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불경5193

[적어보자] #472 불교(개원석교록 15권 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6편 지승 지음 후한 시대, 외국(外國) 삼장 강맹상(康孟詳)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과거인과경(過去因果經) 4권 동진(東晋) 시대, 천축 삼장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의 번역이다.다섯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여섯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세 본은 있고 세 본은 궐본이다. 법해장경(法海藏經) 1권혹은 『법해경(法海經)』이라고도 한다. 후한 시대, 천축 삼장 축법란(竺法蘭)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1권『장방록(長房錄)』에는 “가섭마등(迦葉摩騰)의 번역과는 조금 다르다”고 하였다. 오(吳)나라 때, 월지(月支) 우바새(優婆塞) 지겸(支謙)의 번역이.. 2021. 9. 3.
[적어보자] #471 불교(개원석교록 15권 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5편 지승 지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漢錄)』에 들어 있다. 유상갈경(有▼(阝+桒)竭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서두승바라문경(暑杜乘婆羅門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불재구살국경(佛在拘薩國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불재우타국경(佛在優墮國經) 1권경에는 우수(優隨)로 되어 있다.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시시자범수경(是時.. 2021. 9. 3.
[적어보자] #470 불교(개원석교록 15권 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4편 지승 지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사리일재왕사국경(舍利日在王舍國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독거사유자념지경(獨居思惟自念止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문소명종경(問所明種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욕종본상유경(欲從本相有經) 1권혹은 『욕종본경(欲從本經)』이라고도 한다.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독좌사유의.. 2021. 9. 2.
[적어보자] #469 불교(개원석교록 15권 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3편 지승 지음 증일아함부(增壹阿含部) 궐본 파사닉왕상모경(波斯匿王喪母經) 1권혹은 『파사닉왕경(波斯匿王經)』이라고도 한다. 『승우록(僧祐錄)』에는 『파야닉왕경(波耶匿王經)』이라고 하였다. 송(宋)나라 거사 저거경성(沮渠京聲)의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증일아함[增一]』의 본경(本經)과 같다. 전후 네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 제18권에 나온다. 빈바사라왕문불공양경(頻婆娑羅王問佛供養經) 1권 원위(元魏) 시대, 우선니국(優禪尼國) 왕자(王子) 월바수나(月婆首那)의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증일아함』의 본경(本經)과 같다. 전후 네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 제26권에 나온다. 지만경(指鬘經) 1권혹은 .. 2021. 9. 2.
[적어보자] #468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2편 지승 지음 『승우록(僧祐錄)』에는 “『안공록(安公錄)』에서는 실역경(失譯經)이다”라고 하였다.『서진록(西晋錄)』에 들어 있다. 『구마가섭경(鳩摩迦葉經)』 이하 14부 28권은 모두 장아함부[長含部]에 해당하는 궐본이다. 중아함부(中阿含部) 궐본 사제경(四諦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서역 삼장 강맹상(康孟詳)의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중아함경(中阿含經)』 제7권 가운데 『분별성제경(分別聖諦經)』과 같다. 전후 네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 마왕입목건란복경(魔王入目揵蘭腹經) 1권또한 『폐마시목련경(弊魔試目連經)』이라고도 한다. 『구록(舊錄)』에는 “『마왕입목련복중경(魔王入目連腹中經)』이다”라고 하였다. 『승우록(僧祐錄)』에는 .. 2021. 9. 2.
[적어보자] #467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편 지승 지음 2. 별분승장록 ⑥ 2) 유역무본록 ② (1) 소승경 궐본 125부 265권 ① 소승경 중역(重譯) 궐본 근본사아함부(根本四阿含部) 궐본 중아함경(中阿鋡經) 59권 부진(符秦) 시대, 천축 삼장 담마난제(曇摩難提)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경장[藏]에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증일아함경(增壹阿鋡經) 50권『장방록』에는 40권이라 하였다. 또 『승우록』에는 33권, 또는 24권이라고 하였다. 부진(符秦) 시대, 천축 삼장 담마난제(曇摩難提)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장경[藏]에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장아함부(長阿含部) 궐본 구마가.. 2021. 9. 2.
[적어보자] #466 불교(개원석교록 14권 2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22편 지승 지음 방편심론(方便心論) 1권 동진(東晋) 시대, 천축 삼장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논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삼세분별론(三世分別論) 1권 양(梁)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단본이다. 반질론(反質論) 1권지금 바로 장경 가운데 있는, 여실론(如實論)인 듯하다. 이 때문에 이 표제에는 “『여실론』의 「반질난품(反質難品)」이다”라고 하였다. 진(陳)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단본이다. 타부론(墮負論) 1권 진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성취삼승론(成就三乘論) 1권 진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의 번역이다.단본이다. .. 2021. 9. 2.
[적어보자] #465 불교(개원석교록 14권 2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21편 지승 지음 위의 경본은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 법률삼매경(法律三昧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법상록(法上錄)』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본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불회과경(佛悔過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단본(單本)이다. 보살계독수단문(菩薩戒獨受壇文) 1권 서진 시대, 청신사(淸信士) 섭도진(聶道眞)의 번역이다.단본이다. 보살참회법(菩薩懺悔法) 1권『장방록(長房錄)』에는 “이출본(異出本)이다”라고 하였다. 서진 시대, 청신사 섭도진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이욕우바새우바이계문(離欲優婆塞.. 2021. 9. 1.
[적어보자] #464 불교(개원석교록 14권 2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20편 지승 지음 보살행희경(菩薩行喜經) 1권 보살정본업경(菩薩淨本業經) 1권 보살초업경(菩薩初業經) 1권 보살사사경(菩薩四事經) 1권 보살십육원경(菩薩十六願經) 1권 보살오십덕행경(菩薩五十德行經) 1권 보살교법경(菩薩敎法經) 1권 보살정행경(菩薩正行經) 1권 보살출입제칙경(菩薩出入諸則經) 1권 보살모성자경(菩薩母姓字經) 1권 보살가성경(菩薩家姓經) 1권 보살비구경(菩薩比丘經) 1권 보살경(菩薩經) 1권경본의 위에 빠진 글자가 있는 듯하다. 보살작육아상본사경(菩薩作六牙象本事經) 1권 보살사자왕경(菩薩師子王經) 1권 욕상공덕경(浴像功德經) 1권신역(新譯)의 범본(梵本)과 같은지 다른지는 자세하지 않다. 욕승공덕경(浴僧功德經) 1권 타린니목거경(陀隣尼目佉經) 1권지금.. 2021. 9. 1.
[적어보자] #463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9편 지승 지음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失譯)이다. 방등다라니경(方等陀羅經尼) 1권 서진(西晋) 때의 실역이다. 보엄경(寶嚴經) 1권 서진 때의 실역이다. 오복덕경(五福德經) 1권또한 바로 『오복경(五福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때의 실역이다. 내장대방등경(內藏大方等經) 1권지금 이 경은 『불장대방등경(佛藏大方等經)』인 듯하다. 『승우록(僧祐錄)』에는 “『안공록(安公錄)』에서는 실역경(失譯經)이다”라고 하였다.『서진록(西晋錄)』에 들어 있다. 소아사세경(小阿闍世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소수뢰경(小須賴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목거경(目.. 2021. 9. 1.
[적어보자] #462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8편 지승 지음 대당 천후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새로 이 목록에 편입시킨다. 나야경(那耶經) 1권 대당 천후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새로 이 목록에 편입시킨다. 대다라니경(大陀羅尼經) 1권 대당 천후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새로 이 목록에 편입시킨다. 문수사리주법장경(文殊師利呪法藏經) 1권이는 중역(重譯)인 듯하다. 대당 천후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새로 이 목록에 편입시킨다. 일자주왕경(一字呪王經) 1권앞의 『문수사리주법장경』과 같은 경인 듯하다. 대당 천후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새로 이 목록에 편입시킨다. 무가략예보살조광대마니비밀선주경(無迦略曳菩薩造廣大摩尼秘密善住經) 1권 대당 천후 .. 2021. 9. 1.
[적어보자] #461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7편 지승 지음 동진 시대, 서역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정육바라밀경(淨六波羅蜜經) 1권 동진 시대, 천축(天竺) 삼장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의 번역이다. 선경(禪經) 4권 동진 시대, 서역(西域) 삼장 기다밀(祇多蜜)의 번역이다. 법몰진경(法沒盡經) 1권 동진 시대, 서역 삼장 기다밀의 번역이다. 보살보처경(菩薩普處經) 1권 요진(姚秦)의 양주(涼州) 사문 축불념(竺佛念)의 번역이다. 선신마하신주경(善信摩訶神呪經) 2권 요진 시대, 삼장(三藏)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 지지경(持地經) 1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관불삼매경(觀佛三昧經) 1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차마경(差摩經) 1권지금 『차마바제수기경(差摩婆帝受記經.. 2021. 9. 1.
[적어보자] #460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6편 지승 지음 서진 시대, 하내 사문 백법조의 번역이다. 지심범지경(持心梵志經) 1권 서진 시대, 하내 사문 백법조의 번역이다. 제경보살명경(諸經菩薩名經) 2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정의경(正意經) 1권『장방록(長房錄)』의 주(注)에는 “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고 하였는데, 첫 번째 본은 어느 것인지 자세하지 않다.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명제석시경(明帝釋施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적음보살원경(寂音菩薩願經) 1권 서진 시대, 청신사(淸信士) 섭도진(聶道眞)의 번역이다. 보살구오명법경(菩薩求五明法經) 1권『승우록(僧祐錄)』에는 경(經)자가 없다. 혹은 오안문(五眼文)이라고도 한다... 2021. 8. 31.
[적어보자] #459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5편 지승 지음 법몰진경(法沒盡經) 1권혹은 『공적보살소문경』이라고도 하며, 혹은 『법멸진경』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며, 모두 궐본이다. 『촉보요경(蜀普曜經)』부터 이하 131부 253권은 5대부(大部)를 제외한 그 밖의 모든 것은 중역경(重譯經)의 궐본이다. (2) 대승경 단역(單譯) 궐본 208부 317권 대방편보은경(大方便報恩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월지 삼장 지루가참(支婁迦讖)의 번역이다. 졸봉적결의대주경(卒逢賊結衣帶呪經) 1권 후한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 주적경(呪賊經) 1권일명 『제피적해주경(除辟賊害呪經)』이라고도 한다. 『승우록』.. 2021. 8. 31.
[적어보자] #458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4편 지승 지음 후한 때의 실역(失譯)이다.『장방록(長房錄)』에는 “오직 부처님 명호만이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담무란(曇無蘭)이 번역한 『사제경(四諦經)』의 천불(千佛) 명호와는 다르다. 위의 『불명경』은 『현겁경(賢劫經)』에서 나온 이역이며, 궐본이다. 정도삼매경(淨度三昧經) 1권 송나라 사문 석지엄(釋智嚴)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정도삼매경(淨度三昧經) 2권 송나라 사문 석보운(釋寶雲)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정도삼매경(淨度三昧經) 3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정도삼매경(淨度三昧經) 1권 원위(元魏) 시대, 소현통(昭玄統) 석담요(釋曇曜)의 번역이다.네 번째 번역이다. 위의 4경은 동본.. 2021. 8. 31.
[적어보자] #457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3편 지승 지음 위의 8경은 동본이다. 전후 아홉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아홉 번째 본만이 있고 그 전의 여덟 번째까지의 본은 모두 궐본이다.또 『승우록』과 『장방록』 등을 살펴보았더니, 서진(西晋)의 혜제(惠帝) 때(290~306)의 사문 지민도(支敏度)가 양지(兩支:支謙ㆍ支施崙)와 양축(兩竺:竺法護ㆍ竺叔蘭)의 4본경(本經)을 합하여 함께 1부(部) 8권으로 만든 것이 있으나, 이는 범본(梵本)을 따로 번역한 것이 아니므로, 번역한 정수(正數)에 넣는 것은 합당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따로 기록하지 않는다. 보현관경(普賢觀經) 1권일명 『관보현보살경(觀普賢菩薩經)』이라고도 한다. 동진(東晋) 시대, 서역 삼장 기다밀(祇多蜜)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관보현.. 2021. 8. 31.
[적어보자] #456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2편 지승 지음 칭양제불공덕경(稱楊諸佛功德經) 3권일명 『집화(集華)』라고도 한다.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현재불명경(現在佛名經) 3권일명 『화부현재불명경華敷現在佛名』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다.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경장 가운데 한 본은 원위(元魏) 때의 번역이라 해야 합당한데, 그 가운데 진언(晋言)이라는 글자가 있으니, 그 이유를 잘 모르겠다. 수진천자경(須眞天子經) 1권 북량(北涼) 시대, 천축 삼장 담무참(曇無讖)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 2021. 8. 31.
[적어보자] #455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1편 지승 지음 도수삼매경(道樹三昧經) 2권『안록(安錄)』에는 1권이라 하였는데, 바로 『사가매경(私呵昧經)』이 그 경이다. 실역(失譯)이다.『지민도록(支敏度錄)』에 나오며, 지금은 『동진록(東晋錄)』에 들어 있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사가매경(私呵昧經)』과 동본이다.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또 『장방록(長房錄)』 등에는 오(吳)나라 때, 강승회(康僧會)가 『도수경(道樹經)』 1권에 주(注)를 내었다고 하였는데, 지금 승회가 주를 낸 경이 바로 지겸(支謙)이 번역한 경이다. 여기서 경에 주를 낸 것으로는 번역의 수(數)로 삼지 않는다. 보살소생지경(菩薩所生地經) 1권일명 『마갈소문경(摩竭所問經)』이라고도 한.. 2021. 8. 30.
[적어보자] #454 불교(개원석교록 14권 1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10편 지승 지음 위의 1경은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여래독증자서삼매경(如來獨證自誓三昧經) 1권 동진(東晋) 시대, 서역 삼장 기다밀(祇多蜜)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팔길상경(八吉祥經) 1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다섯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네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불공견삭주심경(不空羂索呪心經) 1권 대당(大唐) 천후(天后)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菩提流志)의 번역이다.『대주록(大周錄)』에 나온다. 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신(新)ㆍ구(舊)ㆍ광(.. 2021. 8. 30.
[적어보자] #453 불교(개원석교록 14권 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9편 지승 지음 낙영락장엄방편경(樂瓔珞莊嚴方便經) 1권일명 『대승영락장엄경(大乘瓔珞莊嚴經)』이라고도 하며, 또한 『전여신보살경(轉女身菩薩經)』이라고도 한다. 송(宋)나라 사문 법해(法海)의 번역이다.네 번째의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다. 전후 네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본은 있고 두 본은 궐본이다.『장방록(長房錄)』 등에, “축법호(竺法護)는 『순권방편경(順權方便經)』 2권을 번역하였고, 또 『수권녀경(隨權女經)』 2권을 번역하였다. 그 『순권방편경』 아래의 주(注)에서 또 이르기를, 또한 『순권녀경(順權女經)』이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이제 수권(隨權)이나 순권(順權)의 두 뜻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승우록(僧祐錄)』에는 “『수권녀경』은 「별록(別錄.. 2021. 8. 30.
[적어보자] #452 불교(개원석교록 14권 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4권 8편 지승 지음 아사세왕경(阿闍世王經) 2권 서진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법흠(安法欽)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갱출아사세왕경(更出阿闍世王經) 2권 서진의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중역(重譯)이다.네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축법호가 태강(太康) 7년(286)에 『보초경(普超經)』을 번역하였는데, 이는 뒤에 재차 번역하였기 때문에 제목을 갱출(更出)이라고 하였다.만약 『안공록(安公錄)』에 의하면, 다만 『갱출아사세왕경』만이 있고 『보초삼매(普超三昧)』는 없다. 저 지참(支讖)이 먼저 번역한 것에 대해서이니, 이 때문에 갱출(更出)이라고 한 것이다. 『승우록』에는 두 본을 다 함께 실었다. 아사세경(阿闍世經) 2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 2021. 8.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