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佛說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敎王經) 11권
불설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 제11권
시호 한역
김영덕 번역
6.항삼세만나라광대의궤분③
다시 다음에 인지송(印智頌)을 읊는다.
그 단계문(壇界文)에 주의하여 재며
법에 의거하여 금강선(金剛線)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나오고 들어가는 분량이 알맞지 않으면
위월(違越)하게 되고 삼매를 깨뜨리느니라.
그 가운데 대살타이신
이른바 금강수(金剛手) 성존을 그려야 한다.
그 존은 큰 청련화(靑蓮華)를 타고 있는
금강훔가라(金剛吽迦囉)의 뛰어난 상이다.
날카로운 이가 밖으로 나와있어서 아주 위맹하며
다시 분노희소안(忿怒喜笑眼)을 나타낸다.
금강보(金剛步)의 아주 묘한 상을 들고
저 염만(焰鬘)의 큰 광명을 갖추었다.
왼발은 평탄하게 걸으며 위세를 나타내며
저 대자재천의 몸을 밟는다.
왼발은 마땅히 그린 것처럼
오마천후(烏摩天后)의 젖가슴 사이에 두라.
곧 근본심명(根本心明)을 송한다.
훔1)
吽引
그 금강수의 네 면에서
동쪽에는 금강분노존(金剛忿怒尊)을 둔다.
모두 큰 광명의 염만(焰鬘)을 갖추며
분노의 날카로운 이가 무섭도다.
이들 네 대사(大士)의 심명(心明)을 송한다.
훔2)
吽引
옴 바아라 살타고로 다훔 바타3)
唵引嚩日囉二合薩埵骨嚕二合引馱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고로 다 갈사 갈사 훔 바타4)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馱引葛哩沙二合引葛哩沙二合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가 마고로 다라 아야훔 바타5)
唵引嚩日囉二合哥引摩骨嚕二合引馱囉引誐野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돋띠 고로 다사 도사 도훔 바타6)
唵引嚩日囉二合覩瑟致二合骨嚕二合引馱娑引度娑引度吽引癹吒半音一句
금강보(金剛步)로 점차 나아가
남쪽에 제2의 뛰어난 단장(壇場)을 배치하고
저 금강관정존(金剛灌頂尊)을 두며
그리고 분노중(忿怒衆)이 둘러싸게 그려라.
이들 네 대사의 심명을 송한다.
다라7)
怛囉二合一句
옴 바아라 몯리 구디고로 다 하라하라훔 바타8)
唵引嚩日囉二合勃哩二合俱胝骨嚕二合引駄一句訶囉訶囉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소 리야 마하 아바 라 마 라 고로 다아바
唵引嚩日囉二合蘇引哩野二合摩賀引入嚩二合引羅引摩引羅引一句骨嚕二合引駄入嚩二合引
라야훔 바타9)
羅野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고로 다계 도녜 혜훔 바타10)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計引覩禰引呬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타 하 사고로 다하하하하훔 바타11)
唵引嚩日囉二合引吒重呼賀引娑骨嚕二合引駄郝郝郝郝吽引癹吒半音一句
이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
서쪽에 제3의 뛰어난 단장을 둔다.
그 가운데 마땅히 금강군(金剛軍)을 그리는데
본노의 대사들이 둘러싸고 있게 한다.
이들 네 대사의 심명을 송한다.
하리12)
紇哩二合一句
옴 바아라 달마 고로 다미나 샤야 미슈 다야훔바타13)
唵引嚩日囉二合達哩摩二合骨嚕二合引駄尾那引設野一句尾輸引駄野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적 차나 고로 다친나훔 바타14)
唵引嚩日囉二合的引刹拏二合骨嚕二合引駄親那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혜도고로 다 바라 미샤바라 볘 사야만나람살바
唵引嚩日囉二合呬覩骨嚕二合引駄二句鉢囉二合尾舍鉢囉二合吠引舍野曼拏覽薩哩嚩二
合引
훔 바타15)
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고로 다바 사바나바나훔 바타16)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娑引娑嚩捺嚩捺吽引癹吒半音一句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는데
북쪽에 네 번째의 뛰어난 승단을 둔다.
가운데에 금강편입존(金剛編入尊)을 그리고
금강분노의 대중이 둘러싸게 한다.
이들 모든 대사의 심명을 송한다.
아17)
惡
옴 바아라 갈마 18)
唵引嚩日囉二合葛哩摩二合一句
옴 바아라 갈바자고로 다 락 사락사훔 바타19)
唵引嚩日囉二合葛嚩左骨嚕二合引駄一句犖九角切下同叉犖叉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약사고로 다 가 나가 나훔 바타20)
唵引嚩日囉二合藥叉骨嚕二合引駄一句珂引那珂引那吽引癹吒半音二
캄바아라 고로 다몯띠 사 다야삼마야훔 바타21)
㰠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母瑟致二合一句娑引達野三摩野吽引癹吒半音二
다시 다음에 그 단의 네 귀퉁이에
그 설한 바대로 차례에 의하여
저 금강계법의 쓰임과 같게
비밀공양을 마땅히 두루 그려야 한다.
이들 네 대사의 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라 셰 라 아야훔 바타22)
唵引嚩日囉二合邏引細引一句囉引誐野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마 리 아비션자훔 바타23)
唵引嚩日囉二合摩引梨引一句阿毘詵左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예 뎨 아 나야훔 바타24)
唵引嚩日囉二合詣引帝一句誐引那野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나리 뎨 바시 고로 훔 바타25)
唵引嚩日囉二合涅哩二合底一句嚩尸引酤嚕引吽引癹吒半音二
금강보로 점차 나아가서
마땅히 바깥에 뛰어난 단장을 두어라.
그 외단의 네 귀퉁이에는
마땅히 네 공양현성(供養賢聖)을 안치해야 한다.
이들의 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도 바보 아 스바 라나삼마예 훔 바타26)
唵引嚩日囉二合度引波布引惹引颯頗二合囉拏三摩曳引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보삽바 보 아 스바 라나삼마예 훔 바타27)
唵引嚩日囉二合補澁波二合布引惹引颯頗二合囉拏三摩曳引吽引發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로 가보 아 스바 라나삼마예 훔 바타28)
唵引嚩日囉二合引路引哥布引惹引颯頗二合囉拏三摩曳引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안다보 아 스바 라나삼마예 훔 바타29)
唵引嚩日囉二合巘駄布引惹引颯頗二合引囉拏三摩曳引吽引癹吒半音一句
금강구(金剛鉤) 등의 네 명왕은
법에 따라 네 문 가운데에 두고
밖의 단장(壇場)을 시설한 것처럼
외금강부(外金剛部)도 가르침대로 하라.
이들의 심명을 송한다.
옴 바아람 고샤마하 고로 다 갈사 야 살바 삼마얌
唵引嚩日覽二合引酤舍摩賀引骨嚕二合引駄引葛哩沙二合野一句薩哩嚩二合三摩煬引
훔 야30)
吽引𠺁二
옴 바아라 바 샤마하 고로 다 바라 볘 샤살바 삼마얌 훔
唵引嚩日囉二合播引舍摩賀引骨嚕二合引駄一句鉢囉二合吠引舍薩哩嚩二合三摩煬引吽引
훔31)
吽引二
옴 바아라 스보 타마하 고로 다 만다만다살바 삼마양 훔
唵引嚩日囉二合颯補二合引吒摩賀引骨嚕二合駄一句滿駄滿駄薩哩嚩二合三摩煬引吽引
밤32)
鍐二
옴 바아라 볘 샤 마하 고로 다 볘 샤야 살바 삼마양 훔
唵引嚩日囉二合引吠引舍一句摩賀引骨嚕二合引駄引吠引舍野二薩哩嚩二合三摩煬引吽引
악33)
惡三
다시 다음에 항삼세(降三世)[삼계최승(三界最勝)이라고도 한다]의 대만나라에 들어가는 등의 의궤의 광대한 법을 설하리라.
우선 금강아사리는 스스로 금강분노제리제리인(金剛忿怒帝哩帝哩印)을 결하고 만나라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들어가고 나서 곧 모든 여래께 말씀드린다.
“세존여래시여, 제가 분노법과 경애법(敬愛法)34)을 행하여 마땅히 조복해야 할 자들을 조복하겠사오며, 마땅히 섭수해야 할 자들을 섭수하겠나이다. 세존이시여, 오직 바라옵건대 저에게 가르침을 주십시오. 제가 어떻게 행해야 하오리까?”
이와 같이 말씀드리고 나서 곧 금강분노제리제리인을 결한 것을 설하신 가르침대로 자심에 두고 널리 금강구(金剛鉤) 등의 사업을 행한다. 행하고 나서 다시 온갖 삼매인을 결한다. 그런 다음에 곧 모든 여래의 위신(威神)을 건립하고 나서 다음에 네 가지의 비밀공양을 행한다. 행하고 나서 다시 헌향(獻香) 등의 공양을 한다.
다시 다음에 금강제자를 만나라에 이끌어들이는 의궤를 선설한다. 이른바 금강아사리는 스스로 결한 금강분노제리제리인을 제자가 결하게 하고 이 대명을 수여하여 송한다.
옴 하리 흔나 바아라 삼마야훔 밤
唵引屹哩二合恨拏二合嚩日囉二合三摩野吽引鍐一句35)
그런 다음에 청색의 명주와 청색의 비단으로 정수리를 묶고 청색의 비단으로 얼굴을 가려서 만나라에 이끌어들여 이 대명을 수여하여 송한다.
옴 바아라 삼마양바라 미샤 미36)
唵引嚩日囉二合三摩煬鉢囉二合尾舍引彌一句
들이고 난 다음에 금강편입삼매인(金剛遍入三昧印)을 결하고 이 편입출생(遍入出生)의 대명을 수여한다.
옴 바아라 볘샤악37)
唵引嚩日囉二合引吠舍惡一句
편입법(遍入法)을 행하고 나서 이 편입(遍入)으로 말미암아서 곧 모든 여래께서 함께 하시는 가지를 순식간에 얻게 되어 능히 과거와 미래와 현재 등의 일을 잘 알게 되고, 마군과 악한 것으로부터 제지받지 않게 된다. 또한 몸을 숨기는 법을 얻어 다른 이가 보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항삼세법을 얻어 상응하는 까닭에 모두를 따르게 하며 조복하게 하고 온갖 유정을 섭수한다. 금강수보살마하살의 온갖 사업은 모두 다 능히 행하며, 다시 언제나 모든 성취의 사업을 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그에게 서심(誓心)의 대명을 수여한다. 다음에 마땅히 그 얼굴을 가린 비단을 벗긴 뒤에 모든 대만나라를 보게 한다. 이로써 그 제자는 만나라를 보자마자 곧 능히 온갖 죄의 더러움을 씻어버리고 능히 두루 3세를 항복시키며, 이 항삼세의 법에 상응하는 까닭에 대자재천 등 모든 천의 대중들을 모두 능히 구소하고, 경오(警悟)시키며 금박(禁縛)하며 경애(敬愛)와 조복(調伏) 등의 일을 행하며, 모든 여래의 신력 가지를 얻을 수 있다. 금강수보살마하살이 언제나 시위한다. 다시 금강수의 시성취법(施成就法)을 얻어 금강관정법으로써 관정을 수여한다. 곧 금강검(金剛劍)을 그 손에 수여하고 다시 이 대명을 수여하여 송한다.
옴 바아라 바 니바아라 갈마 가로 바바38)
唵引嚩日囉二合播引尼嚩日囉二合葛哩摩二合葛嚕引婆嚩一句
그런 다음에 이에 명칭을 금강관정자에게 수여하고 다시 이 대명을 수여하여 송한다.
옴 바아라 고로 다타 마비션자 미나 마 비시 가 혜 바아라 나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駄埵引摩毘詵左引彌那引摩引毘尸引哥一句呬引嚩日囉二合那
마39)
引摩二
이른바 모든 해야 할 바에 따라 명칭이 있다. 모두 혜성(呬聲)에 상응하여 화합하게 한 연후에 대지(大智)를 출생하는 게송을 읊는다.
금강의 영상(影像)을 마땅히 두루 그려라.
큰 광염을 갖추어 심장에 댄다.
금강분노법에 상응하여
온갖 세간을 능히 경오(警悟)하게 한다.
금강보(金剛寶)는 이마에 두고
마땅히 두루 그리고 또한 다시 그렇게 한다.
금강분노법에 상응하여
온갖 유정을 모두 경애(敬愛)하게 한다.
금강연화(金剛蓮華)를 목에 대는데
치성한 불꽃과 대광명을 갖추었다.
금강분노법에 상응하여
온갖 유정을 다 조복시킨다.
교묘한 업의 금강저를 정수리에 두는데
치성한 불꽃과 대광명을 갖추었다.
금강분노법에 상응하여
온갖 세간을 능히 보호한다.
다시 다음에 지인(智印)의 심명을 송한다.
훔 살타바아라 고로 다 볘사악40)
吽引薩埵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引吠舍惡一句
호 라다나 바아라 고로 당다라41)
呼引囉怛那二合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唐怛囉二合一句
훔 달마 바아라 고로 다바타42)
吽引達哩摩二合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癹吒半音一句
함갈마 바아라 고로 다락사43)
㰠葛哩摩二合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犖叉一句
다시 다음에 천(天) 등을 구소하는 인지(印智)를 설한다.
저 금강구(金剛鉤)를 마땅히 두루 그린다.
훔자(吽字)가 손바닥 안에 나타난다고 관상하고
모든 손가락으로 분노심(忿怒心)을 동요하게 하라.
모든 천을 구소함에는 이것이 가장 뛰어나다.
저 금강구를 마땅히 두루 그린다.
자신의 발로 밟는 것처럼
출생문(出生門)을 따라서 나와도 역시 그러하다.
반드시 모든 천의 대중을 구소한다.
저 금강구를 마땅히 두루 그린다.
출생문으로부터 함께 일어나
모든 손가락을 움직여
오마후(烏摩后) 등의 모천중(母天衆)을 널리 구소하라.
저 금강구를 마땅히 두루 그린다.
모든 유주문(流注門)을 밟고 또한 그러하니
그 가운데 행하는 것은 법의(法儀)에 의하여
마땅히 구소하라. 이것이 가장 뛰어나다.
이들의 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고로 다 아라 갈사 야훔 바타44)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引誐囉二合引葛哩沙二合野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하라 맘 고 샤고로 다 갈사 야훔 바타45)
唵引嚩日囉二合引訖囉二合𤚥引酤引舍骨嚕二合引駄引葛哩沙二合野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고로 다난나 아라 갈사 야훔 바타46)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難拏引誐囉二合引葛哩沙二合野吽引癹吒半音一句
옴 바아라 고로 다 사나 아차 갈사 야 미 뎨 바아라 삼마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引娑那引誐蹉引葛哩沙二合野引彌一帝引嚩日囉二合三摩
야마뇩삼마 라훔 바타47)
野摩耨三摩二合囉吽引癹吒半音二
금강보(金剛步)의 평온세(平穩勢)를 만들고
금강경오법(金剛警悟法)에 상응하라.
한번 훔자(吽字)를 칭하는 찰나 사이에
모든 세간이 능히 경오(警悟)하리라.
금강의 말은 정어(正語)이니
네 훔자(吽字)와 더불어 모두 화합한다.
모든 불세존을 마음에 상상하고
결정코 일체를 능히 부른다.
금강분노와 화합하는 것은
금강분노의 최승한 관(觀)이다.
금강훔자의 법에 상응하여
세간의 모든 악을 모두 파괴할 수 있다.
마음으로 갑옷과 투구를 입어 능히 보호하니
이 가운데 만약 자신이나 타인이나
저 대갑주법(大甲冑法)에 상응하면
온갖 세간을 능히 호위하리라.
이들의 대명을 송한다.
옴 바아라 고로 다가 야 볘샤훔 악48)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哥引野引吠舍吽引惡一句
옴 바아라 미녜유 다마마하 고로 다 나야호 바아밤 바아라
唵引嚩日囉二合尾禰踰二合引怛摩摩賀引骨嚕二合引駄引那野呼引婆誐鍐一句嚩日囉二
훔 바타49)
合吽引癹吒半音二
옴 바아라 고로 다나리 띠 하나 나하 반자 미나 샤야 훔
唵引嚩日囉二合骨嚕二合引駄捺哩二合瑟致二合訶那一句捺訶二鉢左三尾那引舍野四吽引
가 리 나바 다야 바아라 삼마야훔 바타50)
哥引梨引拏播引多野五嚩日囉二合三摩野吽引癹吒半音六
옴 마노 나리 다바아라 갈바자 고로 다락사훔 바타51)
唵引摩努引捺哩二合茶嚩日囉二合葛嚩左一句骨嚕二合引駄犖叉吽引癹吒半音二
다시 다음에 모든 유정을 보인(普印)하는 인지(印智)를 교수한다.
금강분노법과 화합하여
마땅히 몸과 서로 합하는 바에 응하여
금강훔자(金剛吽字)를 송하면
반드시 일체를 모두 인(印)할 수 있다.
무릇 모든 언론과 대언어(大言語)는
타지 훔 발타(吒枳吽癹吒)를 한 번 칭하라.
이로부터 분노의 빛이 나타나
금강저로 눈앞에서 부수리라.
금강시(金剛視)로 두루 관하는 것은
금강분노의 등지(等持)인 까닭이다.
마땅히 악한 유정을 파괴함에 따라
저들은 곧 그 목숨을 마치리라.
마음 속에서 바라는 대로 모든 악을 부수고
금강심(金剛心)에 머물러 잘 관찰하라.
일체에 마땅히 훔자명(吽字明)을 칭하면
자신의 지인(智印)으로써 인이 현전하리라.
모든 유정을 조복하고자 하는
마음을 발하는 것을 바로 인으로 한다.
현전하는 인(印)으로 눈앞에 나타나는 일을 인하니
온갖 사업이 능히 성취되리라.
이들의 대명을 송한다.
타계 악52)
吒計引惡一句
타계 약53)
吒計引𠺁一句
타계 훔
吒計引吽一句54)
타계 함55)
吒計引㰠一句
이 낱낱의 인은 네 종류의 갈마와 네 종류의 인명(印明)과 더불어 모두 상응한다. 다시 다음에 비밀분노의 인지(印智)를 교수한다.
모든 신체를 모두 서로 합하고
훔자에 법용에 따라 상응하라.
연화와 금강저를 서로 합하면
파괴하려고 하는 대상의 목숨이 끊어지리라.
법용에 의거하여 입술과 이를 서로 합하고
훔자와 상응하면 법 가운데 포섭되리라.
연꽃과 금강저를 서로 합하면
응함에 따라 모두 서로 향하리라.
만약 훔자의 상응법에 의거하면
저 즐거움을 획득하고 윤택함을 받으리라.
연꽃과 금강저를 서로 합하면
곧 괴로움과 즐거움의 둘이 평등해지리라.
만약 훔자의 상응법에 의하면
모든 신체가 서로 가까워지리라.
연꽃과 금강저를 합할 때에
저 모든 신체도 역시 서로 합하리라.
이들의 심명을 송한다.
훔 악56)
吽引惡一句
훔 약57)
吽引𠺁一句
훔 호58)
吽引呼一句
훔 함59)
吽引一句㰠
다시 다음에 항삼세대만나라의 삼매의 진실대인지(眞實大印智)를 교수한다.
금강계의 법에 상응하는 까닭에
염불삼매로 성취를 얻으리라.
또한 유정을 이익하게 하기 위한 까닭에
마땅히 결정코 성불하게 되리라.
대자재천과 오마후(烏摩后)는
마땅히 법에 의하여 땅에 그리고
그리는 바에 따라서 수습하면
저 살타인의 성취를 얻으리라.
이와 같은 밀인을 결하는 중간에
곧 능히 3세를 항복하게 하고
속히 최상의 진언을 성취하여
항삼세(降三世)60)와 더불어 서로 다름이 없으리라.
치성한 만나라의 중간에
마땅히 그린 순서대로 수습함과 같이
그 몸과 말과 마음의 금강으로써
살타의 모든 인계를 결해야 한다.
나는 지금 저 갈마법을 설하리니
금강갈마는 최상이다.
염불삼매로 성취하므로
마땅히 속히 성불하게 되리라.
만약 항삼세의 대인(大印)을 결하면
곧 항삼세의 성스러운 존을 성취하리라.
금강수명(金剛壽命)의 두루 행하는 바는
항삼세와 서로 평등하여 다름이 없다.
금강관정(金剛灌頂)61)은 최상의 왕이며,
세간의 온갖 법에서 자재하다.
갈마금강(羯磨金剛)은 대분노이며
선작금강(善作金剛)은 온갖 사업(事業)이다.
살타분노(薩埵忿怒)62)는 크게 견고하고
승구분노(勝鉤忿怒)는 능히 널리 부른다.
대애분노(大愛忿怒)는 묘애(妙愛)를 생하며
선재분노(善哉忿怒)는 환희를 시여하도다.
빈미(顰眉)63)는 일체를 잘 조복하고
일륜분노(日輪忿怒)는 묘한 광명이라.
보당분노(寶幢忿怒)는 이익이 아닌 것을 없애고
대소분노(大笑忿怒)는 모든 악을 파한다.
묘법분노(妙法忿怒)64)는 법 아닌 것을 깨뜨리며
금강이검(金剛利劍)은 일체를 끊는다.
정인분노(正因忿怒)는 괴로움의 바퀴를 부수고
밀어분노(密語忿怒)는 말 아닌 것을 깨뜨린다.
갈마분노(羯磨忿怒)65)는 훌륭하게 작업하며
금강작호(金剛作護)는 호위한다.
이아분노(利牙忿怒)는 숨은 원한을 삼켜버리고
지권분노(智拳忿怒)는 성취를 시여한다.
다시 다음에 금강삼매인성결의궤(金剛三昧印成結儀軌)를 선설하리라.
두 손은 금강에서 출생한 바로
이것을 이름하여 승삼매(勝三昧)라 한다.
내가 지금 결의(結儀)를 설하는데
분노결(忿怒結)은 최상이다.
두 팔을 서로 금강저와 같이 합하고
소지(小指)를 갈고리처럼 하여 둘을 서로 결하라.
두 검지는 기극상(期剋相:서로 억누르는 모습)을 하는데
이것을 항삼세대인(降三世大印)이라 한다.
곧 검지의 면을 붙이지 말고
다시 조금 굽혀서 보배 모습과 같게 한다.
다시 세워서 중지를 연꽃과 같게 하고
중지와 검지를 서로 누르게 하는 모습이다.
다시 두 검지를 금강과 같게 하고
곧 두 손가락을 갈고리처럼 구부리라.
앞의 인을 바꾸지 말고 다시 서로 나란하게 하며
곧바로 탄지상(彈指相)을 해야 한다.
눈썹을 찡그리는 존인(尊印)을 들어 나란히 하고
검지로 일륜을 만들어 심장에 댄다.
다시 다음에 팔을 펴서 정수리 위에 올리고
검지는 입을 향하여 소상(笑相)과 같게 하라.
또 다시 검지의 손톱을 서로 붙이고
오른손으로 검을 잡은 모습과 같게 하라.
바퀴의 모습처럼 중지를 세워 일으키고
두 손은 입을 향하면 금강어(金剛語)이다.
또 두 검지를 큰 이빨[大牙]처럼 하고
두 금강권을 뒤에서 나란히 하며
금강희희(金剛嬉戱) 등은 서로 합하라.
이와 같은 인들은 훔자에 포섭된다.
저 모든 법인(法印)도 역시 다 그러하니
모두 훔자에 상응하여 포섭된다.
다시 다음에 금강삼매인(金剛三昧印)을 설한다.
훔자(吽字)66)는 이른바 지금강(智金剛)이며
다라자(怛囉字)67)는 바로 금강장(金剛藏)이고
하리자(紇哩字)68)는 금강군(金剛軍)이 되며
악자(惡字)69)는 금강의 온갖 갈마이다.
다시 다음에 법인(法印)을 차제대로 이와 같이 이른다.
훔70)
吽引
호71)
呼引
다람72)
怛覽二合引一句
당73)
當
혜74)
呬
혜75)
呬引
녜76)
禰引
학77)
郝
적구78)
狄俱半音二合一句
디79)
提引
훔80)
吽引
아람81)
誐囕二合一句
하리82)
訖哩二合一句
밤83)
鍐
나리84)
涅哩二合一句
아85)
惡
이들 법인은 바로 금강분노성중(金剛忿怒聖衆)으로 잘 성취한다.
다시 다음에 금강삼매의 모든 갈마인을 설한다.
두 손으로 분노권(忿怒拳)을 결해야 한다.
금강고거(金剛高擧) 등에 상응하며
갈마인(羯磨印)의 차례는
대금강부(大金剛部)에서 설한 것과 같다.
마땅히 모든 인상(印相)과
내지 그 좌우의 갈마중(羯磨衆)과 응하여
곳곳마다 법에 의하여 안치하고
그들 모든 인을 모두 화합하라.
이것은 이른바 모든 인(印)의 광대한 의궤이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5671 불설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佛說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敎王經) 13권 (0) | 2025.03.06 |
---|---|
[적어보자] #5670 불설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佛說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敎王經) 12권 (0) | 2025.03.05 |
[적어보자] #5668 불설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佛說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敎王經) 10권 (0) | 2025.03.05 |
[적어보자] #5667 불설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佛說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敎王經) 9권 (0) | 2025.03.05 |
[적어보자] #5666 불설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佛說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敎王經) 8권 (0) | 2025.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