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411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9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8. 22.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29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단본이다.

유식삼십론(唯識三十論) 1권세친(世親)보살이 지었다.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이상 913권은 동질이다.

성유식론(成唯識論) 10권호법(護法)보살 등이 짓고 또 해석하였다. 위의 30()1질이다.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대장부론(大丈夫論) 2권제바라(提婆羅)보살이 지었다.

북량(北涼) 시대 사문 석도태(釋道泰)의 번역이다.번경도에 나온다. 단본이다.

입대승론(入大乘論) 2권견의(堅意)보살이 지었다.

북량(北涼) 시대 사문 석도태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대승장진론(大乘掌珍論) 2권청변(淸辯)보살이 지었다.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1권세친(世親)보살이 지었다.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두 번째 번역이다. 첫 번째 번역은 궐본이다.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1권안혜(安慧)보살이 지었다. 앞의 논()과는 다른 경본이다.

대당 때 중천축 삼장 지바하라(地婆訶羅)의 번역이다.대주록(大周錄에 나온다. 단본이다.

보행왕정론(寶行王正論) 1

()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 단본이다.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1권마명(馬鳴)보살이 지었다.

()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이상 710권은 동질이다.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권마명(馬鳴)보살이 지었다.

대당 천후(天后) 때 우전국[于闐] 삼장 실차난타(實叉難陀)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위의 2론은 동본이역이다.기신론(起信論)주록(周錄)에 단본(單本)으로 되어 있으나, 새로 대조하여 중역(重譯)으로 하였다.

발보리심론(發菩提心論) 2권혹은 발보리심경(發菩提心經)이라고도 한다.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단본이다.

위의 이 발보리심론대주록(大周錄)에는 경()ㆍ논()의 두 목록에 그 이름이 모두 있으나, 지금은 보살이 지은 바라 논의 목록에 편입시켜 다만 한 책만을 두기로 한다. 혹은 천친(天親)보살이 지었다 하기도 하고, 또한 미륵(彌勒)보살의 설()이라고도 하는데, 어느 것이 옳은지는 확실하지 않다.

삼무성론(三無性論) 2무상론(無相論)에 나온다. 혹은 1권이다.

()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단본이다.

방편심론(方便心論) 1권모두 4()이다. 혹은 2권이다.

원위(元魏) 시대 서역(西域) 사문 길가야(吉迦夜)가 담요(曇曜)와 함께 번역하였다.두 번째 번역이다. 두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번역은 궐본이다.

여실론(如實論) 1권표제에는 여실론반질난품(反質難品)이다라고 하였다.

()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의 번역이다.단본이다.

무상사진론(無相思塵論) 1권혹은 다만 사진론(思塵論)이라고도 한다.

()나라 때 천축 삼장 진제의 번역이다.번경도(飜經圖)에 나온다. 첫 번째 번역이다.

관소연론(觀所緣論) 1권진나(陳那)보살이 지었다.

대당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론은 동본이역이다.대주록에는 동본(同本)이라고 말하지 않았으나, 새로 대조하여 중역(重譯)으로 하였다.

관소연론석(觀所緣論釋) 1권호법(護法)보살이 지었다.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단본이다.

이상 811권은 동질이다.

회쟁론(廻諍論) 1권용수(龍樹)보살이 지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