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환화망대유가교십분노명왕대명관상의궤경(佛說幻化綱大瑜伽敎十忿怒明王大明觀想儀軌經)
불설환화망대유가교십분노명왕대명관상의궤경(佛説幻化網大瑜伽教十忿怒明王大明観想儀軌經)
서천(西天) 법현(法賢) 한역
김영덕 번역
그 때에 세존께서 정광천(浄光天)의 청정한 큰 누각 가운데에 계셨다. 그 누각은 금강기둥과 가장 뛰어나며 갖가지 진귀한 보배로 장엄되어 있었다. 이러한 장엄한 장식의 공양은 모두 여래의 신통변화 때문이었다. 그 때 대중의 모임 가운데 이와 같이 아촉(阿閦)ㆍ보생(寶生)ㆍ무량수(無量寿)ㆍ불공성취(不空成就) 등의 여래께서도 계셨다.
그 때에 대비로자나여래(大毘盧遮那如來)의 태장(胎蔵)의 네 면의 문으로부터 모든 대보살들과 모든 대명자(大明者)와 무수한 현성(賢聖)들이 출생하였다. 또 분노명왕(忿怒明王)과 그의 권속인 지다(喞吒)ㆍ지치(喞致)ㆍ눌다(訥多)ㆍ눌뎨(訥帝)ㆍ긴갈라(緊羯囉)1)ㆍ긴갈리(緊羯哩) 등도 있었다. 또 천(天)ㆍ용(龍)ㆍ야차(夜叉)ㆍ간달리바(巘達哩嚩)2)ㆍ아소라(阿蘇囉)ㆍ가로나(誐嚕拏)ㆍ긴나라(緊那囉)ㆍ마호라가(摩護囉誐) 등의 무수한 대중들이 모두 와서 세존을 빙 둘러싸고 모여 있었다.
그 때 대비로자나여래께서는 안락삼마지(安樂三摩地)에 상주하시며 언제나 대지(大智)ㆍ대행(大行)ㆍ대자대비(大慈大悲)와 중생을 제도하여 해탈케 하심을 여의지 않으시었다.
그 때에 대비로자나여래께서 큰 대중들의 모임 가운데에서 저 금강수보살을 보시고 나서, 대중들의 모임에 큰 광명을 놓으셔서 비추셨다. 그러자 금강수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여래를 우러러보며 오른손으로는 금강저를 돌리면서 오른쪽 무릎은 땅에 대고 합장하여 예를 드리며 부처님께 여쭈었다.
“어떠한 인연으로 여래께서는 대광명을 놓으셨나이까? 인연이 없다면 부처님께서 광명을 놓지 않으실 텐데 제가 이 광명을 보고 마음이 궁금하나이다. 때마침 모임의 대중들이 궁금해 함도 역시 그러합니다. 오직 세존께서는 사자후를 하시고 묘법을 잘 말씀하셔서 저희들의 궁금함을 풀어주십시오.”
그때 세존비로자나여래께서 금강수의 청을 받아들이시고 말씀하셨다.
“내가 지금 광명을 놓았으니 이 크게 지혜롭고 자재한 환화망유가대교왕[大智大自在幻化網瑜伽大教王]을 설하려고 한다. 금강수여, 이 금강대지의 방편행은 바다처럼 무량한 온갖 뜻으로 행하는 것에서 가장 뛰어나며, 모든 가르침 중에서 뛰어난 것 가운데 최상이어서 능히 모든 유정들을 잘 안락하게 할 수 있느니라.”
이와 같이 말씀하시고 나서 곧 지혜방편대자재금강구도대락금강삼마지(智慧方便大自在金剛救度大樂金剛三摩地)에 들어가셨다. 선정에서 나오셔서는 대환화망유가대교삼매만다라(大幻化網瑜伽大教三昧曼拏羅) 가운데 십분노명왕(十忿怒明王)3)의 관상의궤법(観想儀軌法)을 말씀하셨다.
“다시 다음에 진언을 지녀 수행하는 사람은 훔(吽,
)자로 대지(大智)를 삼아 이 훔자가 변화하여 염만득가분노대명왕(焔鬘得迦忿怒大明王)이 된다고 관상하라. 그의 광명은 겁화(劫火)와 같고 몸은 크고 푸른 구름의 색이고 여섯 개의 얼굴에 여섯 개의 팔과 여섯 개의 발이 있으며 작은 몸에 배가 불룩하다. 크게 분노하는 형상으로 만드는데 날카로운 어금니는 금강과 같으며 얼굴에는 각기 세 개씩의 눈이 있다. 팔대룡왕(八大竜王)으로 장엄하게 장식하며 호랑이 가죽으로 옷을 삼고 해골로 관을 삼았으며 물소에 올라타고 다리는 연꽃을 밟고 있다. 수염은 적황색(赤黄色)이고 말솜씨가 아주 빼어나며 정수리에는 아촉불(阿閦佛)을 모시고 있다. 자재하게 앉아서 매우 험악한 모습으로 돌아보는데 앞쪽 얼굴은 웃고 있는 모습이며, 오른쪽 얼굴은 황색으로 혀를 밖으로 내민 모습이고, 왼쪽 얼굴은 백색으로 입술을 깨물고 있는데 이것은 바로 묘길상보살(妙吉祥菩薩)의 화신(化身)이다. 오른쪽의 첫 번째 손은 검을 들었으며 두 번째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고 있으며, 왼쪽의 첫 번째 손에는 그물을 잡고 또 집게손가락은 세우며,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활을 들었다. 이 명왕의 아래에는 모든 천마(天魔)가 두려워하며 예를 드린다고 생각하라. 몸에는 일륜(日輪)의 둥근 광명이 있는데 구름처럼 많은 부처님으로 변화한다.
만일 지명자가 이와 같이 법대로 관상하고 대명을 송하면 저 지명자는 가거나 머물거나 앉거나 눕거나 언제든지 오욕의 쾌락을 받는데 잘못이 없으리라. 비유하면 마치 허공에 물건이 붙을 수가 없는 것과 같으니 이것을 능성괴대지금강조복(能成壊大智金剛調伏)삼마지라 한다.”
다시 다음에 세존대비로자나여래께서 모든 여래의 대표가 되셔서 대지대비로자나여래의 금강삼마지에 들어가셨다. 선정으로부터 나오셔서는 삼 금강문(金剛門)으로 이 염만득가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모싣디리 바아라 난 옴 걸 걸 카 혜카 혜 살리바
曩莫悉底哩三合中一字丁逸切嚩日囉二合引赧引一唵引朅切身朅二佉引呬佉引呬三薩哩嚩
누사타 살타나마가 아서모사라 바라수 바 사하사다 찰도리
二合訥瑟吒二合四薩埵那摩迦五阿西母娑攞六鉢囉戌七播引舎賀娑多二合八拶睹哩
부 자 찰도리모 카 사타자 라나 아가차아 가차 살리바
部二合惹九拶睹哩目二合佉十沙吒左二合引囉拏十一阿誐蹉阿引誐蹉十二薩哩嚩二合
누사타 바라 나 바하 리나 마하 미근나 가 다가 미
訥瑟吒二合十三鉢囉二合引拏引鉢賀引哩拏十四摩賀引尾覲曩二合十五伽引怛迦十六尾
가리 다 나나 살리바 부 다 바샹가라 아타타하 사 나 녜
訖哩二合跢引曩曩十七薩哩嚩二合部引多十八嚩商羯囉十九阿吒吒賀引娑二十曩引禰
니 마야 가라 자리마 니바 사나 구로구로 살리
儞引二十一麼也二合引伽囉二合左哩摩二合二十二儞嚩引娑曩二十三倶嚕倶嚕二十四薩哩
바 가리마 친나친나 살리바 만다라 빈나빈나 바라모나
嚩二合羯哩摩二合親曩親曩二十五薩哩嚩二合満怛囉二合引頻那頻那二十六波囉母捺
라 아 갈리사 야 아갈리사 야 살리바 부 단 니
囉二合引二十七阿引羯哩沙二合野二十八阿羯哩沙二合野二十九薩哩嚩二合部引旦引三十儞
리마 타 니리마 타 살리바 누사감 바라 볘
哩摩二合他三十一儞哩摩二合他三十二薩哩嚩二合訥瑟臽鳥二合引三十三鉢囉二合吠引武毎切
사야 바라 볘 사야 만다라만디예 볘 바사다 이 미
舎野三十四鉢囉二合吠引舎野三十五曼拏攞満提曳二合引三十六吠引嚩莎多三十七𡁠去尾
단 다가라 구로구로 마마 가 리양 하나하나 나하나하
旦引怛羯囉三十八倶嚕倶嚕三十九摩摩引迦引哩煬二合四十賀曩賀曩四十一那賀那賀四
바자바자 마 미람마야 마 미람마야 마마삼마야 마노
十二鉢左鉢左四十三摩引尾藍麼野四十四摩引尾藍麼野四十五摩摩三摩野四十六摩努
사마 라 훔 훔 바타 바타 사포 타야 사포
娑摩二合囉四十七吽引吽引四十八発吒半音発吒半音四十九娑怖二合引吒野五十娑怖二引合
타야 살리바 상 바리보 라가 혜 혜 바가밤 긴지라
吒野五十一薩哩嚩二合引商引五十二波哩布引囉迦五十三呬引呬引婆誐鍐五十四緊喞囉引
야세 마마살리바 리타 사 달야사바 하
野洗五十五摩摩薩哩嚩二合引哩他二合五十六娑引達野娑嚩二合引賀引五十七4)
그 때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대명을 송하시고 나자 모든 부처님과 큰 위덕이 있는 보살들이 일찍이 없었던 일이라 찬탄하시고 오직 대금강비로자나부처님만을 생각하셨으니, 마치 이 대지대변화금강대분노염만득가(大智大変化金剛大忿怒焔鬘得迦)의 큰 위력이 세상에 출현하는 것을 보는 것과 같았다. 이와 같이 진언을 지니는 자가 법에 의지하여 계(界)를 결하면 온갖 악을 소멸하여 최상(最上)이 될 수 있다.
“다시 다음으로 지명자가 성취법을 행할 때에는 마땅히 저절로 죽은 사람의 해골을 사용하되, 다만 한 조각으로 된 것과 양쪽 귀가 통과한 것을 가지고 작법할 수 있으며, 만일 두 조각이 난 해골과 양쪽 귀가 통과하지 못한 것을 취하면 작법할 수 없다. 설돌로(設咄嚕)5)의 발 아래 흙을 이겨서 설돌로의 형상을 만들어 해골 속에 넣는다. 지명자가 이것을 발로 밟고 이 대명구(大明句)를 염송하여 부르면 빨리 와서 관상한 그대로 스스로 항복한다.”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금강여래께서 다시 무능승대분노명왕의 관상법을 말씀하셨다.
“바라(鉢囉, ★)자로 대지(大智)를 삼아서, 바라자가 무능승대분노명왕으로 변화한다고 관상한다. 세 개의 얼굴에는 각기 세 개의 눈이 있으며, 여섯 개의 팔이 있다. 몸은 황색이고 태양과 같은 둥근 원광(圓光)이 있어서 광대하게 비추며 자재하게 머물고 팔대용왕6)으로 장엄한다. 정면은 웃는 모습이며, 오른쪽 얼굴은 아주 푸른 색을 띠고 있는 분노한 모습이고, 왼쪽 얼굴은 흰색으로 입술을 깨물고 매우 악한 모습이다. 오른쪽 첫 번째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두 번째 손에는 보배지팡이를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고 있으며, 왼쪽 첫 번째 손에는 그물을 들고 또 집게손가락은 세우며,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다. 이와 같이 관상하여 성괴(成壊)의 모습을 만들고 아촉불을 정수리에 모신다. 만일 법대로 염송하면 빨리 정각을 이루니, 이것을 무능승대지(無能勝大智)금강삼마지라고 한다.”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관상법을 말씀하시고 나서 대불공성취금강수감로분노(大不空成就金剛首甘露忿怒)금강삼마지에 들어가셨다. 삼마지에서 나오시고 나서 삼금강문으로 이 무능승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모삼만다몯다 남 나모 바아라 골로 다 야 마하 능사타로
曩莫三満多没駄引喃引一曩謨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駄引野二摩賀引能瑟吒嚕二合引
다가 타 부라바 야 가서모사라 바라수바 사 하사다 야 옴 아
怛羯二合吒三陪囉嚩引野四遏西母娑攞五鉢囉戍播引舎六賀娑跢二合引野七唵引阿
밀리 다 군나리 걸걸 거 혜거 혜 디사타 디사타 만다만다
蜜哩二合多八軍拏梨九朅朅十佉引呬佉引呬十一底瑟吒二合底瑟吒二合十二満駄満駄
하나하나 가리자 가리자 미사보 타야 미사보 타야
十三賀曩賀曩十四誐哩惹二合誐哩惹二合十五尾娑怖二合引吒野十六尾娑怖二合引吒野
살리바 미근나 미나 야감 마하 가나바디 이 미단 다가
十七薩哩嚩二合尾覲曩二合十八尾曩引野剣引十九摩賀引誐拏鉢底二十𡁠去尾旦引怛羯
라 야 훔바타 사바 하
囉引野二十一吽発吒半音娑嚩二合引賀引二十二7)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무능승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시고 나자 모든 부처님과 큰 위덕을 지닌 보살들이 모두 다 찬탄하셨으며, 모든 삿된 마구니와 외도들은 매우 두려워하고 몸과 마음을 떨며 오직 대비로자나부처님만을 생각하였다.
“다시 다음에 지명자는 성취법을 행하되, 회오리바람이 부는 나무의 잎과 설돌로 발 아래의 흙을 사용하여 서로 섞어서 비나야가[頻那夜迦]의 형상을 만든다. 지명자가 발로 밟고서 법대로 이 대명을 송하되 훔(吽,
)자와 바(発, ★)자를 대명과 같이 사용하면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을 보낼 수 있거늘 하물며 설돌로이겠는가?
다시 다음의 관상법을 설하겠다. 훔(吽,
)자를 대지(大智)로 삼아서 발누만득가대분노명왕(鉢訥鬘得迦大忿怒明王)으로 변화하여 이룬다고 관상한다. 세 개의 얼굴에는 각기 세 개의 눈과 여덟 개의 팔이 있다. 앞쪽 얼굴은 웃고 있으며 오른쪽 얼굴은 아주 푸른색이며 혀를 밖으로 내민 모습으로 마치 금강저와 같다. 왼쪽 얼굴은 황색이고 날카로운 어금니는 입술을 깨물고 있으며 호랑이 가죽으로 된 옷을 입고 있다. 오른쪽 첫 번째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두 번째 손에는 보배지팡이를 들고, 세 번째 손에는 가나야(迦那野)를 쥐고 네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고 있다. 그리고 왼쪽 첫 번째 손에는 그물을 들고 집게손가락을 세우며,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연꽃을 쥐고, 네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으니 마치 성괴상(成壊相)과 같이 무수한 부처님으로 변화하여 아촉불을 정수리에 모신다고 관상한다. 만일 법대로 관상하면 반드시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니, 이것을 최상마두(最上馬頭)금강삼마지라고 한다.
그 때 보생대금강여래(寶生大金剛如來)께서 보화대지(寶化大智)금강삼마지에 들어가셨다. 삼마지에서 나오셔서는 이 발누만득가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모사만다몯다 남 옴 이나리디 타훔 훔 바타 사바 하
曩莫三満多没駄引喃引一唵引𡁠曩哩胝二吒吽引吽引三発吒半音娑嚩二合引賀引四8) iranitiṭṭa hūṃ hūṃ phaṭ phaṭ svāhā이다.
그 때 세존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발누만득가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시고 나자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이 다 찬탄하였으며, 나찰사(囉叉娑)ㆍ부다(部多)ㆍ나지이(拏枳儞)ㆍ사건타(娑建駄)와 모든 수요(宿曜) 등이 모두 다 놀라고 두려워서 벌벌 떨었다. 저 지명자가 법에 의거하여 지송하면 온갖 성괴(成壊)의 모습을 지을 수 있다.
다시 다음에 이 미근난득가(尾覲難得迦)대분노명왕의 관상법을 설하셨다.
“훔(吽,
)자로 큰 지혜를 삼고 미근난득가대분노명왕으로 변화하여 이룬다고 관상하라. 아주 푸른 색으로 세 개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이 있고 얼굴에는 각기 세 개의 눈이 있다. 정면은 웃는 모습이며, 오른쪽 얼굴은 흰색이고, 왼쪽 얼굴은 황색으로 분노하는 모습을 하고 입술을 깨물며 오른쪽 다리로 모든 마귀를 밟고 왼쪽 다리로 연꽃을 밟고 있다. 오른쪽 첫 번째 손에는 날카로운 검을 들었으며, 두 번째 손에는 도끼를 들었고, 세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었다. 그리고 왼쪽 첫 번째 손에는 그물을 들고 집게손가락을 세웠으며,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었고, 세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으며, 아촉불을 정수리에 모시고 대신통을 구족하여 모든 마귀를 항복받고 변화로 대자비를 비내리듯 한다. 이와 같이 법대로 관상하면 모든 마귀를 소멸하니, 이것을 최승대금강삼마지라고 한다.
그 때 세존 무량수대금강여래께서 무량공덕보장대(無量功徳寶蔵大)금강삼마지에 들어가셨다. 삼마지에서 나오셔서는 이 미근난득가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모사만다몯다 남 옴 훔 훔 훔 다 로라 미로라 살리바 미사
曩莫三満多没駄引喃引一唵引吽引吽引吽引二跢引嚕攞三尾嚕羅四薩哩嚩二合尾沙
가 다가 아바 리다미사보 릉가 아타타하 사 게 사리 사타 주바
伽引怛迦五入嚩二合里多尾娑普二合陵誐六遏吒吒賀引娑七計引娑哩八娑吒引誅波
감가 라 바아라 거라니리가 다 자리다 바소다 다라 니습
九臽鳥迦引囉十嚩日囉二合袪囉儞哩伽二合引多十一左里多十二嚩蘇駄引怛攞十三儞湿
바 사 마 로도득타 발다 달라니 달라비 사나 가타타하
嚩二合娑十四摩引嚕妒得叱二合鉢多二合十五達囉尼引十六達囉毘引沙拏十七遏吒吒賀
사 아바리미다마라 바라 가라 마 아 리야 비 다 부 다
引娑十八阿波哩弥多末攞十九波囉引訖囉二合摩二十阿引哩也二合毘引多二十一部引多
가나 다유 시다 몯댜 몯댜 하야가리 바 카 나
誐拏二十二達踰二合始多二十三没𠆙切身没𠆙切身二十四賀野誐哩二合引嚩二十五佉引那
카 나 바라만다람 친나친나 싣디잉 미 녜사 아 볘
佉引那二十六鉢囉満怛囕二合引二十七親那親那二十八悉地孕二合弥引禰舎二十九阿引吠
사야 살리바 아바 라 필사 자남 살리바 가라 혜 수
引舎野三十薩哩嚩二合入嚩二合囉三十一必舎引左喃三十二薩哩嚩二合誐囉二合呬引數
아바라 디하도 바바 바아라 능사타라 긴지라 아세 이난누
阿鉢囉二合底賀睹引婆嚩三十三嚩日囉二合能瑟吒囉三合緊喞囉引野洗三十四伊難訥
사타 가라 함 누사타 살리바 바 도나도나 마타마타
瑟吒二合誐囉二合憾三十五訥瑟吒二合薩哩謗二合嚩三十六引度曩度曩三十七摩他摩他
마타마타 바타바타 바 타야바 타야 만다만다 몯다다
三十八摩吒摩吒三十九鉢吒鉢吒四十播引吒野播引吒野四十一満駄満駄四十二没駄達
리마 승가 노아야 단 가리맘구로시가람 하야아리
哩摩二合四十三僧伽引努倪也二合引旦四十四羯哩𤚥倶嚕尸伽囕二合四十五賀野仡哩二
바 야바타 바아라 야바타 바아라 가 다라 야
合引嚩引野発吒半音四十六嚩日囉二合引野発吒半音四十七嚩日囉二合誐引怛囉二合引野
바타 바아라 니다라 야바타 바아라 능사타라 야
発吒半音四十八嚩日囉二合儞怛囉二合引野発吒半音四十九嚩日囉二合能瑟吒囉三合引野
바타 바아라 거라 야바타 바아라 거라 니리가 다
発吒半音五十嚩日囉二合祛囉引野発吒半音五十一嚩日囉二合祛囉五十二儞哩伽二合引多
나 야바타 바라만다라 미나 사나 야바타 다뢰 로지야
曩引野発吒半音五十三波囉満怛囉二合尾曩引設曩引野発吒半音五十四怛𡃤二合路枳也
바양가라 야바타 살리바 가리미 수 아바라 디
二合五十五婆煬羯囉引野発吒半音五十六薩哩嚩二合羯哩弥二合引數五十七阿鉢囉二合底
하다 야바타 바아라 구라 다라 사나가라 야바타
賀跢引野発吒半音五十八嚩日囉二合倶攞五十九怛囉二合引娑曩羯囉引野発吒半音六十
훔 훔 훔 바타 바타 바타
吽引吽引吽引六十一発吒半音発吒半音発吒半音六十二9) arisaṭṭaṭopaṭaṃ kāra vajrakhura nirghātana calitabasudhātaran-
aśvāsamārutotakṣibata dhāra ṇīdhāra bhīṣaṇa aṭṭa ta ṭa ṭa ṭa hāsa apārimita palaparākrama aryagaṇabhūtigana dhūtagana adhyaṣati bud dhabuddha hayagrība khāda khāda pāramantran chindha chindha bhindha bhindha sidhimame adiṣa abiṣaya ābiṣaya sarvajvarabiśācādina sarvagraheṣu apratihato bhavāva-
jra duṣṭakincarasiyasi idanduṣṭaṃ grahan duṣṭa sarvaṃpā dhu-
na dhuna matha matha marda marda pāṭaya pāṭaya maṭa maṭama bhandha bhandha buddha dharma saṃghā anujñātaṃ karma kuru śīghranhaya grībāya phaṭ vajraya phaṭ vajra gātrā-
ya phaṭ vajra netrāya phaṭ vajra daṃṣṭaya phaṭ vajra khurāya phaṭ vajra khurnirghātanāya phaṭ parama nbinśānāya phaṭ sarvatrailokyabhayaṃ karāma phaṭ sarvakarmasu apratihatāya phaṭ vajra kusantrāsanāya phaṭ hūṃ hūṃ hūṃ phaṭ phaṭ phaṭ svāhā이다.
그 때 세존 무량수여래께서 이 미근난득가대분노명왕의 명왕을 송하시고 나자 모든 대중들이 다 놀라고 두려워서 오직 큰 지혜ㆍ대금강ㆍ대자비의 비로자나부처님만을 생각하였다. 만일 지명자가 손바닥 안에 연꽃을 가지고 있다고 관상하고 연꽃 속에 훔(吽,
)자를 생각하면 크게 치성한 광명이 있어서 두루 가득할 것이다. 이와 같이 분노명왕삼마지에 의지하면 삼계의 모든 독을 소멸시킬 수 있다.
다시 다음에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는 이 부동존대분노명왕의 관상법을 설하셨다.
“함(憾, ★)자로 큰 지혜를 삼아서 부동존대분노명왕으로 변화하여 이룬다고 관상하라. 작은 눈의 동자(童子) 모습으로 여섯 개의 팔과 세 개의 얼굴이 있는데 각기 세 개의 눈이 있으며, 동자로 장엄을 했다. 정면은 웃는 얼굴이고 오른쪽 얼굴은 황색으로 혀를 밖으로 내밀고 위는 혈색(血色)이 있다. 왼쪽 얼굴은 흰색이고 분노하는 모습으로 훔자의 소리를 낸다. 몸은 비취색을 띠고 다리는 연꽃과 보살을 밟고 서서 춤추는 듯한 모습을 지어 모든 마귀를 없앨 수 있다. 몸에는 치성한 불꽃이 마치 태양과 같은 원광으로 빙 둘렀다. 오른쪽 첫 번째 손에는 칼을 들었으며, 두 번째 손에는 금강저를 들었고, 세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었다. 왼쪽 첫 번째 손에는 그물을 들고 집게손가락을 세웠으며,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다. 부처님의 관을 정수리에 쓰고 있으니 이는 아촉여래가 변화한 것으로 큰 신통을 구족하고 모든 부처님으로 변화하는 것이 마치 구름과 같았다. 저 지명자가 이와 같이 관상하면 위없는 보리를 오래지 않아서 성취할 것이다. 이것을 모든 부처님ㆍ여래를 발생시키는 부동ㆍ대지ㆍ대자재[不動大智大自在]의 금강삼마지라고 한다.”
이 때에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는 금강등치성대광명(金剛灯熾盛大光明)금강삼마지에 들어가셨다. 삼마지에서 나오셔서는 이 부동존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마삼만다몯다 남 옴 아자라가 나나 나타나타 마 타마 타 사타
曩莫三満多没駄引喃引一唵引阿左攞迦引拏拏二曩吒曩吒三謨引吒謨引吒四娑吒
사타 다타다타 도타도타 마 하마 하 사하사하 가나가나 디사타
娑吒五怛吒怛吒六咄吒咄吒七謨引賀謨引賀八娑賀娑賀九賀嚢賀曩十底瑟吒二合
디사타 아 미사아 미사 마하 마다 바 라 도나도나 디니디
底瑟吒二合十一阿引尾舎阿引尾舎十二摩賀引末跢引播引攞十三度曩度曩十四底尼底
니 카 나카 나 미근나 마 라야 마 라야 누사감 바가사
尼十五佉引那佉引那十六尾覲曩二合引摩引囉野十七摩引囉野十八訥瑟臽鳥二合引婆乞叉
야 바가사 야 살리밤 구로구로 지리지리 마하 니사마
二合野十九婆乞叉二合野二十薩哩鍐二合倶嚕倶嚕二十一枳哩枳哩二十二摩賀引尾沙摩
바아라 사보 타야 사보 타야 훔 훔 훔 디리
二十三嚩日囉二合娑怖二合引吒野二十四娑怖二合引吒野二十五吽引吽引吽引二十六底哩二
바리다람가나리다 가 암 암 암 캄 캄 캄
合嚩里多囕誐曩哩多二合迦二十七暗引烏当切暗引上同暗引二十八㰠引呼郎切下同㰠引㰠引二
아자라지 타 사보 타야 사보 타야 훔 아삼만디
十九阿左攞喞引吒三十娑怖二合引吒野三十一娑怖二合引吒野三十二吽引三十三阿三満底
가다라 타 마하 마라 사 다야 삼마양 맘 다람
迦怛囉二合吒半音三十四摩賀引末攞三十五舎引怛野三十六三摩煬三十七𤚥引怛囕二合引
캄 난 수질도로가소도 사야 도바아리 나마 소도
㰠引難引三十八戍迭睹路迦窣睹二合三十九沙也二合睹嚩日哩二合引四十曩謨引窣睹二合
아바라 디하다마례 비약 자바 라야다라 타 아
四十一阿鉢囉二合底賀多末㘑引毘薬二合四十二入嚩二合引攞野怛囉二合吒半音四十三阿
사하나마사바 하
娑賀曩莫娑嚩二合引賀引四十四10) aya bhakṣaya sarvān kuru kuru kiri kuri mahābiṣamavajra sphoṭaya sphoṭaya hūṃ hūṃ hūṃ tribilātaraṅ ganartaka aṃ aṃ aṃ hāṃ hāṃ hāṃ acalacaṭa sphoṭaya sphoṭaya hūṃ huṃ asam-
antikaṭāṭa mahābalaśātāya baramantrana aṃ aṃ hāṃ hāṃ maṃ śuddhaṃ duloka tuṣutuvajrāṃ namo stute apratihatabalebhyaḥ jvālaya traṭatisaha namaḥ svāhā이다.
이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부동존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시고 나자 모든 천ㆍ용ㆍ야차ㆍ나찰[囉叉娑]ㆍ긴나라와 모든 마귀들이 크게 두려워하였다. 마치 큰 불 속에서 타는 듯이 정신을 못차리고 기절하여 땅에 쓰러져서 오직 대비로자나부처님만을 생각하였다. 이와 같이 부동존대분노명왕은 모든 천계의 동녀(童女)를 불러 모아 모두 두려워하게 하고 빨리 갖가지의 하고자 하는 일을 하게 하니, 곧 비로자나여래의 신통으로 교화한 바이다.
다시 다음에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타기대분노명(吒枳大忿怒明)을 관상하는 법을 말씀하셨다.
“훔(吽,
)자로 큰 지혜를 삼아서 타지대분노명왕으로 변화하여 이룬다고 관상하라. 세 개의 얼굴에는 각기 세 개의 눈이 있으며, 여섯 개의 팔이 있고, 보배관을 머리에 썼는데 관의 위에는 부처님이 계시다. 명왕은 머리카락을 드리우고 정면은 웃음을 띠고 오른쪽 얼굴은 황색으로 눈썹을 찡그리며, 왼쪽 얼굴은 흰색이고 분노하는 모습으로 입술을 깨물고 있다. 몸은 푸른 구름색으로 태양과 같은 원광(圓光)이 있다. 좌우의 두 손[첫 번째 손]으로는 본 인계를 결하며 오른쪽 두 번째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고 있다. 그리고 왼쪽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으며, 다리로 연꽃을 밟고 서서 마치 춤추는 듯한 모습을 하고, 모든 부처님으로 변화하여 얼굴은 모든 마귀를 내려다보고, 마귀들이 두려워하는 모습을 한다. 저 지명자가 법대로 관상하면 속히 보리를 증득할 것이니, 이것을 구소일체최승(句召一切最勝)금강삼마지라고 한다.
그 때 세존 비로자나여래께서 보편치성장(普遍熾盛蔵)금강삼마지에 들어가셨다. 삼마지에서 나오셔서는 이 타지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마삼만다몯다 남 옴 타지 훔 자
曩莫三満多没駄引喃引一唵引吒枳二吽引𠺁三11)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타지대분노명왕의 대명을 말씀하시고 자자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 다 찬탄하셨으며, 모든 마귀들이 정신을 못차리고 기절하여 땅에 쓰러져서 깨어나지 못하였다.
“다시 다음으로 성취법을 설하겠다. 이 때 지명자가 불공성취불의 작법에 의지하여 오른 발로 설돌로의 형상을 밟고 크게 분노하는 형상으로 눈썹을 찡그리면 능히 모든 마귀를 불러서 온갖 주법을 부술 수 있고,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경애하는 마음을 내게 할 수 있다.”
그 때 세존 불공성취대금강여래께서 이 니라난다(儞羅難拏)대분노명왕의 관상법을 설하셨다.
“훔(吽,
)자를 큰 지혜로 삼아서 니라난다대분노명왕으로 변화하여 이룬다고 관상하라. 세 개의 얼굴에는 각기 세 개의 눈이 있으며, 여섯 개의 팔이 있고, 정면은 청색으로 웃음을 띠고 있으며, 왼쪽 얼굴은 황색이고 오른쪽 얼굴은 흰색이며, 입술을 깨물고 있다. 몸은 푸른 구름색이고 팔대용왕으로 장엄을 하며, 상투는 푸르고 윤택이 나며 부처님을 정수리에 모시고 발로 연꽃을 밟고 서서 마치 춤추는 듯한 모습을 한다. 오른쪽 첫 번째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두 번째 손에는 보배지팡이를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고 있으며, 왼쪽 첫 번째 손에는 그물을 들고 집게손가락을 세우며,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으며, 태양과 같은 둥근 광명이 빙 둘러있다. 마치 구름처럼 많은 모든 부처님으로 변화하니 이것을 항제마원대지(降除魔怨大智)금강삼마지라고 한다.”
그 때 세존 불공성취대금강여래께서 불공출생최상보당대마니대(不空出生最上寶幢大摩尼大)금강삼마지에 들어가셨다. 삼마지에서 나오셔서는 이 대니라난다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마삼만다몯다 남 옴 니혜예 혜바가밤 바아라 니 라난나 도
曩莫三満多没駄引喃引一唵引伊係曳二合引呬婆誐鍐二嚩日囉二合儞引攞難拏三睹
로도로 라호라호 하 하 우로우로 우라 바야 우라 바야 가라 마
嚕睹嚕四攞虎攞虎五賀引賀引六虞盧虞盧七虞攞引波野八虞攞引波野九訖囉二合摩
가라 마 바가밤바 유볘 예 나 부 다 시가람 나하나하
十訖囉二合摩十一婆誐鍐嚩引喩吠引詣引曩十二部引跢引尸伽囕二合十三那賀那賀十四
나라나라 바하바하 바자바자 바타바타 바 타야바 타야 마타
那囉那囉十五嚩賀嚩賀十六鉢左鉢左十七鉢吒鉢吒十八播引吒野播引吒野十九摩吒
마타 마타 바야 마타 바야 살리바 갈리마 니 친나친
摩吒二十摩吒引波野二十一摩吒引波野二十二薩哩嚩二合羯哩摩二合引抳二十三親那親
나 빈나빈나 바가사 바가사 미 나마사 로제라만 사
那二十四頻那頻那二十五婆乞叉二合婆乞叉二合二十六弥引那摩写二十七嚕提囉満引娑
미 나마자 로제라필리 야 이혜예 혜바가밤 살리바
二十八弥引那摩惹二十九嚕提囉必哩二合野三十伊係曳二合引呬婆誐鍐三十一薩哩嚩二
미근나 니 살리바 미니야 니 살리바 만다라 니
合尾覲曩二合引儞三十二薩哩嚩二合尾儞也二合引儞三十三薩哩嚩二合満怛囉二合引抳三
살리바 가리마 니 살리바 모라가라 하 하나하나
十四薩哩嚩二合迦哩摩二合引抳三十五薩哩嚩二合暮攞誐囉二合賀引三十六賀曩賀曩三十
반자반자 마리나 마리나 이난미 가 리야 사 달야 훔
七畔惹畔惹三十八摩哩那二合摩哩那二合三十九伊難弥引迦引哩煬二合娑引達野四十吽
니 라 야 니 라바아라 난나 야 도로도로 미근나 미나
引儞引攞引野四十一儞引攞嚩日囉二合難拏引野四十二睹嚕睹嚕四十三尾覲曩二合尾曩
야가 나 사가 라 호로호로 녜 바다 찬나 야 살리바
引野迦四十四曩引舎迦引野四十五虎嚕虎嚕四十六禰引鉢多二合賛拏引野四十七薩哩嚩二
설돌로 난 하리 나야 니볘 나야 친나친나 미니야
合設咄嚕二合赧引四十八紇哩二合那野引儞閉引拏野四十九親那親那五十尾儞也二合引
남 체 나가훔 미니야 남 시사타 갈리마 사마 라 삼마
喃引砌引那迦吽引五十一尾儞也二合喃引始瑟吒二合羯哩摩二合娑摩二合囉五十二三摩
양 바아라 달라바자남 마리마 니니가릉 다야 훔 훔
煬五十三嚩日囉二合達囉嚩左喃引五十四摩哩摩二合引抳儞訖凌二合多野五十五吽引吽
하나하나 나하나하 도로도로 구로구로 호로호로
引五十六賀曩賀曩五十七那賀那賀五十八睹嚕睹嚕五十九倶嚕倶嚕六十虎嚕虎嚕六十一
바타 바타 훔 훔 하리 단 다예 녜 바리시 미나
発吒半音発吒半音六十二吽引吽引六十三訖哩二合旦引怛曳引六十四禰引嚩哩始六十五尾捺
라 바나가 야 하나하나 바아라 난니 나사바 하
囉二合引鉢曩迦引野六十六賀曩賀曩六十七嚩日囉二合難抳引曩娑嚩二合引賀引六十八12) karmāṇi chindha chindha bindha bindha bhakṣaya bhakṣaya asthime damaase rudhira madjame damaja baśvamadja rudhi-
ra priya ehy ehi bhagavāna sarvapighnāni sarvabinayani sar-
vahyāmi sabamantāni sarvamūlakarmaṇi kritrimani śādīni sar-
vamūlagrahāna hana hana bhanja bhanja marda marda idam-
me kāryaṃ sādhāya hūṃ nīlaya nilaya nīlavajra daṇaḍāya turu turu bighanbanīyaka nāśaya nāśaya hulu hulu dīpatacaḍaḍāya sarvaśatruṃnāṃ hridayā nipīṭaya chindha chindha parabīdyan-
āṃ cchedaka hūṃ bidyānāṃ śaṣṭika samayamanusmara vajrad-
harapacanaṃ ca marmāṇi nikrinata hūṃ hūṃ hana hana daha daha paca paca kuru kuru turu turu hulu hulu phaṭ phaṭ hūṃ hūṃ kritantāya devariṣidrāpakāya hana hana vajraṇaḍena svāhā이다.
그 때 세존 불공성취대금강여래께서 이 니라난나명왕의 대명을 송하시고 나자 시방 국토의 모든 마귀 궁전이 크게 진동하였으며, 오직 삼금강대비로자나부처님만을 생각하였다. 그 지명자가 모든 인과 이 대명의 작법에 의지하면 모두 성취할 수 있다. 만일 이 대명주를 팔백 번 염송하면 모든 마귀의 원한을 없앨 수 있다.
다시 다음에 대력분노명왕(大力忿怒明王)의 관상법을 설하셨다.
“훔(吽,
)자로 큰 지혜를 삼아서 대력분노명왕으로 변하여 이룬다고 관상하라. 세 개의 얼굴에는 각기 세 개의 눈이 있으며, 여덟 개의 팔이 있다. 몸은 푸른 구름색을 띠고 팔대용왕으로 장엄하며, 치성한 불꽃으로 몸을 빙 둘러싸고, 머리카락은 모두 섰으며, 눈은 매우 붉은 색을 띠고 아촉불을 정수리에 모시고 있다. 정면은 웃고 있으며 오른쪽의 얼굴은 금색이고 왼쪽 얼굴은 백색이며 입술을 깨물고 있다. 발은 연꽃을 밟고 크게 분노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모든 천신들이 두려워서 여러 방향으로 달아나고, 태양과 같은 원광이 둘러 있다. 오른쪽 첫 번째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두 번째 손에는 보배 지팡이를 들며, 세 번째 손에는 칼을 들고 네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고 있으며, 왼쪽 첫 번째 손에는 그물을 들고 집게손가락을 세우며,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골타(骨朵)13)를 들며 네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다. 구름처럼 많은 부처님으로 변화한다고 관상하면 이를 대력대지최승대금강삼마지라고 한다.”
그 때 세존 아촉대금강여래께서 보편변화장엄대(普遍変化装厳大)금강삼마지에 들어가셨다. 삼마지에서 나오셔서는 이 대력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마삼만다몯다 남 옴 훔 훔 훔 바타 바타 바타 옴 옴 오
曩莫三満多没駄引喃引一唵引吽引吽引吽引二発吒半音発吒半音発吒半音三唵引唵引沃
가라 수 라바 니 훔 훔 훔 바타 바타 바타 옴 녜유 디
仡囉二合戍引攞播引抳四吽引吽引吽引五発吒半音発吒半音発吒半音六唵引𡁠踰二合引底
니리나 나 훔 훔 훔 바타 바타 바타 마하 마라 야사바
儞哩曩二合引那七吽引吽引吽引八発吒半音発吒半音発吒半音九摩賀引末攞引野娑嚩二
하
合引賀引十14)
그 때 세존 아촉여래께서 이 대력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시고 나자 모든 천마가 다 두려워하며 오직 대비로자나금강여래만을 생각하였다. 지명자가 이 대명을 송하면 모든 원을 베풀어줄 수 있고 나아가 비를 그치게도 하고 내리게도 하는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
다시 다음에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송바(送婆)대분노명왕의 관상법을 말씀하셨다.
“훔(吽,
)자로 큰 지혜를 삼아서 송바대분노명왕으로 변하여 이룬다고 관상하라. 몸은 아주 푸른 색이며 좌우의 두 손은 본인을 결하고 오른쪽 두 번째 손에는 칼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고 있으며, 왼쪽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다. 이 대명왕은 삼계 안에서 위력이 가장 뛰어나다.”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송바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나마삼만다몯다 남 옴 송바니송바훔 가리 흔나 가리 흔나
曩莫三満多没駄引喃引一唵引送婆儞送婆吽引二仡哩二合恨拏二合仡哩二合恨拏二合
훔 가리 흔나 바야 가리 흔나 바야훔 아 나야호바가밤
吽三仡哩二合恨拏二合引鉢野四仡哩二合恨拏二合引鉢野吽五阿引曩野護婆誐鍐引六
미니야 라 자훔 바타
尾儞也二合引囉引惹吽引発吒半音七15)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송바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시자 모든 천녀가 두려워서 명왕의 발을 받들고 오직 대지대비로자나부처님만을 생각하였다. 이 대명은 큰 위력이 있으니, 능히 금강삭(金剛索)ㆍ금강구(金剛鈎)가 되어서 모든 천녀 등을 끌어들이면 빨리 오지 않을 수 없으므로 구소법(句召法) 가운데 이 대명이 가장 뛰어나다.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다시 바아라바다라(嚩日囉播多羅)대분노명왕의 관상법을 말씀하셨다.
“도(度, ★)자를 대지로 삼아서 바아라바다라대분노명왕으로 변하여 이룬다고 관상하라. 몸은 흰 우유빛이고 여섯 개의 팔이 있는데 오른쪽 첫 번째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두 번째 손에는 금강구를 들며 세 번째 손에는 화살을 들고 있다. 그리고 왼쪽 첫 번째 손에는 그물을 들고 집게손가락을 세우며, 두 번째 손에는 반야바라밀다경을 들고, 세 번째 손에는 활을 들고 있으며 모든 아수라를 조복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바아라바다라대분노명왕의 대명을 송하셨다.
옴 반자 살리바 바 다 라내다야 가나 훔 훔 훔 바타
唵引畔惹一薩哩嚩二合播引跢引攞乃怛也二合誐拏二吽引吽引吽引発吒半音三16)
그 때 세존 대비로자나여래께서 이 십대분노명왕을 말씀하셨다.
“각기 세 개의 얼굴에는 각기 세 개의 눈이 있으며, 눈은 매우 붉은 색을 띠고 분노하면서 돌아보는 모습을 짓고, 흑색의 난나(難那)용왕과 구리가(倶梨迦)용왕으로 머리의 상투를 감으며, 금색의 덕차가(得叉迦)용왕으로 귀고리를 만들고, 붉게 빛나는 금색의 마하발누마(摩賀鉢訥摩)용왕은 겨드랑이에 두르고, 마치 붉은 연꽃과 같은 색의 바소기(嚩蘇枳)용왕은 허리에 감고, 백색의 소라와 같은 발누마(鉢訥摩)용왕으로는 발 위의 방울을 만든다. 이와 같이 팔대용왕으로 장엄한다. 이와 같이 십대명왕(十大明王)은 모두 크게 분노하는 모습으로 만들되, 호랑이 가죽으로 옷을 만들고 해골로는 관을 만들어 쓰며, 꼿꼿이 서 있는 상투는 적황색의 빛을 띠며 아촉여래를 정수리에 모신다. 각기 태양과 같은 원광과 자리가 있다. 정면은 웃음을 띠고 오른쪽 얼굴은 약간 분노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왼쪽 얼굴은 매우 악한 모습으로 날카로운 어금니와 입술을 깨물며 눈썹을 찡그리고 서서 마치 춤추는 듯이 서 있다. 이와 같이 지명자법대로 관상하면 온갖 원하는 것으로 성취되지 못할 것이 없느니라.”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944 불설효자경(佛說孝子經) (0) | 2025.04.30 |
---|---|
[적어보자] #5943 불설회향륜경(佛說廻向輪經) (1) | 2025.04.30 |
[적어보자] #5941 불설환사인현경(佛說幻士仁賢經) (0) | 2025.04.30 |
[적어보자] #5940 불설화취다라니주경(佛說花聚陀羅尼呪經) (0) | 2025.04.29 |
[적어보자] #5939 불설화적다라니신주경(佛說華積陀羅尼神呪經) (0) | 2025.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