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불경5181 [적어보자] #291 불교(개원석교록 8권 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8권 8편 지승 지음 “우리의 스승은 부처님[佛]이라 하는데, 부처란 일체(一切)를 깨달은 사람입니다. 천축의 옛 황태자이신데 서역에서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노자의 가르침[老敎]을 깊이 검토해 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따를 만합니다. 『일수중경(日授中經)』에서 제자들에게 가르치기를 ‘우리의 스승은 열반[泥洹]에 잘 들어, 면면히 항상 존재하고 계신데, 나도 이제 그렇게 갈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제 유진희와 이중경의 저술은 노씨(老氏)의 스승을 헐뜯고 파멸시키려 한 것인데도 세간에서는 알지도 못하였습니다. 이에 『변정론(辯正論)』 8권을 지어서 간략하게 도사(道士)들이 주장한 60여 조목에 대답하였습니다. 이어서 사적(史籍)을 진술하면서 ‘앞에서 한 말은 실로 그릇된 것.. 2021. 7. 29. [적어보자] #290 불교(개원석교록 8권 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8권 7편 지승 지음 무덕 9년(626) 봄에 칙명을 내려 경사(京師)에 세 절을 두어 오직 천 명의 승려만 남게 하고, 나머지는 모두 고향으로 돌려보냈다. 엄한 칙령이 떨어지자 감히 말조차 꺼내지 못하고 오중(五衆)14)은 슬퍼하면서 시골의 거리에서 울부짖었고, 모든 백성[四民]은 성 안의 시가지에서 지난날을 뒤돌아보면서 탄식할 뿐이었다. 그때 도인이나 속인들은 정신이 멍해져서 몸을 둘 곳이 없었다. 마침 동쪽[震方]에서 제왕(帝王)이 출현하여 기운이 왕성하게 일으키어 그 부패를 일소하였다. 평소에 아뢴 상소를 받아 보고 종론(宗論)을 널리 궁구하였다. 등극하자마자 크게 사면(赦免)을 내리며 신묘한 거처로 되돌아가게 했다. 때문에 불일(佛日)이 거듭 당나라 세상[唐世].. 2021. 7. 28. [적어보자] #289 불교(개원석교록 8권 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8권 6편 지승 지음 형상을 무너뜨림으로써 그 뜻을 이루는 것이라 그 때문에 수염과 머리칼의 아름다운 용모를 버리는 것이요, 세속 옷을 바꿔 입음으로써 그 도(道)에 계합하는 것이라, 그 때문에 임금과 신하의 화려한 옷을 입지 않는 것입니다. 비록 그 몸으로는 어버이를 받들지 않고 있지만 마음속에서는 그 효심을 품고 있고, 예(禮)로는 임금을 섬기는 데 어그러지지만 마음은 그 은혜를 거두어들이고 있습니다. 그 은택은 원수나 친한 이에 모두 미치어 그로써 큰 순종[大順]을 이루게 하고, 그 복은 이승과 저승을 모두 적시거늘 어찌 조그마한 위반[小違]에 구애하겠습니까? 위의 지혜로운 사람은 부처님 말씀에 의지하기 때문에 이익이 되고, 아래의 범부 무리는 성인의 가르침을 따르.. 2021. 7. 28. [적어보자] #288 불교(개원석교록 8권 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8권 5편 지승 지음 법림은 평소에 장자(莊子)와 노자(老子)에 통달하여 청아하고 기발한 담론(談論)을 토론하였다. 도를 닦던 동료들은 그 우수하고 아름다움 담론[精華]에 탄복하여 엎드려 절하며 그가 다니는 곳을 따라 다녔다. 정(情)은 두 마음이 없이 극친한 벗이 되어 서로 사귀었으므로 그들이 금(禁)한 문장을 같이 사용할 때 법림에게 물은 뒤에 결정을 내렸다. 노자의 종지로 석가의 경전을 받들어 포괄하여 함께 자세히 펴게 하였고, 장형(張衡)7)의 거짓된 말과 갈홍(葛洪)8)의 허망한 말은 가려 우열을 판정해서 기록하게 하였다. 무덕(武德) 초(618)에 다시 석종(釋宗)의 자리로 돌아와서 경전을 잡고 교를 펼 때에 바빠서 도를 물을 겨를이 없게 되었다. 황제 양(涼.. 2021. 7. 28. [적어보자] #287 불교(개원석교록 8권 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8권 4편 지승 지음 파파는 법을 전파하고 교화하겠다는 서원으로 그 어려움과 위험을 꺼리지 않고 멀리 총하(葱河)를 건너 중국에 왔다. 그가 경유한 길은 4만여 리에 걸친 먼 길인데도 몸소 범어로 된 원본 경전을 가지고 와서 그 모두가 번역되기를 바랐다. 그러나 뛰어난 인재는 말을 못하여 윤음(綸音:임금의 敎旨)을 펴지 못하니, 본래의 뜻은 허물어지고 아름다운 마음은 호소할 길이 없었다. 그 후에 병이 들어 스스로 낫지 못할 병임을 알고 옷과 공양구를 나누어 주었다. 온갖 청정한 업을 짓고 단정하게 앉아서 부처님을 생각하면서 황제에게 글을 올려 몸을 보시하겠다고 하자, 황제는 명을 내려 특별히 이를 허락하였다. 얼마 뒤 그는 승광사(勝光寺)에서 입적하였으니, 그때 나이 .. 2021. 7. 28. [적어보자] #286 불교(개원석교록 8권 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8권 3편 지승 지음 정관 3년(629) 3월에 이르러 황제는 말하기를 “모든 존재는 즐거운 것이 아니며, 사물과 나[我]는 모두가 공(空)한 것이니, 진실한 요체[眞要]를 돌아보고 말한 것은 불교 경전을 넘어서는 것이 없었다. 그러므로 이를 유통시키는 극치는 어찌 번역하여 전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하고, 담당 관청에 명을 내려 3교(三敎)2)를 두루 익히고 10과(十科)를 빠짐없이 갖춘 19인의 석덕(碩德)을 찾아 대흥선사(大興善寺)에서 처음 전역(傳譯)하게 하였다. 사문 현모(玄謨)와 승가(僧伽) 등은 말을 번역하고, 삼장(三藏)의 동학(同學)인 굴다(崛多)율사가 번역한 글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사문 법림(法琳)ㆍ혜명(慧明)ㆍ혜색(慧賾)ㆍ혜정(慧淨) 등이 붓을 잡고 .. 2021. 7. 28. [적어보자] #285 불교(개원석교록 8권 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8권 2편 지승 지음 사문 파라파가라밀다라는 당(唐)나라 말로 번역하면 명지식(明知識)이라고 하며, 간략하게 말하여 붕우(朋友)라고 부른다. 혹은 다른 이름으로 파파(波頗)라고 하기도 하는데, 번역하면 광지(光智)라고 하며 중인도 사람이다. 본래 찰리왕(刹利王) 종족으로 성(姓)은 찰제리(刹帝利)이다. 열 살 때에 출가하여 스승을 따라 배우고 익혀서 10만 게송이 담긴 1낙차(洛叉:10의 다섯 제곱)의 대승경을 외웠다. 구족계를 받은 뒤에는 곧 율장(律藏)을 배워 계망(戒網)에 통달하고 마음으로는 선사(禪思:禪定)를 즐겼다. 또 뛰어난 대덕을 따라 선정의 업을 닦고 익히면서 계속 그 과업에 전념하다가 12년이 지난 후에야 다시 남방을 유행(遊行)하였다. 그 후 마가타국(.. 2021. 7. 27. [적어보자] #284 불교(개원석교록 8권 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8권 1편 지승 지음 1. 총괄군경록 ⑧ 20) 대당(大唐) 시대 ① 대당의 이(李)씨는 장안(長安)에 도읍을 정하였다. 고조(高祖) 신요황제(神堯皇帝) 무덕(武德) 원년 무인(戊寅, 618)으로부터 개원(開元) 신무황제(神武皇帝) 개원 18년 경오(庚午, 730)의 해에 이르기까지 천후(天后)1)의 대(代)를 겸하여 무릇 113년을 경유하는 동안 번역에 종사한 승려들과 속인들은 37인이 있었으며 번역하여 낸 경ㆍ율ㆍ논 및 전(傳)ㆍ녹(錄) 등은 총 301부 2,170권이었다.그중에서 281부 2,143권은 현재 경본이 있고, 10부 27권은 그 경본을 찾아보았으나 아직 얻지 못하였다. 대당 사문 파라파가라밀다라(波羅頗迦羅蜜多羅)3부 38권. 경ㆍ논 사문 석법림(釋法琳).. 2021. 7. 27. [적어보자] #283 불교(개원석교록 7권 2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25편 지승 지음 수나라의 기장이 무너지기에 이르자 들과 성벽에는 연기가 자욱하게 일어났다. 그렇게 되자 범본으로 새로운 경을 번역하는 일이 일시에 끊어지게 되었다. 달마급다는 그 깊은 식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마침내 널리 펼 수 없게 되었다. 달마급다는 처음 개황(開皇) 중년 (581~600)에 경사(京師)에 이르러 곧 사나굴다(闍那崛多)와 함께 번역 사업에 참여하였다. 그때 사나굴다는 권세를 끌어들여 가장 으뜸가는 자리에 있으면서 범어와 중국말을 통역하기를 원하였다. 당시는 오직 아름다운 것만을 찬미[稱美]하였고, 깊은 이치에 이르러서는 도리어 달마급다[斯人]에게 묻지 않는 이가 없었다. 그는 용모와 규범에 있어 넓고 반듯하였고 세상과는 교섭함이 없었다. 그 때.. 2021. 7. 27. [적어보자] #282 불교(개원석교록 7권 2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24편 지승 지음 그리하여 곧 왔던 길을 찾아 나섰으나 사방을 둘러보아도 방향과 길은 망망하고 아득하였다. 길을 잃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지 뒤로 물러서야 할지 알지 못하였다. 그렇게 머뭇거리고 있다가 마침 앞에서 걸어가는 사람이 있어 그 사람을 따라 과주(瓜州)에 도달했다. 비로소 길을 잘못 들어 그 길은 북쪽으로 가는 길이었음을 알았다. 달마급다는 멀리 대국(大國)을 사모하여 길을 떠난 지도 여러 해가 되었다. 처음 약속하여 떠난 동료들은 혹은 남아 있는 사람도 있었고, 혹은 죽은 사람도 있었다. 홀로 외로운 그림자만 돌아보며 이 승지(勝地)에 이르게 되었음을 고요히 생각해 보니 슬픔과 기쁨이 교차하였다. 이윽고 황제에게 초청되어 서울[京城]에 들어오게 되었다. .. 2021. 7. 27. [적어보자] #281 불교(개원석교록 7권 2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23편 지승 지음 달마급다는 여기에서 모든 대승ㆍ소승의 나라와 승사(僧寺 : 승려와 절)를 순례하면서 보고 듣고 얻은 것이 많아졌다. 북쪽 길을 왕래하는 많은 상인들도 그 곳에 이르러 멀리 동쪽 지역에 대지나국(大支那國)이 있다는 것을 전해 주었다.예전에 중국을 진단(眞丹) 또는 진단(振旦)이라 한 것은 모두 바른 음이 아니다. 이것은 중국이라고 하는 뜻으로 번역할 수도 없는 말이다. 오직 이런 말은 신주(神州)라는 총체적인 이름으로 알고 있을 뿐이었다. 처음에는 상인들이 전하는 말을 반신반의하여 중국으로 가고 싶어 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았다. 다만 그의 뜻이 여러 곳을 다니려는 데에 있어 마음이 한 곳에 얽매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마침내 가비시국(迦臂施國)으로 가.. 2021. 7. 27. [적어보자] #280 불교(개원석교록 7권 2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22편 지승 지음 섭대승론석론(攝大乘論釋論) 10권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진제(眞諦)가 번역한 것과 당(唐)나라 때 번역된 세친(世親)의 『섭론(攝論)』은 모두 동본으로 세친보살이 해석한 책이다. 『내전록』에 보인다. 연생론(緣生論) 1권성자 울릉가(鬱楞伽)가 지었다. 『연생경(緣生經)』과 동시에 번역되어 나왔다. 『내전록』에 보인다.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10권여섯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장아함경(長阿含經)』 제4분(分)의 『기세경(記世經)』과 『누탄경(樓炭經)』 등과 동본이다. 또한 바로 『기세경(起世經)』이라고도 한다. 『내전록』에 보인다. 이상은 9부 46권이며, 그 경본이 현재 모두 있다. 사문 달마급다는 수나라 말로는 법밀(法密)이라 부르고, 또한.. 2021. 7. 26. [적어보자] #279 불교(개원석교록 7권 2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21편 지승 지음 “지금에 지은 바는 간략하게 세 가지의 글[三書]에 준하여 지남(指南)으로 삼았으니 이에 삼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탄생하신 해의 서상(瑞相)은 주(周)나라 밤에 비친 광명에 의거하고, 경(經)이 건너온 때의 상서(祥瑞)는 한(漢)나라 명제(明帝)의 꿈을 이어받으며, 승가[僧]의 원시(元始)는 성채[城]와 동량(棟梁)13) 같은 큰 인재들의 빛남을 들어낸 혜교(慧皎)의 『고승전(高僧傳)』에서 숭앙되었다. 그 밖의 방계(傍係)들의 은거(隱居)한 역년(曆年)과 국지(國誌 : 나라의 기록)의 전분(典墳)14)을 채집하여 승우(僧祐)의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에서 여러 사전(史傳)등 근 수십 사람들을 기록하였다. 이것은 저 취령(翠零)을 들추어.. 2021. 7. 26. [적어보자] #278 불교(개원석교록 7권 2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20편 지승 지음 사문 보리등은 외국 사람이며, 어느 때 이 『점찰경(占察經)』 1부를 번역하였는지 알지 못한다. 『장방록(長房錄)』에는 “이 경에 대한 목록을 검사하면 제목도 없고, 그 경의 첫머리 표제[首題]에서 ‘보리등이 외국에 있으면서 번역하였다’고 하였으나, 근대에 번역하여 나온 것 같다”라고 하였다. 지금의 여러 장경 안에 이것이 모두 베껴져 널리 유행하고 있다. 광주(廣州)에 한 스님이 있었는데, 탑참법(塔懺法)을 수행하였다. 가죽으로 두 개의 첩자(帖子)를 만들어 한 개에는 선(善)자를 쓰고 한 개에는 악(惡)자를 써서 사람들에게 집어 던지게 하였는데, ‘선’자를 얻은 사람은 좋고 ‘악’자를 얻은 사람은 나쁘다고 하였다. 또 자박법(自撲法)12)을 행.. 2021. 7. 26. [적어보자] #277 불교(개원석교록 7권 1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19편 지승 지음 또 인수(仁壽) 2년(602)에 이르러 칙명으로 소관 관청에 명하여 흥선사의 대덕과 번경(翻經) 사문 및 학사 등을 청하여 법장(法藏)을 펴서 조사하여 경의 목록[經錄]을 자세히 정하게 하였다. 그 품류에 따라 구별하여 총 5종으로 분류하였다. 단본(單本)으로 제1권에는 거듭 번역된 경[重翻], 제2권에는 따로 파생된 경[別生], 제3권에는 현성들이 지은 집ㆍ전[賢聖集傳], 제4권에는 의경(疑經)과 위경(僞經), 제5권에는 경본이 현재 있고 없는[見闕] 것이니, 도합 2,109부 5,058권을 수록하였다. 별생(別生)과 의위(疑僞)는 추려내어 베낄 필요가 없고, 그 이외의 세 부분은 장경에 편입시키고 목록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사문 언종이 종합적으.. 2021. 7. 26. [적어보자] #276 불교(개원석교록 7권 1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18편 지승 지음 수나라 등왕(滕王)은 계범(戒範)이 될 인물이라고 우러러 받들며 스승으로 모셨다. 그러다가 진세(塵世)의 오염된 일로 인하여 동쪽 월(越)나라로 밀려나 떠돌아다니다가 또 구민(甌閩) 지방에도 머문 적이 있었는데, 그의 도성(道聲)은 두루 미쳤으며, 몸과 마음으로 중생을 이익되게 함이 지극히 많았다. 개황 20년(600)이 되자 문득 세상을 떠났으니 그의 나이 78세였다.『첨품법화경(添品法華經)』 서문에 의하면 “인수(仁壽) 원년(601) 신유(辛酉)에 사나굴다와 달마급다 두 법사가 대흥선사(大興善寺)에서 범본을 다시 감정하면서 빠진 것은 첨가하여 번역하였다”라고 하였는데, 이미 인수 원년(601)에 세상에 있으면서 이 『첨품법화경』을 번역하여 냈다.. 2021. 7. 26. [적어보자] #275 불교(개원석교록 7권 1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17편 지승 지음 새로 여러 부(部)의 범본(梵本)이 도착하여 더욱 많아졌다. 그 가운데는 경도 있고 서책도 있어 내전(內典)과 외전(外典)이 다 있었는데, 어떤 책이라도 번역할 일이 있을 때는 반드시 사나굴다를 역주(譯主)로 삼았다. 사나굴다는 이방(異方)의 문자와 특수한 풍속에 밝아 말을 운용한 데에 자연스러웠기 때문에 통역을 둘 필요가 없었으며, 내용을 이해하여 원만한 문구로 문장의 바탕을 이루었다. 그리하여 글 뜻이 대략 결정되면 곧 번역본이 이루어졌으므로 필수(筆受)하는 사람들의 수고를 덜어 주었다. 이것은 선대의 달사(達士)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다. 5년(585)에 칙명으로 사나굴다는 바라문(婆羅門) 사문 야나갈다(若那竭多)와 개부(開府) 고공(高恭).. 2021. 7. 25. [적어보자] #274 불교(개원석교록 7권 1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16편 지승 지음 그리하여 마침내 거기서 10여 년 동안을 함께 머물렀다. 아사리(阿闍梨) 지현(智賢)은 서역으로 돌아가서 멸도(滅度)하였고, 오래지 않아서 화상(和上)도 세상을 떠났으므로 사나굴다는 홀로 되어 편안히 몸을 의탁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북적(北狄)의 임금과 백성들이 자못 복과 이익[福利]을 넓히는 데에 힘입어 이로 인하여 표연히 머무는 곳마다 중생들을 이롭게 하였다. 그 후 제(齊)나라 승려 보섬(寶暹)ㆍ도수(道邃)ㆍ지주(智周)ㆍ승위(僧威)ㆍ법보(法寶)ㆍ승담(僧曇)ㆍ지조(智照)ㆍ승률(僧律) 등 10인이 무평(武平) 6년(575)에 서로 약속하여 서역에 가서 경을 구해 오기로 하고 동행하였다. 가고 오는 데 7년이 걸려서야 동쪽으로 돌아왔는데, 그들이 .. 2021. 7. 25. [적어보자] #273 불교(개원석교록 7권 1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15편 지승 지음 그때 그의 나이 27세였으며 구족계를 받은 지 3년이 되는 해였다. 이에 스승과 문도들이 뜻을 맺고 여러 곳을 돌아다니면서 법을 널리 펴기로 하였다. 처음에는 열 사람이 함께 서약하여 국경을 넘어가는 길에 가비시국(迦臂施國)을 경유하다가 그 곳에 머물러 한 해를 보냈다. 그 곳의 국왕은 그들의 스승을 돈독히 초청하여 법주(法主 : 법을 설하는 우두머리)로 삼아 받들었으므로 그 도움과 이익이 자못 컸다. 그리하여 다시 순례의 길을 떠나 곧 대설산(大雪山)의 서쪽 기슭을 넘게 되었다. 본래 그곳은 지극히 험준하고 가파른 곳이었다. 염달국(厭達國)에 이르러서야 처음으로 그 곳에 멈추어 쉴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곳은 들판은 넓은데다 백성들은 적어 필요한.. 2021. 7. 25. [적어보자] #272 불교(개원석교록 7권 1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14편 지승 지음 사문 사나굴다는 수나라 말로는 지덕(志德)이라 부르며, 북현두(北賢豆)현두(賢豆)란 말의 본래 발음은 인다라사다나(因陁羅娑陁那)이다. 이 나라 말로 하면 주처(主處)라고 하는데, 하늘의 제석(帝釋)이 보호하는 곳이란 뜻이다. 현두라는 발음은 그 나라에서 간략하게 말하는 사투리이다. 신독천축(身毒天竺)이란 말은 중국에서 잘못 부른 말이다. 그 나라 사람들은 모두가 현두(賢豆)라고 말하는데, 5인도(印度) 전체를 묶어 부르는 말이다. 당(唐)나라 『서역기(西域記)』에서는 “바른 발음으로 인도(印度)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인도라는 말은 당나라 말로 번역하면 달(月)이라고도 한다. 달(月)에는 많은 이름이 있다. 그 중에서 부르는 한 가지 이름은 모든 .. 2021. 7. 25. [적어보자] #271 불교(개원석교록 7권 1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7권 13편 지승 지음 대법거다라니경(大法炬陁羅尼經) 20권개황 12년(592) 4월에 번역하기 시작하여 14년(594) 6월에야 끝마쳤으며, 사문 도수(道邃) 등이 받아썼다. 『장방록』에 보인다. 대위덕다라니경(大威德陁羅尼經) 20권개황 15년(595) 7월에 번역하기 시작하여 16년(596) 12월에 끝마쳤으며, 사문 승곤(僧琨) 등이 받아썼다. 『장방록』에 보인다. 오천오백불명경(五千五百佛名經) 8권개황 13년(593) 8월에 번역하기 시작하여 14년(594) 9월에 끝마쳤으며, 사문 승담 등이 받아썼다. 『장방록』에 보인다. 관찰제법행경(觀察諸法行經) 4권개황 15년(595) 4월 24일에 번역하기 시작하여 5월 25일에 끝마쳤으며, 학사 비장방(費長房) 등이 받.. 2021. 7. 25. 이전 1 ··· 231 232 233 234 235 236 237 ··· 24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