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불경5182

[적어보자] #397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5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해룡왕경(海龍王經) 4권혹은 3권이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첫 번째의 번역이다. 두 번의 번역 가운데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수릉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 3권또한 다만 『수릉엄경(首楞嚴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2권이다.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아홉 번째 번역이다. 아홉 번의 번역 가운데 여덟 번의 번역본은 궐본이다. 관보현보살행법경(觀普賢菩薩行法經) 1권『심공덕경(深功德經)』에서 나왔다. 또한 다만 『보현관경(普賢觀經)』이라고도 한다. 송(宋)나라 때 계빈국[罽賓] 삼장 담마밀다(曇摩蜜多)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세 번의 번역 가운데 두 번역본은 궐본이다. 관약왕약상.. 2021. 8. 19.
[적어보자] #396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4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오(吳)나라 때 월지국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주록(周錄)』에서 단본(單本)으로 기재하였는데, 잘못이다. 첫 번째 번역이다.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사불가득경(四不可得經) 1권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두 번의 번역가운데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범녀수의경(梵女首意經) 1권일명 『수의녀경(首意女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두 번의 번역가운데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성구광명정의경(成具光明定意經) 1권혹은 『성구광명삼매(成具光明三昧)』라고도 하며, 혹은 다만 『성구광명경(成具光明經)』이라고도 한다. 후한(後漢.. 2021. 8. 19.
[적어보자] #395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3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실역이다.지금은 『동진록(東晋錄)』에 덧붙여 있다. 첫 번째 번역이다. 육자신주왕경(六字神呪王經) 1권 실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으며, 지금은 『양록(梁錄)』에 덧붙여져 있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허공장보살문불경(虛空藏菩薩問佛經) 1권또한 『허공장보살문칠불다라니주경(虛空藏菩薩問七佛陀羅尼呪經)』이라고도 한다. 실역이다.지금은 『양록(梁錄)』에 덧붙여져 있으며, 첫 번째 번역이다. 습유록 편입되어 있다. 여래방편선교주경(如來方便善巧呪經) 1권 수(隋)나라 때 천축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 등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여래방편선교주경』이 『구록(舊錄)』에는 단본(單本)으로 되어.. 2021. 8. 18.
[적어보자] #394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2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대당(大唐) 시대 때 중천축 삼장 지바하라(地婆訶羅)가 동도(東都)에서 거듭 번역하였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네 번째 번역이다. 불정존승다라니경(佛頂尊勝陀羅尼經) 1권혹은 주(呪)자를 더 붙이기도 한다. 대당(大唐)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다섯 번째 번역이다. 위의 5경은 동본이역이다. 무량문미밀지경(無量門微密持經) 1권일명 『성도항마득일체지경(成道降魔得一切智經)』이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국[月支] 우바새(優婆塞) 지겸(支謙)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출생무량문지경(出生無量門持經) 1권혹은 『신미밀지경(新微密持經)』이라 하기도 한다. 동진(東晋) 시대 천축 삼장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2021. 8. 18.
[적어보자] #393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1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1경은 『다라니집경』 제10권의 처음 『마리지천경』 일부분의 이역(異譯)이다. 주오수경(呪五首經) 1권 대당(大唐)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번경도(翻經圖)』에 나온다. 단중합역(單重合譯)이다. 주오수(呪五首)능멸죄천전다라니주(能滅罪千囀陀羅尼呪)가 첫째이고, 육자다라니주(六字陀羅尼呪)가 둘째이며, 칠구지불소설신주(七俱胝佛所說神呪)가 셋째이고, 수일체여래의신주(隨一切如來意神呪)가 넷째이며, 관자재보살수심주(觀自在菩薩隨心呪)가 다섯째이다. 천전다라니도 역시 별도로 베껴 써서 하나의 경으로 되었으나, 이미 이 가운데 있으므로 따로 기록하지 않는다. 『대주록(大周錄)』에서 5경(經)으로 나눈 것은 잘못이다. 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경.. 2021. 8. 18.
[적어보자] #392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0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제3권『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이니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에 계시면서 대반야이취(大般若理趣)에서 주문呪과 반야심주(般若心呪)를 설하셨는데, 모두 이 가운데에 있다. 그 중에서 제12인(印)과 주문의 이름은 반야무진장(般若無盡藏)이라 한다. 그 주(注)에서 “이 1인(印)과 주(呪)는 벌리야사승가(筏梨耶思蠅伽) 법사의 번역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권말(卷末)에는 다시 대륜금강다라니(大輪金剛陀羅尼)가 있는데, 만일 이 주문을 외우면 곧 단(壇)에 들어가 인(印)을 주어 사용하더라도 도법(盜法)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제4권 관세음(觀世音) 권상『십일면관세음신주경(十一面觀世音神呪經)』이다. 제5권 관세음 권중첫.. 2021. 8. 18.
[적어보자] #391 불교(개원석교록 12권 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9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대당(大唐)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菩提流志)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네 번째 번역이다. 위의 4경은 동본이역이다.이상 네 경본은 비록 자세함과 간략함이 각각 조금씩 다르지만, 그 범본(梵本)에 의거하면 모두 번역을 다하지 못하였다. 그 중에도 의정(義淨)이 번역하여 낸 경이 같은 법에서 가장 생략되었다. 문수사리근본일자다라니경(文殊師利根本一字陀羅尼經) 1권또한 『일자주왕경(一字呪王經)』이라고도 한다. 대당(大唐) 천후(天后) 때 천축 삼장 보사유(寶思惟)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첫 번째 번역이다. 만수실리보살주장중일자주왕경(曼殊室利菩薩呪藏中一字呪王經) 1권 대당(大唐) 천후(天后) 때 삼장 의정(義淨)의 번.. 2021. 8. 18.
[적어보자] #390 불교(개원석교록 12권 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8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우란분경(盂蘭盆經) 1권또한 『우란경(盂蘭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보은봉분경(報恩奉盆經) 1권 실역(失譯)이다. 지금은 『동진록(東晋錄)』에 덧붙여 있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어느 번역이 선후인지는 가릴 수 없다. 자세함과 간략함이 각각 조금씩 다르다. 욕상공덕경(浴像功德經) 1권 대당(大唐) 시대 천축 삼장 보사유(寶思惟)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첫 번째 번역이다. 욕상공덕경(浴像功德經) 1권 대당(大唐) 시대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뒤의 경본이 조금 더 자세하다. 교량수주공덕경(校量數珠功德經).. 2021. 8. 17.
[적어보자] #389 불교(개원석교록 12권 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7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대방등수다라왕경(大方等修多羅王經) 1권 원위(元魏)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菩提留支)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전유경(轉有經) 1권 원위(元魏) 시대 천축 삼장 불타선다(佛陀扇多)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문수사리순행경(文殊師利巡行經) 1권 원위(元魏)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문수시리행경(文殊尸利行經) 1권 수(隋)나라 때 천축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 등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패다수하사유십이인연경(貝多樹下思惟十二因緣經) 1권 오(吳)나라 때 월지국[月支]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연기성도경(緣起聖道經) .. 2021. 8. 17.
[적어보자] #388 불교(개원석교록 12권 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6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입법계체성경(入法界體性經) 1권 수(隋)나라 때 천축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 등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여래사자후경(如來師子吼經) 1권 원위(元魏) 시대 천축 삼장 불타선다(佛陀扇多)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대방광사자후경(大方廣師子吼經) 1권 대당(大唐) 시대 중천축 삼장 지바하라(地婆訶羅)의 두 번째 번역이다.『대주록(大周錄)』에 나온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대승백복상경(大乘百福相經) 1권 대당(大唐) 시대 중천축 삼장 지바하라의 번역이다.『대주록』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대승백복장엄상경(大乘百福莊嚴相經) 1권 대당(大唐) 시대 중천.. 2021. 8. 17.
[적어보자] #387 불교(개원석교록 12권 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5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3경은 동본이역이다.또 『대주록(大周錄)』 가운데 별도로 『제경(制經)』 1권이 실려 있는데, 곧 안세고가 번역한 경의 다른 이름이다. 그러므로 거듭 기재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독자경(犢子經) 1권 오(吳)나라 때 월지국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법상록(法上錄)』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유광불경(乳光佛經) 1권또한 『유광경(乳光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자세함과 간략함이 각각 조금씩 다르다. 전후 네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번역본은 궐본이다. 무구현녀경(無垢賢女經) 1권혹은 『태장경(胎藏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 2021. 8. 17.
[적어보자] #386 불교(개원석교록 12권 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4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대승변조광명장무자법문경(大乘遍照光明藏無字法門經) 1권 대당(大唐) 중천축 삼장 지바하라(地婆訶羅)의 중역(重譯)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네 번째 번역이다. 위의 3경은 동본이역(同本異譯)이다.『대주록』에서 『대방광보협경(大方廣寶篋經)』과 동본이역이라 한 것은 잘못이다. 전후 네 번 번역되었으나,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노녀인경(老女人經) 1권또한 『노모경(老母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노녀경(老女經)』이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국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첫 번째 번역이다. 노모경(老母經) 1권 『승우록(僧祐錄)』의 실역경(失譯經) 중에 들어 있다.지금은 『송록(宋錄)』 가운데 덧붙여있다... 2021. 8. 17.
[적어보자] #385 불교(개원석교록 12권 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3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원위(元魏) 시대 바라문 구담반야류지의 번역이다.서문에 나오며, 첫 번째 번역이다. 위 경의 처음에 나온 서문에는 “위(魏)나라 흥화(興化) 4년 임술(壬戌, 542) 9월 1일에 구담반야류지와 사문 담림이 상서령(尙書令) 의동(儀同) 고공(高公)의 집에서 번역하였다. 모두 5,576자이다”라고 하였다. 여러 목록에서 모두 보리류지의 번역이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지금 이 서문의 내용에 의거하여 바르게 고친다. 대위등광선인문의경(大威燈光仙人問疑經) 1권 수(隋)나라 때 천축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순권방편경(順權方便經) 2권일명 『전여신보살경(轉女身菩薩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2021. 8. 16.
[적어보자] #384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네 번째 번역이다. 삼가 『장방록』ㆍ『내전록』 두 목록에 의하면 모두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에서 처음에 ‘대지사리불(大智舍利弗)’이라 한 이 경은 먼저 장안(長安)의 사문 석도표(釋道標)가 번역하고, 소제(蕭齊)의 강주(江州) 사문 도정(道政)이 없앨 것은 없애고 개정하였다”고 하였다. 이제 이 설명을 자세히 살펴보면 혹은 그렇지 않다고 여겨진다. 석도표는 구마라집 문하(門下)에서 뜻을 자세히 설명했던(詮義) 스님이었고, 원래 번역의 책임자主가 아니었다. 비록 도표로 하여금 번역하게 하였다 하더라도 문의(文義)가 어찌 두루하지 않는 것이 있을 수 있겠는가? 제조(齊朝)에 이르기까지 내려와.. 2021. 8. 16.
[적어보자] #383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2. 별분승장록 ③ 1) 유역유본록 ② (2) 보살삼장록 ② ① 보살계경장 ② 월등삼매경(月燈三昧經) 11권혹은 10권 1질(帙)이다. 고제(高齊) 시대 천축(天竺) 삼장(三蔵)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의 번역이다.전본(全本)이며, 뒤에 나온 것은 단중합역(單重合譯)이다. 월등삼매경(月燈三昧經) 1권일명 『문수사리보살십사행경(文殊師利菩薩十事行經)』이라고도 한다. 송(宋)나라 사문 석선공(釋先公)의 번역이다.두 번째 별역(別譯)이다. 위의 한 경은 앞의 『대월등경(大月燈經)』 제7권에서 나온 이역(異譯)이다.첫 번째 별역(別譯) 단권(單卷)은 궐본(闕本)이다. 무소희망경(無所希望經) 1권일명 『상보경(象步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 2021. 8. 16.
[적어보자] #382 불교(개원석교록 11권 2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1권 26편 지승 지음 신역 중본(重本)이며, 범문은 2만 5천 게송이다. 중국말로 번역하여 78권 85품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역(舊譯) 대품(大品)의 『방광반야바라밀경[放光]』ㆍ『광찬반야바라밀경[光讚般若]』과 동본이역이다. 제401권에서 제478권까지이다. 옛 경[舊經]에 비하면 「상제(常啼)」 등의 품이 빠져 있으며, 그 밖의 뜻은 거의 같다. 제3 중회 왕사성 취봉산에서 설하셨다.59권 신역 단본이며, 범문은 1만 8천 게송이다. 번역하여 59권 31품으로 이루어졌으며, 제479권에서 제537권까지이다. 제4 중회 왕사성 취봉산에서 설하셨다.18권, 여덟 번째 번역이다. 신역 중본이며, 범문은 8천 게송이다. 번역하여 18권 29품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역 『도행소.. 2021. 8. 16.
[적어보자] #381 불교(개원석교록 11권 2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1권 25편 지승 지음 제1권 관정삼귀오계대패호신주경(灌頂三歸五戒帶佩護身呪經) 제2권 관정칠만이천신왕호비구주경(灌頂七萬二千神王護比丘呪經) 제3권 관정십이만신왕호비구니주경(灌頂十二萬神王護比丘尼呪經) 제4권 관정백결신왕호신주경(灌頂百結神王護身呪經) 제5권 관정궁택신왕수진좌우주경(灌頂宮宅神王守鎭左右呪經) 제6권 관정총묘인연사방신주경(灌頂塚墓因緣四方神呪經) 제7권 관정복마봉인대신주경(灌頂伏魔封印大神呪經) 제8권 관정마니라품대신주경(灌頂摩尼羅稟大神呪經) 제9권 관정소오방용섭역독신주경(灌頂召五方龍攝疫毒神呪經) 제10권 관정범천신책경(灌頂梵天神策經) 제11권 관정수원왕생시방정토경(灌頂隨願往生十方淨土經)혹은 「보광품(普廣品)」이라고도 한다. 제11권은 곧 따로 유행하고 있는 『수원왕.. 2021. 8. 16.
[적어보자] #380 불교(개원석교록 11권 2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1권 24편 지승 지음 송(宋)나라 시대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가 번역하였다. 위의 경은 바로 『해심밀경』 마지막 2품의 이역(異譯)이다.제4권, 제5권 두 권에 나온다. 위의 4경은 동본이역이다.두 경은 전본(全本)이며, 두 경은 처음 번역되었다. 연생초승분법본경(緣生初勝分法本經) 2권 수(隋)나라 시대 천축 삼장 달마급다(達摩笈多)가 번역하였다.『내전록』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분별연기초승법문경(分別緣起初勝法門經) 2권 대당(大唐)의 삼장 현장(玄奘)이 번역하였다.『내전록』에 나온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능가아발다라보경(楞伽阿跋多羅寶經) 4권 송(宋)나라 시대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가 번역하였다.두 번째 번역이.. 2021. 8. 15.
[적어보자] #379 불교(개원석교록 11권 2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1권 23편 지승 지음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하였다.첫 번째 번역이다. 집일체복덕삼매경(集一切福德三昧經) 3권 요진(姚秦)의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하였다.『진적사록(眞寂寺錄)』에 나온다. 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지심범천경(持心梵天經) 4권일명 『장엄불법경(莊嚴佛法經)』이라고 하며, 또 『등어제법경(等御諸法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삼장 축법호가 번역하였다.혹은 6권 17품(品)이다. 첫 번째 번역이다. 이상 3경 10권은 동질이다.요진(姚秦)의 석승예(釋僧叡)가 번역한 『사익경』 서문을 살펴보면 “공명(恭明:支謙)이 먼저 번역한 경은 자못 문장이 화려하기.. 2021. 8. 15.
[적어보자] #378 불교(개원석교록 11권 2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1권 22편 지승 지음 또 경의 서문에서 “사나굴다가 번역한 5권을 『장방록』 등의 모든 목록에서는 야사굴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이 두 삼장은 바로 같은 한 법사이다. 당시에 같은 사람이 번역하여 이름을 기재한 것이 모두 그렇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 합부(合部)로 된 6권 경본을 이 8권과 같은지 다른지를 밝혀 보면, 그 6권의 경은 1품(品)이 뒤바뀐 것이므로 새 경과 비교하면 바로 이 경이 8권 경이다. 또 2경의 「촉루품」의 글 뜻이 전혀 달랐다. 6권의 「촉루품」은 『법화경』 「촉루품」과 크게 견주어 서로 비슷하였는데, 그렇게 된 까닭을 모르겠다. 이제 8권과 대조하여 보면 역시 새 경과는 거의 동일하다. 두 경본은 조금 다르기 때문에 두 경을 모두 기재.. 2021. 8. 15.
[적어보자] #377 불교(개원석교록 11권 2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1권 21편 지승 지음 수(隋)나라 시대 천축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 등이 번역하였다.네 번째 번역이다. 이상 3경은 동본이역이다.『선사동자경』은 『주록(周錄)』에서는 단본(單本) 가운데 있는데, 잘못이다. 전후 네 번의 번역본이 있었는데, 두 번역본은 궐본이다. 대비분타리경(大悲分陀利經) 8권또한 『대승비경』이라고도 한다. 역자를 알 수 없다.지금 『진록(秦錄)』에 덧붙여 있다. 두 번째 번역이다. 이상 2경 10권은 동질이다. 비화경(悲華經) 10권1질(帙)이다. 북량(北涼) 시대 천축 삼장 담무참(曇無讖)이 고장(姑藏)에서 번역하였다.네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전후 네 번의 번역본이 있었는데, 두 번역본은 궐본이다.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2021. 8.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