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416 불교(개원석교록 13권 4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8. 23.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34

 

지승(智昇) 지음

송성수 번역

 

위의 경은 중아함경7권에 나오며, 분별성제경(分別聖諦經)과 동본이역이다.

항수경(恒水經) 1권또한 항하유경(恒河喩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9권에 나오며, 첨파경(瞻波經)과 동본이역이다.

본상의치경(本相倚致經) 1권또한 대상의치(大相倚致)이라고도 한다.

후한 시대 안식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연본치경(緣本致經) 1

실역(失譯)이다.지금은 동진록(東晋錄)에 들어 있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중아함경10권에 나오며, 본제경(本際經)과 동본이다.

정생왕고사경(頂生王故事經) 1권혹은 다만 정생왕경(頂生王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문타갈왕경(文陀竭王經) 1

북량(北涼) 시대 천축 삼장 담무참(曇無讖)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중아함경11권에 나오며, 사주경(四洲經)과 동본이다.

염라왕오천사자경(閻羅王五天使者經) 1권일명 철성니리경(鐵城泥犁經)이라고도 한다.

()나라 사문 석혜간(釋慧簡)의 번역이다.

철성니리경(鐵城泥犁經) 1

동진(東晋) 시대 서역 사문 축담무란(竺曇無蘭)의 번역이다.습유록拾遺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중아함경12권에 나오며, 천사경(天使經)과 동본이다.본경(本經)에 비하면 이 경이 조금 더 간략할 뿐이다.

고래세시경(古來世時經) 1

실역(失譯)이다.지금은 동진록(東晋錄)에 들어 있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13권에 나오며, 설본경(說本經)과 동본이역이다.본경(本經)에 비하면 이 경문은 조금 간략하다.

아나율팔념경(阿那律八念經) 1권일명 선행렴의경(禪行斂意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다만 팔념경(八念經)이라고도 한다.

후한(後漢) 시대 서역 삼장 지요(支曜)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18권에 나오며, 팔념경(八念經)과 동본이역이다.

이수경(離睡經) 1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20권에 나오며, 장로상존수면경(長老上尊睡眠經)과 동본이역이다.

시법비법경(是法非法經) 1

후한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21권에 나오며, 진인경(眞人經)과 동본이역이다.

구욕경(求欲經) 1

서진(西晋)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22권에 나오며, 예경(穢經)과 동본이역이다.

수세경(受歲經) 1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23권에 나오며, 처음의 비구청경(比丘請經)과 동본이역이다.

범지계수정경(梵志計水淨經) 1

실역(失譯)이다.지금은 동진록(東晋錄)에 들어 있으며, 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23권에 나오며, 수정범지경(水淨梵志經)과 동본이역이다.

고음경(苦陰經) 1

실역(失譯)이다.후한록(後漢錄)에 있으며, 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25권에 나오며, 앞의 고음경(苦陰經)과 동본이역이다.

석마남본경(釋摩男本經) 1권일명 오음인사경(五陰因事經)이라고 한다.

()나라 때 월지(月支)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고음인사경(苦陰因事經) 1

서진(西晋)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중아함경25권에 나오며, 고음경(苦陰經)과 동본이다.

낙상경(樂想經) 1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26권에 나오며, 상경(想經)과 동본이역이다.

누분포경(漏分布經) 1

후한(後漢) 시대 안식(安息)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

위의 경은 중아함경27권에 나오며, 달범행경(達梵行經)과 동본이역이다.

아뇩풍경(阿耨風經) 1권진나라 말로는 의차(意次)이다.

동진(東晋) 때 서역 사문 축담무란(竺曇無蘭)의 번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