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경제공부] #460 기관 보고서로 본 관광(2015년 세계경제포럼(WEF) 관광경쟁력지수 분석)

by Kay/케이 2023. 4. 3.
728x90
반응형

제목: 2015년 세계경제포럼(WEF) 관광경쟁력지수 분석

발간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발간일: 2016.12.31

저자: 정광민

내용

1. 연구 배경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이하 WEF)에서 발표한 2015 관광경쟁력보고서에서

한국의 관광경쟁력은 20132529(4단계) 기록

2015년 관광수입은 151억 달러를 기록하여 국내관광은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으나 메르스의

영향으로 외래관광객수 감소(-6.8%)61억 달러의 관광수지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2015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한 한국의 관광경쟁력은 29위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관광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

한국의 관광경쟁력은 201325(4.91)에서 201529(4.37)4단계 하락하였으며,

아태지역에서는 8(20136)를 차지함

- 200742(4.58), 200831(4.68), 200931(4.72), 201132(4.71),

201325(4.91)

반면 아시아 국가 중 일본과 중국은 경쟁력 순위가 크게 상승

일본의 경우 201314위에서 9위로 5계단 상승하며 처음으로 10위권 내로 진입하였으며 중국은

45위에서 28단계 오른 17위를 차지함으로써, 가파른 상승세 보임

일본은 4개 분야 모두 상위권에 분포해 있으며 중국은 자연 및 문화자원 분야가 세계 1위를 기록하며

높은 순위상승에 기인함

한국의 경우 특히 관광분야에서 가격경쟁력 부문의 호텔가격(78), 구매력 평가(109), 연료가격

(109)과 인프라 부문의 공항 수(123), 호텔객실 수(97) 등의 지표에서 현저히 낮은 순위를

기록함

관광경쟁력 세부 지표 분석을 통해 취약항목 도출을 통한 한국 관광경쟁력을 진단하고 거시적 차원의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함

관광경쟁력지수는 통계와 설문 항목 총 90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있어 각 지표에 대한 산출 근거

및 현황에 대한 세부 분석이 필요함

또한, 90개 세부지표 중 통계 및 설문 일부 항목은 국가경쟁력 지수(GCI)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관광

경쟁력과 국가경쟁력 지수 비교를 통한 직간접 관광분야 지수를 분류하여 연계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함

2013년과 비교하여 경쟁력 평가 지표의 차이가 커지고 있으며 지표 항목이 변경되어 이에 대한 세부적

검토가 요구됨

2. 연구 목적

타분야 경쟁력지수(Global Competitiveness Index: GCI ) 사례 검토

관광경쟁력과 가장 연관성 있는(일부 설문 항목 동일) 국가경쟁력 지수(WEF, IMD, IPS)사례의 체계 및

지수분석을 통한 연계?협력 방안 등 시사점을 도출함

한국의 관광경쟁력 현황 파악

한국의 관광경쟁력 현황 진단을 위해 관광경쟁력지수의 연도별 순위변화 및 부문별 순위를 검토하고

취약항목을 도출함

관광경쟁력 구성 프레임워크(Framework) 및 세부 지표의 평가 방법 분석

2015년 발표된 관광경쟁력지수는 기존 관광경쟁력지수 프레임워크에서 분야 및 항목이 추가, 삭제 등

재구성됨에 따라 4대 분야, 1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구조 변경에 따른 전체 지수 프레임워크를 분석함

4개 분야, 14개 부문, 90개 세부 지표는 설문 31, 통계자료 59개로 구성되어 있어 이에 대한 산출

방법 및 데이터 파악 등 취약항목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함

관광경쟁력지수(TTCI)의 세부 지표 특성 분석

WEF의 국가경쟁력지수(GCI) 지표와 비교하여 구분하고 동일한 지표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에 대해서

지표별 관련 분야 특성을 분석함

관광경쟁력지수에 직접적인 관련 있는 지표에 대한 세부 결과 및 산출 방식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향후 정책지원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함

3. 연구 목차

1장 서 론

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장 이론적 고찰

1절 경쟁력 개념

2절 경쟁력 지수 사례

3장 관광경쟁력지수 현황 분석

1WEF 관광경쟁력지수(TTCI) 개요

2절 세부 평가 결과(순위)

4TTCI 지수 세부 분석

1절 지수 모델 분석

2절 세부 지표 분석

3TTCI 지표 분석

5장 요약 및 정책 제언

1절 주요 연구결과 요약

2절 정책 제언

참고문헌

 

링크

https://www.alio.go.kr/occasional/researchDtl.do?seq=2256406&type=title&word=%EA%B4%80%EA%B4%91&pageNo=19

 

ALIO :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 ALIO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alio.go.kr

http://www.kcti.re.kr/03_1.dmw?method=view&reportId=100&isSearch=true&reportCategory=-1&reportTitle=true&userName=true&reportContent=true&reportYear=2016&reportSeq=1115&pageNum=6&groupNum=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안내드립니다.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로 접근하셨거나 일시적인 웹사이트에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다시 시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홈페

www.kcti.re.k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