라덕(優鉢羅德)이신데, 현재 화덕(華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3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연화처(蓮華處)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지주(智住)이신데, 현재 보만(寶滿)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2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지력(智力)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석가모니이신데, 현재 보모니(寶牟尼)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2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방류포(方流布)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지류포(智流布)이신데, 현재 무변정진(無邊精進)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무변(無邊)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사라왕(娑羅王)이신데, 현재 보사라(寶娑羅)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월(月)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보사라(寶娑羅)이신데, 현재 보수(普守)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가(娑呵)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조어(調御)이신데, 현재 조어(調御)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일개(一盖)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항렬(寶行列)이신데, 현재 열수(列宿)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2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이일체우뇌(離一切憂惱)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불허칭(不虛稱)이신데, 현재 불허명(不虛名)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9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이우(離憂)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덕생(德生)이신데, 현재 무변위덕(無邊威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8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적멸(寂滅)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유포왕(流布王)이신데, 현재 용덕(勇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7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불허견(不虛見)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불허력(不虛力)이신데, 현재 불허엄(不虛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8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묘향(妙香)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향명(香明)이신데, 현재 보명(寶明)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범음성(梵音聲)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암음성(無闇音聲)이신데, 현재 무차별엄(無差別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월광(月光)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명문력(名聞力)이신데, 현재 대지(大智)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명(普明)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수미정고왕(須彌頂高王)이신데, 현재 지력(智力)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5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엄(寶嚴)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생덕(寶生德)이신데, 현재 대도사(大導師)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4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법(法)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화상(華上)이신데, 현재 득력(得力)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4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화주(華住)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고(寶高)이신데, 현재 명덕(名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4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묘다라니왕(妙陀羅尼王)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향명(香明)이신데, 현재 다라니자재왕(陀羅尼自在王)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3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금명(金明)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방류포엄(方流布嚴)이신데, 현재 지류포엄(智流布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3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고지(高智)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수증상운음왕(普守增上雲音王)이신데, 현재 숙왕(宿王)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2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상명(常明)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이 무변명(無邊明)이신데, 현재 대명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2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정광(𤊟光)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혜성(無邊慧成)이신데, 현재 덕왕명(德王明)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동쪽으로 여기를 떠나 1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연등(然燈)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공덕지명(無邊功德智明)이신데, 현재 공덕왕명(功德王明)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저 세계에 한량없는 보배 못이 있는데, 못 가운데는 모두 푸르고 누르고 붉고 흰 여러 가지 색깔의 잎사귀를 가진 연꽃이 있어, 넓고 커서 모조리 물 위로 나왔다.위의 높이는 8만 4천 유순, 낱낱의 꽃 잎사귀에서 천 가지 광명을 놓아 시방을 두루 비추며, 여러 구렁과 언덕은 모두 편편하고 반듯하며, 보배의 노끈이 길게 붙어 있어 길의 좌우쪽을 가름하였다. 이 여러 구렁 가운데 모두 보배 나무가 있는데, 그 나무는 모두 높이가 7천 유순이요, 가지와 잎은 넓고 커서 8만 4천 유순을 능히 덮었고, 낱낱의 나무 위에는 모두 80억 마니주(摩尼珠)가 있어 과일이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여러 나무가 한량없고 가없으며, 연꽃의 광명이 세계를 늘 비추었으나, 석가모니부처님의 깨끗한 광명에 가리어 다시는 전부 나타나지 못하였다.공덕왕명보살이 이 광명을 보고 무변공덕지명불에게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무슨 광명이 이 세계를 비추나이까?”
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여기를 떠나서 서쪽으로 1만 1천 아승기 세계를 지나면 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바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석가모니시다. 현재 여러 보살장경을 설하시고 계신데, 이것이 그 광명이니라.”공덕왕명보살이 무변공덕지명불에게 여쭈었다.
“저는 사바세계에 가서 석가모니부처님을 뵙고 예배 공양하겠나이다.”
저 부처님께서 답하셨다.
“가고 싶거든 뜻대로 하여라.”
이때에 곧 한 송이 큰 연꽃을 주시며 말씀하셨다.
“그대는 이 꽃을 석가모니부처님께 갖다 드리고 아울러 저 부처님께 문안 여쭙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노고가 적으시며 기거가 경쾌하시고 노니시며 걸음 걸으시기에 편안하십니까?’라고 하여라.”저 보살은 장사가 팔을 굽혔다가 펴는 사이에 저 부처님 세계에서 홀연히 사라져 이 세계로 와서 왕사성에 이르렀다. 대숲 동산에 나아가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아래 절하고 물러나 한쪽에 머물러 서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이시여, 무변공덕지명여래께서 부처님께 문안하시기를 ‘병환이 적으시고 노고가 적으시며 기력이 편안하십니까?’라고 하시며, 이 연꽃을 부처님께 공양 올리라고 하셨습니다.”부처님께서는 꽃을 받고 나서 말씀하셨다.
“무변공덕지명여래께서는 저 세계에서 병환이 적으시며 노고가 적으시고 행보가 안녕하십니까?”
저 보살이 말하였다.
“무변공덕지명세존께서는 저 세계에 계시어 안녕하시고 아무 탈이 없으십니다.”연등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잡상(雜相)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상중(上衆)이신데, 현재 나라연(拏羅延)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잡상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방류포(方流布)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불화생덕(佛華生德)이신데, 현재 불허력(不虛力)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방류포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금강주(金剛住)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불화출왕(佛華出王)이신데, 현재 보화(寶火)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금강주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전단굴(栴檀窟)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상(寶像)이신데, 현재 관세음(觀世音)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전단굴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약(藥)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불허칭(不虛稱)이신데, 현재 불허엄(不虛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약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약생(藥生)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공덕정진엄(無邊功德精進嚴)이시니, 현재 지계(持戒)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약생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장엄(普莊嚴)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발의즉엄일체중생심(發意卽嚴一切衆生心)이신데, 현재 불화수(佛華手)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보장엄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일개(一蓋)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개항렬(蓋行列)이신데, 현재 보항열(寶行列)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일개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상화광(上華光)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명덕왕(明德王)이신데, 현재 안립(安立)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상화광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묘장엄(妙莊嚴)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덕왕명(德王明)이신데, 현재 주제공덕(住諸功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묘장엄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무변덕장엄(無邊德莊嚴)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도공덕변(度功德邊)이신데, 현재 무변공덕칭(無邊功德稱)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무변덕장엄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시방류포(十方流布)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연등(然燈)이신데, 현재 전제행엄(轉諸行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시방류포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등항렬(燈行列)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연등(然燈)이신데, 현재 보적(寶積)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등항렬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산호아(珊瑚牙)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작명(作明)이신데, 현재 덕적(德積)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산호아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중선(衆善)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외(無畏)이신데, 현재 보락(寶樂)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중선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중선(衆善)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덕미(德味)이신데, 현재 득무외(得無畏)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중선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상선(上善)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외(無畏)이신데, 현재 이포외(離怖畏)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상선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연화(蓮華)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화덕(華德)이신데, 현재 지수(智手)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연화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우발라(優鉢羅)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지화덕(智華德)이신데, 현재 무행행(無行行)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우발라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생(寶生)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적(寶積)이신데, 현재 법적(法積)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보생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묘월(妙月)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원(無邊願)이신데, 현재 연화(演華)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묘월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안주(安住)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공덕왕안립(無邊功德王安立)이신데, 현재 담무갈(曇無竭)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안주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주림(住林)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견(寶肩)이신데, 현재 약왕(藥王)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주림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중향(衆香)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사라왕(娑羅王)이신데, 현재 익의(益意)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중향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화덕(華德)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명(寶明)이신데, 현재 왈득(曰得)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화덕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일취(一聚)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취(寶聚)이신데, 현재 화득(火得)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일취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과제우뇌(過諸憂惱)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상중(上衆)이신데, 현재 상엄(上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과제우뇌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이우(離憂)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덕엄(無邊德嚴)이신데, 현재 선사엄(善思嚴)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이우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제공덕처(諸功德處)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관세음(觀世音)이신데, 현재 보수(普守)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제공덕처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명(寶明)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수미명(須彌明)이신데, 현재 안주(安住)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보명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일체공덕장엄(一切功德莊嚴)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변자재력(無邊自在力)이신데, 현재 약선(藥善)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일체공덕장엄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각의장엄(覺意莊嚴)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극고행(極高行)이신데, 현재 선사익의(善思益意)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각의장엄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무진구(無塵垢)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화덕(寶華德)이신데, 현재 익의덕(益意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무진구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운음(雲陰)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량신통자재(無量神通自在)이신데, 현재 득념(得念)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운음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화망부(華網覆)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수중원엄(隨衆願嚴)이신데, 현재 익의(益意)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화망부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열수(列宿)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고보개(高寶蓋)이신데, 현재 무우(無憂)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열수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화(寶華)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상중(上衆)이신데, 현재 자재(自在)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보화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보향(普香)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량화(無量華)이신데, 현재 향상(香象)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보향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화(華)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보자재(寶自在)이신데, 현재 이우(離憂)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화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잡보상(雜寶相)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월출덕(月出德)이신데, 현재 전제난(轉諸難)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잡보상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중귀(衆歸)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발심즉전법륜(發心卽轉法輪)이신데, 현재 전불퇴법륜(轉不退法輪)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중귀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다안(多安)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시방류포(十方流布)이신데, 현재 지류포(智流布)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다안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금강(金剛)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구릉왕(拘陵王)이신데, 현재 이익행(利益行)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금강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약(藥)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일등(日燈)이신데, 현재 월(月)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약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안은(安隱)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상보(上寶)이신데, 현재 화득(火得)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안은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사바(娑婆)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지생덕(智生德)이신데, 현재 지덕(智德)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사바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순락(純樂)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안립공덕왕(安立功德王)이신데, 현재 이포(離怖)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순락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열수개(列宿開)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애안(無碍眼)이신데, 현재 묘안(妙眼)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열수개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묘금강(妙金剛)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무외(無畏)이신데, 현재 신산(臣山)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묘금강 나라에서 여기에 이르는 중간에 세계가 있으니 이름이 월출(月出)이요, 이 가운데 부처님께서 계시니 이름은 지취(智聚)이신데, 현재 견력(堅力)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위없는 도의 수기를 주고 계신다.
나머지는 위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으니라.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932 불설화수경(佛說華手經) 5권 (0) | 2025.04.28 |
---|---|
[적어보자] #5931 불설화수경(佛說華手經) 4권 (0) | 2025.04.28 |
[적어보자] #5929 불설화수경(佛說華手經) 2권 (0) | 2025.04.27 |
[적어보자] #5928 불설화수경(佛說華手經) 1권 (1) | 2025.04.27 |
[적어보자] #5927 불설홍도광현삼매경(佛說弘道廣顯三昧經) 4권 (3) | 2025.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