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406 불교(개원석교록 12권 24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8. 21.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1224

 

지승 지음

송성수 번역

 

이상 210권은 동질(同帙)이다.정업장경법상록(法上錄)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라고 하였으나, 여기에 그 문구를 자세히 살펴보면, 축법호가 번역한 경의 문장의 형세와 전혀 다르다. 그러므로 실역(失譯)으로 둔다.

우바새계경(優婆塞戒經) 7권이는 재가보살(在家菩薩)의 계이다. 혹은 5, 혹는 6, 혹은 10권이다.

북량(北涼) 시대 천축 삼장 담무참(曇無讖)이 고장(姑藏)에서 번역하였다. 단본(單本)이다.

범망경(梵網經) 2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앞에 번역된 경본은 궐본이다.

수십선계경(受十善戒經) 1

후한(後漢) 시대 실역이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단본이다.

이상 310권은 동질이다.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 2권혹은 보살(菩薩)이란 글자가 없다. 새로 율()에 편입되었다.

요진 시대 양주(涼州) 사문 축불념(竺佛念)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번역본은 궐본이다.

불장경(佛藏經) 4권일명 선택제법경(選擇諸法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2, 혹은 3권이다.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단본이다.

보살계본(菩薩戒本) 1지지계품(地持戒品)에 나온다. 자씨보살(慈氏菩薩)의 설()이다.

북량(北涼) 시대 천축 삼장 담무참(曇無讖)이 고장(姑藏)에서 번역하였다.습유록에 편입되어 있다. 두 번째 번역이다.

보살계본(菩薩戒本) 1유가론(瑜伽論)』 「본지분(本地分)가운데 보살지(菩薩地)에 나온 것이다. 미륵(彌勒)보살의 설이다.

대당(大唐)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내전록(內典錄)에 나온다. 세 번째 번역이다.

이상 2경은 동본이역(同本異譯)이다.전후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번역은 궐본이다.

보살계갈마문(菩薩戒羯磨文) 1유가론(瑜伽論)』 「본지분(本地分)가운데 보살지(菩薩地)에서 나온 것이다. 미륵보살의 설()이다.

대당 삼장 현장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보살선계경(菩薩善戒經) 1권우파리(優波離)가 보살의 수계법(受戒法)에 질문한 것이다.

()나라 때 계빈국[罽賓] 삼장 구나발마(求那跋摩)의 번역이다.보창록(寶唱錄)에 나온다. 단본(單本)이다.

이상 610권은 동질(同帙)이다.

보살내계경(菩薩內戒經) 1

()나라 때 계빈국 삼장 구나발마의 번역이다.법상록(法上錄)에 나온다. 단본이다.

우바새오계위의경(優婆塞五戒威儀經) 1

()나라 때 계빈국 삼장 구나발마의 번역이다.보창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위의 이 우바새오계위의경은 여러 목록에서 소승률(小乘律) 안에 편입되어 있는데, 잘못이다. 처음은 다만 보살계본(菩薩戒本)이고, 뒤에 보살계를 받는 글과 사참법(捨懺法)이 있다. 이미 소승의 종지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 옮겨 편입시킨다.

문수사리정률경(文殊師利淨律經) 1권혹은 다만 정률경(淨律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첫 번째 번역이다.

청정비니방광경(淸淨毗尼方廣經) 1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법상록(法上錄)에 나온다. 세 번째 번역이다.

적조음소문경(寂調音所問經) 1권일명 여래소설청정조복경(如來所說淸淨調伏經)이라고도 한다.

()나라 사문 석법해(釋法海)의 번역이다.네 번째 번역이다.

위의 3경은 동본이역이다.전후 네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한 번역본은 궐본이다.

대승삼취참회경(大乘三聚懺悔經) 1

()나라 때 천축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 등의 번역이다.내전록에 나온다. 단본이다.

보살오법참회문(菩薩五法懺悔文) 1권혹은 보살오법참회경(菩薩五法懺悔經)이라고 한다.

실역(失譯)이다.지금은 양록(梁錄)에 덧붙여져 있다. 단본이다.

보살장경(菩薩藏經) 1

()나라 때 부남국[扶南] 삼장 승가바라(僧伽婆羅)의 번역이다. 단본(單本)이다.

삼만다발타라보살경(三曼陀颰陀羅菩薩經) 1

서진(西晋) 시대 청신사(淸信士) 섭도진(聶道眞)의 번역이다. 단본이다.

보살수재경(菩薩受齋經) 1

서진 시대 청신사 섭도진의 번역이다.두 번째 번역이다. 세 번의 번역이 있었는데, 두 번역본은 궐본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