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2017-18] 에너지R&D사업 일몰대응 위한 전략수립(에너지안전, 자원개발, ESS분야)
□ 발간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발간일: 2018.05.10
□ 저자: 윤철산
□ 내용
<자원개발기술개발사업>
I. 사업개요
1. 사업개요
2. 추진체계
3. 사업예산
4. 정부재정지원 필요성
II. 사업성과
1. 사업 성과 및 평가
2. 외부 지적사항 및 개선 사항
III. 일몰연장요청
1. 환경 변화
2. 연장 요청사유
3. 연장 요청기간 및 추진내용
붙 임 1 : 연장기간 중 추진대상과제 상세내역
붙 임 2 : 자원개발기술개발사업 성공사례 요약
<4차산업혁명 시장주도형 스마트자원개발 플렛폼 기술개발 신규사업기획 보고서>
제1장 사업기획 개요
제1절 사업기획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사업추진근거 및 추진경위
제2장 정책동향 분석
제1절 정책환경 변화
제2절 해외정책 동향
제3장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제1절 국내시장 및 산업동향
제1절 해외시장 및 산업동향
제4장 기술동향 분석
제1절 기술환경 변화
제2절 해외 R&D기관동향
제3절 특허동향
제5장 국내 R&D 역량 분석
제1절 자원개발 R&D 사업추진현황
제2절 자원개발 R&D 성과
제6장 동향분석 종합 및 SWOT분석
제7장 사업 추진전략
제1절 사업추진 전략 및 비전
제2절 사업전략 과제 상세기획
제8장 전략과제별 세부내용
제1절 인공지능기반 스마트자원 플렛폼 기술개발
제2절 자원개발 빅데이터 분석/진단 AI 기술개발
제3절 IoT/ICT기반 자원개발 실시간 현장대응 기술개발
제4절 강점산업연계 및 북한광산 자동화 기술개발
제9장 추진쳬계 및 성과지표
제1절 사업추진체계
제2절 성과목표 설정
제10장 재원조달 및 예산투자 계획
제1절 재원조달 계획
제2절 예산투자 계획
제11장 타당성 분석
제1절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2절 경제성 타당성 분석
제3절 파급효과 분석
<에너지안전기술개발사업>
I. 사업개요
1. 사업개요
2. 추진체계
3. 사업예산
4. 정부재정지원 필요성
II. 사업성과
1. 사업 성과 및 평가
2. 외부 지적사항 및 개선 사항
III. 일몰연장요청
1. 환경 변화
2. 연장 요청사유
3. 연장 요청기간 및 추진내용
[붙임] 에너지안전기술 로드맵(요약)
<에너지 안전관리 핵심 기술개발신규사업 기획보고서>
Ⅰ. 사업 개요 및 필요성
1. 사업 개요
2. 재기획 배경 및 필요성
3. 정부지원 필요성
Ⅱ. 환경변화 및 동향
1. 환경변화
2. 기술 및 시장동향
3. 특허동향
4. 시사점
Ⅲ. 신규 기획방향 및 목표
1. 신규 기획방향
2. 사업목표 및 성과지표
3. 세부 추진전략
Ⅳ. 신규사업 추진계획
1. 신규사업 개요
2. 추진전략
3. 기대효과
Ⅴ. 기존사업과의 차별성
1. 기존사업 추진경과 및 성과
2. 차별화 전략
붙임 1. 지원과제 현황 및 예산
붙임 2. 지원과제 상세 내용
I. 사업개요
1. 사업개요
2. 추진체계
3. 사업예산
4. 정부재정지원 필요성
II. 사업성과
1. 사업 성과 및 평가
2. 외부 지적사항 및 개선 사항
III. 일몰연장요청
1. 환경 변화
2. 연장 요청사유
3. 연장 요청기간 및 내용
붙 임 1 : 연장기간 중 추진대상과제 상세내역
<2017년 에너지 R&D사업 성과분석보고서>
- ESS기술개발사업
- 에너지안전기술개발
- 에너지자원순환기술개발
- 자원개발기술개발사업
- 전력피크대응을위한ESS실증연구사업
제 1장. 성과분석 개요
제1절. 추진배경 및 목적
제2절. 주요 분석방법론
제 2장. 성과분석 대상
제1절. 자료수집 및 조사대상
제2절. 성과분석 대상범위
제3절. 성과분석 방법
제3장. 사업 현황
제1절. 사업 추진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사업 추진 근거 및 경과
제3절. 사업 추진현황 및 추진체계
제4절. 사업 환경분석
제4장. NTIS 기본 성과분석
제1절. 투입(Input) 현황분석
제2절. NTIS 성과분석
제5장. 사업수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
제1절. 사업수행의 효율성
제2절. 사업수행의 효과성
제6장. 종합결과 및 정책제언
제1절. 성과분석 종합
제2절. 종합평가
제3절. 정책제언
<201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자체평가 보고서>
Ⅰ. 자체평가결과 요약
Ⅱ. 사업개요
Ⅲ. 예산현황
Ⅳ. 2017년 성과계획
Ⅴ. 특이사항
[자체평가지표별]
=================================================================
1) 본 연구보고서는 공공기관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1항 5호 및 7호에 해당됨에 따라 연구보고서 목차와 요약만을 공개함을 알려드립니다.
2) 해당 연구보고서 전문이 필요한 경우에는 정보공개 요청(http://www.ketep.re.kr >정보공개 >온라인 정보공개청구 바로가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정보공개 요청을 하더라도 공공기관 정보공개에 관한법률 제9조에 따라 비공개 대상인 경우에는 비공개될 수 있습니다.
□ 링크
ALIO :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 ALIO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alio.go.kr
'매일 하나씩 > 확인하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910 기관 보고서로 본 에너지(바이오매스 저속열분해 이용 에너지 전환 및 탄소네거티브 구현 타당성 평가) (0) | 2024.06.26 |
---|---|
[경제공부] #909 기관 보고서로 본 에너지(환기시스템의 건축물 에너지성능평가 기준 및 방법에 관한 연구) (0) | 2024.06.25 |
[경제공부] #907 기관 보고서로 본 에너지([2017-39]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내부규정 정비) (0) | 2024.06.23 |
[경제공부] #906 기관 보고서로 본 에너지(석유·가스 등 에너지 시장 분기 보고서(2018년 1분기)) (0) | 2024.06.22 |
[경제공부] #905 기관 보고서로 본 에너지(2017년도 에너지공급자 투자사업 통합관리 및 실적검증) (0) | 2024.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