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391 불교(개원석교록 12권 9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8. 18.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9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대당(大唐) 시대 천축 삼장 보리류지(菩提流志)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네 번째 번역이다.

위의 4경은 동본이역이다.이상 네 경본은 비록 자세함과 간략함이 각각 조금씩 다르지만, 그 범본(梵本)에 의거하면 모두 번역을 다하지 못하였다. 그 중에도 의정(義淨)이 번역하여 낸 경이 같은 법에서 가장 생략되었다.

문수사리근본일자다라니경(文殊師利根本一字陀羅尼經) 1권또한 일자주왕경(一字呪王經)이라고도 한다.

대당(大唐) 천후(天后) 때 천축 삼장 보사유(寶思惟)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첫 번째 번역이다.

만수실리보살주장중일자주왕경(曼殊室利菩薩呪藏中一字呪王經) 1

대당(大唐) 천후(天后) 때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

십이불명신주경(十二佛名神呪經) 1

()나라 때 천축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 등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칭찬여래공덕신주경(稱讚如來功德神呪經) 1

대당(大唐)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두 번째 번역이다.

위의 2경은 동본이역이다.오천오백불명경(五千五百佛名經)1권 첫 부분에 있는 열두 부처님의 명호는 앞의 십이불명신주경의 부처님 명호와 같다. 십이불명신주경구록(舊錄)에는 단본(單本)으로 되어 있었는데, 새로 대조한 뒤에 중역(重譯)으로 하였다.

공작왕주경(孔雀王呪經) 1권또한 대금색공작왕경(大金色孔雀王經)이라고도 한다. 아울러 결계장(結界場)1)의 법이 갖추어져 있다.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네 번째 번역이다.

대금색공작왕주경(大金色孔雀王呪經) 1

실역(失譯)이다.진록(秦錄)에 덧붙여 있으며, 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다섯 번째 번역이다.

불설대금색공작왕주경(佛說大金色孔雀王呪經) 1

실역이다.또한 진록에 덧붙여 있으며, 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여섯 번째 번역이다.

공작왕주경(孔雀王呪經) 2

()나라 때 부남국[扶南] 삼장 승가바라(僧伽婆羅)의 번역이다.일곱 번째 번역이다.

대공작주왕경(大孔雀呪王經) 3

대당(大唐) 삼장 의정(義淨)이 동도(東都)의 내도량(內道場)에서 번역하였다.새로 목록에 편입되었다. 여덟 번째 번역이다.

위의 5경은 동본이역이다.신ㆍ구역 여덟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다섯 본은 있고 세 본은 궐본이다. 앞의 여섯 본의 내용은 간략하고, 뒤의 두 본은 조금 더 자세하다.

이상 1114권은 동질(同帙)이다.

다라니집경(陀羅尼集經) 12

대당(大唐) 시대 중천축 삼장 아지구다(阿地瞿多)의 번역이다.대주록(大周錄)에 나온다. 단중합역(單重合譯)이다.

위 경은 금강대도량경(金剛大道場經)』 「대명주장(大明呪藏)에서 나온 일부분이며, 요점만을 추려 번역한 것이다.다라니집경가운데 대반야주경(大般若呪經)등이 별도로 유행하였는데, 목록에서는 그 내용을 자세히 싣지 않았다. 그래서 사람들이 자주 의심을 하여 정전(正典)이 아니라고 할까 염려하여, 여기서는 그 의심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로 조목을 두어 나열하였다. 그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권 불부(佛部) 권상(卷上)대신력다라니품(大神力陀羅尼品)석가불정삼매다라니품(釋迦佛頂三昧陀羅尼品)이다.

2권 불부 권하(卷下)첫 번째는 일체 부처님의 정수리상을 그리는 법이요一切佛頂像法, 두 번째는 26()과 주()와 모든 부처님의 주인법(呪印法)이 있으며, 세 번째는 아미타불대사유경(阿彌陀佛大思惟經)』 「서분(序分)의 주인법(呪印法)과 지니면서 외우면 왕생(往生)할 수 있다는 일과 수주법(數珠法)을 설하였고, 네 번째는 대금륜다라니(大金輪陀羅尼)이며, 다섯 번째는 발절라공능법상품(拔折囉功能法相品)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