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불경5182 [적어보자] #418 불교(개원석교록 13권 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3권 6편 지승(智昇)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45권에 나오며, 『심경(心經)』과 동본이역이다. 응법경(應法經) 1권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45권에 나오며, 뒤의 『수법경(受法經)』과 동본이역이다. 니리경(泥犁經) 1권혹은 『중아함니리경(中阿含泥犁經)』이라고도 한다. 동진(東晋) 시대 서역 사문 축담무란(竺曇無蘭)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53권에 나오며, 『치혜지경(癡慧地經)』과 동본이역이다. 우바이타사가경(優婆夷墮舍迦經) 1권 『승우록(僧祐錄)』 중의 실역경(失譯經)이다.지금은 『송록(宋錄)』에 들어 있다. 재경(齋經) 1권일명 『지재경(持齋經)』이라고도 한다. 오.. 2021. 8. 23. [적어보자] #417 불교(개원석교록 13권 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3권 5편 지승(智昇)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27권에 나오며, 『아노파경(阿奴波經)』과 동본이역이다. 제법본경(諸法本經) 1권 오(吳)나라 때 월지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28권에 나오며, 처음의 『제법본경(諸法本經)』과 동본이역이다. 구담미기과경(瞿曇彌記果經) 1권 송(宋) 나라 사문 석혜간(釋慧簡)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28권에 나오며, 『구담미경(瞿曇彌經)』과 동본이역이다. 첨파비구경(瞻婆比丘經) 1권혹은 첨파(瞻波)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39권에 나오며, 『첨파경(瞻波經)』과 동본이역이다. 복음경(伏婬經) .. 2021. 8. 23. [적어보자] #416 불교(개원석교록 13권 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3권 4편 지승(智昇)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7권에 나오며, 『분별성제경(分別聖諦經)』과 동본이역이다. 항수경(恒水經) 1권또한 『항하유경(恒河喩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 제9권에 나오며, 『첨파경(瞻波經)』과 동본이역이다. 본상의치경(本相倚致經) 1권또한 『대상의치(大相倚致)』이라고도 한다. 후한 시대 안식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연본치경(緣本致經) 1권 실역(失譯)이다.지금은 『동진록(東晋錄)』에 들어 있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중아함경』 제10권에 나오며, 『본제경(本際經)』과 동본이다. 정생왕고사경(頂生王故事經) 1권혹은 다만 『정생왕경(頂生王經)』이라고도 한다.. 2021. 8. 23. [적어보자] #415 불교(개원석교록 13권 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3권 3편 지승(智昇) 지음 송성수 번역 살펴 보건대 『대당내전록』과 정매(靖邁)의 『번경도』에는 모두 “달마급다 삼장이 대업(大業) 연간(605~618)에 동도(東都) 상림원(上林園)의 번경관(翻經館)에서 『기세경(起世經)』 10권을 번역하였다”라고 하였다. 여기에 모든 장경을 자세히 살펴보았으나, 이에 두 경본만이 있었다. 아울러 큰 뜻은 비록 같았지만, 내용들이 조금 달랐다. 또 품목(品目)과 때時에 이르러서는 어긋남이 있었다. 앞 경의 첫 부분에는 “바가바(婆伽婆)께서 사바제성(舍婆提城)에 계셨다”라고 되어 있으며, 뒤의 경 첫 부분에서는 “바가바께서 사라바실제성(舍囉婆悉帝城)에 계셨다”라고 되어 있다. 만일 범어梵言에 의거한다면 뒤의 경이 바르다 하겠다. 그러.. 2021. 8. 22. [적어보자] #414 불교(개원석교록 13권 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3권 2편 지승(智昇) 지음 송성수 번역 이 부의 경에는 앞의 경문(經文)과 비록 선후의 차례는 매기지 못할지라도 자세히 찾아 살펴보면, 앞의 경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여기서는 다만 필요한 부분만 추려 내었을 뿐이니, 별부(別部)가 된다.『불반니원경(佛般泥洹經)』 이하의 모든 경은 모두 4아함(阿含) 가운데 별경이역(別經異譯)이다. 장아함중별역경長阿含中別譯經 불반니원경(佛般泥洹經) 2권혹은 다만 『니원경(泥洹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하내(河內) 사문 백법조(白法祖)의 번역이다.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3권혹은 2권이다. 동진(東晋) 시대 평양(平壤) 사문 석법현(釋法顯)의 번역이다.여기에 법현이 번역한 것은 총록(總錄) 중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반니원경.. 2021. 8. 22. [적어보자] #413 불교(개원석교록 13권 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3권 1편 지승(智昇) 지음 송성수 번역 2. 별분승장록(別分乘藏錄) ④ 2) 유역유본록(有譯有本錄) ③ (2) 성문삼장록(聲聞三藏錄) 성문장(聲聞藏)이라 함은, 소승(小乘)을 설명한 가르침이다. 그 가르침을 설명하는 주체가 곧 생(生)을 보이고 멸(滅)도 보이되, 중생에 따라 응하고 상황에 맞게 따라 그 내용을 설명하고 가르쳤으니, 곧 9부(部)와 4아함(阿含)과 아비담(阿毗曇)과 계율(戒律)이다. 선남자ㆍ선녀여인은 이 가르침을 받아 진로(塵勞)1)의 신[屣]을 벗어버리고 연각(緣覺)2)과 성문(聲聞)3)은 이를 받들어서 피안(彼岸)4)에 오른다. 대개 진승(眞乘)에 나아가는 작은 탈 것[小駕]이요, 이에 보리(菩提)에 오르는 화성(化城)이니 초심자를 이끌고 나아가게.. 2021. 8. 22. [적어보자] #412 불교(개원석교록 12권 3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30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원위(元魏) 시대 천축 삼장 비목지선(毗目智仙) 등의 번역이다.서문의 기록에서 나온다. 단본이다. 위 논(論)의 서문에는 “위(魏)나라 흥화(興和) 3년(541) 3월 20일에 오장국(烏長國) 사람 찰리왕종(刹利王種) 삼장법사 비목지선(毗目智仙)이 천축국의 바라문 구담반야류지(瞿曇般若流支)와 함께 업성(鄴城) 안의 금화사(金華寺)에서 번역하였다. 무릇 11,098자(字)나 되었다. 사문 담림(曇林)이 받아썼고,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개부의동 삼사어사중위 발해(勃海) 고중밀(高仲密)이 아뢰고 청하여 공양하였다”라고 하였다. 여러 목록에는 다만 구담반야류지의 번역이라 하였으나, 잘못이다. 여기에 이 서문의 기록에 의거하여 바르게 고친다.. 2021. 8. 22. [적어보자] #411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9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단본이다. 유식삼십론(唯識三十論) 1권세친(世親)보살이 지었다.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이상 9론 13권은 동질이다. 성유식론(成唯識論) 10권호법(護法)보살 등이 짓고 또 해석하였다. 위의 30론(論)은 1질이다.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대장부론(大丈夫論) 2권제바라(提婆羅)보살이 지었다. 북량(北涼) 시대 사문 석도태(釋道泰)의 번역이다.『번경도』에 나온다. 단본이다. 입대승론(入大乘論) 2권견의(堅意)보살이 지었다. 북량(北涼) 시대 사문 석도태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2021. 8. 22. [적어보자] #410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8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이 『결정장론』은 『대주록』에 “누가 번역하였는지 알지 못한다”라고 하면서 번역한 연대도 말하지 않았다. 여기에 이 논(論)을 자세히 살펴보면, 문장의 형세로 볼 때 진제의 번역이다. 논 가운데, 자주(子注)에 양언(梁言)이라 하였다. 그러나 전대(前代)에 목록을 지은 이들은 이를 누락시키고, 기재하지 않았다. 지금은 진제가 번역한 경본이기 때문에, 양대(梁代) 목록 가운데 편입시켰다. 변중변론송(辯中邊論頌) 1권미륵(彌勒)보살이 지었다. 대당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중변분별론(中邊分別論) 2권바수반두(婆藪槃豆)가 지었다. 혹은 3권이다. 진(陳)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첫.. 2021. 8. 21. [적어보자] #409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7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단본이다. 십팔공론(十八空論) 1권 진(陳)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번경도(飜經圖)』에 나온다. 백론(百論) 2권제바(提婆)보살이 지었고, 바수개사(婆藪開士)가 해석하였다.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단본이다. 광백론본(廣百論本) 1권성천(聖天)보살이 지었다. 대당(大唐)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이상 5론 20권은 2질(帙)이다. 대승광백론석론(大乘廣百論釋論) 10권성천(聖天)이 지은 경본을 호법(護法)이 해석하였다. 1질(帙)이다.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십주비바사론(十住毗婆沙論) 14권.. 2021. 8. 21. [적어보자] #408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6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위는 『대집경(大集經)』 「보계품(寶髻品)」을 해석한 것이다. 지금은 『보적경』에 편입되어 있으며, 다만 제47회(會)이다.논의 서문에 “위(魏)나라 흥화(興和) 3년 신유(辛酉, 541) 9월 1일 오장국(烏萇國) 사람 찰리왕종(刹利王種) 삼장법사 비목지선(毗目智仙)과 중천축국 바라문 구담류지(瞿曇流支)와 호법대사(護法大士)인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개부의동삼사어사중위(開府儀同三司御史中尉) 발해(勃海) 고중밀(高仲密)과 법을 좋아하는 사람 사문 담림(曇林) 등 도인과 속인들이 서로 도와 업성(鄴城) 안의 금화사(金華寺)에서 번역하였다. 4,997자(字)이다”라고 하였다. 모든 목록에서는 모두 “보리류지가 번역하였다”라고 하였는데, .. 2021. 8. 21. [적어보자] #407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5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문수회과경(文殊悔過經) 1권일명 『문수오체회과경(文殊五體悔過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사리불회과경(舍利弗悔過經) 1권또한 다만 『회과경(悔過經)』이라고도 한다. 후한(後漢) 시대 안식국[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번역본은 궐본이다. 법률삼매경(法律三昧經) 1권또한 다만 『법률경(法律經)』이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국[月支]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두 번의 번역 가운데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십선업도경(十善業道經) 1권 대당 천후(天.. 2021. 8. 21. [적어보자] #406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4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이상 2경 10권은 동질(同帙)이다.『정업장경』은 『법상록(法上錄)』에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라고 하였으나, 여기에 그 문구를 자세히 살펴보면, 축법호가 번역한 경의 문장의 형세와 전혀 다르다. 그러므로 실역(失譯)으로 둔다. 우바새계경(優婆塞戒經) 7권이는 재가보살(在家菩薩)의 계이다. 혹은 5권, 혹는 6권, 혹은 10권이다. 북량(北涼) 시대 천축 삼장 담무참(曇無讖)이 고장(姑藏)에서 번역하였다. 단본(單本)이다. 범망경(梵網經) 2권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앞에 번역된 경본은 궐본이다. 수십선계경(受十善戒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실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단.. 2021. 8. 21. [적어보자] #405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3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경은 처음에 귀경송(歸敬頌)이 있고, 『유가론(瑜伽論)』 「본지분(本地分)」 가운데 보살지(菩薩地)에서 나왔다. 옛날 고제(高齊) 시대 소현통(昭玄統) 사문 법상(法上)이 고구려(高句麗)의 문의에 대답하기를 “『보살지지경』은 다만 아승거(阿僧佉)비구가 미륵(彌勒)으로부터 받아 얻은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 아승거란 곧 무착보살(無著菩薩)이다. 또 양(梁)나라 사문 승우(僧祐)의 「지지기(地持記)」를 살펴보면 “『보살지지경』 8권에는 27품(品)이 있고, 세 문단段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1단(段)에 18품, 제2단에 4품, 제3단에 5품이 있다. 그러나 내용 가운데는 다른 이름이 나와 있지 않다. 그리고 지금 이 경본에는 혹은 .. 2021. 8. 20. [적어보자] #404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2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승우록』에서는 안공(安公)의 관중이경(關中異經)이라 하였다.지금은 『진록(秦錄)』에 덧붙여져 있으며, 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우바이정행법문경(優婆夷淨行法門經) 2권혹은 다만 『정행경(淨行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경(經)자가 없다. 『승우록』에서 안공(安公)은 양토이경(涼土異經)이라 하였다.지금은 『양록(涼錄)』에 덧붙여져 있다. 팔대인각경(八大人覺經) 1권 후한 시대 안식국[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보창록(寶唱錄)』에 나온다. 삼품제자경(三品弟子經) 1권또한 『제자학유삼배경(弟子學有三輩經)』이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국[月支] 우바새(優婆塞)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사배경(四輩經) 1권혹은 『사배제자경.. 2021. 8. 20. [적어보자] #403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1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묘색왕인연경(妙色王因緣經) 1권 대당 천후 때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불위해룡왕설법인경(佛爲海龍王說法印經) 1권 대당 천후 때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사자소타사왕단육경(師子素馱娑王斷肉經) 1권 대당 시대 지상사(至相寺) 사문 석지엄(釋智嚴)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반니원후관랍경(般泥洹後灌臘經) 1권일명 『사배관랍경(四輩灌臘經)』이라고도 하며, 또한 다만 『관랍경(灌臘經)』이라고도 한다. 서천(西天)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위의 이 『관랍경』은 『대주록(大周錄)』 등에 모두 중역(重譯)에 편입시켰으면서 『우란분경(盂蘭盆經)』 등과 동본이역이라 하였는데, 잘못이다. 지.. 2021. 8. 20. [적어보자] #402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20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서진 시대 거사 섭도진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천불인연경(千佛因緣經) 1권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법상록(法上錄)』에 나온다. 현수경(賢首經) 1권일명 『현수부인경(賢首夫人經)』이라고도 한다. 걸복진(乞伏秦) 시대 사문 석성견(釋聖堅)의 번역이다. 월명보살경(月明菩薩經) 1권혹은 『월명동자(月明童子)』라고도 하고, 혹은 『월동자(月童子)』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국[月支]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위의 이 『월명보살경』은 『대주록(大周錄)』에 “『월광동자경(月光童子經)』과 동본(同本)이다”라고 하였고, 중역(重譯)으로 편입되어 있다. 하지만 내용과 뜻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단역(單譯.. 2021. 8. 20. [적어보자] #401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9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호제동자다라니주경(護諸童子陀羅尼呪經) 1권 원위(元魏)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菩提留支)의 번역이다. 제불심다라니경(諸佛心陀羅尼經) 1권 대당(大唐)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내전록(內典錄)』에 나온다. 발제고난다라니경(拔濟苦難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팔명보밀다라니경(八名普密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지세다라니경(持世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육문다라니경(六門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청정관세음보현다라니경(淸淨觀世音普賢陀羅尼經) 1권 대당 총지사(總持寺) 사문 석지통(釋智通)의.. 2021. 8. 20. [적어보자] #400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8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이상 5경 10권은 동질(同帙)이다.『대승조상공덕경』은 『대주록』에 “『조립형상복보경(造立形像福報經)』과 동본이역이다”라고 하였는데, 잘못이다. 내용과 뜻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단역으로 고친다. 광대보루각선주비밀다라니경(廣大寶樓閣善住祕密陀羅尼經) 3권 대당(大唐) 때 남천축 삼장 보리류지(菩提流志)가 번역한 것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일자불정륜왕경(一字佛頂輪王經) 5권또한 『오불정경(五佛頂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4권이다. 대당(大唐) 때 남천축 삼장 보리류지(菩提流志)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대다라니말법중일자심주경(大陀羅尼末法中一字心呪經) 1권 대당(大唐) 때 북천축 삼장 보사유(寶思惟)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2021. 8. 19. [적어보자] #399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7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1경은 인수(仁壽) 『대주록(大周錄)』 등에 모두 “『아뇩달용왕경』과 동본이역이다”라고 하였다. 2경은 모두 축법호 번역으로 중역에 편입되어 있다. 『승우록(僧祐錄)』에 축법호가 번역한 경을 살펴보면, 다만 『아뇩달경(阿耨達經)』 2권이 있을 뿐이며, 그 주(注)에서 일명 『홍도광현삼매경』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장방록(長房錄)』 가운데 축법호가 번역한 경을 보면 『홍도광현삼매경』 2권이 있는데, 그 주(注)에서는 역시 『아뇩달청불경(阿耨達請佛經)』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당(唐)나라 『내전록(內典錄)』에는 축법호가 번역한 경에 이 2경을 모두 기재하였고, 또 『장방록』ㆍ『내전록』 두 목록에는 서진(西晋) 때의 실역(失譯)이라 하.. 2021. 8. 19. [적어보자] #398 불교(개원석교록 12권 1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권 16편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부사의공덕제불소호념경(不思議功德諸佛所護念經) 2권중경(衆經)에서 나왔다고 한다. 혹은 4권이다. 조위(曹魏) 시대의 번역인데, 번역한 삼장(三藏)의 이름은 알지 못한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이상 2경 10권은 동질(同帙)이다.『부사의공덕제불소호념경』은 『대주록(大周錄)』에서 “『부사의광보살소문경(不思議光菩薩所問經)』 등과 동본(同本)이다”라고 하였는데, 잘못이다. 화수경(華手經) 13권일명 『섭제선근경(攝諸善根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10권, 혹은 11권, 혹은 12권이며 1질(帙)이다.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 대방등다라니경(大方等陀羅尼經) 4권일명 『방등단지다라니경(方等檀持陀羅尼經)』이라고도 한.. 2021. 8. 19. 이전 1 ··· 225 226 227 228 229 230 231 ··· 24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