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불설관상불모반야바라밀다보살경(佛說觀想佛母般若波羅密多菩薩經)
대송신역삼장성교서(大宋新譯三藏聖教序)1)
어제(御製)
위대하구나, 우리 부처님의 가르침이여. 헤매는 중생들을 교화해 인도하시고, 으뜸가는 성품을 널리 드날리셨도다. 넓고 크고 성대한 언변이여, 뛰어나고 훌륭한 자도 그 뜻을 궁구하지 못하는구나. 정밀하고 은미하고 아름다운 말씀이여, 용렬하고 우둔한 자가 어찌 그 근원을 헤아릴 수 있으랴. 뜻과 이치가 그윽하고 현묘한 진공(眞空)은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으며, 만상(萬象)을 포괄하는 비유는 끝이 없네. 법 그물[法網]의 벼릿줄을 모아 끝이 없는 바른 가르침을 펴셨고, 사생(四生)을 고해에서 건지고자 삼장(三藏)의 비밀스러운 말씀을 풀어주셨다. 하늘과 땅이 변화하여 음과 양을 이루고, 해와 달이 차고 기울며 추위와 더위를 이뤘으니, 크게는 선과 악을 말씀하셨고, 세밀하게는 항하의 모래알에 빗대야 할 정도네. 다 서술할 수 없이 많은 중생들의 온갖 일들을 마치 상법(像法)2)을 엿보듯이 하고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는 것과 같이 하였다. 이는 육정(六情)3)을 벗어나 길이 존재하고 천겁이 지나도록 오래갈 만한 것이며, 마치 수미산이 겨자씨에 담기 듯 여래께서 끝없는 세계에서 걸림이 없으신 것이다.
달마(達磨)께서 서쪽에서 오시자 법이 동토에 전해졌고, 오묘한 이치를 선양하시자 대중이 돌아갈 길을 순순히 따랐으니, 피안(彼岸)은 보리요 애욕의 강은 생멸이라, 오탁의 악취(惡趣)에서 보살행을 실천하고, 삼업(三業)의 길에서 빠진 자들을 건지셨다. 세상에 드리운 경은 궁구하기 어렵지만 도는 사사로움이 없어 영원히 태평하도다. 설산(雪山)의 패엽(貝葉)4)이 눈부신 은대(銀臺)와 같고, 세월의 연라(煙蘿)5)가 저 멀리 향계(香界)6)를 일으켰지만 높고 우뚝하여 측량하는 자가 드물고, 멀고 아득하여 이름을 붙이기 어렵다. 이런 까닭에 도(道)를 깨달은 십성(十聖)7)과 덕(德)을 갖춘 삼현(三賢)8)께서 지극한 도를 건원(乾元)9)에서 일으키고 온갖 오묘함을 태역(太易)10)에서 낳아 무성한 생명체들을 총괄해 어둠을 뚫고 한 가닥 빛을 비추었으며, 저 시시비비를 단절하고 이 몽매함을 깨우쳤던 것이다.
서역의 법사 천식재(天息災) 등11)은 항상 사인(四忍)12)을 지니며 삼승(三乘)을 일찌감치 깨달은 분들이니,
불경의 참된 말씀을 번역하여 인간과 천상의 성스러운 가르침을 이었다. 이는 꽃망울이 거듭 터진 것이요, 국운이 창성할 때를 만난 것이니, 문장(文章)에서 오성(五聲)13)을 윤택하게 하였고, 풍율(風律)14)에서 사시(四始)15)를 드러냈다. 당당한 행동거지에 온화하고 아름답도다. 광대한 세월 어둠에 빠졌던 세계가 다시 밝아 현묘한 문이 환하게 드러났으며, 궤범이자 두루한 광명인 오묘한 법이 청정한 세계에서 이름을 드날렸다. 유정을 이롭게 하여 함께 깨달음의 언덕에 오르고, 장애를 만드는 일 없이 병들고 지친 자들을 모두 구제하였으며, 드러내지 않고 자비를 행하며 만물 밖으로 광대하게 노닐고, 부드러움으로 탐학한 자들을 조복해 어리석음을 씻고 깨우쳐 주었다. 소승의 성문(聲聞)을 연설하여 그 위의에 합하고 대승의 정각(正覺)을 논하여 그 성품을 정립하자, 모든 생명체들이 깨달아 복을 받았고, 삼장의 교법에서 결락된 것들이 다시 흥성하였다.
허깨비에 홀려 길을 잃은 것이니, 화택(火宅)16)은 심오한 비유로다. 부처님께서 비록 이런 가르침을 시설하셨지만 알지 못하는 자들이 많다. 이에 “선념(善念)이 생기면 한량없는 복이 남몰래 찾아오고, 악업(惡業)이 일어나면 인연 따라 모두 타락한다”17)는 말씀으로 사부대중을 길들이고 시방세계에서 보살행을 쌓았다. 금륜왕[金輪]18)에게 꽃비를 쏟아 붓고 대궐에서 항하 모래알처럼 많은 세계를 보호하였으니, 유정천(有頂天)에 부는 바람19)도 파괴하지 못할 것이고, 끝이 보이지 않는 홍수도 휩쓸지 못하리라. 맑고 고요해 담담한 것이 원만하고 밝으며 청정한 지혜요, 성품이 공하여 물듦이 없는 것이 망상으로부터 해탈하는 인연이니, 이로써 마음의 밭에서 번뇌를 벗어날 수 있을 것이고, 이로써 우주에서 청량을 얻을 수 있으리라.
짐은 부끄럽게도 박학하지도 못하고 석전(釋典)20)에 능통하지도 못하니, 어찌 감히 서문을 써서 후인에게 보일 수 있는 자이겠는가? 반딧불이나 횃불과 같아 찬란한 태양과 견주기에 턱없이 부족하니, 작은 소라로 바다를 측량하려다 그 깊은 연원을 끝내 밝히지 못하는 자일 따름이로다!
관상불모반야바라밀다보살경(觀想佛母般若波羅蜜多菩薩經)
천식재(天息災) 한역
김두재 번역
관정진언(灌頂眞言)
음 나모사기야 모나예 다타아다야 라하 제삼먁삼몯다야
唵引曩莫舍吉野二合母曩曳引怛他誐哆野引囉賀二合帝三藐三沒駄野
이 진언(眞言)을 일곱 번 외우고 손으로 머리 위에 관정(灌頂)하고 온몸을 골고루 만지고 난 뒤에 생각을 멈추고 지심(志心)으로 불모반야바라밀다보살관행(佛母般若波羅蜜多菩薩觀行)을 행하라.
이 보살은 얼굴이 셋이고 눈이 셋이고 몸은 진금색(眞金色)이며, 길상장사자(吉祥藏師子) 자리에 앉아 있는데, 그 자리에는 천 개의 잎이 달린 금빛 연꽃이 있다.
몸에는 여섯 개의 팔이 있는데, 오른쪽 세 팔 중에 첫 번째 팔은 몇 개의 구슬을 가지고 있고, 두 번째 팔은 화살을 잡고 있으며, 세 번째 팔은 시원상(施願相)21)을 짓는다. 왼쪽 세 팔 중에 첫 번째 팔은 경전을 가지고 있고, 두 번째 팔은 활을 잡고 있으며, 세 번째 팔은 여의보(如意寶)를 가지고 있으니, 이와 같이 여섯 개의 팔을 장엄하였다.
그의 몸 위에서 다시 수없이 많은 백천 나유타(那由他) 구지(俱胝)의 광명을 뿜어내 모든 세계에 두루 가득한 모습을 상상하라.
또 모든 여래와 다라(多羅)보살 등 모든 보살이 상호(相好)를 원만하게 갖추고 그 몸을 장엄한 것을 생각하여 여러 가지 향과 꽃을 공양하라.
이와 같이 관찰하고 상상한 뒤에는 다시 다음 진언을 지극한 마음으로 염(念)하라.
옴 나모사기야모나예다타 아다야 라하 타 삼먁삼몯다 야달냐-
唵引曩莫舍吉野引母曩曳怛他引誐哆野引囉賀二合他引三藐三沒駄引野怛你野二
타 옴 모니 모니마하 모니 예 사바 하
合他引唵引母你引母你摩賀引母你引曳引娑嚩二合引賀
다음엔 근본진언(根本眞言)을 외우라.
다냐- 타 옴아예 아예 바나마 비야바미 아비미 사라사라니디리
怛你野二合他引唵惹曳引惹曳引鉢納摩二合引鼻阿嚩弭引阿嚩弭引娑囉娑羅尼地里
디리라 디리디라 디리니바다 노바 라니몯도 다 라니보라야보라야바
地里囉引地里地囉
引地里你嚩哆引努波引羅你沒度引哆引囉尼布囉野布囉野婆
아바데살-바 사 마마바리보라야사바리바라사살-바 사다밤
誐嚩底薩里嚩二合引舍引摩摩波里布囉野娑波里嚩囉寫薩里嚩二合引薩怛鍐二合
자살-바 갈-마 바라나니미슈다야미슈다야몯다 디-따 니나
左薩里嚩二合迦里摩二合引嚩囉拏你尾輸駄野尾輸駄野沒駄引地瑟姹二合引你曩
사바 하娑嚩二合引賀引
이 진언을 외우고 나서 다시 관행(觀行)22)하라.
또 관상(觀想)23)하기를 저 불모반야바라밀다(佛母般若波羅蜜多)보살의 오른쪽에는 석가(釋迦)세존과 연등(燃燈)세존ㆍ무량수(無量壽)세존ㆍ지결정(智決定)세존ㆍ광명왕(光明王)세존ㆍ뇌성후음(雷聲吼音)세존과 금화(金花)세존ㆍ산화(散花)세존이 있고, 보살의 왼쪽에는 비바시(毘婆尸)세존과 갈구촌나(羯俱忖那)세존ㆍ가락가모니(迦諾迦牟尼)세존ㆍ가섭(迦葉)세존ㆍ보수(寶手)세존이 있으며, 보살의 전면에는 대변조(大徧照)세존과 보생(寶生)세존ㆍ아미타(阿彌陀)세존ㆍ불공성취(不空成就)세존ㆍ아촉(阿閦)세존이 있으며, 보살의 뒷면에는 최상연화(最上蓮花)세존과 최상보(最上寶)세존ㆍ희길상(喜吉祥)세존ㆍ유리광(琉璃光)세존ㆍ부사의길상(不思議吉祥)세존이 있음을 생각하며, 보살 앞에는 또 성관자재보살(聖觀自在菩薩)과 자씨(慈氏)보살ㆍ보현(普賢)보살ㆍ묘길상(妙吉祥)보살ㆍ귀명(歸命)보살ㆍ부사의길상성(不思議吉祥聲)보살과 금강수(金剛手)보살ㆍ무진의(無盡意)보살ㆍ변적(辯積)보살ㆍ무변변(無邊辯)보살ㆍ허공장(虛空藏)보살과 무구칭(無垢稱)보살ㆍ자재행(自在行)보
살ㆍ법생(法生)보살ㆍ상제(常啼)보살ㆍ월광(月光)보살과 법운(法雲)보살ㆍ지장(地藏)보살ㆍ보장(寶藏)보살ㆍ보당(寶幢)보살ㆍ시기(尸棄)보살ㆍ향상(香象)보살ㆍ금비라(金毘羅)보살, 이와 같은 등등의 모든 보살마하살들이 부처님 찰토(刹土)에 두루 가득하다는 생각을 가지라.
또 빈미명왕(顰眉明王) 등도 또한 보살 앞에 있으며, 이와 같은 성스러운 대중에 대하여 낱낱이 관상(觀想)하고 나서 다시 인간 세계와 천상(天上)의 특이하고 미묘한 향과 꽃, 그리고 진귀한 보배와 공양 도구 등을 불모반야바라밀다보살과 그의 모든 권속인 일체 보살들에게 공양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라.
이렇게 관상하고 나면 이 사람은 머지않아 틀림없이 정각(正覺:佛)을 성취하게 되리라.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4902 불설관약왕약상이보살경(佛說觀藥王藥上二菩薩經) (8) | 2024.10.03 |
---|---|
[적어보자] #4901 불설관세불형상경(佛說灌洗佛形像經) (0) | 2024.10.03 |
[적어보자] #4899 불설관불삼매해경(佛說觀佛三昧海經) 10권 (18) | 2024.10.02 |
[적어보자] #4898 불설관불삼매해경(佛說觀佛三昧海經) 9권 (2) | 2024.10.02 |
[적어보자] #4897 불설관불삼매해경(佛說觀佛三昧海經) 8권 (6) | 2024.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