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확인하자 경제

[경제공부] #82 기관 보고서로 본 주택 시장(노후주거단지와 주변지역 연계재생 방안)

by Kay/케이 2021. 6. 15.
728x90
반응형

 

82번째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발간한 노후주거단지와 주변지역 연계재생 방안이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상의 15,976개 공동주택단지 및 관련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규모 노후주거단지 단지재생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도시공간구조에 부합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관리 차원에서 노후주거단지를 주변지역과 연계한 재생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결과로 서울시 양천구 목동 택지개발지구를 사례로 노후주거단지와 주변지역과 연계하기

위한 용도지역, 공공기여, 그리고 공공기여 시설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아래 요약글 및 다운로드 링크를 활용하여 추후 예측 가능한 노후주거단지와 주변지역 연계재생 방안을 고민하고 예측해보도록 하자.

 

Photo by Valentin Salja on Unsplash


1. 제목: 노후주거단지와 주변지역 연계재생 방안

2. 연구기관: 한국토지주택공사

3. 저자: 이삼수 외

4. 발간일: 2019.02.26

5. 주요내용

수도권 제1기 신도시를 비롯한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으로 개발된 공동주택단지의 재생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노후주거단지의 재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임

 

도시재생뉴딜이 도시경쟁력 향상, 주거복지 및 사회통합 등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등 단순한 주택재건축사업은 노후주거단지의 재생에는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음

 

현재 공동주택중심의 주택정책이 안고 있는 노후 주거단지의 재생이 사회적 이슈이며, 이와 더불어 노후주거단지 재생과 연계한 지역활성화라는 새로운 도시재생모델 정립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가 필요함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상의 15,976개 공동주택단지 및 관련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규모 노후주거단지 단지재생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도시공간구조에 부합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관리 차원에서 노후주거단지를 주변지역과 연계한 재생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임

 

6.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1개 업로드 해놓음)

-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 링크

https://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542605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