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불경5193

[적어보자] #493 불교(개원석교록 16권 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5편 지승 지음 위의 『일체시왕소행단바라밀경』은 여러 목록에는 모두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라고 하였으며, 「별생록(別生錄)」에서는 『살화단왕경』이라고 하였다. 후한(後漢) 때의 실역경失譯 중에 또한 이 경이 있는데, 그 경에서 이르기를 “살화단(薩和檀)이란 일체시(一切施)이다”라고 하였다. 그 경을 가져와 이 경의 문구와 맞추어 보았더니, 똑같았고 다르지 않았으므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화묵왕경(和嘿王經) 1권제3권에 나온다. 유람경(維藍經) 1권『구록(舊錄)』에서는 『수람본경(隨藍本經)』이라고 하였다. 제3권에 나온다. 계도무극경(戒度無極經) 1권제4권에 나온다. 상왕경(象王經) 1권『구록(舊錄)』에서는 “『생경(生經)』 중에 나온다”고 하였으나, 잘못이다... 2021. 9. 7.
[적어보자] #492 불교(개원석교록 16권 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4편 지승 지음 범지향불설몽경(梵志向佛說夢經) 1권제2권에서 초(抄)하였다. 보해범지청여래경(寶海梵志請如來經) 1권제1권에서 초(抄)하였다. 적의보살문오탁경(寂意菩薩問五濁經) 1권제2권에서 초(抄)하였다. 혹은 적음(寂音)이라고도 한다. 범지권전륜왕발보리심경(梵志勸轉輪王發菩提心經) 1권제2권에서 초(抄)하였다. 전륜성왕발심구정토경(轉輪聖王發心求淨土經) 1권제2권에서 초(抄)하였다. 수제마납발보리심서원경(樹提摩納發菩提心誓願經) 1권제5권에서 초(抄)하였다. 보해범지성취대비경(寶海梵志成就大悲經) 1권제7권에서 초(抄)하였다. 불변시회신경(佛變時會身經) 1권제10권에서 초(抄)하였다. 당래선택제악세계경(當來選擇諸惡世界經) 1권제10권에서 초(抄)하였다. 일음연정법경(一.. 2021. 9. 7.
[적어보자] #491 불교(개원석교록 16권 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3편 지승 지음 과마법계경(過魔法界經) 1권제16권의 「허공장품(虛空藏品)」에서 초(抄)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허공장소문경(虛空藏所問經) 8권또한 『방등허공장경(方等虛空藏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5권, 또는 6권이다. 이는 『대집경』 「허공장품(虛空藏品)」의 1품(品)이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태백마왕견신경(太白魔王堅信經) 1권「보당분(寶幢分)」에서 나왔다. 제17권에서 초(抄)하였다. 불제자화마자송게경(佛弟子化魔子誦偈經) 1권제20권의 「보당분」에 나온다. 마녀문불설법득남신경(魔女聞佛說法得男身經) 1권「보당분」에 나온다. 개화마경(開化魔經) 1권「보당분(寶幢分)」에 나온다. 마왕입고택경(魔王入苦宅經) 1권「보당분」에서 나왔다. 제19권에서 초(.. 2021. 9. 7.
[적어보자] #490 불교(개원석교록 16권 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2편 지승 지음 초보적경(抄寶積經) 1권「보명보살희(普明菩薩會)」에서 나왔다. 곧 구역의 단권(單卷) 『보적경초(寶積經抄)』이다. 『밀적금강역사경』 이하 5경은 모두 『대보적경(大寶積經)』에서 나왔다. 보살봉시예탑작원경(菩薩奉施詣塔作願經) 1권혹은 『제탑초(諸塔抄)』 상권(上卷)이라 쓰기도 한다. 왕고성화불국원행법전경(往古性和佛國願行法典經) 1권혹은 생화(生和)라고 쓰기도 한다. 『승우록(僧祐錄)』에서는 “상권(上卷)에서 초(抄)하였다”고 하였다. 새로 여기에 편입시킨다. 사자보뢰음보살문문수사리발심경(師子步雷音菩薩問文殊師利發心經) 1권상권에서 초(抄)하였다. 사자보뢰음보살문문수사리성불시사경(師子步雷音菩薩問文殊師利成佛時事經) 1권하권에서 초(抄)하였다. 보살삼법경(.. 2021. 9. 6.
[적어보자] #489 불교(개원석교록 16권 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6권 1편 지승 지음 2. 별분승장록 ⑦ 3) 지파별행경(支派別行經) 682부 812권 지파경(支派經)이라는 것은 대부(大部) 가운데 초출(抄出)한 별행경(別行經)으로, 『대반야경[大般若]』의 제2회(會)와 같은 류(類)이다. 무릇 불법의 문[法門]은 넓고도 커서, 그 진애(津涯)를 궁구하기 어렵다. 또 전적(典籍)이 아주 많아, 그 끝을 다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마땅함에 따라 교화하고 회유하며, 물(物)에 응하여 연(緣)을 베푸는 것이다. 그리하여 대부(大部) 가운데서, 그때그때 쓰일 데를 간략하게 뽑아 활용하였다. 그러나 펴서 찾아본 이는 그것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알지 못하고, 좋아하여 익힌 이는 그 뜻을 받들면서도 그 끝을 맺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제 그 많은 단.. 2021. 9. 6.
[적어보자] #487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21편 지승 지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오문선요용법경(五門禪要用法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수행방편경(修行方便經) 2권또한 『수행방편선경(修行方便禪經)』이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위의 이 『수행방편경』은 그 명목(名目)을 상고하면 『달마다라선경(達摩多羅禪經)』과 동본이어서, 그 『선경』도 역시 『수행방편경』이라고 한다. 이는 동진(東晋) 때에 각현(覺.. 2021. 9. 6.
[적어보자] #488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22편 지승 지음 동진(東晋) 시대, 사문 석법현(釋法顯)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승우록(僧祐錄)』에 보인다. 경률분이기(經律分異記) 1권혹은 계율(戒律)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때, 계빈 삼장 구나발마(求那跋摩)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청성승욕문(請聖僧浴文) 1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승가발마(僧伽跋摩)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제일의오상략집(第一義五相略集) 1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잡비유삼백오십수경(雜譬喩三百五十首經) 25권『승우록』에서는 “『비유삼백수경(譬喩三百首經)』”이라고 하였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단본이다. 번외국어(翻外國語) 7권일명 『구사론인연사(俱舍論因緣事)』라고 하며, 『잡사(雜.. 2021. 9. 6.
[적어보자] #486 불교(개원석교록 15권 2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20편 지승 지음 『구사론』에서 의거한 본론(本論)은 곧 앞의 『구사론게[偈]』가 바로 그것이다. 이제 다시 논본(論本) 16권을 말하는데, 그 까닭을 자세히 모르겠다. 아비담심(阿毗曇心) 16권혹은 13권이다. 부진(苻秦) 시대, 계빈 삼장 승가제바(僧伽提婆)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잡아비담심(雜阿毗曇心) 13권 동진(東晋) 시대, 사문 법현(法顯)이 각현(覺賢)과 함께 번역하였다.두 번째 번역이다. 잡아비담심(雜阿毗曇心) 13권근본(根本)이 되는 책은 10권인데, 계속 번역하여 13권으로 만들었다. 혹은 14권이다. 송(宋)나라 때, 외국(外國) 사문 이섭파라(伊葉波羅) 등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 『장방록(長房錄)』에는 “송(宋)나라 문제(文.. 2021. 9. 6.
[적어보자] #485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9편 지승 지음 이상은 합계서(合戒序)에는 “진(晋)나라 태원(太元) 6년 신사(辛巳, 381) 6월 25일에 비구 축담무란이 사진서사(謝鎭西寺)에 머물면서 이 3계(戒)를 합하기 시작하여, 7월 18일에 다 마쳤다. 그러므로 여기에 기록한다”라고 하였다. 또 『장방록長房』ㆍ『내전록內典』의 두 목록과 정매(靖邁)의 『번경도經圖』에서 모두 “한(漢)나라 명제(明帝) 때의 사문 축법란(竺法蘭)이 260계의 다른 것을 합쳐, 2권을 번역하였다”고 하였는데, 이제 이 설을 살펴보면 이치상 그렇지 않다. 불법이 처음 일어났을 때 계율(戒律)이 아직 갖추어지지도 못했는데, 계율의 다른 것을 합친다는 것이 어찌 있을 수 있겠는가? 이제 나의 어리석은 소견으로 생각해보건대, .. 2021. 9. 5.
[적어보자] #484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8편 지승 지음 송(宋)나라 때, 계빈(罽賓) 삼장 불타집(佛陀什) 등의 번역이다.단본(單本)이다. 미사색률초(彌沙塞律抄) 1권 사자국(師子國) 사문 승가발미(僧伽跋彌)의 번역이다. 연대(年代)는 알 수 없으며, 『보창록(寶唱錄)』에 나온다. 단본이다. 『송록(宋錄)』에 들어 있다. 가섭금계경(迦葉禁戒經) 1권일명 『마하비구경(摩訶比丘經)』이라고도 하며, 일명 『진위사문경(眞僞沙門經)』이라고도 한다. 동진(東晋) 시대, 사문 석퇴공(釋退公)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우바새오계경(優婆塞五戒經) 1권일명 『오상경(五相經)』이라고도 한다. 송(宋)나라 거사 저거경성(沮渠京聲)의 번역이.. 2021. 9. 5.
[적어보자] #483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7편 지승 지음 칠류경(七流經) 1권 칠사경(七使經) 1권 칠배인횡사경(七輩人橫死經) 1권 칠세작선경(七歲作善經) 1권 팔방만물무상경(八方萬物無常經) 1권 팔쌍경(八雙經) 1권 구결경(九結經) 1권 구뇌경(九惱經) 1권 구도관신경(九道觀身經) 1권 십부승경(十部僧經) 1권 십이의경(十二意經) 1권 십이아련야고행경(十二阿練若高行經) 1권 십이부경명(十二部經名) 1권 삼십이승나경(三十二僧那經) 1권 삼십사의경(三十四意經) 1권 오십덕상경(五十德相經) 1권 육십품경(六十品經) 1권 육십이의경(六十二疑經) 1권 칠십이관경(七十二觀經) 1권 백법경(百法經) 1권 유일삼매경(惟日三昧經) 1권 월전삼매경(月電三昧經) 1권 무언삼매경(無言三昧經) 1권 아화삼매경(阿和三昧經) .. 2021. 9. 5.
[적어보자] #482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6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6편 지승 지음 명성범지경(明星梵志經) 1권 도솔범지경(兜率梵志經) 1권 범지발타경(梵志拔陀經) 1권 범지계화정경(梵志計火淨經) 1권 범지문의경(梵志問疑經) 1권 범지의경(梵志意經) 1권 범지호모경(梵志好母經) 1권 범지음녀경(梵志婬女經) 1권 범지육사경(梵志六師經) 1권 천후현녀경(天后賢女經) 1권 덕녀문경(德女問經) 1권 빈녀소시획홍보경(貧女少施獲弘報經) 1권 미가녀경(彌家女經) 1권 이인작사문제단형설경(二人作沙門弟斷兄舌經) 1권 기허살전타라경(氣噓殺旃陀羅經) 1권 안능시살인경(眼能視殺人經) 1권 고독삼형제경(孤獨三兄弟經) 1권 아검타경(阿劍他經) 1권 불란가경(不蘭伽經) 1권 소신일경(小申日經) 1권 바라내휘사성경(波羅奈媈四姓經) 1권혹은 부(婦)자로 쓰기.. 2021. 9. 5.
[적어보자] #481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5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5편 지승 지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삼실개경(三失蓋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불보삼매경(佛寶三昧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법지녀경(法志女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출요경(出要經) 20권 행도경(行道經) 7권 장아함경(長阿含經) 3권『승우록(僧祐錄)』에는 “이 경은 『잔결장아함경(殘缺長阿含經)』인 듯하다”라고 하였다. 홍도경(弘道經) 2권 사천왕경(四天王經).. 2021. 9. 5.
[적어보자] #480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4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4편 지승 지음 요괴경(妖怪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涼錄)』에 들어 있다. 아반계니원경(阿般計泥洹經) 1권어떤 본(本)에는 『도사계니원경(陶射計泥洹經)』이라고 되어 있다.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涼錄)』에 들어 있다. 사비상경(四非常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오실개경(五失蓋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양록』에 들어 있다. 요진경(要眞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양토이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2021. 9. 4.
[적어보자] #479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3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3편 지승 지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장자위세경(長者威勢經) 1권 『승우록(僧祐錄)』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치주경(癡注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조달경(調達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화달경(和達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발거사경(鉢呿沙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실역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서진록』에 들어 있다. .. 2021. 9. 4.
[적어보자] #478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2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2편 지승 지음 타석가목우경(墮釋迦牧牛經) 1권혹은 수(隨)자로 쓰기도 한다.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법엄경(法嚴經) 1권이 경은 곧 『등입법엄경(等入法嚴經)』인 듯하다.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벽사경(壁1)四經) 1권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지사중경(止寺中經) 1권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안반행도경(安般行道經) 1권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해혜미묘경(解慧微妙經) 1권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실도득도경(失道得道經) 1권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심정심식경(心情心識經) 1권주(注)가 있다고 하였다.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검의향정경(撿意向正經) 1권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도득과증경(道得果證經) 1권 위ㆍ오나라 때의 실역이다. 부자인.. 2021. 9. 4.
[적어보자] #477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1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1편 지승 지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급고독사성가문응수시경(給孤獨四姓家問應受施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효소쟁불해경자경(曉所諍不解經者經) 1권앞의 경(經)자는 잘못인 것 같다.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기이도가난문주처경(奇異道家難問住處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한록』에 들어 있다. 기이도가난문법본경(奇異道家難問法本經) 1권 『승우록』에는 “『안공록』에서는 고전경이라 하였다”라고 하였다.지금은 『.. 2021. 9. 4.
[적어보자] #476 불교(개원석교록 15권 10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10편 지승 지음 송나라 때, 천축 삼장 구나발타라의 번역이다. 제자사불길흉경(弟子事佛吉凶經)『승우록(僧祐錄)』에는 『제자문사불길흉경(弟子問事佛吉凶經)』이라고 하였다. 송나라 때, 거사 저거경성(沮渠京聲)의 번역이다. 생사변식경(生死變識經) 1권장경(藏經) 가운데 『견정경(見正經)』의 다른 이름인 듯하다. 송나라 때, 거사 저거경성의 번역이다. 비유경(譬喩經) 1권 송나라 사문 석혜간(釋慧簡)의 번역이다. 오백본생경(五百本生經) 1권 소제(簫齊) 시대, 서역 삼장 마하승(摩訶乘)의 번역이다. 정생왕인연경(頂生王因緣經) 1권『구록(舊錄)』에는 『정생왕경(頂生王經)』이라고 하였다. 후한(後漢) 때의 실역(失譯)이다. 장자현수경(長者賢首經) 1권 후한 때의 실역이다. .. 2021. 9. 4.
[적어보자] #475 불교(개원석교록 15권 9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9편 지승 지음 관행불이사사경(觀行不移四事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사부유경(四婦喩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여이긍경(廬夷亘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압라왕경(廅羅王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단야경(檀若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용시경(龍施經) 1권이제 이 경은 『용시보살본기경(龍施菩薩本起經)』인 듯하다.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급고독명덕경(給孤獨明德經) 1권또한 『급고독씨경(給孤獨氏經)』이라고도 한다.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용왕형제타달계왕경(龍王兄弟達誡王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권화왕경(勸化王經) 1권 .. 2021. 9. 3.
[적어보자] #474 불교(개원석교록 15권 8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8편 지승 지음 후한 시대, 안식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법상록(法上錄)』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항수계경(恒水戒經) 1권혹은 『항수경(恒水經)』이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月支)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며, 그 본(本)들은 모두 궐본이다. 『사두간경(舍頭諫經)』으로부터 이하의 43부 61권은 4아함(阿含)을 제외한 그 밖의 모든 중역경(重譯經)의 궐본이다. ② 소승경 단역(單譯) 궐본 480부 550권 불본행경(佛本行經) 5권 후한 시대, 천축(天竺) 삼장 축법란(竺法蘭)의 번역이다. 불본생경(佛本生經) 1권 후한 시대, 천축 삼장 축법란의 번역이다. 분별선악소기경(分別善惡所起經) 1권 후한 시.. 2021. 9. 3.
[적어보자] #473 불교(개원석교록 15권 7편 / 開元釋敎錄)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5권 7편 지승 지음 견의경(堅意經) 1권또한 『견심경(堅心經)』이라고도 한다. 오(吳)나라 때, 월지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정반왕반니원경(淨飯王般泥洹經) 1권 서진(西晋)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위의 1경은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본은 있고 한 본은 궐본이다. 권진학도경(勸進學道經) 1권어떤 본(本)에는 권(勸)자가 없다. 오나라 때, 월지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권진학도경(勸進學道經) 1권또한 『권진경(勸進經)』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사문 석용공(釋勇公)의 번역이다.세 번째 번역이다. 위의 1.. 2021. 9.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