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4094 불교 (대지도론/大智度論) 82권

by Kay/케이 2024. 4. 24.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대지도론(大智度論) 82

 

 

대지도론 제82권

69. 대방편품(大方便品)을 풀이함 ①


용수 지음
후진 구자국 구마라집 한역
송성수 번역/김형준 개역


【經】그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방편의 힘[方便力]을 성취하는 것은 발심해서부터 얼마의 기간이 걸리게 되는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 보살마하살이 능히 방편의 힘을 성취함에는 뜻을 일으켜서부터 무량억(無量億) 아승기겁(阿僧祇劫)이 걸리느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방편의 힘을 성취함에는 얼마나 되는 부처님께 공양해야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보살이 방편의 힘을 성취함에는 항하의 모래수처럼 많은 여러 부처님께 공양하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보살이 이와 같은 방편의 힘을 얻음에는 어떤 선근(善根)을 심는 것인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이 이와 같은 방편의 힘을 얻음에는 처음 뜻을 일으켜서부터 단바라밀에서 두루 갖추지 않음이 없고 시라바라밀과 찬제바라밀과 비리야바라밀과 선바라밀과 반야바라밀에서 두루 갖추지 않음이 없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방편의 힘을 성취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방편의 힘을 성취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해와 달이 돌면서 4천하(天下)를 비추어서 많은 이익을 주는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다섯 가지 바라밀을 비추어 이롭게 함이 많으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전륜성왕에게 만일 윤보(輪寶)가 없으면 전륜성왕이라 이름할 수 없지만 윤보를 성취한 까닭에 전륜성왕이라는 이름을 얻는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만일 반야바라밀을 여의면, 바라밀이라는 이름을 얻지 못하지만, 반야바라밀을 여의지 않은 까닭에 바라밀이라는 이름을 얻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남편이 없는 부인은 남의 침범을 받기 쉬운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면 악마[魔]나 악마의 하늘[魔天]1)이 파괴하기 쉬우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남편 있는 부인은 남이 침범하기가 어려운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을 얻으면 악마나 악마의 하늘이 파괴하지 못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군대와 장수와 갑옷과 무기가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으면 이웃 나라의 강한 적들이 파괴하지 못하는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지 않으면, 악마나 악마의 하늘이나 증상만인(增上慢人)에서 보살전다라(菩薩旃陀羅)2)들까지도 파괴하지 못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작은 나라의 왕은 수시로 와서 전륜성왕을 뵙고 모시는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을 수순하느라.
비유하건대 마치 여러 하천이 만 갈래로 흘러서 모두 항하(恒河)3)로 들어갔다가 큰 바다로 들어가는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의 수호를 받기 때문에 살바야(薩婆若)에 따라 이르느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사람이 오른손으로 하는 일이 편리한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으며, 마치 왼손으로 하는 일은 불편한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으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크고 작은 많은 물이 모두 큰 바다로 들어가 합해지면 한 맛이 되는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의 보호를 받고 반야바라밀을 따라 살바야에 들어가서
바라밀이란 이름을 얻느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전륜성왕의 네 종류의 병사[四種兵]를 윤보(兵輪寶)가 앞에서 인도함에 왕이 머무르고 싶은 생각이 있으면 윤보도 머무르고, 네 종류의 병사들로 하여금 그들의 소원을 만족시키면서 윤보도 또한 그곳을 떠나지 않는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다섯 가지 바라밀을 인도하여 살바야에 이르게 하고 항상 그 가운데 머물러 그곳을 벗어나지 않느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전륜성왕의 네 종류의 병사를 윤보가 앞에서 인도하는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다섯 가지 바라밀을 인도하여 살바야에 이르러 그 가운데에 머무르느니라.
반야바라밀은 또한 ‘단바라밀은 나를 따르는데 시라바라밀과 찬제바라밀과 비리야바라밀과 선바라밀은 나를 따르지 않는다’고 분별하지도 않으며, 단바라밀도 또한 ‘나는 반야바라밀을 따르지만 시라바라밀과 찬제바라밀과 비리야바라밀과 선바라밀은 따르지 않는다’고 분별하지 않느니라. 시라바라밀과 찬제바라밀과 비리야바라밀과 선바라밀도 또한 이와 같나니, 왜냐 하면 모든 바라밀의 성품은 지을 수 있는 것이 없으며 제 성품[自性]이 공하고 거짓된 것이어서 마치 아지랑이와 같기 때문이니라.”
그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온갖 법의 제 성품이 공하다면, 어떻게 보살마하살은 6바라밀을 행하여 장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는지요?”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6바라밀을 행할 때에 생각하기를 ‘이 세간에는 마음이 모두 뒤바뀌어 있기에 만일 내가 방편의 힘을 쓰지 않으면 중생들을 생사에서 제도하여 벗어나게 할 수 없으니, 나는 마땅히 중생들을 위하여 단바라밀과 시라바라밀과 찬제바라밀과
비리야바라밀과 선바라밀과 반야바라밀을 행해야 한다’고 하느니라.
이 보살이 중생들을 위하여 안팎의 물건을 버리며, 버릴 때에 생각하기를 ‘나는 버리는 것이 없다. 왜냐 하면, 이 물건은 반드시 무너져 버릴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하나니, 보살은 이와 같이 사유하며 단바라밀을 완전히 갖추느니라.
중생을 위하므로 끝내 계율을 파괴하지 않나니, 왜냐 하면 보살이 생각하기를 ‘나는 중생들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일으켰으니, 만일 살생(殺生)을 한다면 이것은 어울리지 않는 일이다. 나아가 나는 중생을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일으켰으니, 삿된 소견을 짓거나 성문이나 벽지불의 지위에 탐착한다면, 이것은 어울리지 않는 일이다’라고 하기 때문이니,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사유하며 시라바라밀을 완전히 갖추느니라.
보살은 중생들을 위하기 때문에 성을 내지도 않고 그러한 한 생각조차도 내지 않으며, 보살은 사유하기를 ‘나는 마땅히 중생을 이롭게 해야 하거늘 어떻게 성내는 마음을 일으킨단 말이냐’고 하나니, 보살은 이와 같이 사유하며 찬제바라밀을 완전히 갖추게 되느니라.
보살은 중생들을 위하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 항상 게으른 마음을 내지 않나니, 보살은 이와 같이 행하며 비리야바라밀을 완전히 갖추게 되느니라.
보살은 중생들을 위하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에 이르기까지 산란한 마음을 내지 않나니, 보살은 이와 같이 행하며 선바라밀을 완전히 갖추게 되느니라.
보살은 중생들을 위하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에 이르기까지 끝내 지혜를 여의지 않느니라. 왜냐 하면, 지혜를 제외한 나머지 다른 법으로써는 중생을 제도하고 해탈시킬 수 없기 때문이니, 보살은 이와 같이 행하며 반야바라밀을 완전히 갖추게 되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바라밀이
차별된 모양이 없다면, 어떻게 반야바라밀이 다섯 가지 바라밀 가운데서 제일이요 맨 위이며 미묘한 것인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모든 바라밀이 비록 차별이 없다 하나 만일 반야바라밀이 없다면 다섯 가지 바라밀은 바라밀이라는 이름을 얻지 못하니, 반야바라밀로 인하여 다섯 가지 바라밀은 바라밀이라는 이름을 얻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갖가지 색신(色身)이 수미산왕(須彌山王)4)의 곁에 이르면 모두가 동일한 빛깔이 되는 것처럼, 다섯 가지 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로 인하여 살바야에 이르면 한 가지로 되어 다름이 없으니, ‘이것은 단바라밀이다, 이것은 시라바라밀이다, 이것은 찬제바라밀이다, 이것은 비리야바라밀이다, 이것은 선바라밀이다, 이것은 반야바라밀이다’라고 분별하지 않느니라. 왜냐 하면, 이 모든 바라밀은 제 성품이 없기 때문이니, 이런 인연 때문에 모든 바라밀에는 차별이 없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진실한 이치[實義]를 따르면 분별이 없거늘 어떻게 반야바라밀은 다섯 가지 바라밀보다 가장 위이고 미묘한 것인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수보리야, 비록 진실한 이치 가운데서는 분별이 없다 하더라도, 다만 세속의 법 때문에 단바라밀과 시라바라밀과 찬제바라밀과 비리야바라밀과 선바라밀과 반야바라밀을 설하여 중생을 생사(生死)에서 제도하려고 할 뿐이니라. 이 중생은 실로 나지도 않고 죽지도 않으며 일어나지도 않고 물러나지도 않나니, 수보리야, 중생은 있는 바가 없기[無所有] 때문에 온갖 법도 있는 바가 없는 줄 알아야 하느니라. 이런 인연 때문에 반야바라밀은 다섯 가지 바라밀 가운데서 맨 위이고 가장 묘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염부제의 여러 여인들 중에 옥녀보(玉女寶)5)가 제일이요 맨 위이며 가장 묘한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또한 이와 같아서 다섯 가지 바라밀 가운데서는 제일이요, 맨 위이며, 가장 묘하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무슨 뜻으로 반야바라밀은 맨 위이고 가장 묘하다고 말씀하시는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 반야바라밀은 온갖 착한 법만을 취하여 살바야에 이르되 머무르지 않는 데[不住]에 머무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에는 취할 수도 있고 버릴 수도 있는 어떤 법이 있는 것인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니니라, 수보리야, 반야바라밀은 취할 수 있는 법도 없고 버릴 수 있는 법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온갖 법은 취할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기 때문이니라.”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어떤 법에 대하여 취하지도 않고 버리지도 않는 것이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반야바라밀은 물질에 대하여 취하거나 버리지 않으며, 느낌ㆍ생각ㆍ의욕ㆍ인식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까지도 취하거나 버리지 않느니라.”
“세존이시여, 어떻게 물질을 취하지 않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취하지 않는 것인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보살이 물질을 생각하지[念]도 않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으면, 이것을 일컬어 물질을 취하지 않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취하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만일 물질을 생각하지 않고 아뇩다라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선근을 더욱 늘리게 되는지요? 선근이 더욱 자라지 않으면 어떻게 모든 바라밀을 완전히 갖출 수 있으며, 만일 모든 바라밀을 완전히 갖추지 못하면, 어떻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겠는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보살이 물질을 생각하지 않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으면, 이때에 선근은 더욱더 늘어나느니라. 선근이 더욱더 늘어나기 때문에 모든 바라밀을 두루 갖추게 되고, 모든 바라밀이 두루 갖추어지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왜냐 하면, 물질을 생각하지 않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을 때에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 때문이니라.”
“세존이시여, 무슨 인연 때문에 물질을 생각하지 않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을 때에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생각하기 때문에 욕계ㆍ와 색계ㆍ와 무색계에 집착하니,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집착하는 것이 없느니라. 이와 같아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집착하는 것이 있어서는 안 되느니라.”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어느 곳에 머물러야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행하여 물질에 머무르지도 않고 일체종지(一切種智)에 이르기까지도 머무르지 않느니라.”
“세존이시여, 무슨 인연으로 물질 가운데에 머무르지 않고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도 그 가운데에 머무르지 않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집착하지 않기 때문에 머무르지도 않느니라. 왜냐 하면, 이 보살은 집착하거나 머무를 수 있는 어떤 법도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이와 같아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집착하지도 않고 머무르지도 않는 법으로써 반야바라밀을 행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보살마하살이 생각하기를 ‘이와 같이 행하고 이와 같이 닦을 수 있다면 이것이 바로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나는 지금 반야바라밀을 행하고 있으며 반야바라밀을 닦고 있다’고 하면서 이처럼 모양을 취하면, 곧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는 것이니라. 만일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면, 단바라밀을 멀리 여의게 되고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도 멀리 여의는 것이니라. 왜냐 하면, 반야바라밀에는 집착할 곳도 없고 또한 집착하는 이도 없으니, 제 성품[自性]이 없기 때문이니라. 보살마하살이 만일 다시 이처럼 모양을 취하면, 곧 반야바라밀에서 물러나게 되며 만일 반야바라밀에서 물러나게 되면, 이것은 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물러나는 것이어서 수기(受記)를 얻지 못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은 다시 생각하기를 ‘이 반야바라밀에 머무르면 단바라밀을 낼 수 있고 대비(大悲)에 이르기까지도 낼 수가 있다’고도 하나니, 만일 이런 생각을 한다면 곧 반야바라밀을 잃는 것이니라. 반야바라밀을 잃게 되면 단바라밀을 내지 못하고 대비에 이르기까지도 내지 못하느니라.
보살은 다시 생각하기를 ‘모든 부처님께서는 모든 법은 받아들이는 모양이 없음을 알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고도 하나니, 보살이 이와 같이 연설하고 열어 보이며 가르쳐 주면 곧 반야바라밀을 잃는 것이니라. 왜냐 하면 부처님은 모든 법에 대하여 아는 바도 없고 얻는 바도 없으며, 또한 설할 수 있는 어떤 법도 없거늘 하물며 얻을 바가 있겠느냐. 이런 일은 있을 수 없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보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어찌하면 이런 잘못이 없겠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생각하기를 ‘모든 법은 있는 바가 없어서 취할 수 없다. 만일 법이 있는 바가 없어서 취할 수 없다면 얻을 바도 없다’고 하리니, 이와 같이 행한다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있는 바 없는 법에 집착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는 것이니라. 왜냐 하면, 반야바라밀 가운데에는 집착할 법이 없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이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는 것인지요?
단바라밀이 단바라밀을 멀리 여의며, 나아가 일체종지가 일체종지를 멀리 여의는 것인지요? 세존이시여, 만일 반야바라밀이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며, 나아가 일체종지가 일체종지를 멀리 여읜다면, 보살은 어떻게 반야바라밀을 얻으며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를 얻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물질에 대하여 ‘이것이 바로 물질이라면 그 누구의 물질일까’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나아가 일체종지에 대하여도 ‘이것이 곧 일체종지라면 그 누구의 일체종지일까’라고 생각하지 않나니, 이와 같이 해서 보살은 능히 반야바라밀을 내고 일체종지까지도 내게 되느니라.
다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 ‘물질은 항상 있다[常]거나 무상하다(無常)거나 괴롭다[苦]거나 즐겁다[樂]거나 나[我]라거나 나가 아니라[非我]거나 공(空)하다거나 공하지 않다[不空]거나 여읜다[離]거나 여의지 않는다[非離]라고 관하지 않느니라. 왜냐 하면 제 성품[自性]은 제 성품을 낼 수 없기 때문이니,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적에 이와 같이 물질을 관하고 나아가 일체종지를 관하면, 능히 반야바라밀을 내고 나아가 일체종지를 내게 되느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전륜성왕이 갈 곳이 있으면 네 종류의 병사들이 모두 따르는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그것이 이르는 곳에는 다섯 바라밀이 모두 다 따르며 살바야에 이르러 그 가운데서 머무르느니라. 다시 비유하건대 마치 수레를 끄는 말[駟馬]을 잘 길들이면 평평한 길을 벗어나지 않고 뜻대로 갈 수 있는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다섯 가지 바라밀을 잘 길들이면 정도(正道)를 잃지 않고 살바야에 이르게 되느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보살마하살의 도(道)이며, 어떤 것이 도가 아닌[非道] 것인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성문(聲聞)의 도는 보살의 도가 아니요 벽지불(辟支佛)의 도도 보살의 도가 아니니, 일체종지의 도가 곧 보살마하살의 도이니라. 수보리야, 이것을 일컬어 보살마하살의 도요 도가 아닌 것이라 하느니라.”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모든 보살마하살의 반야바라밀은 큰 일[大事]을 위하여 일어나니, 이른바 이것이 바로 도요 이것은 도가 아님을 내보이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수보리야, 반야바라밀은 큰 일을 위하여 일어나니, 이른바 이것은 바로 도요 이것은 도가 아니라는 것을 보이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이 반야바라밀은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일어나며, 아승기의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일어나는 것이니라. 반야바라밀은 비록 이러한 이익을 짓는다 하더라도, 또한 물질을 받아들이지 않고 또한 느낌ㆍ생각ㆍ의욕ㆍ인식도 받아들이지 않으며, 성문이나 벽지불의 지위도 받아들이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반야바라밀은 바로 모든 보살마하살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인도하고 보여주어 성문과 벽지불의 지위를 여위게 하고 살바야에 머무르게 하느니라. 반야바라밀은 생겨나는 바도 없고 없어지는 바도 없나니, 모든 법에 항상 머물러 있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반야바라밀이 생겨나는 바도 없고 없어지는 바도 없다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는 어떻게 보시해야 하고 어떻게 계율을 지녀야 하며, 어떻게 인욕을 닦아야 하고 어떻게 부지런히 정진해야 하며, 어떻게 선정에 들어야 하고 어떻게 지혜를 닦아야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살바야를 염(念)하면서 보시를 해야 하고 살바야를 염하면서 계율을 지니고 인욕하고 정진하며 선정을 닦고 지혜를 닦아야 하느니라. 이 보살마하살은 이런 공덕을 지니어 중생들과 함께하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나니,
만일 이와 같이 회향하면, 구족하게 6바라밀 내지는 자비심의 모든 공덕을 닦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만일 보살마하살이 6바라밀을 멀리 여의지 않으면, 곧 살바야를 멀리 여의지 않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면, 6바라밀을 배워야 하고 행해야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6바라밀을 행하면 온갖 선근을 두루 갖추게 되어 장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나니,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6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만 하느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떻게 보살마하살은 6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관하기를 ‘물질[色]은 합(合)하지도 않고 흩어지지[散]도 않으며, 느낌[受]ㆍ생각[想]ㆍ의욕[行]ㆍ인식[識]도 합하지 않고 흩어지지도 않으며, 나아가 일체종지도 합하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는 것이다’라고 해야 하느니라. 이것을 일컬어 보살마하살이 6바라밀을 익히고 행한다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생각하기를 ‘나는 마땅히 물질 가운데에 머무르지 않아야 하고 느낌ㆍ생각ㆍ의욕ㆍ인식 가운데에 머무르지 않아야 하며, 나아가 일체종지 가운데에도 머무르지 않아야 한다’고 해야 하며, 이와 같이 여섯 가지 바라밀을 익히고 행해야 하느니라. 왜냐 하면, 이 물질은 머무르는 바가 없고 나아가 살바야도 머무르는 바가 없기 때문이니라. 이와 같이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머무를 곳이 없는 법으로써 6바라밀을 익히고 행하면 마땅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사람이 암라(菴羅, Āmra)열매나 바라나바(波羅那婆)열매를 먹고 싶으면 먼저 그 씨를 심고 때맞추어 물을 주고 가꾸어야 하고, 점차로 자라나다가 때가 되면
곧 열매가 열리어 그것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과 같으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도 이와 같아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면, 6바라밀을 배우면서 보시로써 중생을 거두어 취하고 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ㆍ지혜로 중생을 거두어 취하여 중생들을 생사에서 제도해야 하나니, 이와 같이 행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다른 이의 말을 따르지 않으려 하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부처님 국토를 청정하게 하고 중생을 성취시키려 하거나 도량(道場)에 앉고자 하고 법륜을 굴리려고 하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마땅히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은 마땅히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며, 모든 법에서 자유자재하려고 하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왜냐 하면, 이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온갖 법 가운데서 자재함을 얻기 때문이니라.
또 반야바라밀은 온갖 법 가운데서 가장 크니라. 비유하건대 마치 큰 바다가 많고 많은 하천 중에서 가장 큰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온갖 법 가운데서 가장 크니라. 그러므로 모든 성문과 벽지불 및 보살의 도를 구하려 하는 이는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고, 단바라밀 내지는 일체종지를 배워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마치 활을 쏘는 이가 뜻대로 활과 화살을 잡고서 적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처럼, 보살마하살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 내지는 일체종지를 행하면 악마나 악마의 하늘도 파괴하지 못하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나니,
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보살은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호념(護念)하시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떻게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이 보살마하살을 호념하시는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이 단바라밀을 행할 때에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모두 호념하시며, 시라바라밀과 찬제바라밀과 비리야바라밀과 선바라밀과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도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호념하시느니라. 어찌하여 호념하시느냐 하면, 보시는 얻을 수 없고 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ㆍ지혜도 얻을 수 없으며 나아가 일체종지도 얻을 수 없으니, 보살이 이처럼 능히 모든 법을 얻지 않기 때문에 모든 부처님은 이 보살마하살을 호념하시느니라.
또 수보리야, 모든 부처님은 물질로써 하지 않기 때문에 호념하고 느낌ㆍ생각ㆍ의욕ㆍ인식으로써 하지 않기 때문에 호념하며, 나아가 일체종지로써 하지 않기 때문에 호념하시느니라.”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은 배우는 것이 많다 하여도 실로 배우는 바가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배우는 것이 많다 하여도 실로 배우는 바가 없으니, 왜냐 하면, 이 보살이 배우는 모든 법은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법을 설하심은 간략하기도 하고 자세하기도 합니다. 이 법 가운데서 모든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구하고자 하면, 6바라밀을 간략하게 또는 자세하게 받아 지녀서 친근히 하고 독송하며, 독송한 뒤에는 사유하고 바르게 관찰해야 하니, 그것은 마음과 마음에 속한 법으로 행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은 간략하게 또는 자세하게 6바라밀을 배워서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略相]과 자세한 모양[廣相]을 알아야 하느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떻게 보살마하살은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아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물질의 여한 모양[如相]을 알고 느낌ㆍ생각ㆍ의욕ㆍ인식의 [여한 모양을] 알며, 나아가 일체종지의 여한 모양을 아나니, 이와 같이 해서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능히 아는 것이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물질의 여한 모양이고 어떤 것이 느낌ㆍ생각ㆍ의욕ㆍ인식의 [여한 모양이며], 나아가 일체종지의 여한 모양인지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물질의 여한 모양이란 생기는 것도 없고[無生] 없어지는 것도 없으며[無滅] 머무르거나 달라지는 것도 없으니, 이것을 바로 물질의 여한 모양이라고 하고 나아가 일체종지의 여한 모양이라고 하느니라. 이 가운데서 보살마하살은 배워야 하느니라.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모든 법의 실제(實際)를 알 때에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아느니라.”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모든 법의 실제인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제(際)6)가 없는 것을 이름하여 실제라 하느니라. 보살은 이 실제를 배우면서 모든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아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보살마하살이 모든 법의 법성(法性)을 알면, 이 보살은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알 수가 있느니라.”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모든 법의 법성인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물질의 성품[色性]을 법성이라 하나니, 이 성품은 나뉨[分]도 없고 나뉘지 않는 것도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법성을 알기 때문에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아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다시 어떻게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알아야 하는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가령 보살마하살이 온갖 법은 합하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는 줄 아는 것이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떠한 법이 합하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는 것인지요?”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물질은 합하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으며, 느낌ㆍ생각ㆍ의욕ㆍ인식은 합하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으며, 나아가 일체종지는 합하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으며,
유위의 성품[有爲性]과 무위의 성품[無爲性]은 합하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느니라. 왜냐 하면 이 모든 법은 제 성품[自性]이 없거늘 어떻게 합하는 것이 있고 흩어지는 것이 있겠느냐. 만일 법에 제 성품이 없다면 이것은 비법(非法)이 되니, 비법이라면 합하거나 흩어지지 않느니라. 이와 같이 마땅히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알아야 하느니라.”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이것을 일컬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간략하게 거두어 취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이 반야바라밀을 간략하게 거두어 취함에 대하여 처음 발심한 보살마하살은 배워야 하며 나아가 10지(地)의 보살마하살도 배워야 하나니, 이 보살마하살이 이 간략하게 거두어 취하는 반야바라밀을 배운다면 곧 온갖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아는 것입니다.”
【論】해석한다. 수보리는 보살마하살의 크게 영리한 근기의 모양[大利根相]을 들었으니, 하나의 바라밀 편에서 다섯 가지 바라밀이 생기는 것이요, 하나의 바라밀을 행하면서 다섯 가지 바라밀을 완전히 갖추는 것이다. 앞의 품 가운데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러한 일은 드물게 있는 일이기 때문에 부처님께 여쭈기를 “이 보살은 뜻을 일으켜서부터 얼마의 시간이 걸려야 이러한 방편을 얻습니까”라고 하니, 부처님께서 대답하시기를 “이 보살은 뜻을 일으켜서부터 큰 보살을 제외한 그 밖의 중생이면 한량없는 억의 아승기겁이 걸린다”고 하신 것이다.
혹 어떤 보살은 발심한 때로부터 한량없는 억의 아승기겁이 걸린다 해도 큰 죄의 인연에 마음이 덮여 있기 때문에 부처님을 뵙지도 못하고 친근히 하거나 공양하지도 못한다. 이 때문에 여쭈기를 “이 보살은 얼마나 많은 부처님께 공양한 것입니까”라고 하니, 부처님께서는 대답하시기를 “이 보살은 이미 항하의 모래만큼 많은 모든 부처님께 공양하였다”고 하신 것이다. 위에서는 ‘한량없는 억의 아승기’라 하고 여기서는 ‘항하의 모래만큼’이라고 하였는데, 수량이 많다는 이치에서 보면 동일한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보살은 오래전부터 발심하여 비록 꽃과 향을 여러 부처님께 많이 공양했다 하더라도 아직 선근을 심지 못한 채 생각하기를 ‘나는 반드시
과보를 얻을 것이니, 깊은 마음으로 6바라밀을 행하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만일 깊은 마음으로 6바라밀을 행하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위하여 공덕을 짓는다면, 이것을 일컬어 선근을 심는 것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세 번째로 “어떠한 선근을 심었습니까”라고 물었으며, 부처님께서는 대답하시기를 “이 보살은 처음 뜻을 일으켜서부터 구족하게 6바라밀을 행하면서 온갖 복덕마다 짓지 않은 것이 없고, 온갖 착한 법마다 닦고 쌓지 않은 것이 없다”고 하신 것이다.
수보리는 그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부처님께 말씀드리기를 “매우 드문 일입니다. 세존이시여. 이 보살은 이와 같은 방편을 행합니다”라고 했는데, 그것은 곧 아직 모든 번뇌를 끊지 못하고 또한 생사(生死)를 여의지 못했으면서도 번뇌를 끊고 생사의 법을 여읜 이보다 훌륭하다는 것이고, 시작도 없는 생사 이래로 모든 나쁜 법만을 쌓아 오다가 보살의 마음이 뒤에 왔으므로 뒤에 온 마음만에 의지하고 먼저 쌓았던 나쁜 마음을 따르지 않기에, 이것이 바로 희유하다는 것이다. 중생들은 어느 하나 보살에게 고마워하는 일이 없다. 하지만, 보살은 항상 이런 중생들을 이롭게 하려고 한다. 혹은 보살의 목숨을 빼앗고 몸을 베며 끊으려 해도, 보살은 으뜸가는 부처님 경지로써 즐기려 하고 지혜의 목숨[智慧命]으로 중생들에게 주려고 하나니, 이와 같은 것들이 바로 희유하다는 것이다.
부처님은 수보리의 말을 인가하시고는 이런 일을 분명하게 알게 하려고 비유하시기를 “마치 해와 달이 4천하(天下)를 비추는 것과 같다”고 하셨다. 만일 해와 달이 없다면 백곡ㆍ약초나 중생들은 살거나 자랄 수 없다. 달은 음기(陰氣)요 해는 양기(陽氣)이니, 이 두 기운이 화합하기 때문에 만물이 성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해와 달은 4천하에 크게 이익을 준다. 보살도 또한 이와 같아서, 4생(生)7)에 대하여 대비의 마음[大悲心]으로써 중생을 가엾이 여기기 때문에 원하는 바를 따라 온갖 착한 법을 행하고, 큰 지혜의 힘[大智慧力]으로 중생들이 착한 법에 집착하는 마음을 깨뜨리나니,
이와 같이 6바라밀 등의 모든 선(善)이 더욱더 자라고 성취되어 곧장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게 된다.
또 중생은 비록 눈이 있다 하더라도 만일 해와 달이 없으면 볼 수 없다. 중생은 비록 세속의 선근과 영리한 지혜가 있다 하더라도 반야바라밀의 조명(照明)을 얻지 못하면, 오히려 2승조차도 얻지 못하거늘 하물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겠는가.
또 보살이 비록 다섯 가지 바라밀을 행한다 하더라도 반야바라밀을 얻지 못하면 바라밀이라 하는 이름조차도 얻지 못하나니, 그것은 집착하는 마음을 깨뜨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령 보살이 자기의 몸과 목숨까지 베풀 수 있다 해도 만일 반야가 없다면, 그 마음이 파괴되기 쉬운 것이 마치 남편 없는 부인이 침범당하기 쉬운 것과 같다. 하지만 만일 반야가 있다면 파괴하지 못한다.
보살이 비록 갖가지 다른 깊은 법을 행한다고 해도 반야를 얻지 못한다면 바라밀을 행한다고 하지 못하며 다만 착한 법만을 행한다고 할 뿐이니, 한량이 있고 다함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비유를 들어 말씀하시기를 “전륜성왕에게 비록 1천의 아들과 8만 4천의 작은 나라 왕들과 여섯 가지 보배[六寶]가 있다 하더라도 전륜성왕이라 하지 못 하고, 날아다니면서 4천하에 이를 수도 없으나, 만일 천상에서 금륜보(金輪寶)를 파견한 뒤라면 비로소 전륜성왕이라고 부르게 된다”고 하신 것이다.
보살도 이와 같아서 비록 보시 등 모든 착한 법이 있다 하더라도 반야바라밀을 얻지 못한 까닭에 보살이라 부르지 못하니, 6바라밀을 행하는 사람을 위하여 그가 보살도를 행할 수 있도록 장애거리를 제거해 줄 수 없기 때문이다.
‘마치 강건한 장수[健將]가 전투하는 법을 잘 알고 무기를 완전히 갖추고 있으면, 적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했는데, 강건한 장수란 바로 보살이요 무기란 바로 반야이다.
증상만(增上慢)이라 함은, 아직 성인의 도[聖道]를 얻지 못했는데도 이미 얻었다고 여기는 것이다. 보살이 필경공의 법을 설할 때에 이런 사람은 착한 법을 행하려는 마음이 같지 않기 때문에
보살을 헐뜯고 무너뜨리는 외도 범지(梵志) 등과 모든 악마의 백성이나 보살전다라(菩薩旃陀羅)8) 같은 이가 된다. 보살전다라는 것은 「마품(魔品)」 중에서 말한 것과 같아서, 악마가 와서 그의 이름을 부르면서 수기를 주는 것을 듣고 그만 경망한 생각이나 교만한 마음을 내는 자들이다.
다음으로 반야바라밀을 위하기 때문에 다섯 가지의 바라밀을 설명하였으니, 만일 사람이 곧장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행하게 된다면 보시 등 반야에 들어가는 첫 문을 말할 필요는 없지만, 사람이 근기가 둔하고 죄가 중하기 때문에 갖가지의 인연을 들어서 설명한 것이다. 보시로는 간탐을 깨뜨리고 지계로는 모든 번뇌를 꺾어 얇게 하며, 인욕으로는 복덕의 문을 열어 어려운 일들을 능히 행하고 정진으로는 마치 바람이 불면 불이 치솟는 것과 같이 쉬지 않으며, 선정으로는 마음을 가다듬어 하나에 안정시켜 모든 법의 실상을 관찰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이 다섯 가지 바라밀은 모두 반야바라밀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마치 작은 나라 왕들이 전륜성왕을 알현하는 것과 같고 마치 온갖 냇물이 흘러 바다로 들어가는 것과 같이 보시 등 모든 착한 법도 이와 같아서 반야바라밀의 수호를 받기 때문에 살바야에 이르게 된다.
【문】다섯 가지 바라밀은 마치 모든 냇물의 흐름과 같고 반야바라밀은 마치 큰 바다와 같거늘 이제 무엇 때문에 “다섯 가지 바라밀은 반야바라밀의 수호를 받기 때문에 살바야에 들어가게 된다”고 하시는가?
【답】그대는 앞에서 반야에는 갖가지 이름이 있다고 말하는 것을 듣지 못했는가? 살바야는 바로 반야의 다른 명칭이다. 다섯 가지 바라밀의 복덕은 반야바라밀 가운데에 들어가서 곧 청정한 반야를 얻게 된다. 반야가 청정하기 때문에 부처님의 도를 얻으며, 이름을 바꾸어 살바야라 한다. 이 때문에 “살바야에 들어간다”고 말한 것이니, 이는 곧 반야에 들어간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의심하기를 ‘모든 바라밀은 저마다 가진 힘이 있거늘 무엇 때문에 유독 반야바라밀의 공용(功用)9)만을 크다고 할까’라고 한다.
이 때문에 말씀하시기를 “비유하건대 마치 사람이 오른손을 쓰는 것이 자연스럽고 편리한 것과 같으니, 다섯 가지 바라밀은 마치 왼손과 같아서 반야바라밀을 얻지 못하면 하는 일이 불편하느니라”고 하셨다.
사람이 눈을 뜨고 만든 일은 모두 잘 성사되는 것과 같아서, 마치 길잡이[導師]가 앞에 있고 남은 사람들은 그를 따라가면서 가고 멈추고 취하고 버리는 것을 모두 길잡이가 하는 대로 따라 하여서 그들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아서 다섯 가지 바라밀을 인도하여 닦고 쌓고 하는 것을 이루어 성취하므로 모두가 반야를 우러르게 된다. 이 가운데서 부처님께서는 스스로 비유를 들어 말씀하시길 “전륜성왕의 윤보(輪寶)가 4병(兵)을 앞에서 인도할 때에 윤보가 서면 그 밖의 다른 보배[寶]들도 곧 서는 것과 같다”고 하셨으니, 윤보는 곧 반야바라밀이어서 항상 다섯 가지 바라밀 앞에 있으면서 인도하면, 다섯 가지 바라밀은 그 뒤를 따르는 것이다.
이는 『반야경』 초품(初品) 가운데에서 말씀하시기를 “보살이 단(檀)바라밀을 두루 갖추고자 하면 보시하는 이[施者]와 받는 이[受者]와 그리고 재물(財物)을 보지 않는다”라고 한 것과 같아서, 먼저 헤아리고 분별하여 온갖 집착을 끊을 연후에야 보시하는 것이니, 이것이 곧 반야가 앞에서 인도하는 것이다.
윤보는 4천하(天下)를 항복시키고 나서 항상 왕궁에 있으면서 허공 가운데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성왕은 보살이고 윤보는 곧 반야이어서 모든 악마의 백성들의 번뇌를 파괴하고 나서 살바야의 궁중으로 들어가 머무른다. 이 윤보는 ‘나는 항상 앞에 있고 다른 보배들은 뒤에 있다’고 분별함이 없으며, ‘그것은 올 수 있다. 그것은 와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미워하거나 사랑하는 마음이 없으니, 반야도 이와 같아서 ‘단바라밀은 나를 따라오라. 시라바라밀은 오지 말라’고 하는 분별이 없다. 마치 경 가운데서 널리 설명한 것과 같다.
이 가운데 부처님은 친히 그 인연을 말씀하시면서 “온갖 법의 성품에는 능히 짓는 자[能作]10)가 없다”고 하시자, 수보리가 이 말씀을 듣고 나서 부처님께 여쭈기를 “만일 온갖 법의 성품이 공하여 아무것도 없다면, 어떻게 보살은 6바라밀을 행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 있겠는지요?”라고 하였다.
이에 부처님이 대답하시길 “보살은 반야를 행하면서 ‘모든 법이 비록 필경 공하다 하더라도 중생들이 미치고 뒤바뀌었으므로 깊이 집착하여 이해하지 못한다. 내가 만일 방편의 힘을 쓰지 않으면 그들을 제도할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하셨다.
방편(方便)이란, 금빛으로 된 몸[金色身]과 32상(相)과 80수형호(隨形好)와 한량없는 광명과 신통 변화로써 한 손가락으로도 시방의 3천대천국토를 움직이고, 범음(梵音)으로 설법하면서 싫증이 없게 하는 것 등이다. 색신(色身)과 10력(力)과 4무소외(無所畏)와 18불공법(不共法)과 무애해탈(無礙解脫)과 일체종지(一切種智)와 대자대비(大慈大悲) 등 한량없는 모든 부처님 법을 완전하게 갖춘 연후에야 중생들을 교화할 수 있고, 그 중생들도 반드시 믿고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니, 이와 같은 힘을 얻으면 가령 거짓말을 한다 해도 사람들이 오히려 믿게 되거늘 하물며 진실한 말이겠는가. 마치 경에서 “나는 비록 모든 법의 실상을 알기에 열반에 들 수 있다 해도 다만 중생들을 위하는 까닭에 단바라밀 등을 행할 뿐이다”라고 한 것과 같나니, 경전에서의 자세한 설명과 같다. 다른 일로써는 중생들을 제도할 수가 없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기를 “세존이시여, 만일 모든 바라밀이 마침내 공하기 때문에 차별이 없다면, 어떻게 반야바라밀이 모든 바라밀 가운데서 가장 높겠습니까”라고 하자, 부처님은 수보리의 말을 옳다 하시면서 “마침내 공한 가운데에서는 모든 바라밀이 실로 차별이 없다. 만일 반야바라밀이 없다면, 모든 바라밀은 마침내 공하여 차별이 없거늘 그 누구로서 아는 이[知者]가 있겠으며, 만일 반야가 없다면 다섯 가지 법이 어떻게 바라밀이라는 이름을 얻겠는가”라고 하였으니, 다섯 가지 바라밀이 아직 반야에 들기 전에는 차별이 있지만 이미 반야에 들어가면 아무 차별이 없다.
마치 여러 가지 다른 빛깔을 가진 물건들이 수미산 곁에 이르면 모두가 동일한 빛깔이 되지만 다른 물체의 빛도 모두 같다고 말할 수는 없거늘 무엇 때문에 유독 수미산만 크다고 일컫겠는가.
단바라밀 등도 이와 같아서 비록 차별이 없다 하더라도 모두 이것은 반야의 힘이므로 ‘무엇 때문에 유독 반야만을 크다고 하겠는가’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수보리는 아무리 잘 알도록 풀어 주시는데도 여전히 잘 이해하지 못하게 되자, 다시 다른 방법으로 세존께 여쭈기를 “만일 진실한 이치[實義] 가운데 차별이 없다면, 어떻게 반야는 다섯 가지 바라밀에서 위가 됩니까”라고 한다. 앞에 것은 아직 거룩한 도[聖道]의 공을 얻지 못한 것을 설명한 것이요 여기서는 거룩한 도의 공을 얻은 것을 설명한 것으로 으뜸가는 진실한 이치로써 말씀한 것이다. 으뜸가는 진실한 이치가 거룩한 도요 그것은 가장 믿을 수 있는 것이나 이 가운데서도 역시 차별은 없다.
부처님은 그의 말을 옳다 하시면서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내가 6바라밀을 설하고 분별함은 모두가 세속을 위해서이다”고 하신다. 왜냐 하면, 세간 사람에게는 모든 법의 실상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니, 그것을 듣게 되면 곧 고민하며 의심하고 후회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으뜸가는 이치[第一義]11)로써 핵심[心]을 삼고 세속의 언어로써 설명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분별하여 모든 바라밀이 있다고 설명하면서 중생들을 교화하되 중생이란 실로 어떤 법도 없고 모두 공한 것이어서 나지도 않고 죽지도 않으며 물러나지도 않고 일어나지도 않는다. 물질 등의 법도 또한 이와 같다. 이 때문에 반야바라밀이 비록 공하다 하더라도 이러한 일을 내보일 수 있기 때문에 맨 위이고 가장 미묘하니, 마치 옥녀보(玉女寶)가 여러 여인들 가운데서 맨 첫째이고 맨 위이며 가장 미묘한 것과 같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기를 “부처님께서는 무슨 뜻으로 항상 반야는 가장 높은 것이라고 말씀하십니까”라고 함은, 수보리는 갖가지 인연으로 반야와 다섯 가지 바라밀은 차별이 없다고 말했고 부처님도 역시 그가 말한 것을 옳다고 하면서도 다시 “반야는 가장 으뜸이다”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반야바라밀은 온갖 착한 법을 수호하면서 살바야 안에 이르러 머문다”고 하신 것은, 온갖 법은 비록 공하다 하더라도 만일 반야가 없으면 온갖 착한 법들은 모두 살바야에 이를 수 없다는 것이다.
착한 법이란
다섯 가지 바라밀과 37품(品)12)과 큰 자비 등의 모든 보살의 법을 말한다.
【문】만일 모든 착한 법을 행하여도 살바야에 이를 수 있다면, 무엇 때문에 다만 반야 때문에 이르게 됨을 말씀하시는가?
【답】비록 모든 착한 법은 서로가 화합하여 능히 번뇌를 깨뜨리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하더라도, 반야바라밀은 그 중에서도 공력(功力)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비유하건대 마치 많은 군사가 적을 격멸했는데도 그 공명(功名)은 장수[主將]가 차지하는 것과 같다.
또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모든 착한 법은 반야를 얻지 못하면 살바야에 이를 수 없지만 반야는 모든 착한 법을 얻지 못해도 홀로 살바야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마치 경에서 말씀하시기를 “사자뢰음(師子雷音)부처님의 나라에 있는 보배나무[寶樹]는 장엄하여 그 나무에서는 항상 한량없는 법음(法音)을 내고 있으니, 이른바 ‘온갖 법은 필경 공하다. 생겨나는 것도 없고 없어지는 것도 없다’고 하는 등의 소리이다. 그 국토의 백성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이 법음을 들으므로 악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아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는다”고 말씀한 것과 같다. 이러한 사람들에게 무슨 보시니 지계니 하는 등의 온갖 공덕이 있겠는가. 또한 어떤 미치광이나 취한 사람이 부처님으로부터 4제(諦)를 듣고 즉시 도를 얻는 일도 있나니, 이와 같은 등으로 지혜조차 없는데 그 밖의 다른 법을 행하여서 도를 얻는다는 일은 있을 수조차 없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기를 “반야는 필경 공하므로 성인의 법을 취(取)하지도 않고 범부의 법도 버리지 않거늘, 어떻게 부처님께서는 ‘이 반야바라밀은 능히 살바야에 이르러 머무른다’고 하십니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 그의 말을 인가하시면서 “참으로 그러하느니라. 이 반야바라밀은 취하는 것도 없고 버리는 것도 없다. 비록 살바야를 취한다고 말할지라도 법을 취하지 않기 때문에 취하는 것이 된다”고 하셨다. 머무른다[住]는 뜻에 있어서도 역시 이와 같다.
이 가운데서 부처님은 친히 그 인연을 말씀하시기를 이른바 “온갖 법은 모양을 취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온갖 법’이란 물질에서 보리에 이르기까지이니, 이 법은 거짓된 것이요 인연으로부터 생겨난다. 제 성품이 없기 때문에 취하지 않고, 취하지 않기 때문에 버리지도 않나니,
그것은 기억하면서 모양을 취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보리가 여쭈기를 “만일 물질 등의 법을 기억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선근이 점점 자라겠으며, 선근이 더욱 자라지 않는다면 어떻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겠습니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대답하시기를 “만일 보살이 온갖 법 가운데서 기억을 없앨 수 있다면, 그것은 곧 공(空)ㆍ무상(無相)ㆍ무작(無作)의 해탈문이니, 해탈은 곧 그것이 모든 법의 실상이다. 비록 선근이 있다 하더라도 모양만을 취하여 집착하면 마음이 뒤바뀌기 때문에 더욱 자라지 않나니, 비유하건대 마치 곡식을 심어서 그 싹이 아주 잘 났다 할지라도 잡초가 많이 섞이면 그 때문에 더 자랄 수 없는 것과 같다”라고 하셨다.
이 가운데 그 인연을 말씀하시기를 “중생은 기억하기 때문에 삼계(三界)의 좋은 곳과 나쁜 곳에 태어난다. 만일 기억함이 없다면 집착하지 않게 되고 집착하지 않으면 태어나지도 않는다”고 하셨다.
수보리는 부처님으로부터 이런 말씀을 듣고 나서는 사유하고 헤아리기를 ‘이 법이 마침내 공한 것이어서 아무것도 없다면 이 법을 행한다 해도 마땅히 얻는 것도 없어야 하고 머무를 곳도 없어야 한다. 왜냐 하면, 원인과 결과는 서로가 비슷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 때문에 부처님께 여쭈기를 “보살이 이런 생각을 하면서 반야를 수행하면 머무르는 곳은 어디이며 얻는 것은 무엇입니까”라고 하였다.
부처님께서는 “물질 등 온갖 법 가운데에도 머무르지 않고, 나아가 머무르지 않는[不住] 가운데에도 또한 머무르지 않는다. 모양을 취하지 않기 때문에 집착하지 않으며, 집착하지 않기 때문에 머무르지도 않는다”고 말씀하셨다.
이 가운데서 부처님은 친히 그 인연을 말씀하시기를 “이 보살은 집착할 수 있고 머무를[住] 수 있는 어떤 법도 보지 않느니라. 집착한다[著]ㆍ머무른다[住]는 것은, 이 가운데서 법은 깨뜨리기 어렵기 때문에 다만 법만을 설하고 집착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보살이 이 중생공(衆生空)과 법공(法空)에 머물러서 생각하기를 ‘나는 이와 같이 행하고 있다’고 한다면, 곧 그것은 과실[失]이요 곧 그것은 여의는[離] 것이니라. 왜냐 하면, 반야바라밀은 집착할 모양이 아닌데도 이 보살은 나[我]라는 마음으로 밖으로는 공에 집착하고 안으로는 나에 집착하기 때문이니라. 반야와 같이 행하지 않기 때문에 반야를 멀리 여읜다고 말하니, 왜냐 하면
반야바라밀은 모양에 집착하지 않으며 성품이 없기 때문이니라”고 하셨다.
위에서는 공에 집착하기 때문에 잘못되었고, 여기서는 공을 깨뜨리고 반야를 얻어서 반야의 성품이 없는 데에 집착하기 때문에 잘못이니, 잘못이 있기 때문에 수기(授記)를 얻지 못한다. 만일 생각하기를 ‘반야 가운데에 머물러 단바라밀 등을 낼 수 있다’고 한다면, 이 역시 잘못이다.
【문】위의 두 가지의 과실은 그럴 수 있겠으나, 지금은 무엇 때문에 과실이 되는가?
【답】위의 두 가지 과실은 공에 집착하고 성품이 없는 법[無性法]에 집착하기 때문에 단바라밀 등의 공덕을 닦지 못하며, 게다가 삿된 소견을 내어 생각하기를 ‘만일 법이 도무지 공하다면 다시 행할 것이 무엇이겠는가’고 하게 된다. 이 사람이 공에 집착하지도 않고 성품이 없는 데에 집착하지도 않기 때문에 단바라밀 등을 행하면서 생각하기를 ‘공과 성품 없는 데에 집착하지 않고 이런 공덕을 행할 수 있으니, 이것이 바로 진실한 도[眞道]이다’라고 하면, 이것 역시 과실이니, 그 마음에 바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만일 반야를 잃게 되면 단바라밀 내지는 대비(大悲)를 행할 수 없다. 왜냐 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곧 진실한 법이니 반야바라밀은 이것과 서로 비슷하지만, 단(檀) 등의 모든 착한 법은 서로 비슷하지 않아서 그 모양을 취하여 집착하기 때문이다.
만일 보살이 스스로 온갖 법을 기억하고 분별하며 모양을 취하지 않으면, 모든 부처님은 이것이 이미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임을 아신다. 모양을 취하지 않는다 함은 필경공(畢竟空)을 말한다.
모든 모양의 소멸은 취할 수도 없기 때문에 역시 다른 이를 위하여 열어 보이고 연설하면 곧 반야를 잃게 되는 것이니, 이런 사람은 공을 구하고 있으므로 곧 과실이요 성품이 없는 것을 구하고 있으므로 역시 과실이다. “나는 곧 범부요 나고 죽고 하는 사람이어서 모든 번뇌가 아직 다하지 못했거늘 어떻게 얻을 수 있겠는가. 다만 부처님 말씀만을 따르면서 스스로 분별하지 않고 거두어진 마음[定心]으로 다른 사람을 위하여 설하며, 온갖 모양을 취하지 않는 것이 바로 부처님의 법이다”고 하면서 갖가지의 인연으로
이런 일을 열어 보이고 가르쳐 주는 것도 역시 과실이다.
왜냐 하면, 모든 부처님은 모든 법에 대하여 얻거나 취하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 뜻[義]도 이와 같아서 이것은 모양을 취하지 않는 법이며 나아가 임시로 붙인 이름인지라 말로는 설명할 수 없거늘 하물며 얻을 것이 있겠는가. 모든 부처님의 법은 고요히 사라진 모양[寂滅相]이요 모든 희론이 없으며, 온갖 언어의 길이 끊어졌기 때문이다.
수보리가 생각하기를 ‘만일 공에도 과실이 있다면, 공한 것을 공하다는 데에[空空]도 과실이 있고, 취할 것이 없는 법이라는 말에도 역시 과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道)가 없어서는 안되겠기에 지금 마땅히 부처님께 물어야겠다’고 하고, “어떻게 하면 수행하는 이들에게 이런 과실이 없겠습니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 대답하시기를 “만일 보살이 ‘모든 법은 필경공하여 있는 바가 없으므로 취할 수도 없으며 이 법은 얻을 수도 없다’ 하고서, 이와 같이 알고 수행한다면 곧 과실이 없다”라고 하셨다. 보살이 필경 공에 집착하고, 성품이 없는 데에 집착하며, 보살이 행한 도(道)에 집착하는 이 세 가지를 부처님께서는 “모두가 다 과실이 있다”고 말씀하셨다.
보살이 이런 말씀을 들은 뒤에 곧 집착하는 마음을 버렸는데도 지금은 오히려 부처님께서 하신 행에 집착하여 쉬지 못하면서 “부처님께서 하신 행은 반드시 진실한 도[眞道]이다. 나는 부처님만을 따라서 행해야겠다”고 하니, 온갖 법은 아무것도 없어서 모양을 취하지 못하므로 이것도 과실이다.
이제 부처님의 마음 속에서 얻은 법과 같은 이러한 법의 모양은 부처님도 또한 얻는 바가 없으며, 얻는 바가 없기 때문에 부처님을 탐내거나 귀히 여기지 않고 다른 사람도 업신여기거나 천히 여기지 않는 것이니, 온갖 중생들에 대하여 그 마음을 평등하게 가진다.
여기에서는 다시 여쭈기를 “이와 같은 것은 바로 청정한 반야이어서 과실이 없고 제 모양을 여읜지라 집착하지 않지만, 제 모양을 여의지 못하면 이것은 곧 모양이 있고 법에 집착하리니, 만일 제 모양을 여의려 하면 어떻게 행해야 하는 것입니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대답하시기를 “만일 보살이 온갖 법에 대하여 일으키지 않는다면, 이것을 일컬어 능히 반야를 행한다고 한다. 이 보살은 ‘이 물질이 항상 있다거나 무상하다’는 등으로 말하지 않으며, ‘이 물질은 누구의 물질인가’ ‘이 물질이 물질을 파괴하는가’ ‘어느 물질이 남의 물질을 파괴하는가’라고 말하지 않으니, 나아가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도
또한 그와 같다”고 하셨다.
만일 법이 이와 같이 마침내 공하다면, 추구(推求)하여도 얻을 수 없고 이것은 낼[生] 수도 없다. 그것은 왜냐하면, 성품이 성품을 낼 수 없고 성품 없는 것이 성품 없는 것을 낼 수 없기 때문이니, 이와 같은 등의 뒤바뀜을 파괴하고 진실한 논의(論議)를 얻는 것은 모두가 반야바라밀의 힘이요, 그 밖의 다른 바라밀은 모두가 그 뒤를 따른다.
비유하건대 마치 전륜성왕이 어디를 갈 때는 4종의 병사들이 항상 뒤를 따르는데 성왕의 복 때문에 4종의 병사들도 모두 날아다니는 것처럼, 반야의 힘 때문에 그 밖의 모든 다른 법은 모두가 진실한 성품이어서 똑같이 부처님 도에 이르게 된다. 또 비유하건대 마치 노련한 마부[善御]가 부리는 사마(駟馬)13)를 타고 가면 평평한 길을 잃지 않는 것과 같으니, 말은 비록 수레를 끄는 힘이 있다 하더라도 만일 마부가 없으면 목적한 데를 갈 수 없는 것이다. 보시 등도 이와 같아서, 비록 공덕과 과보의 힘이 있다 하더라도 반야의 조복과 제어[調御]가 없으면 부처님 도에 이를 수 없다.
이러한 갖가지 비유에서와 같이, 비록 다섯 가지 바라밀이 반야바라밀 가운데로 들어가면 비록 차별이 없다 하더라도 이런 일들 때문에 반야바라밀은 가장 높고 가장 미묘하다.
수보리는 부처님께서 갖가지 인연으로 ‘반야가 가장 위대하다’고 말씀하는 것을 들었고, 또 ‘행하지 않는 것이 바로 반야를 행하는 것’이라 함을 들었다. 그 때문에 부처님께 묻기를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곧 보살의 도이며, 어떤 것이 보살의 도가 아닌 것입니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2승은 보살의 도가 아니다”라고 대답하셨다.
비록 범부와 모든 번뇌가 보살의 도가 아니지만, 거친 것[麤]이기 때문에14) 말씀하지 않으시고, 2승도 똑 같이 공을 행하고 똑같이 열반을 구하기 때문에 보살의 도가 아니라고 말씀하신 것이니, 거친 일들은 사람들이 의심하지 않지만, 미세한[細] 일들은 사람들이 의심하기 때문이다.
살바야는 바로 보살의 도이니, 그것은 원인 가운데서 결과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보리가 기뻐하면서 반야를 찬탄하여 말하길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은 큰 일을 위하여 일어나니, 마치 경 가운데서 자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모든 법은 항상 머무르기 때문입니다”라 하였다.
수보리는 다시 여쭈기를 “만일 반야가 생겨날 것도 없고 소멸할 것도 없다면, 어떻게 보시와 지계 등을 행하는지요?”라고 하였다. 부처님께서 대답하시길 “반야는 생겨나는 것도 없고 소멸하는 것도 없기 때문에 곧 그것은 필경 공하며, 필경 공하기 때문에 6바라밀을 행하는데 방해되지 않느니라. 보살은 갖가지 인연을 듣고 일체지(一切智)를 찬탄하며, 일체지를 위하여 보시 등의 법을 행하느니라.
이 법은 온갖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며, 이 6바라밀의 공덕은 모든 법의 실상 가운데에 안립(安立)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나니, 이와 같이 보살은 6바라밀과 자(慈) 등의 모든 공덕을 두루 갖추어 뒤바뀜이 없이 바르게 선근을 행하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보살은 어떻게 6바라밀을 익혀야 합니까”라고 묻자, 부처님께서 “보살은 물질 등의 모든 법은 합하지도 않고 흩어지지도 않는다고 관찰해야 한다”고 대답하셨다. 물질 등의 모든 법은 뒤바뀜과 번뇌가 화합한 까닭에 합하지만, 바른 지혜로써 관찰하기 때문에 흩어지지 않는다. 보살이 예리한 지혜로써 깊이 관찰하면 어떤 법도 합하는 것이 없나니, 뒤바뀜과 번뇌가 모두 거짓이기 때문에 합하는 것이 아니다. 마치 앞에서 물듦[染]과 물든 이[染者]를 타파하는 일 가운데서 설명한 것과 같다. 따라서 보살은 모든 법은 본래 합하지도 않기 때문에 흩어짐도 없는 줄 알아 곧 높은 체 하는 마음[高心]을 내지 않는다.
또 보살은 ‘나는 진실한 지혜로써 물질 등의 모든 법으로 하여금 청정하게 하여 그 안에 머무르게 한다’라고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 왜냐 하면, 물질 등의 법은 머무르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마치 땅[地]은 물[水]에 머무르고 물은 바람[風]에 머무르고 바람은 허공[空]에 머무르지만, 허공은 머무르는 곳이 없는 것과 같다. 본래 머무르는 곳이 없기 때문에 온갖 것이 도무지 머무르는 데가 없는 것처럼, 보살은 이와 같이 머무를 데 없는 법 가운데에 머물러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비유로 말씀하신 내용 가운데, 나무는 바로 반야바라밀이고, 열매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인 것이다. 만일 사람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의 씨를 심어야 한다. 사람은 바로 수행하는 이요 물은 다섯 가지 바라밀이니, 마치 사람이 나무에 물을 줄 때에는 비록 아직 열매는 보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때가 되면 열매를 얻는 것처럼 시절(時節)이 화합하면 그 모든 법을 두루 갖추게 된다.
마치 경 가운데서 반야를 말씀하시면서 찬탄하시기를 “만일 보살이 다른 이를 따라 행하지 않고 모든 법의 실상을 얻고자 하거나 어떤 삿된 소견을 지닌 사람이 와서 파괴하려 하면, 깨달아 알고 따르지 않아야 할 것이며, 만일 부처님 국토를 청정하게 하고 도량(道場)에 앉아 법륜을 굴리고자 하면 반야를 배워야 한다”고 하신 것과 같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기를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대로 보살도 마땅히 반야를 배워야 합니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나의 가르침은 반야를 배우게 하려는 것이니라”고 말씀하셨다. 다시 수보리가 생각하기를 ‘온갖 법은 평등한 모양이거늘 무엇 때문에 다만 반야만을 배우도록 가르치시는 것일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이 반야바라밀을 배우면 온갖 법에 대하여 자재함을 얻기 때문에 나는 반야바라밀을 배우라고 가르치느니라”고 하신 것이다.
반야바라밀은 온갖 법 가운데서 가장 위대하다. 마치 부처님이 온갖 중생 가운데서 가장 높으신 것과 같고, 또 만 갈래의 냇물이 큰 바다를 크게 여기는 것과 같다.
마치 경에서 활 쏘는 사람에게 비유하여 말씀한 것과 같다. 만일 보살이 이와 같이 온갖 법 가운데서 자재로운 반야를 행하면, 악마나 악마의 백성으로서도 이길 수가 없거늘 하물며 증상만(增上慢)이나 삿된 소견을 지닌 이겠는가.
이런 보살은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호념(護念)하시나니, 모든 부처님께서 호념하시는 뜻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여기에 대해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만일 보살이 6바라밀을 행하고 또한 6바라밀이 필경 공(空)하다는 것을 관찰하면, 이 같은 사람에게는 커다란 노력[功夫]이 있는 것이기에 모든 부처님께서 호념하시느니라”고 하였으니, 비유하건대 마치 용감한 병사가 싸움터에서
원적을 격파하고도 상처를 입지 않는 것은 곧 왕[主]의 호념이 있었기 때문이듯이, 보살도 이와 같아서 모든 번뇌의 도둑을 깨뜨리고 6바라밀을 두루 갖추고서도 6바라밀에 집착하지 않는다면, 모든 부처님의 호념을 받게 되는 것이다.
모든 부처님께서는 이 보살이 물질을 취하지 않기 때문에 호념하시고 느낌ㆍ생각ㆍ의욕ㆍ인식을 취하지 않기 때문에 호념하신다. 왜냐 하면, 물질 등 모든 법은 거짓이요 진실이 아니기 때문이니, 모든 부처님은 이 보살이 몸이 실상(實相) 그대로 관찰하기 때문에 호념하신다.
수보리가 기뻐하며 말하기를 “보살은 배우는 것이 많습니다. 세속의 법을 배우고 도의 법[道法]을 배우며, 모든 바라밀을 배우고 필경공을 배우며, 생기는 것을 배우고 소멸하는 것을 배웁니다. 범부는 생겨나는 것을 배울 때는 소멸하는 것을 배울 수 없고, 성문은 소멸하는 것을 배울 때는 생기는 것을 배울 수 없으나, 보살은 생겨나는 것을 배우면서도 또한 소멸하는 것을 배우게 되나니, 이 때문에 배우는 것이 많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 생기고 소멸하는 것[起滅]은 마치 환과 같고 꿈과 같아서 필경 공하기 때문에 실로 배우는 것이 없습니다”라고 하자, 부처님께서 그의 말을 옳다고 하시면서 친히 그 인연을 말씀하시기를 “보살이 배우는 것은 모두 얻는 바가 없느니라”고 하셨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기를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법을 보살은 간략하게 또는 폭넓게 배워야 합니다. 왜냐 하면, 배우는 것은 모두 얻는 것이 아니[無所得]라고 말씀하기 때문입니다”라고 하였으니, 수보리의 뜻으로는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법은 8만4천의 법 무더기[法聚]인 12부경(部經)15) 가운데에서 자세하게 또는 간략하게 모든 3승(乘)의 사람들이 배우고 있는 법이므로 이 가운데에서 보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면, 마땅히 6바라밀을 간략하게 또는 자세하게 배우야 한다. 배우는 이들은 마땅히 이 법을 받아 지녀서 친근히 하고 독송하고 사유하고 바르게 관찰하며 나아가 무상삼매(無相三昧)에 들어가고 마음[心]과 마음에 속한 법[心數法]이 작용하지 않는 곳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니, 보살이 이와 같이 배우게 되면 곧 모든 법의 간략한 모양[略相]과 넓은 모양[廣相]을 알게 된다’고 여긴 것이다.
‘자세하다’고 함은 8만 4천의 법을 무더기에서 한량없는 부처님의 법에 이르기까지를 말함이요,
‘간략하다’고 함은 작은 품(品)에 이르기까지를 말하는 것이니, 작은 중에서도 하나의 품이며, 하나의 품 중에서도 하나의 단락을 말한다.
또 ‘간략하다’고 함은 모든 법이 일체 공하여 모양도 없고 조작도 없으며, 나는 것도 없고 없어지는 것도 없는 것 등을 아는 것이며, ‘자세하다’고 함은 모든 법을 각각의 모양[別相]으로 분별하는 것이다. 뒤의 ‘선지식(善知識)’ 가운데서 설명하는 것과 같다.
수보리가 여쭈기를 “어떻게 보살이 모든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아는 것입니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모든 법의 여한 모양[如相]을 아는 것이니, 이른바 생기지[生]도 않고 소멸하지[滅]도 않으며 머무르거나[住] 달라지지[異]도 않는 것을 말하느니라”고 대답하셨다.
【문】만일 여(如)가 하나의 모양[一相]이요 생함이 없는 모양[無生相]이라면, 어떻게 보살이 이 여한 모양을 알며, 모든 법의 전체의 모양[總相]과 각각의 모양[別相]을 아는가? 전체의 모양과 각각의 모양 자체가 바로 간략하고 자세한 모양인가?
【답】여(如)란 모든 법의 실상(實相)이어서 항상 머물러 파괴되지 않으며 모든 관(觀)을 따르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보살이 이 여(如)를 얻으면 곧 무명(無明)과 삿된 소견 등 모든 뒤바뀜을 파괴하나니, 이 사람은 진실한 법을 얻기 때문에 온갖 세간법의 전체의 모양과 각각의 모양을 분명히 알게 된다. 범부이었을 때에는 지혜의 눈에 병이 들어서 무명과 뒤바뀜에 가려졌기 때문에 진실로 알 수 없었던 것이다.
【문】진실한 법의 모양[實法相]이란 공하고 모양이 없고 조작도 없는 것이어서 모든 지혜가 소멸하거늘, 어떻게 “여(如)의 실상을 얻기 때문에 모든 법의 전체의 모양과 각각의 모양을 분명히 안다”고 말씀하는가?
【답】내가 이미 앞에서 대답했는데도 그대는 이 여(如) 가운데서 모양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다시 이런 질문을 하게 된다. 그대가 만일 여를 안다면 이런 질문은 하지 않을 것이다. 이 여는 마침내 모양이 없는 것이므로 모든 법의 전체의 모양ㆍ각각의 모양을 아는 데 방해되지 않나니, 지혜의 눈으로 분명히 알게 되기 때문이다.
또 비유하건대 마치 사람이 어른이 된 뒤에야 비로소 어릴 적에 했던 일들이 모두 어리석어서 웃음거리였음을 알게 되는 것처럼, 보살도 이와 같아서 모든 법의 실상에 들었다가 일어난 뒤에 도로 뒤바뀜의 과보와 6정(情)16) 속에서 고요히 사라진[寂滅] 해탈의 즐거움을 생각해 보면, 그제야 세간에서 6정으로
집착했던 것이 모두가 거짓이어서 버려야 할 법임을 알게 되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전체의 모양(總相)이라 한다. 이 가운데서 청정하지 못한 것을 분별해 보면 상ㆍ중ㆍ하가 있다. 무상(無常)ㆍ고(苦)ㆍ공(空)ㆍ무아(無我) 등도 역시 이와 같으며, 나아가 8만 4천 가지의 모든 착오(錯誤)가 있다.
또 여(如)ㆍ법성(法性)ㆍ실제(實際)를 알기 때문에 역시 모든 법의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알게 되나니, 여ㆍ법성ㆍ실제의 차별의 뜻에 대해서는 초품(初品) 중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 가운데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실제 아닌 것[非際]이 바로 실제이다”라고 하셨는데, ‘실제가 아닌 것’이란 취할 수 있는 어떤 모양도 없고 집착할 수 있는 일정한 법도 없는 것을 말한다.
법 성품을 얻기 때문에 물질 등의 18가지 성품[性]이 모두 법 성품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니, ‘법 성품의 모양[法性相]’이라 함은,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분한[分]도 없고 분한 아닌[非分] 것도 없다”고 하신 것이다. ‘분한이 없다’고 함은, 이것이라고 보일 수도 없고 저것이라고 보일 수도 없는 것을 말하니, 분별도 없고 모양도 없고 한량도 없기 때문이다. ‘분한 아닌 것이 없다 ’함은, 곧 모양이 없다 한량이 없다는 등에 집착하지 않음이니, 한량과 모양이 있는 법의 성품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두 가지 일[二事]이 방해가 되기 때문에 보지 못하나니, 첫째는 모양이 있고 한량이 있는 것이요, 둘째는 모양이 없고 한량이 없는 것이다. 모양이 있고 한량이 있으면 거친[麤] 것이요, 모양이 없고 한량이 없으면 세밀한[細] 것이니, 이 때문에 “법 성품의 모양은 분한도 없고 분한 아닌 것도 없다”고 하는 것이다.
보살이 세 가지 해탈문에 들어가 여(如) 등의 세 가지 진실한 법에 머무르면, 곧 잘 헤아려서 모든 법의 전체의 모양과 각각의 모양을 알게 된다.
수보리가 부처님의 대답을 듣고 나서 다시 한량없는 부처님의 법과 다른 문[異門]들의 일을 물으려고 하자, 부처님께서 대답하시기를 “온갖 법이 합하는[合] 것도 없고 흩어지는[散] 것도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곧 모든 법의 전체의 모양과 각각의 모양을 안다”고 하신 것이다.
【문】눈으로 두 개의 손가락을 보아도 합하고 흩어짐이 있거늘 어떻게 합하고 흩어지는 것이 없다고 하시는가?
【답】내가 앞에서 말하기를 “육안으로 보는 것은 소나 양과 다를 것이 없으므로 믿을 수 없다”고 했었다. 또 세 개의 마디에 피부와 살이 갖추어져서 만들어진 것이 손가락이며, 그 손가락에는 일정한 법도 없다. 또 가령 손가락이라는 법이 있다 해도 역시 모두가 합쳐지는 것이 아니어서 일부분은 합쳐지고 많은 부분이 합쳐지지 않나니, 많은 부분이 합쳐지지 않기 때문에
손가락은 합쳐진다고 말할 수 없다.
【문】적은 부분이라도 합쳐지기 때문에 합쳐진다고 해야 하지 않겠는가?
【답】손가락의 적은 부분만을 가리켜서 손가락이라 하지 않거늘 어떻게 손가락이 합쳐진다고 말하겠는가. 만일 많은 부분이 합쳐진다면 합쳐진다고 할 수 있겠지만, 어찌하여 적은 부분이 합쳐지기 때문에 다 합쳐진다고 하겠는가. 이 때문에 두 개의 손가락은 합쳐진다고 말할 수 없다.
또 손가락과 부분이 다른 것도 아니요 동일한 것도 아니므로 곧 손가락이라는 것이 없고 손가락이라는 것이 없기 때문에 합하는 것도 없다. 동일하다거나 다르다거나 하는 것을 파괴하는 문 안에 들어가면, 도무지 합한다는 것은 없는 것이다. 마치 부처님께서 이에 대하여 말씀하시기를 “온갖 법에는 제 성품[自性]이 없으며 성품이 없기 때문에 그것은 곧 없는 법[無法]이니, 없는 법인데 어떻게 합하거나 흩어지는 것이 있겠느냐”라고 하신 것과 같다.
수보리는 부처님께서 여(如)ㆍ법성(法性)ㆍ실제(實際)는 합해지는 것도 아니요 흩어지는 것도 아니라는 네 문[四門]에 대한 말씀을 듣고 간략한 모양과 자세한 모양을 알게 되었다. 이 때문에 수보리는 말씀드리기를 “세존이시여, 이것을 바로 간략하게 섭취하는[略攝] 반야바라밀이라 하며, 간략하게 섭취하는 문은 바로 안온한 도(道)이기 때문에 온갖 보살들은 마땅히 배워야만 합니다”라고 한 것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