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2015년 세계경제포럼(WEF) 관광경쟁력지수 분석
□ 발간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발간일: 2016.12.31
□ 저자: 정광민
□ 내용
1. 연구 배경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하 WEF)에서 발표한 2015 관광경쟁력보고서에서
한국의 관광경쟁력은 2013년 25위→29위(4단계↓) 기록
○ 2015년 관광수입은 151억 달러를 기록하여 국내관광은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으나 메르스의
영향으로 외래관광객수 감소(-6.8%)와 61억 달러의 관광수지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2015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한 한국의 관광경쟁력은 29위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관광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
○ 한국의 관광경쟁력은 2013년 25위(4.91점)에서 2015년 29위(4.37점)로 4단계 하락하였으며,
아태지역에서는 8위(2013년 6위)를 차지함
- 2007년 42위(4.58점), 2008년 31위(4.68점), 2009년 31위(4.72점), 2011년 32위(4.71점),
2013년 25위(4.91점)
○ 반면 아시아 국가 중 일본과 중국은 경쟁력 순위가 크게 상승
○ 일본의 경우 2013년 14위에서 9위로 5계단 상승하며 처음으로 10위권 내로 진입하였으며 중국은
45위에서 28단계 오른 17위를 차지함으로써, 가파른 상승세 보임
○ 일본은 4개 분야 모두 상위권에 분포해 있으며 중국은 자연 및 문화자원 분야가 세계 1위를 기록하며
높은 순위상승에 기인함
○ 한국의 경우 특히 관광분야에서 가격경쟁력 부문의 호텔가격(78위), 구매력 평가(109위), 연료가격
(109위)과 인프라 부문의 공항 수(123위), 호텔객실 수(97위) 등의 지표에서 현저히 낮은 순위를
기록함
○ 관광경쟁력 세부 지표 분석을 통해 취약항목 도출을 통한 한국 관광경쟁력을 진단하고 거시적 차원의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함
○ 관광경쟁력지수는 통계와 설문 항목 총 90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있어 각 지표에 대한 산출 근거
및 현황에 대한 세부 분석이 필요함
○ 또한, 90개 세부지표 중 통계 및 설문 일부 항목은 국가경쟁력 지수(GCI)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관광
경쟁력과 국가경쟁력 지수 비교를 통한 직간접 관광분야 지수를 분류하여 연계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함
○ 2013년과 비교하여 경쟁력 평가 지표의 차이가 커지고 있으며 지표 항목이 변경되어 이에 대한 세부적
검토가 요구됨
2. 연구 목적
○ 타분야 경쟁력지수(Global Competitiveness Index: GCI 등) 사례 검토
○ 관광경쟁력과 가장 연관성 있는(일부 설문 항목 동일) 국가경쟁력 지수(WEF, IMD, IPS)사례의 체계 및
지수분석을 통한 연계?협력 방안 등 시사점을 도출함
○ 한국의 관광경쟁력 현황 파악
○ 한국의 관광경쟁력 현황 진단을 위해 관광경쟁력지수의 연도별 순위변화 및 부문별 순위를 검토하고
취약항목을 도출함
○ 관광경쟁력 구성 프레임워크(Framework) 및 세부 지표의 평가 방법 분석
○ 2015년 발표된 관광경쟁력지수는 기존 관광경쟁력지수 프레임워크에서 분야 및 항목이 추가, 삭제 등
재구성됨에 따라 4대 분야, 1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구조 변경에 따른 전체 지수 프레임워크를 분석함
○ 총 4개 분야, 14개 부문, 90개 세부 지표는 설문 31개, 통계자료 59개로 구성되어 있어 이에 대한 산출
방법 및 데이터 파악 등 취약항목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함
○ 관광경쟁력지수(TTCI)의 세부 지표 특성 분석
○ WEF의 국가경쟁력지수(GCI) 지표와 비교하여 구분하고 동일한 지표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에 대해서
지표별 관련 분야 특성을 분석함
○ 관광경쟁력지수에 직접적인 관련 있는 지표에 대한 세부 결과 및 산출 방식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향후 정책지원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함
3.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경쟁력 개념
제2절 경쟁력 지수 사례
제3장 관광경쟁력지수 현황 분석
제1절 WEF 관광경쟁력지수(TTCI) 개요
제2절 세부 평가 결과(순위)
제4장 TTCI 지수 세부 분석
제1절 지수 모델 분석
제2절 세부 지표 분석
제3절 TTCI 지표 분석
제5장 요약 및 정책 제언
제1절 주요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外
□ 링크
ALIO :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 ALIO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alio.go.kr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안내드립니다.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로 접근하셨거나 일시적인 웹사이트에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다시 시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홈페
www.kcti.re.kr
![](https://blog.kakaocdn.net/dn/clpZ5i/btrBmvKydhf/5KuEI3kStYGG2UHkHeo4e1/img.jpg)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462 기관 보고서로 본 관광(농촌 마을관광 활성화 방안) (0) | 2023.04.05 |
---|---|
[경제공부] #461 기관 보고서로 본 관광(관광(단)지 조성계획 수립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0) | 2023.04.04 |
[경제공부] #459 기관 보고서로 본 관광(산업관광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0) | 2023.04.02 |
[경제공부] #458 기관 보고서로 본 관광(데이터랩과 함께하는 지역관광 여건분석 결과보고서) (0) | 2023.04.01 |
[경제공부] #457 기관 보고서로 본 관광(2021 관광불편신고 종합분석서)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