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佛說佛母出生三法藏般若波羅蜜多經) 2권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 제2권
시호 한역
이미령 번역
1. 요지제행상품 ②
이때 존자 만자자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수보리에게 반야바라밀다를 말하게 하셨는데 어찌하여 지금 대승법을 말하는 것입니까?”그러자 존자 수보리가 곧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말한 대승이 저 반야바라밀다에 어긋나지는 않습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다. 수보리여, 오히려 그대의 말은 반야바라밀다에 수순한다.”그러자 수보리가 부처님의 위신력을 이어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전제(前際)・후제(後際)・중제(中際)에서 보살마하살을 찾았지만 끝내 얻지 못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색은 가없기[無邊] 때문에 보살마하살 또한 가없으며, 수・상・행・식은 가없기 때문에 보살마하살 또한 가없습니다. 색이 곧 보살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얻을 수 없으며, 수・상・행・식이 곧 보살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얻을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이와 같이 어느 때[一切時], 어느 곳[一切處], 어느 종류[一切種]에서나 보살마하살을 구하였으나 끝내 얻지 못하였습니다. 반야바라밀다 또한 보지 못하였고 얻지 못하였습니다. 나아가 일체지 또한 보지 못하였고 얻지 못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일체법은 어느 때, 어느 곳, 어느 종류에서나 모두 보지 못하고 얻지 못하는데 어떤 것이 법이고 어떤 것이 법 아닌 것입니까? 어떤 법으로 가르쳐 반야바라밀다에 들게 합니까? 세존이시여, 보살은 이름과 글자만이 있고 반야바라밀다 또한 오직 이름과 글자만이 있습니다. 그러나 저 이름과 글자 또한 생한 바가 없습니다.세존이시여, 말씀하신 바와 같이 아(我)와 아법(我法)은 끝내 생한 바가 없습니다. 아에는 자성이 없기 때문이며 일체법 또한 그러합니다. 이 중에서 어떻게 색은 집착할 바가 없고 생겨남이 없습니까? 수・상・행・식은 어떻게 집착할 바가 없고 생겨남이 없습니까? 일체법은 성품이 없는 까닭에 집착할 바가 없고 생겨남도 없습니다. 법은 성품이 없기 때문에 일체법은 생함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생함이 없음도 또한 생함이 없습니다. 저는 지금 생함이 없는 법으로써 가르쳐서 반야바라밀다에 들어가게 합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생함이 없는 법을 떠나서 일체법을 구하면 나아가 불보살법은 끝내 얻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만일 생함이 없는 법을 떠나면 보살마하살은 저 보리행을 능히 성취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보살마하살이 이렇게 말하는 것을 듣고 마음에 흔들림이 없고 놀라지 않고 겁내지 않고 또한 퇴전하지 않는다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하고 반야바라밀다를 관조하여 사유하는[觀想]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세존이시여, 만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에서 행하거나 관상할 때에는 색을 받지 않고 색의 생함을 보지 않고 색의 멸함을 보지 않으며, 이와 같이 수・상・행・식을 받지 않고 수・상・행・식의 생함을 보지 않으며 수・상・행・식의 멸함을 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만일 색이 생하지 않으면 곧 색이 아니고 색이 멸하지 않으면 곧 색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생하지 않음과 색은 둘이 아니고 다른 것이 아닙니다. 멸하지 않음과 색도 또한 둘이 아니고 다른 것이 아닙니다. 마치 색이 곧 무이법(無二法)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수・상・행・식이 생하지 않으면 곧 수・상・행・식이 아니고 수・상・행・식이 멸하지 않으면 곧 수・상・행・식이 아닙니다. 이렇게 생하지 않음과 수・상・행・식은 둘이 아니고 다른 것이 아니며 멸하지 않음과 수・상・행・식 또한 둘이 아니고 다른 것이 아닙니다. 마치 수・상・행・식이 곧 무이법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에서 이렇게 관하고 난 뒤에 곧 색・수・상・행・식에서 받는 바도 없고 생겨난 바도 없으며 멸하는 바도 없고 나아가 모든 법 모든 상(相) 또한 이와 같습니다.
왜냐하면 만일 색・수・상・행・식이 생하지 않고 멸하지 않으면 곧 색・수・상・행・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색・수・상・행・식은 생하지 않고 멸하지 않음과 둘이 아니고 다른 것이 아니니, 마치 색・수・상・행・식이 곧 무이법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그러자 존자 사리자가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내가 존자 수보리가 말한 뜻을 이해한 바와 같다면, 보살은 곧 생함이 없는 법입니다. 만약 이와 같다면 어떻게 보살이 중생을 이익되게 하고자 난행(難行)이라는 행과 난행이라는 생각[想]이 있겠습니까?”수보리가 말하였다.
“사리자여, 나는 보살마하살로 하여금 난행이라는 행과 난행이라는 생각이 있게 하고자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만일 난행이라는 생각이 있으면 곧 능히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는 중생을 이익되게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만일 모든 중생에게 쉽다는 생각과 즐겁다는 생각과 아버지라는 생각, 어머니라는 생각, 그의 자식이라는 생각을 낸다면 곧 능히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는 중생을 이익되게 할 수 있습니다.
보살마하살은 모든 중생에게 마땅히 ‘나는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모든 괴로움을 해탈하며 모든 중생 또한 마찬가지로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모든 괴로움을 해탈케 하되 어느 곳에서라도 중생을 버리지 않고 두루 중생으로 하여금 고온(苦蘊)에서 해탈케 하며, 모든 마음과 뜻에 허물을 일으키지 않으리라’는 생각을 내야 합니다. 보살마하살이 모든 중생에게 이와 같은 마음을 낸다면 곧 난행이라는 행도 없으며 난행이라는 생각도 없습니다.
사리자여, 보살마하살은 ‘나라는 것이 어느 때, 어느 곳, 어느 종류에서나 끝내 존재하지 않아 얻는 것이 없었던 것처럼 저 일체법도 어느 때, 어느 곳, 어느 종류에서나 또한 끝내 존재하지 않아 얻는 것이 없다. 이와 같으면 곧 안과 밖의 일체법에 대해 존재하지 않다는 상을 일으킬 것이다’라는 마음을 내어야 합니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마음으로 행하면 곧 난행이라는 행도 없고 난행이라는 생각도 없습니다.다시 존자 사리자여, 그대는 앞서 말하기를 ‘보살은 생함이 없다’고 하였는데 바로 그렇습니다. 보살은 실로 생함이 없습니다.”사리자가 말했다.
“만일 보살이 생함이 없다면 저 보살법도 일찍이 생함이 없습니까?”수보리가 말했다.
“보살법 또한 생함이 없습니다.”사리자가 말했다.
“만일 보살법이 생함이 없다면 저 일체지는 생함이 없습니까?”수보리가 말했다.
“일체지는 생함이 없습니다.”사리자가 말했다.
“일체지의 법은 생함이 없습니까?”수보리가 말했다.
“일체지의 법도 생함이 없습니다.”사리자가 말했다.
“만일 일체지의 법 또한 생함이 없다면 저 모든 범부[異生]도 생함이 없습니까?”수보리가 말했다.
“모든 범부의 종류 또한 생함이 없습니다.”또다시 말했다.
“저 범부의 법은 생함이 없습니까?”수보리가 말했다.
“모든 범부의 법 또한 생함이 없습니다.”존자 사리자가 수보리에게 물었다.
“만일 보살과 보살법과 일체지와 일체지의 법과 범부와 범부의 법이 모두 생함이 없다면 저 보살마하살이 얻는 일체지 또한 생함이 없으리니 생함이 없음을 얻습니까?”존자 수보리가 말하였다.
“사리자여, 나는 생함이 없는 법을 얻을 수 있게 하고자 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생함이 없는 법은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사리자가 말했다.
“생함이 없는 법은 생함이 없음을 얻지 못합니까?”수보리가 말했다.
“그렇습니다. 생함이 없는 법은 생함이 없음을 얻지 못합니다.”사리자가 말했다.
“만일 저 법이 생함이 없다면 생함이 없음 또한 생함이 없습니까?”수보리가 말하였다.
“생하는 법은 생함이 없습니다. 생함이 없음 또한 생함이 없습니다.”사리자가 말했다.
“만일 생함이 없음 또한 생함이 없다면 그대가 말하는 바와 즐겨 말하는 바는 생하였습니까, 생함이 없습니까?”수보리가 말하였다.
“즐겨 말하는 것 또한 생함이 없습니다.”
사리자가 말하였다.
“만일 즐겨 말하는 것이 생함이 없다면 말하는 바도 생함이 없습니까?”
수보리가 말하였다.
“말하는 바와 즐겨 말하는 바는 모두 다 생함이 없습니다.”존자 사리자가 수보리를 찬탄하며 말하였다.
“참으로 훌륭하십니다. 수보리여, 그대는 법을 설하는 사람 가운데 가장 뛰어나고 으뜸입니다. 왜냐하면 질문을 받는 대로 모든 법의 모양[法相]을 움직이거나 무너뜨리지 않으면서도 모두 능숙하게 답하기 때문입니다.”수보리가 말했다.
“사리자여, 법의 근본은 이와 같습니다. 부처님의 모든 제자들은 의지함이 없는 법 속에서 질문을 받는 대로 모든 법의 모양을 움직이거나 무너뜨리지 않고도 모두 능숙하게 답합니다. 왜냐하면 모든 법이 의지할 바가 없기 때문입니다.”사리자가 수보리에게 물었다.
“만일 모든 법이 의지할 바가 없다면 보살마하살은 어떤 바라밀다에 의지합니까?”수보리가 말했다.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합니다. 사리자여, 마땅히 진실[如實]되게 알아야 합니다. 저 모든 법은 의지함이 없기 때문에 모든 바라밀다 또한 다시 이와 같습니다. 만약 보살마하살이 이렇게 깊고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들을 때에는 생각하기를, ‘말함도 없고 보임도 없고 들음도 없고 얻음도 없으며 마음에 움직임도 없고 구하는 모양도 없으며 지니는 모양도 없다’라고 하여야 합니다.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이 보살마하살이 무수한 반야바라밀다행을 행할 때에는 이런 생각을 떠나지 않아야 합니다.”이때 존자 사리자가 수보리에게 물었다.
“어떤 것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에 이런 생각을 떠나지 않는다고 합니까? 만일 보살마하살이 이런 생각을 떠나지 않으면 곧 반야바라밀다행을 떠나지 않을 수 있으며,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행을 떠나지 않으면 곧 이런 생각을 떠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보리여, 만일 보살마하살이 이런 행을 떠나지 않고 이런 생각을 떠나지 않으면 저 모든 중생 또한 반야바라밀다행을 떠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중생 또한 이런 생각을 떠나지 않게 되기 때문입니다.”수보리가 말하였다.
“사리자여, 그대의 말은 마치 나의 뜻을 성취한 것과도 같습니다. 왜냐하면 중생은 성품이 없는 까닭에 생각 또한 성품이 없음을 알아야 합니다. 중생은 떠난 까닭에 생각 또한 떠났음을 알아야 합니다. 중생은 마음이 없는 까닭에 생각 또한 마음이 없음을 알아야 합니다. 중생은 환히 깨달음이 없는 까닭에 생각 또한 환히 깨달음이 없음을 알아야 합니다. 중생은 여실한 뜻을 아는 까닭에 생각 또한 여실한 뜻을 압니다. 사리자여, 나는 모든 보살마하살로 하여금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다를 행하게 하고자 합니다.”
2. 제석천주품(帝釋天主品)
이때 제석천주가 4만 명의 하늘 무리와 함께 모임에 왔다. 사대천왕(四大天王)과 2만 명의 하늘 무리, 사바세계의 주인인 대범천왕(大梵天王)과 1만 명의 범중(梵衆)과 정거천자(淨居天子)와 천 명의 하늘무리 등 이와 같은 무리들이 모두 모임에 모여들었다. 저 모든 천자들이 지닌 업보의 광명은 부처님 위신력의 뛰어난 광명으로 말미암아 전혀 드러나지 않았다.이때 제석천주가 존자 수보리에게 여쭈었다.
“저희들 모든 하늘과 범중들은 모두 모여 와서 즐거이 듣고 지니고자 합니다. 존자 수보리께서는 모든 보살마하살을 위하여 반야바라밀다를 널리 설하시는데 모든 보살로 하여금 어디에 안주케 하시며, 무엇을 배우고 익히게 하시며, 무엇과 상응하게 하십니까?”수보리가 말하였다.
“교시가여, 지금 이 천자의 무리 가운데 부처님의 위신력과 가피력으로 말미암아 만일 아직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지 않은 자라면 마땅히 발심해야 할 것이며, 이미 정위(正位)에 든 자라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저들은 윤회에 묶여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사람들이 만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다면 나 또한 기쁘게 권하여 발심케 할 것이며 그 선근(善根)이 끊어지지 않게 할 것입니다.”이때 세존께서 찬탄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수보리여, 그대는 보살마하살을 잘 권하고 인도하여 반야바라밀다에서 상응함을 얻게 하였구나.”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중생에게 커다란 은덕이 있습니다. 저는 지금 부처님의 은혜를 갚고자 하여 이와 같이 권하고 인도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과거의 여래・응공・정등정각의 모든 제자들 또한 부처님의 은혜를 갚기 위하여 모든 보살마하살을 권하여 인도하였으며, 모든 보살로 하여금 이와 같은 범행으로 진실한 법에 머물게 하였으며, 또한 가르쳐서 반야바라밀다를 성취하게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행으로 말미암아 위없는 지혜를 발하였습니다.
세존이시여, 저도 지금 이와 같이 모든 보살마하살을 두루 거두고 보호합니다. 저의 이와 같은 거두고 보호하는 인연의 힘으로 인하여 모든 보살마하살은 빨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할 수 있게 됩니다.”이때 존자 수보리가 제석천주에게 말하였다.
“그대들은 잘 듣고 이치에 따라 사유하시오. 내가 지금 보살마하살의 반야바라밀다를 널리 설하여 공법(空法)에 안주케 하여 모든 보살로 하여금 대승의 갑옷을 입고 대승을 장엄하게 하겠습니다.
마땅히 아십시오. 반야바라밀다는 이른바 5온(蘊)에 머물지 않으며 안근(眼根)에 머물지 않으며 색경(色境)에 머물지 않습니다. 안식(眼識)에 머물지 않으며 안촉(眼觸)에 머물지 않으며 또한 다시 안촉으로 생겨난 모든 느낌[受]에 머물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의근(意根)에 머물지 않으며 성경(聲境)・향경(香境)・미경(味境)・촉경(觸境)・법경(法境)에 머물지 않습니다. 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에 머물지 않으며 이촉(耳觸)에서부터 의촉(意觸)에 이르기까지 머물지 않습니다. 또한 이촉과 나아가 의촉으로 생겨난 모든 느낌에도 머물지 않습니다.
지계(地界)・수계(水界)・화계(火界)・풍계(風界)・공계(空界)・식계(識界)에 머물지 않으며 염처(念處)・정근(正勤)・신족(神足)・근(根)・역(力)・각도(覺道)에 머물지 않습니다.수다원과에 머물지 않으며, 사다함과에 머물지 않으며, 아나함과에 머물지 않으며, 아라한과에 머물지 않습니다. 연각과에 머물지 않으며, 불지(佛地)에 머물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5온에 머물지 않으며, 나아가 불지에 머물지 않는 까닭에 색・수・상・행・식이 항상하거나 무상하거나 이에 머물지 않으며, 색・수・상・행・식이 괴롭거나 즐겁거나 이에 머물지 않습니다. 색・수・상・행・식이 공하거나 공하지 않거나 이에 머물지 않으며, 색・수・상・행・식이 아(我)이거나 무아(無我)이거나 이에 머물지 않습니다. 색・수・상・행・식이 깨끗하거나 물들었거나 이에 머물지 않습니다.색법이 얻은 공에 머물지 않으며 수・상・행・식이 얻은 공에 머물지 않습니다.
수다원의 무위과(無爲果)에 머물지 않으며, 사다함의 무위과에 머물지 않으며, 아나함의 무위과에 머물지 않으며, 아라한의 무위과에 머물지 않습니다. 연각의 무위과에 머물지 않으며, 불법에 머물지 않습니다.
수다원의 복전(福田)에 머물지 않으며, 수다원으로서 일곱 번 왕래하는 몸에 머물지 않습니다. 사다함의 복전에 머물지 않으며, 사다함으로서 필경 한번 이 세상에 와서 괴로움의 끝을 다하는 것에 머물지 않습니다. 아나함의 복전에 머물지 않으며, 아나함으로서 저 열반에서 이 세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것에 머물지 않습니다. 아라한의 복전에 머물지 않으며, 아라한으로서 현세에 무여열반에 드는 것에 머물지 않습니다.
연각의 복전에 머물지 않으며, 연각으로서 성문을 벗어나 불지에 이르지 않고 열반으로 나아감에 머물지 않습니다. 모든 부처님의 으뜸가는 복전에 머물지 않으며, 부처님 법이 범부와 성문・연각의 지위를 벗어나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는 중생에게 이익을 주고, 또한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는 백천(百千) 구지(俱胝) 나유다(那庾多:나유타) 중생으로 하여금 성문・연각의 무여열반에 나아가지 않고 결정코 나아가 정등정각의 위없는 열반을 증득하여 불사(佛事)를 건립하게 하는 것에 머물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모든 것에 전부 머물지 않습니다.”그러자 존자 사리자가 곧 이렇게 생각하였다.
‘만일 모든 여래가 범부와 성문・연각의 지위를 벗어나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는 중생을 이익케 하고 다시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는 백천 구지 나유다 중생으로 하여금 성문・연각의 무여열반에 나아가지 않고 결정코 나아가 정등정각의 위없는 열반을 증득하여 불사를 건립하게 하는 이와 같은 법에 모두 머물지 않는다면 장차 어디에 머물 것인가?’이때 존자 수보리가 부처님의 위신력을 이어받아 이렇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고 곧 존자 사리자에게 물었다.
“사리자여, 그대의 뜻은 어떻습니까? 여래・응공・정등정각에게는 머물 만한 법이 있습니까?”사리자가 말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수보리여, 여래・응공・정등정각께서 머물 만한 법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머무는 마음이 없기 때문에 여래라고 이름합니다. 유위계(有爲界)에 머물지 않고 무위계(無爲界)에 머물지 않으며 그 중간에 머물지 않기 때문입니다.”수보리가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사리자여, 모든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저 여래・응공・정등정각이 머무는 곳과 같은 곳에 머물러야 합니다. 이와 같이 머무는 자는 머무는 바가 있지 않고 머무는 바가 없지 않습니다. 결정된 것도 아니고 결정되지 않은 것도 아닙니다.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배운다면 머묾이 없음과 상응하는 것에 잘 안주하는 것입니다.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배운다면 이것이 반야바라밀다행을 행하는 것입니다.”이때 모임 가운데 여러 천자들이 이렇게 생각하였다.
‘모든 야차(夜叉) 무리들의 말이나 문자 구절 등은 쉽게 환히 알 수 있다. 하지만 존자 수보리가 법을 설하는 것은 우리 하늘의 무리들로서는 능히 이해하지 못하겠구나.’그러자 수보리가 여러 천자들이 그런 색(色)에 대해 마음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고서 여러 천자들에게 말하였다.
“그대들은 알아야 합니다. 저 모든 법은 말함도 없고 보임도 없으며 들음도 없고 얻음도 없습니다. 모든 분별을 떠났으며 환히 알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이때 여러 천자의 무리들이 다시 이런 생각을 하였다.
‘존자 수보리의 말은 더더욱 어렵구나. 광대하고 심원하기가 으뜸이며 미묘하다. 우리 같은 하늘의 무리들로서는 깨달아 얻을 수 없을 정도이다.’그러자 존자 수보리는 또다시 여러 천자들의 생각을 알고서 곧 말하였다.
“그대들은 알아야 합니다. 만일 수다원과를 얻고자 하고 수다원과에 머물고자 하는 자는 마땅히 이 인(忍)에 머물러야 합니다. 사다함과를 얻고자 하고 사다함과에 머물고자 하는 자, 아나함과를 얻고자 하고 아나함과에 머물고자 하는 자, 아라한과를 얻고자 하고 아라한과에 머물고자 하는 자, 연각과를 얻고자 하고 연각과에 머물고자 하는 자, 아뇩다라삼먁삼보리과를 얻고자 하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과에 머물고자 하는 자는 모두 이 인에 머물러야 합니다.”이때 여러 천자들이 이 말을 듣고 나서 다시 생각하였다.
‘대체 어떤 사람이 능히 존자 수보리의 설법을 듣고 이해하여 지닐 수 있을 것인가?’그러자 수보리가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또다시 그들의 생각을 알고서 다시 말하였다.
“여러 천자 무리들이여, 그대들은 알아야 합니다. 저 모든 환인(幻人)은 능히 내가 설하는 법을 듣고 이해하여 지닐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모든 법에서 들음도 없고 증득함도 없기 때문입니다.”그러자 여러 천자의 무리들이 수보리에게 물었다.
“어떻습니까? 존자시여, 모든 중생은 허깨비와 같습니까?”수보리가 말했다.
“모든 중생은 전부 허깨비와 같고 또한 꿈과 같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중생은 저 허깨비나 꿈과 더불어 둘이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런 까닭에 저 모든 법 또한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습니다. 모든 수다원과 수다원과와, 사다함과 사다함과와, 아나함과 아나함과와, 아라한과 아라한과와, 연각과 연각과가 모두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습니다. 저 아뇩다라삼먁삼보리과 또한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습니다.”이때 모든 천자 무리가 다시 존자 수보리에게 여쭈었다.
“만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다고 말한다면 저 열반법 또한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습니까?”수보리가 말했다.
“그렇습니다. 열반 또한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으니, 하물며 나머지 법이야 말할 필요가 있습니까?”여러 천자들이 말했다.
“저 열반법이 어째서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다고 말하는 것입니까?”수보리가 말했다.
“만일 다시 열반보다 더한 법이 있다면 나는 그것 또한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다고 말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저 허깨비와 꿈은 열반법과 더불어 둘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이때 존자 사리자와 존자 만자자・존자 마하구치라・존자 마하가전연・존자 마하가섭과 같은 대성문의 무리가 모든 보살마하살 무리와 함께 존자 수보리에게 물었다.
“존자께서 설하신 반야바라밀다와 같다면 어떤 사람이 능히 그 뜻을 받겠습니까?”이때 아난이 곧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모든 불퇴전(不退轉) 보살마하살과 바른 견해를 구족한 사람 및 저 번뇌가 다한 모든 아라한이니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이와 같은 사람이라면 수보리가 설한 반야바라밀다의 뜻을 능히 받을 수 있습니다.”그러자 수보리가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내가 설한 반야바라밀다를 능히 받을 사람이 없으리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가운데 널리 설한 법이 없으며, 밖으로 나타낸 법이 없으며, 분별된 바도 없으며 환히 알게 되는 바도 없기 때문입니다. 설하여 나타냄이 없고 환히 앎도 없는 까닭에 반야바라밀다는 이와 같이 널리 설하고 이와 같이 들어서 받는 것입니다.”이때 제석천주가 곧 생각하였다.
‘지금 존자 수보리는 이와 같이 깊고 깊은 바른 법을 널리 설하였다. 나는 마땅히 온갖 미묘한 꽃을 만들어 그 위에 뿌려야겠다.’이렇게 생각하자마자 곧 헤아릴 수 없는 미묘한 꽃들을 만들어 내서 존자 수보리 위에 뿌렸다.
그러자 수보리가 생각하였다.
‘이렇게 헤아릴 수없이 많은 미묘한 꽃들이 생겨난 것을 나는 삼십삼천에서도 일찍이 보지 못하였다. 이 꽃들의 빼어나고 미묘한 모습을 보자니 나무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다.’제석천주는 수보리가 생각하는 것을 알고서 즉시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이 꽃은 생한 법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마음에서 생한 것도 아니고 나무에서 나온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수보리가 말했다.
“교시가여, 이 꽃이 만일 나무에서 생하거나 마음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면 곧 이것은 생함이 없습니다. 만일 그것이 생함이 없다면 꽃이라 이름할 수 없습니다.”제석천주가 곧 이렇게 생각하였다.
‘이 존자 수보리의 지혜는 매우 깊고 깊다. 이름이나 문구 문장으로 능히 두루 설하며, 그 말하는 것마다 가명(假名)을 무너뜨리지 않고도 여실한 뜻을 설하는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나서 곧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존자께서 말한 바와 같이 보살마하살은 이렇게 배워야 합니다.”그러자 존자 수보리가 제석천주에게 말하였다.
“교시가여, 그렇습니다. 보살마하살은 이렇게 배워야 합니다. 이렇게 배우는 자는 수다원과를 배우지 않고, 사다함과를 배우지 않고, 아나함과를 배우지 않고, 아라한과를 배우지 않으며, 연각과를 배우지 않습니다. 만일 이와 같은 과(果)를 배우지 않는다면 이것이 바로 일체지를 배워 불법에 안주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안주하는 자는 곧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는 불법을 배우게 됩니다.
이와 같이 배우는 자는 비록 색법을 배우지만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으며, 수・상・행・식을 배울지라도 역시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습니다. 만일 색・수・상・행・식에서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음을 배운다면 곧 색의 배움을 취하지 않으며, 수・상・행・식의 배움을 취하지 않습니다. 색의 배움을 버리지 않으며, 수・상・행・식의 배움을 버리지 않습니다. 만일 법이 취함이 없고 버림이 없다면 곧 법은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습니다.
만일 모든 법에 취함도 없고 버림도 없으며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음을 환히 알면, 이와 같이 배우는 자는 곧 일체지를 배운다고 이름하게 되며 일체지를 낳습니다.”이때 존자 사리자가 수보리에게 물었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법에서 취하는 것이 없고 생멸함이 없음을 배운다면 배우는 자는 저 일체지 또한 취할 바가 없으며 생멸함이 없음을 배우기 때문에 보살마하살을 배우는 것입니다. 만일 이와 같이 배운다면 마땅히 일체지를 수학하는 것이 되겠습니까?”
수보리가 말했다.
“그렇습니다. 저 일체지와 나아가 모든 불법은 취할 바가 없고 생멸함이 없습니다. 이와 같이 수학한다면 이것이 바로 보살마하살이 일체지를 배우는 것이 됩니다.”이때 제석천주가 존자 사리자에게 여쭈었다.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어디서 구해야 합니까?”사리자가 말했다.
“교시가여,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수보리가 굴려 펼치는 속에서 구해야 합니다.”제석천주가 말했다.
“존자 사리자여, 수보리가 말한 반야바라밀다는 어떤 위신력의 가피를 입었습니까?”사리자가 말했다.
“교시가여,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바로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가피를 입었습니다.”그러자 존자 수보리가 제석천주에게 말하였다.
“내가 말한 반야바라밀다는 모두가 여래의 신력으로 가피를 입었음을 아셔야 합니다.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어디서 구해야 하는가’라고 물으셨는데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색 속에서 구해서는 안 됩니다. 색을 떠나서 구해서도 안 됩니다. 이와 같이 수・상・행・식 속에서 구해서는 안 됩니다. 수・상・행・식을 떠나서 구해서도 안 됩니다.
왜냐하면 색은 반야바라밀다가 아니며 색을 떠난 것도 역시 반야바라밀다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수・상・행・식은 반야바라밀다가 아니며, 수・상・행・식을 떠난 것도 역시 반야바라밀다가 아니기 때문입니다.”제석천주가 말했다.
“존자 수보리여, 큰 바라밀다가 바로 반야바라밀다입니까? 한량없는 바라밀다가 바로 반야바라밀다입니까? 가없는 바라밀다가 바로 반야바라밀다입니까?”수보리가 말했다.
“그렇습니다. 교시가여, 큰 바라밀다가 바로 반야바라밀다이고, 한량없는 바라밀다가 바로 반야바라밀다이며, 가없는 바라밀다가 바로 반야바라밀다입니다. 왜냐하면 색이 광대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 또한 광대합니다. 수・상・행・식이 광대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 또한 광대합니다. 색・수・상・행・식이 한량없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 또한 한량없습니다. 색・수・상・행・식이 가없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 또한 가없습니다.또한 교시가여, 가없음을 연(緣)하는 까닭에 반야바라밀다도 가없습니다. 반야바라밀다가 가없는 까닭에 중생 또한 가없습니다. 어떤 뜻으로 말미암아 가없음을 연한다고 하는가 하면, 이른바 색・수・상・행・식은 전제도 얻을 수 없고 중제도 얻을 수 없고 후제도 얻을 수 없습니다. 나아가 모든 법은 전제・후제・중제에서 또한 얻을 수 없습니다. 이런 뜻으로 말미암아 가없음을 연하여 곧 반야바라밀다가 가없다는 것입니다.
또 무슨 뜻으로 말미암아 중생이 가없다고 하는가 하면 교시가여,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전제・후제・중제에서 중생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제석천주가 말했다.
“어떻습니까? 수보리여, 저 중생계는 어찌 가없습니까?”수보리가 말했다.
“중생은 한량없어 숫자로도 미칠 수 없습니다. 이런 뜻으로 인하여 중생은 가없습니다.”제석천주가 다시 존자 수보리에게 여쭈었다.
“중생이라고 말씀하셨는데 무슨 뜻으로 말미암아 중생이라고 이름합니까?”수보리가 말했다.
“모든 법의 뜻이 바로 중생의 뜻입니다. 교시가여, 그대의 뜻에는 어떻습니까? 무슨 뜻을 말하여 중생의 뜻이 됩니까?”제석천주가 말했다.
“나의 생각으로는 법 아닌 뜻이 바로 중생의 뜻입니다. 법 아닌 것이 아닌 뜻이 바로 중생의 뜻입니다. 마땅히 아셔야 합니다. 중생은 근본이 없고 원인이 없으며 나[我]도 없고 연함[緣]도 없습니다. 그래서 방편으로 저 이름을 세운 것입니다.”수보리가 말했다.
“교시가여, 나는 앞서 중생이 가없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대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실제로 중생이 있어 말할 수 있거나 나타내 보일 수 있습니까?”제석천주가 말했다.
“그렇지 않습니다. 수보리여.”그러자 수보리가 말했다.
“만일 모든 중생이 그 실체가 있지 않아 말할 수도 없고 나타내 보일 수도 없다면 이런 까닭에 나는 중생이 가없다고 말한 것입니다. 교시가여, 설령 여래・응공・정등정각께서 수명이 마치 항하의 모래 수만큼이나 오래도록 머무시면서 방편의 말씀으로 ‘모든 중생은 이미 생하였거나 현재 생하거나 미래에 생할 것이며, 이미 멸하였거나 현재 멸하며 미래에 멸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신다면 그래도 능히 그 끝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제석천주가 말했다.
“그럴 수 없습니다. 수보리여, 왜냐하면 모든 중생은 본래 청정하기 때문입니다.”수보리가 말했다.
“이와 같이 중생은 가없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 또한 가없음을 알아야 합니다.”그러자 모임 중에 제석천주와 대범천왕과 대세주(大世主)와 나머지 여러 하늘과 천녀들과 신선(神仙)의 무리들이 모두 부처님께 아뢰었다.
“참으로 훌륭하십니다. 여래께서 세상에 나심이여, 존자 수보리는 능히 반야바라밀다를 널리 말하였습니다. 보살마하살이 이 법을 받아 지녀서 만일 모든 부처님 여래의 반야바라밀다를 떠나지 않는다면 저희들은 마땅히 모든 부처님과 같다는 생각으로 존경할 것입니다.”이때 세존께서 제석천주와 대범천왕과 나머지 모든 하늘과 신선의 무리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대들은 마땅히 알아라. 먼 옛날 최상등성연등(最上燈城燃燈) 여래・응공・정등정각께서 보리행을 닦으실 때, 그때 나도 또한 반야바라밀다를 떠나지 않았었느니라. 저 연등여래께서 곧 나를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주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느니라. ‘그대는 다음 세상의 아승기겁을 지나 마땅히 성불하게 되리니, 명호는 석가모니 여래・응공・정등정각・명행족(明行足)・선서(善逝)・세간해(世間解)・무상사(無上士)・조어장부(調御丈夫)・천인사(天人師)・불세존(佛世尊)이라 하리라.’”그러자 제석천주와 나머지 하늘의 무리들이 모두 함께 부처님께 아뢰었다.
“드문 일입니다. 세존이시여, 드문 일입니다. 선서시여, 이 반야바라밀다는 능히 일체지를 거두나니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배워야 합니다.”
3. 보탑공덕품(寶塔功德品) ①
그러자 세존께서 두루 4부 대중인 필추(苾芻:비구)・필추니(苾芻尼:비구니)・우바새(優婆塞)・우바이(優婆夷)와 제석천주 등과 욕계(欲界)의 모든 하늘 무리들과 대범천왕 등과 색계(色界)의 모든 하늘 무리들과 나아가 색구경천(色究竟天)과 모든 천자 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들은 알아야 한다. 만일 선남자・선여인으로서 이 깊고 깊은 반야바라밀다의 법문을 능히 듣고 받으며 독송하고 설해진 대로 수행하는 자는, 악마의 부림을 받지 않으며 악마의 인민이나 비인(非人) 등이 제멋대로 부리지 못하게 될 것이다. 사악한 독에 해를 입지 않으며 횡사하거나 요절하여 그 목숨을 버리지 않게 될 것이다.다시 만일 선남자・선여인으로서 이 반야바라밀다를 아직 능히 듣고 받으며 독송하지 못한 자가 있다면 이미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 모든 천자의 무리가 가서 그 사람을 위하여 호념하면서 권하여 이 반야바라밀다를 듣고 받으며 독송하고 설해진 대로 수행하게 하리라.다시 만일 선남자・선여인으로서 이 반야바라밀다를 수지하고 독송하여 설해진 대로 수행하는 자는 이 사람은 텅 빈 방에 있거나 무리 가운데 있거나 나무 아래 있거나 또는 황량한 들판에 있거나 길을 갈 때나 길 아닌 곳에 있거나 망망대해에 있을지라도 이와 같은 곳을 걷거나 머물거나 앉거나 눕더라도 모든 하늘이 호념하여 온갖 두려움을 떠나게 되리라.”이때 사대천왕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선남자・선여인으로서 이 반야바라밀다를 듣고 받으며 독송하고 설해진 대로 수행한다면 제가 그에게 나아가 그 사람을 호념하여 정진케 하고 물러서지 않게 하겠습니다.”그러자 제석천주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선남자・선여인으로서 이 반야바라밀다를 듣고 받으며 독송하고 설해진 대로 수행한다면 제가 또한 그 사람에게 가서 보호하여 쇠하거나 번뇌하지 않게 하겠습니다.”대범천주와 모든 범중(梵衆)들이 모두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선남자・선여인으로서 이 반야바라밀다를 듣고 받으며 독송하고 설해진 대로 수행한다면 제가 그 사람에게 가서 보호하여 쇠하거나 번뇌하지 않게 하겠습니다.”그러자 제석천주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드문 일입니다. 세존이시여, 이 깊고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선남자・선여인이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현세에서 이와 같은 공덕을 갖게 될 것입니다. 어떻습니까?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 반야바라밀다를 받아 지니면 능히 모든 바라밀다를 거두게 됩니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교시가여, 그렇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 반야바라밀다를 받아 지니면 곧 모든 바라밀다를 능히 거두게 된다. 교시가여, 이 반야바라밀다를 어떤 사람이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모든 공덕이 광대하고 깊어질 것이다. 그대는 귀 기울여서 듣고 좋은 뜻을 지어라. 그대를 위하여 말하리라.”제석천주가 말했다.
“훌륭하십니다. 세존이시여, 널리 설해주소서.”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교시가여, 이 반야바라밀다 법문은 온갖 악법(惡法)에 손상을 입거나 어지럽혀지거나 파괴되는 일이 없다. 만일 온갖 악법이 일어나 손상을 입히고 어지럽게 하고자 한다면, 그때 저 악법은 곧 점차 스스로 녹아서 멸할 것이니 비록 다시 잠깐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해를 입히지는 못할 것이다. 무슨 까닭인가? 교시가여,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선남자・선여인이 반야바라밀다를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운 공덕의 힘 때문에 악법이 생겨나도 스스로 녹아서 멸하는 것이다.
교시가여, 비유하면 다음과 같다. 세상에는 온갖 독사들이 있어 먹이를 구하러 이리저리 다니다가 작은 벌레들을 발견하고 곧 집어 삼키려고 한다. 이때 말기(末祇)라고 하는 약이 있는데 능히 독을 녹일 수 있다. 그 작은 벌레들이 곧 이 약이 있는 곳으로 가면 독사들은 이 약기운을 맡고 이내 스스로 물러나며, 저 작은 벌레들은 먹히지 않게 되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이 말기약이 능히 독을 녹이기 때문이다.교시가여, 선남자・선여인 또한 이와 같다. 이 반야바라밀다를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스스로 널리 설하거나 남을 위해 설하며 설해진 대로 수행하면 이 사람은 온갖 악법이 손상을 입히지 못하고 해를 끼치지 못하게 된다. 악법이 비록 생겨나도 이내 저절로 녹아 없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이 모든 것은 반야바라밀다의 공덕의 힘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 어느 곳에 있어도 움직이고 굴러가는 곳이 없지만 반야바라밀다는 능히 탐욕과 같은 모든 번뇌를 없앨 수 있다. 그리고 능히 위없는 열반으로 나아가 증득하게 된다.
교시가여, 만일 이 반야바라밀다를 수지 독송하는 자는 저 사대천왕과 제석천주와 대범천왕과 나아가 모든 불보살들이 언제나 그 사람을 보호하여 쇠하거나 번뇌하지 않게 해준다.다시 교시가여, 만일 선남자・선여인으로서 이 반야바라밀다를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는 자는 언제나 믿음이 있고 순진한 말을 하게 되며, 부드러운 말을 하게 되며, 깨끗한 말을 하게 되며, 물들지 않은 말을 하게 되며, 분노를 일으키지 않게 되며, 아만(我慢)에 덮이지 않게 되며, 언제나 자애로운 마음을 일으키며, 원한이나 성냄・분노와 같은 것을 일으키지 않으며, 번뇌가 불어나지 않는다. 저 선남자・선여인은 언제나 이런 생각을 한다.
‘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구하기 위하여 손상시키거나 번뇌의 법에도 성냄을 일으키지 않겠다. 왜냐하면 성내는 법을 일으키면 모든 감각기관이 달라져 잘 조화롭던 색상(色相)들을 화합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나서 바른 생각에 안주한다.
교시가여, 저 선남자・선여인이 반야바라밀다를 수지 독송함으로써 현세에서 이와 같은 공덕을 갖게 되는 것이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366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佛說佛母出生三法藏般若波羅蜜多經) 4권 (0) | 2025.01.04 |
---|---|
[적어보자] #5365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佛說佛母出生三法藏般若波羅蜜多經) 3권 (0) | 2025.01.03 |
[적어보자] #5363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佛說佛母出生三法藏般若波羅蜜多經) 1권 (2) | 2025.01.03 |
[적어보자] #5362 불설불모보덕장반야바라밀경(佛說佛母寶德藏般若波羅蜜經) 하권 (3) | 2025.01.03 |
[적어보자] #5361 불설불모보덕장반야바라밀경(佛說佛母寶德藏般若波羅蜜經) 중권 (1) | 2025.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