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 하나씩/적어보자 불교

[적어보자] #216 불교(개원석교록 5권 14편 / 開元釋敎錄)

by Kay/케이 2021. 7. 14.
728x90
반응형

 

 

통합대장경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514

 

지승 지음

 

능가아발다라보경(楞伽阿跋多羅寶經) 4권두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원가 20(443)에 도량사에서 번역되었으며, 혜관(慧觀)이 받아썼다. 입능가경(入楞伽經)대승입능가경(大乘入楞伽經)등과 동본이다. 도혜록승우록법상록등 목록에 보인다. 고승전에서는 단양군(丹陽郡)에서 번역되어 나왔다라고 하였다.

보살행방편경계신통변화경(菩薩行方便境界神通變化經) 3권처음 번역되어 나왔다. 대살차니건자경(大薩遮尼乾子經)과 동본이다. 혹은 경계(境界)라는 글자가 없기도 하다. 이곽록에 보인다.

노모녀육영경(老母女六英經) 1권또한 노모경(老母經)이라고도 하며, 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노녀인경(老女人經)과 같은 동본이다. 장방(長房)별록(別錄)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신일아본경(申日兒本經) 1권혹은 신아본경(申兒本經)이라고도 하며, 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월광동자경(月光童子經)과 같은 동본이다. 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는데, 그 목록에서 신도본(申兜本)이다라고 한 것은 착오이다.

아난타목거니가리타경(阿難陁目佉尼呵離陁經) 1권혹은 무량문지경(無量門持經)에서 나온 것이며, 여섯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무량문미밀지경(無量門微密持經)과 같은 동본이다. 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으며, 장방록에는 따로 무량문지경(無量門持經)에서 나왔다고 기재한 것은 착오이다.

앙굴마라경(央崛魔羅經) 4권도량사에서 번역되어 나왔다. 도혜록승우록법상록등의 목록에 보인다. 고승전에서는 형주(荊州) 신사(辛寺)에서 나왔다라고 하였다.

대법고경(大法鼓經) 2권동안사(東安寺)에서 번역되어 나왔다. 도혜록승우록이곽록법상록등 네 목록에 보인다.

대의경(大意經) 1권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십이두타경(十二頭陁經) 1권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수제가경(樹提伽經) 1권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잡아함경(雜阿含經) 50권와관사(瓦官寺)에서 번역되었으며, 범본(梵本)은 법현(法顯)이 가져왔다. 고승전에서는 기원사에서 번역되어 나왔다라고 하였다. 도혜의 송제록(宋齊錄)승우록에 보인다.

앵무경(鸚鵡經) 1권또한 도조경(兜調經)이라고도 한다. 중아함경(中阿含經)44에서 나온 이역(異譯)이다. 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비마숙경(鞞摩肅經) 1중아함경57에서 나온 이역이다.

사인출현세간경(四人出現世間經) 1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8권에서 나온 이역이다. 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십일상사념여래경(十一想思念如來經) 1권혹은 십일사유념여래경(十一思惟念如來經)이라고도 한다. 증일아함경48에서 처음 나온 이역이다. 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아속달경(阿遬達經) 1권세 번째 번역되어 나왔다. 옥야경(玉耶經)과 같은 동본이다. 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과거현재인과경(過去現在因果經) 4권형주(荊州)의 신사(辛寺)에서 번역되어 나왔다. 여섯 번째의 번역이다. 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서응본기경(瑞應本起經)등과 동본이다. 시흥록(始興錄)이곽록승우록등 목록에 보인다.

마하가섭도빈모경(摩訶迦葉度貧母經) 1권장방은 별록에서 보인다라고 하였다.

십이품생사경(十二品生死經) 1권장방은 별록에서 보인다라고 하였다.

죄복보응경(罪福報應經) 1권일명 윤전오도죄복보응경(輪轉五道罪福報應經), 또는 윤전오도경(輪轉五道經), 또는 오도륜경(五道輪經)이라고도 한다. 장방은 별록에서 보인다라고 하였다.

중사분아비담론(衆事分阿毗曇論) 12권혹은 논()자가 없기도 한다. 제자 보리야사(菩提耶舍)와 함께 번역하였다. 제일 먼저 번역되어 나왔다. 당역(唐譯) 품류족론(品類足論)과 동본이다. 장방록에는 번역하여 낸 사실을 기록하지 않았다.

사품학법경(四品學法經) 1권혹은 경()자가 없기도 하다. 장방은 별록에 보인다라고 하였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