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12권
불설다라니집경 제12권
아지구다 한역
김영덕 번역
20. 불설제불대다라니도회도량인품(佛說諸佛大陀羅尼都會道場印品)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서 대아라한(大阿羅漢)들과 모든 보살마하살과 모든 금강(金剛)과 그들의 모든 권속과 천룡팔부(天龍八部)와 육사외도(六師外道)와 인비인(人非人) 등과 더불어 계셨는데 모든 다라니삼매신주법인단(陀羅尼三昧神呪法印壇) 등의 비밀법장(秘密法藏)을 말씀하시어 모두를 이익되게 하셨다.
이 때 모임 가운데에 있던 십일면관세음(十一面觀世音)보살이라고 이름하는 한 보살이 모든 권속들과 함께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댄 다음 공경히 합장하고 오체투지(五體投地)하여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배하였다. 그리고 나서 물러나 한쪽에 앉아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모든 부처님께서는 자비로우시어 훌륭한 방편으로써 모든 성스러운 대중들을 대하시고, 이 총지삼매신주법인단(摠持三昧神呪法印壇) 등의 비밀법장을 말씀하셨습니다. 옛적 과거로부터 현재 머무시는 이 때에 이르기까지 시방의 모든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부처님들께서 모두 이 법으로 인(印)하시어 성과(聖果)를 이루셨으며, 이 모든 대중들이 깊은 마음으로 일찍이 없었던 것을 얻은 것을 기뻐하며 문득 모임 가운데에서 각각 법주(法呪)를 말하여 호념(護念)하시는 것을 도왔습니다. 저희가 이를 듣고 환희하는 마음을 내었으며, 또 도회도량법단(都會道場法壇)55)에서 공덕을 성취하여 모든 중생 등을 깨우치고 속히 성불하게 되었습니다. 만일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우바새나 우바이나 모든 선남자나 선여인 등이 비록 마음으로 애락(愛樂)하여 모든 부처님과 보살 등이 말씀하신 다라니신주법인(陀羅尼神呪法印)을 배우고 받아 지니고자 하더라도 모두 미처 저의 도회단(都會壇)에 들어오지 못하며, 또한 아직 비밀스럽고 결정된 법을 드러내는 명자(名字)를 알지 못하여 증득할 수 없으므로, 어떤 사람이 법인(法印) 등을 지을 때마다 그 몸과 마음을 침노하여 동요를 일으키는 모든 번뇌를 두려워할까 염려됩니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저[我]의 뜻을 알지 못하고 경솔히 망령되게 법인을 지어 뭇 마(魔)로 하여금 마음을 산란시키게 할 것이니, 주력(呪力)이 효험이 없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제가 지금 사문과 바라문과 천인(天人) 등을 보호하여 모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원구법(圓具法)에 걸림없이 통달하게 하고자 하오니, 대중들이 듣고 나면 망령됨 없이 진실과 칭합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도다, 훌륭하도다. 속히 나를 위하여 말하거라.”
이어 게송으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낱낱의 모든 불국토(佛國土)의
법을 즐겨 하는 마음을 지닌 사람들
널리 비밀장(秘密藏)으로 인도하여야 하리니
교묘한 방편 잘 말하라.
모든 중생 권하여 인도하고
자비로써 스스로 호념하리니
이 다라니 들으면f
모두 다 복종하여 귀의하리라.
또한 모든 법단(法壇)과
그 모임에 공통된 일체의(一切意)는
부처님께서 인가하신 법이니
증득 이루어 의혹 끊어라.
이 때 모든 부처님과 보살마하살과 금강과 그들의 권속과 천룡팔부와 약차와 귀신 등이 부처님께서 이 미묘한 게송을 읊으시는 것을 듣고 모두 크게 환희하며 마음에 의혹이 없이 확실한 믿음을 이루었다.
이 때 관세음보살이 부처님의 위신을 받들어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만일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선남자나 선여인 등이 비밀법장의 요결(要決)을 청하여 성취하고자 하고 모든 국왕이 오롯한 마음을 내어 모든 죄를 참회하여 멸하고자 하며, 즐겨 도대도량단법사(都大道場壇法事)를 보고 듣기를 원한다면, 모두 모름지기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봄이 오는 석 달과 가을이 오는 석 달과 겨울이 오는 석 달, 이것이 상월(上月)이니, 그 가운데 봄은 삼월 초하루부터 시작하고, 만일 가을이면 구월 초하루부터 시작하며, 겨울이면 십이월 초하루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가장 좋은 상일(上日)에 작법하되, 모두 상순(上旬)에서 시작하여 7일 낮 7일 밤 동안 법사를 다 마쳐야 한다. 만일 법사를 이루어 마치려는 뜻을 내었으면 모름지기 먼저 청정하고 넓은 원우(院宇)와 깨끗하고 아름다운 큰절이나, 절집의 불당(佛堂)을 구하여야 하지만, 맨땅에서 해도 된다. 장소를 결정한 후 백월(白月) 초하루 아침에 아사리와 모든 제자는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입은 다음 향과 꽃을 가지고 그 처소로 간다. 아사리는 바저라(跋折羅)를 쥐고 마땅히 그 모든 제자에게 묻는다.
“너희들이 결정코 우리 모든 부처님들께서 말씀하신 법장(法藏)을 받아 의심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
그러면 대중이 대답한다.
“저희들이 불법 가운데 결정코 성실히 믿어 의심치 않겠습니다.이와 같이 거듭거듭 세 번 묻고 세 번 대답한다.”
대중이 대답하고 나면 그 후에 아사리는 손으로 향로와 깨끗한 물 등에 인하되, 마두인(馬頭印)을 사용하여 그 깨끗한 물에 인하고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라. 그리고 향로를 들고 무릎을 꿇은 다음 향을 피우고 모든 부처님과 반야와 보살과 금강과 천 등과 모든 명성업도(冥聖業道)에게 우러러 말씀드린다.
“지금 이 땅이 바로 저의 땅이온데 제가 지금 7일 낮 7일 밤 동안 도대도량법단(都大道場法壇)56)의 회(會)를 세워서 모든 시방세계의 항하의 모래알같이 많으신 부처님과 모든 반야바라밀다와 모든 위대한 경지에 오른 모든 보살들과 금강과 천 등에게 공양하고자 합니다. 우러러 청하오니, 모든 부처님께서 도중(徒衆)을 거느리시고 오셔서 결정코 모든 비밀법장이며 불가사의한 대법문(大法門)으로써 모든 증성(證成)을 취하게 하소서. 제가 지금 호신하고 결계하고 공양하는 법사(法事)를 짓고자 하오니 이 원내(院內)의 동서남북과 4유(維)와 상하에 있는 모든 악한 신귀(神鬼) 등을 모두 제가 결계한 곳으로부터 7리(里) 밖으로 쫓아내시고 만일 우리 불법 가운데 이익을 주는 선한 신귀(神鬼)가 있다면 마음대로 머물게 하소서.”
이렇게 말하고 난 다음에 오른쪽으로 돌면서 앞의 물을 도량의 땅에 두루 뿌리고 곧 앞의 군다리법(軍茶利法)으로 한 번 결계한다. 그 결계인(結界印)과 진언은 군다리부(軍茶利部)에서 말한 것과 같아 다시 다른 법이 없다. 결계할 때에는 아사리의 마음대로 거리와 폭을 표하여 경계를 삼는다. 법단(法壇)의 크기는 제왕(帝王)을 위할 경우에는 120주(肘)가 되게 하고, 수법단(受法壇)일 경우에는 사방 16주나 12주가 되게 하며, 참회단(懺悔壇)과 치병단(治病壇)에는 모두 수단(水壇)을 만들되, 4주 이하 1주 이상이 모두 통용된다. 주(肘)의 장단(長短)은 그 주사의 팔꿈치의 장단으로 그 양의 기준을 삼고, 그 땅은 모두 모름지기 네모반듯하고 면(面)이 가지런해야 한다. 만일 수단을 만들 때에는 역시 날과 달과 계절을 택할 필요 없이 깨끗한 땅을 구하여 얻는 대로 곧 만들되, 지면(地面)을 바르고 평평하게 한 다음 반드시 향기로운 진흙을 그 땅 위에 발라야 한다. 그러면 곧 단법(壇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어서 반드시 네 모서리에 표를 세워서 표시하여야 한다. 만일 대단(大壇)을 만들 때에는 앞에서와 같이 결계하여서 네 모서리에 표를 세워 표시를 한 다음에 사람을 불러서 그 땅의 나쁜 흙을 파내게 하라. 만일 좋은 땅이면 1걸(磔)만큼 파내고 중간 정도의 땅이면 1주만큼 파내며, 나쁜 땅이면 3주만큼 파내어 그 가운데 있는 뼈나 머리카락이나 탄(炭)이나 재[灰]나 기와나 자갈이나 돌이나 나무뿌리나 풀과 나무토막이나 겨[糠] 등의 나쁜 물건을 모두 들어내어서 없애야 한다. 모든 나쁜 물건들을 다 치운 다음에는 좋은 땅의 좋은 흙을 가지고 와서 밑에 뿌리되, 한 번 뿌릴 때마다 향수를 한 번씩 뿌리며 흙을 채운다. 그리고 곧 저(杵)로 다져서 평평하고 두툼하게 하되, 반드시 견고하게 다져야 하며 터[基]를 높이하면 가장 좋다.
이어 둘째 날 아침에는 아사리와 모든 제자는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입은 다음 아사리는 네댓 명의 제자를 데리고 도량에 들어가서 그들로 하여금 도량을 장엄하게 하라. 그 밖의 위의(威儀)는 다음과 같다. 네 개의 문과 네 모서리는 모두 반드시 위의를 갖추게 장엄하고 문마다 따로 각각 한 쌍씩의 신왕(神王)을 안치하라. 또 좌우의 행랑에 신왕의 깃발을 매달고 문마다 네 개의 입구에 여러 가지 채색의 비단깃발 서른여섯 개를 매단다. 문마다 따로 이와 같이 하되, 그 깃발은 길이가 여덟 자가 되게 하고 좋은 새 것으로 한다. 네 모서리에는 각각 한 개씩의 신왕 깃발을 매달고 여러 가지 채색의 비단깃발을 문마다 따로 네 개의 입구에 매단다.그 깃대도 이에 준한다. 만일 집안이라면, 오직 앞뒤 두 개의 문만을 열되, 앞의 문 양변(兩邊)에는 신왕상(神王像) 한 쌍을 서로 마주 대하게 놓고 뒤의 문 양변에도 역시 신왕 한 쌍을 마주 대하게 놓아라.모두 좋은 새 것으로 한다. 그 도량문(道場門) 좌우의 양상(兩上)에는 각각 네 개의 말뚝을 세워서 밧줄로 둥글게 돌리고 밧줄로 둘러싼 안에는 향기 나는 진흙을 발라서 경계를 보호하고 깨끗이 한다. 그리고 그 안에 모든 공양물들을 놓아라. 이어 아사리는 다시 한 번 군다리법(軍茶利法)을 지어 결계한 다음 곧 온갖 향기로운 진흙으로 항아리를 만들어 버드나무 가지로 저으면서 반야대심주(般若大心呪)를 송하라.
다냐타 아 뎨리뎨 바라아뎨 바라싱아뎨 모디 사바하
跢姪他一揭去音下同帝揭帝二波羅揭帝三波羅僧揭帝四菩提五莎 訶六57)
그 진언을 송하는 수는 국왕을 위할 때에는 백여덟 번 송하여 채우고, 3품 이상을 위할 때에는 쉰여섯 번을 송하며, 4품과 5품을 위할 때에는 마흔아홉 번을 송하고, 6품과 7품을 위할 때에는 서른다섯 번을 송하며, 8품 이하와 백성을 위할 때에는 스물한 번을 송하라. 모든 법단에서 모두 이와 같이 진언을 송하라. 진흙에 진언을 다 송한 다음 진흙을 땅에 바르되, 땅에 바르는 법은 해가 도는 방향으로 문지르고, 땅에 다 발랐으면 다시 한 번 앞에서와 같이 군다리법으로 결계한다.
이어 셋째 날 아침에는 목욕하고 나서 깨끗한 쇠똥을 취하되, 땅에 떨어지기 전의 깨끗한 쇠똥을 깨끗한 그릇에 받아 놓고 향탕(香湯)과 섞어서 앞에서와 같이 진언을 송한 다음 땅에 두루 바른다. 이어 밧줄 하나를 가지고 주수(肘數)를 헤아려서 장단(長短)의 약간을 재고 때가 되면 원(院)의 넓고 좁음을 보아 헤아려서 수대로 매듭지어 정해 놓은 다음 도량의 사방에 밧줄을 당겨서 아래에 흰색 가루로 점찍어 표시한다. 아사리는 먼저 동북 모서리로부터 서남 모서리까지 밧줄을 당겨서 고정시키고 기둥에서 4지(指) 떨어진 곳 아래에 점을 찍어 표시한다. 이어 동남 모서리에서 서남 모서리까지 밧줄을 당겨서 고정시키고 기둥에서 4지 떨어진 곳 아래에 점을 찍어 표시한다. 그리고 바로 중앙에 해당하는 곳으로서 밧줄이 교차하는 곳 아래에 또 점을 찍어라. 그런 다음 각각 점을 찍은 곳에 깊이가 1걸쯤 되게 작은 구멍을 하나씩 파야 하니, 7보와 오곡을 묻을 곳이다. 7보란, 첫째는 금이고, 둘째는 은이며, 셋째는 진주이고, 넷째는 산호(珊瑚)이며, 다섯째는 호박(虎珀)이고, 여섯째는 수정(水精)이며, 일곱째는 유리(琉璃)이니, 이들을 7보라고 이름한다. 또한 오곡이란, 첫째는 대맥(大麥)이고, 둘째는 소맥(小麥)이며, 셋째는 도곡(稻穀)이고, 넷째는 소두(小豆)이며, 다섯째는 호마(胡麻)이니, 이를 오곡이라고 이름한다.
그 보배 등을 부수어서 오곡과 섞은 다음 비단 조각으로 싸서 오색 줄로 끝을 묶고 다섯 개의 구멍 속에 묻는다. 그리고 땅 밖에 그 줄 끝을 5지(指)쯤 내놓아라. 이 보물 등은 한 번 넣은 다음에는 영원히 꺼낼 수 없다. 이로부터 금승계지(金繩界地)가 7보와 합해서 이루어지니 모든 부처님께서 그 위에 머무시며 대승(大乘)을 연설하시는 법륜을 굴리시는 곳이다. 이 땅에 불당(佛堂)을 세우면 가장 으뜸이 되나 범인(凡人)이 그 위에 머물면 조금의 이익도 없다. 이어서 다시 결계(結界)를 한다. 그 결계법은 다음과 같다. 바저라(跋折囉)당나라에서는 금강저(金剛杵)라고 번역한다.를 쥐고 군다리법에 의거하여 결계하여, 그 단 밖에서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 다시 벽제비나야가인법(辟除毗那夜迦印法)을 짓고 진언을 송하라. 이와 같이 차례대로 사방과 상하에 모두 결계하기를 마친 다음 밤이 되면 등을 밝힌다.
이어 넷째 날 아침에도 역시 위에서 말한 것처럼 결계하고 곧 쇠똥을 향탕과 섞어서 반죽을 만든 다음 앞에서와 같이 진언을 송하라. 이어 제자들을 보내어서 손으로 땅을 문지르게 하되, 동북 모서리부터 시작하여 오른쪽을 향하여 해가 도는 방향으로 땅을 문질러야 하니, 거꾸로 왼쪽으로 문질러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이 차례로 땅을 두루 문질러서 동북 모서리까지 이르게 하라. 도량 가운데서 제자가 한 개 이상의 물건을 배치할 때 움직이는 법용(法用)은 모두 해가 도는 방향을 따라 오른쪽으로 가야 하니 해가 도는 방향과 반대로 왼쪽으로 가서는 안 된다. 그 도량의 땅은 길이와 너비를 똑같게 해야 하며 네 개의 문(門)을 열고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워야 한다. 그 기둥은 깊이 묻어야 하며, 네 개의 기둥 위 끝 네 면(面)에 각각 따로 한 개씩의 기둥을 옆으로 놓아야 한다. 그 기둥은 모두 크기가 한 가지여야 하며, 네 면을 정밀하게 깎아 네모가 되게 하여야 한다. 세울 때는 맨 꼭대기 끝을 치고 옆으로 놓을 때는 구멍을 뚫어서 각각 서로 꿰어 사방을 바르고 곧게 하라. 그리고 장단(長短)은 때에 임해서 그 도량의 넓고 좁은 크기를 보아서 정해야지 미리 정할 수 없으므로 우선 대략 준(准)하여 마련해 놓고거친 대나무를 기둥으로 대체해 써도 된다. 그 나무 위에 모두 채색 비단을 묶되, 여러 가지 색을 간간이 섞어 놓은 다음에 큰 깃발을 취하여 그 위에 종횡(縱橫)으로 8도(道)를 덮고 동서남북과 사유로 서로 교차시킨다. 이를 상방(上方)을 장엄하는 법이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그 큰 깃발 위의 동쪽에는 한 쌍의 푸른 색 번자(幡子)를 매달고, 남쪽에는 한 쌍의 붉은 색 번자를 매달며, 서쪽에는 한 쌍의 흰 색 번자를 매달고, 북쪽에는 한 쌍의 짙은 청색 번자를 매달며, 중앙에는 네 개의 황색 번자를 매단다. 모두 각각 큰 깃발 위에 엮어 붙여서 매단다.다섯 방소(方所)의 왕의 기(氣)를 알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어 네 면에 각각 큰 깃발을 놓아서 난액(闌額)을 만든 다음 액(額) 위의 네 면에 모두 금동포화(金銅泡花)와 금그릇과 은그릇과 보배거울 등의 물건을 놓되, 사이사이 모두 그렇게 하고 아울러 네 기둥을 장엄하는 것 역시 그와 같이 하여 차례로 장엄한다. 그리고 밧줄을 늘여서 네 면을 둘러싼 다음 기둥 위에 묶어 놓고 그 밧줄 위에는 여러 가지 채색의 비단깃발을 매달고 뭇 보배 방울과 띠[帶]와 모든 보패(寶珮)를 사이사이 섞어서 장엄한다. 이어 네 면에 진주(眞珠)를 빙 둘러 감은 다음 보배 그물을 놓고 온갖 장엄을 한다. 이와 같이 장엄을 마친 후에는 도량의 서문(西門)에 남쪽과 두 자쯤 떨어진 곳의 땅을 파서 정사각형의 구덩이를 만들되, 각각 길이가 두 자가 되고 깊이도 역시 두 자가 되게 한 다음 그 구덩이의 중앙에 한 개의 토심(土心)을 놓아라. 그리고 그 토심 위에 향탕(香湯)과 깨끗한 쇠똥을 섞어서 만든 반죽으로 연화좌(蓮華座)를 만들되, 반드시 각별히 마음을 써서 정묘하게 만들어야 한다. 또 자색 비단으로 일산[蓋] 한 개를 만들고, 또 비색 비단으로 일산 한 개를 만든다. 그 두 일산의 뼈대는 대나무를 구부려서 만들고 각각 길이가 아홉 자 되는 대[幹]를 만든다. 이것은 아사리와 단에 들어가는 제자가 출입하며 드나들 때 들고 따라가면서 위의(威儀)를 갖추는 것이다. 이어 그 도량의 동북쪽 땅과 두세 자[尺] 떨어진 곳에 다시 4주(肘)가 되는 흰 색 수단(水壇)의 자리를 만든 다음 도량 밖 서남쪽 땅의 중정(中庭)도 역시 그렇게 하는데 또다시 따로 4주가 되는 백색 단(壇)을 만든다. 그리고 그 단의 네 모서리에 네 개의 깃대를 세우고 깃대 위에는 깃발을 매달되, 깃대 구멍을 메워서 막은 다음 깨끗이 문질러 닦는다. 그리고 다시 한 번 대결계법(大結界法)을 지어서 도량을 깨끗이 한 다음 등촉(燈燭)을 밝히고 온갖 향을 피운다.
이어 다섯째 날의 아침에 아사리는 두 명의 제자를 거느리고서 목욕을 하고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입은 다음 한 제자로 하여금 향수 섞은 진흙을 담은 은사발 한 개를 들게 하고 또한 제자로 하여금 향분수(香粉水)를 담은 금사발을 들게 하되, 한 가닥의 가는 밧줄을 잡고 아사리를 따라 도량에 들어가게 하라. 도량에 이르러 아사리는 한 번 행도(行道)하며 찬탄하고 예배한 다음 향기 나는 진흙을 들고 있는 제자를 단에 들여보내어서 동북 모서리로부터 앞의 문지르는 법과 같이 손으로 땅을 문지르게 하라. 향수진흙을 바른 곳이 축축해졌다가 차츰 마르면 아사리는 분수(粉水)와 향수(香水)를 든 제자 모두와 함께 도량에 들어가 밧줄로 그 주(肘)를 헤아려서 길이를 안 다음 단의 동북 모서리로부터 동남 모서리를 향하여 급히 당겨서 고정시키고 각각 점을 찍어서 표시한다. 이어 서남쪽으로 옮겨가서 역시 점을 찍어 표시하고 다음에 서북쪽으로 옮겨가서 역시 점을 찍어 표시한다. 그리고 밧줄에 가루를 칠한 다음 제자 한 명을 보내어서 밧줄의 끝을 잡고 단(壇)의 동북 모서리 땅에 꿇어앉아 밧줄 끝을 단의 바로 먼저 점찍은 그 모서리에 대고 땅에 붙여서 급히 당기게 하되, 아사리도 밧줄의 한 끝을 잡은 다음 동남 모서리로 향하여 단의 먼저 점찍었던 바로 그 모서리에 대고 두 사람이 동시에 함께 서로 급히 당긴다. 그리고 한 명의 제자를 보내어서 밧줄의 중앙을 잡아당겨 땅 위에 대게 하라. 이어 동북 모서리에 있는 제자가 일어나 서남 모서리를 향하여 앉아 앞의 것에 준해서 당긴 다음, 서남 모서리에 있는 제자가 일어나 동북 모서리를 향하여 앉아 앞의 것에 준해서 당긴다. 그리고 당긴 줄 안으로 1 주(肘) 떨어진 땅에 다시 앞에서처럼 점을 찍고 이와 같이 네 모서리에 모두 점을 찍어 표시하고 나서 곧 가루 안에 밧줄을 담궈 당기되, 법용(法用)은 앞에서와 같이 한다. 이어 8주가 되는 밧줄을 취하여 중간을 구부린 다음 단 밖의 먼저 점찍었던 곳에 대고 또 1주가 되는 밧줄의 정중앙을 구부려라. 다시 2주가 되는 밧줄로써 단의 한 곳으로부터 중앙의 점을 헤아려서 중앙의 점 좌우에 다시 두 개의 점을 찍어라. 이어 그 한쪽 문벽(門壁)을 단에서 5 지(指)쯤 떨어뜨린 다음에 다시 문벽을 좌우변으로 5지쯤 되게 구부려라. 이어 단의 문(門) 좌우 두 경계를 5지쯤 넓힌 후 그 문의 외변 끝에 곧바로 가루를 묻힌 줄을 튀겨 놓아라. 한 곳을 그렇게 하고 나서 세 곳도 역시 그렇게 하라.
이어 중원(中院)을 만든다. 바깥 밧줄은 4주로 하되, 그 외원(外院) 안과 그 중원 바깥의 밧줄과의 사이에 1주가 되는 길을 연다. 그 중원의 문은 사방의 벽을 좌우변(左右邊)으로 모두 3지 너비로 만들고 그 문의 외변(外邊)에 밧줄을 곧바로 당기되, 그 작법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한다. 그리고 그 중원 안의 사방에는, 각각 외원 안의 밧줄과 각각 1주가 떨어진 땅에 다시 가루를 칠한 밧줄을 당기고 그 단의 중심에 2주가 되는 원(院)을 만들되 문은 만들지 않는다.
이어 여섯째 날에 아사리는 오색 줄로 그 수법인(受法人)의 많고 적음에 따라 매듭을 지어서 진언을 송한 동아줄을 만들고 마두관세음보살대심주(馬頭觀世音菩薩大心呪)를 사용하여 진언을 송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아미리 도디 바 바 훔박
唵一阿彌哩二合都知二合皤去音婆二𤙖㧊三58)
마땅히 이 진언을 송하되, 한 번 진언을 송할 때마다 한 번씩 결하고 이와 같이 해서 쉰네 개의 매듭을 맺어서 채운다. 진언을 송한 동아줄을 만들고 비단 조각으로 7보와 오곡을 한 곳에 함께 싸서 오색 줄로 그 꼭대기를 단단히 묶되, 또한 사람 수에 맞춘다. 그리고 그 날 유시(酉時)에 아사리와 입단제자(入壇弟子) 등은 모두 목욕을 마치고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그리고 제자들로 하여금 줄지어 도량 밖의 서변(西邊)에 가까운 곳에 앉게 하라. 이어 아사리와 모든 제자는 대결계(大結界)와 호신(護身)의 법사(法事)를 짓고 해가 진 후에는 아사리가 도량 안에 들어가 부처님과 반야와 보살과 금강과 모든 천들을 청하여 들여서 단에 안치하라. 부처님은 중심에 앉으시게 하고 관세음 등은 북쪽에 앉히며 금강장(金剛藏) 등은 남쪽에 앉힌 다음 갖가지 묘한 향과 꽃과 다섯 쟁반의 음식을 공양하고 열여섯 개의 등을 밝힌다. 이와 같이 공양하는 법사(法事)를 다 마친 후 아사리는 도량을 나와 제자들을 맞아들이는데 도량에 이르면 서쪽 문 가까운 곳으로부터 시작하여 나란히 줄지어 서게 한 뒤에 조금의 향을 공양하고 예배한다.
이와 같은 법사(法事)를 다 지은 후 아사리는 낱낱이 다시 호신인(護身印)을 결하여 주고 진언을 송하여서 낱낱의 제자의 몸 위에 앞에서와 같이 인(印)한 다음 보내는데 자리 위에 각각 동쪽으로 무릎을 꿇고 앉게 하라. 그리고 아사리는 흰 겨자를 쥐어 진언을 송하고 낱낱의 제자의 머리와 얼굴과 가슴 등을 세 번 때린 다음 마두관세음보살인주(馬頭觀世音菩薩印呪)를 사용하여 다시 호신(護身)하는 법사를 앞에서와 같이 한다. 이어 아사리는 무릎을 꿇고 가장 나이 많은 제자에게 묻기를, “너희들이 이 법을 받고자 하느냐?”라고 한다. 그러면 그 제자들이 대답하기를, “이와 같은 법들을 얻고자 합니다”라고 한다. 이와 같이 묻고 대답하기를 갖추고 난 다음에 아사리는 향수 그릇을 잡아 낱낱의 제자 머리 위에 뿌리고 다시 오른손을 낱낱의 제자의 가슴 위에 놓은 다음 입으로 소리내어서 마두관세음보살심주(馬頭觀世音菩薩心呪)를 송하여 호지(護持)하여 준다. 이어 진언을 송한 동아줄을 낱낱의 제자의 왼쪽 팔에 묶은 다음 아사리는 모든 제자를 인도하여서 자리에서 물러나 내려오게 하되, 동쪽 계단으로부터 서쪽 계단으로 내려와 땅에 무릎을 꿇고 앉게 하라. 이어 아사리는 곧 사라수즙(娑羅樹汁) 향수를 차례대로 낱낱의 제자의 앞에 뿌리고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돈 다음 횃불을 들고 또한 앞에서의 작법과 같이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돈다. 이어 버드나무 가지와 다양한 꽃들을 가지고 앞의 작법에 준해서 오른쪽으로 돌며 모든 제자들에게 주면, 그 제자들은 버드나무 가지를 받아들고서 물러난다. 곧 다리를 오므려서 무릎을 꿇고 앉아 버드나무 가지 끝을 씹은 다음에 앞을 향하여 그 버드나무 가지를 던지면, 아사리는 일일이 그 버드나무 가지가 떨어진 곳을 살펴본다. 만일 그 씹은 버드나무 가지 끝이 몸을 향하고 있으면 대길(大吉)하고, 만일 남쪽을 향하였으면 불길하다. 그 씹은 가지 끝이 다른 방향으로 향하였으면 곧 무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례로 두루 시험(試驗)하고 나서 차례대로 향수를 손바닥에 부어서 마시게 하되, 사람마다 각각 세 번씩 마시게 하라. 이렇게 낱낱이 제자의 손바닥에 물을 붓기를 마친 다음 아사리는 바저라로써 물에 인(印)하고 스스로 마신다. 이와 같은 법사(法事)를 다 마친 후 모든 제자를 이끌고 도량으로 올라가되, 서쪽 계단으로부터 올라가 도량의 측면에 나란히 열 지어 앉는다. 그리고 한 번 향을 피우는 법사(法事)를 한 다음에 아사리는 모든 제자들에게 말하라.
“너희들은 가서 누워 자되, 만일 꿈을 꾸게 되면 내일 아침에 나에게 각각 그 꿈 이야기를 자세히 말하도록 하라. 각각 마음을 가다듬고 지어내지 말며 또 남에게 누설하지 말라.”
이렇게 말하고 나서 아사리는 제자들을 이끌고 동쪽 계단으로부터 내려가 각각 흩어져 방으로 돌아가게 하라. 그리고 아사리는 도량 안으로 들어가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 등에게 말씀드린다.
“이 모든 제자들이 단(壇)에 들어와 각각 증험을 얻고자 하기에 저[我] 제자 아무개가 법용(法用)을 지어 주고 모두 두루 묻기를 마쳤습니다. 모든 제자들이 내일 단에 들어와 공양하고자 하오니, 원컨대 부처님과 반야와 보살과 금강과 모든 천 등이시여, 오늘 밤 대비(大悲)하신 마음으로 그들에게 경계(境界)를 보여 주시고, 제자 아무개가 내일 모든 삼보와 모든 권속들을 모두 청하여 널리 공양하겠사오니, 원컨대 대자비를 베푸시어 내일 모두 오셔서 모든 공양을 받으시고 법사(法事)를 증명하여 주소서.이와 같이 세 번 말한다.”
그렇게 한 다음에 단 안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을 보내드리면, 연(緣)에 따라 우선 흩어지신다. 이어 아사리는 단의 북변(北邊)으로 화로를 놓은 다음 마두관세음대심주를 송하고 흰 겨자에 진언을 송하되, 진언을 한 번 송할 때마다 한 번씩 화로 속에 던져서 태우기를 백여덟 번 하여 모든 제자들로 하여금 죄를 멸하고 장애가 없어지게 하라. 그리고 아사리는 이미 단에 들어간 두세 명의 제자들과 한밤중에 오색 가루를 단 안에 뿌려서 그 땅을 장엄하는데, 그 법용은 다음과 같이 한다. 먼저 안으로부터 백색 가루를 뿌리고 차례로 황색 가루, 적색 가루, 청색 가루, 흑색 가루를 뿌린다. 이렇게 네 면(面)에 뿌린 다음 곧 외원(外院)에 이르러 동북 모서리로부터 오른쪽으로 돌면서 오색 가루를 앞에서의 작법과 같이 뿌린다. 이렇게 네 면에 뿌리고 나서 제수라시(帝殊羅施)를 좌주(座主)로 하여 중심에 대연화좌(大蓮花座)를 편다. 좌주는 바로 석가여래정상(釋迦如來頂上)에 있는 화불(化佛)로서 불정불(佛頂佛)이라고 부른다. 만일 불정을 좌주로 삼지 않으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모든 부처님과 보살로 바꾸어도 된다. 그 좌주를 제외하고 그 밖의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은 모두 본위(本位)에서 공양을 받는다. 스스로 모든 부처님과 반야(般若)와 십일면(十一面) 등의 보살과 서로 바꾸지 않는다면 불정 이외의 나머지는 도회법단(都會法壇)의 좌주가 될 수 없다. 그리고 그 밖의 병을 치료할 때의 모든 수단(水壇) 등과 하룻밤 동안 참회하는 단에서는 그 응하는 대로 해당되는 부(部)의 부처님과 보살 등을 좌주(座主)로 삼아 공양하면 모든 것이 다 좋게 된다.
중심에 좌주(座主)의 자리를 안치하고 나서 내원(內院)의 동면(東面) 중앙에 반야바라밀다화좌(般若波羅蜜多華座一)를 안치하고, 이어 우변(右邊)에 석가모니불좌(釋迦牟尼佛座二)를 안치하고, 이어 좌변에 일체불심불좌(一切佛心佛座三)를 안치하라. 그리고 북면의 바로 문 가운데에 대세지보살좌(大勢至菩薩座四)를 안치하고, 이어 우변에 관세음모좌(觀世音母座五)를 안치하고, 이어 좌변에 관세음보살좌(觀世音菩薩座六)를 안치하고, 이어 남면의 바로 문 가운데 금강라자좌(金剛囉闍座七)를 안치하고, 이어 우변에 마마계좌(摩麽雞座八)이는 금강모(金剛母)라고 이름한다.를 안치하고, 이어 좌변에 마제나좌(摩帝那座九)금강사자(金剛使者)라고 이름한다.를 안치하라. 그리고 서면의 원문(院門) 남쪽에 보현보살좌(普賢菩薩座十)를 안치하고, 이어 원문의 북쪽에 미륵보살좌(彌勒菩薩座十一)를 안치하고, 이어 원(院)의 동북 모서리에 아사니좌(阿舍尼座十二)를 안치하고, 이어 동남 모서리에 바저라소바싣디가라좌(跋折囉蘇皤二合悉地二合迦囉座十三)를 안치하고, 서남 모서리에 바저라건다(跋折囉健茶)를 안치하고, 서북 모서리에 화신좌(火神座)를 안치하라. 그리고 외원(外院) 동면의 북쪽 끝에 제일 먼저 만수시리보살좌(曼殊室利菩薩座十四)를 안치하고, 이어 남쪽에 시방일체불좌(十方一切佛座十五)를 안치하고, 이어 전단덕불좌(栴檀德佛座十六)를 안치하고, 이어 아촉불좌(阿閦佛座十七)를 안치하고, 원(院)의 문 가운데 아미타불좌(阿彌陀佛座十八)를 안치하고, 이어 상덕불좌(相德佛座十九)를 안치하고, 이어 허공장보살좌(虛空藏菩薩座二十)를 안치하고, 이어 오스니사59)좌(烏瑟尼沙座二十一)를 안치하고, 이어 시방일체불정좌(十方一切佛頂座二十二)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북면에 동쪽으로부터 서쪽으로 제일 먼저 다라니장좌(陀陀羅尼藏座二十三)를 안치하고, 이어 지장보살좌(地藏菩薩座二十四)를 안치하고, 이어 마두관세음좌(馬頭觀世音座二十五)를 안치하고, 이어 불공견삭좌(佛空羂索座二十六)를 안치하고, 이어 일차삼바디가좌(一瑳三跋底伽座二十七)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문(門) 가운데 수심관세음좌(隨心觀世音座二十八)를 안치하고, 이어 마하시리야좌(摩訶室唎耶座二十九)를 안치하고, 이어 육비관세음좌(六臂觀世音座三十)를 안치하고, 이어 비구지관세음보살좌(毗俱知觀世音菩薩座三十一)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남면에 동쪽으로부터 제일 먼저 오추사마좌(烏樞沙摩座三十二)60)당나라에서는 부정금강(不淨金剛)이라고 한다.를 안치하고, 이어 바저라다하사좌(跋折囉吒訶娑座三十三)를 안치하고, 이어 바저라모-띠좌(跋折囉母瑟知座三十四)금강아(金剛兒)라고 이름한다.를 안치하고, 이어 바저라앙구시좌(跋折囉央俱施座三十五)금강소녀(金剛小女)라고 이름한다.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문(院門)에 소마하좌(蘇摩訶座三十六)를 안치하고, 이어 바저라샹가라좌(跋折囉商迦羅座三十七)금강천녀(金剛天女)라고 이름한다.를 안치하고, 이어 가니구로다좌(迦儞俱嚧陀座三十八)를 안치하고, 이어 수심금강좌(隨心金剛座三十九)를 안치하고, 이어 바저라아마리다군다리좌(跋折囉阿蜜哩多軍茶利座四十)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서면 문의 남쪽에 오마디비마좌(烏摩地毗摩座四十一)를 안치하고, 이어 니람바라좌(尼藍跋羅座四十二)를 안치하고, 이어 일체천좌(一切天座四十三)를 안치하라. 그리고 그 문의 북쪽에 마혜수라좌(摩醯首羅座四十四)를 안치하고, 이어 모울다타카좌(母鬱二合陀吒佉座四十五)이것이 바로 정위(正位)이다.를 안치하고, 이어 비리예리디좌(毗𠼝齯唎知座四十六)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동북 모서리에 바탑비가좌(婆㩉毗伽座四十七)를 안치하고, 동남 모서리에 모울다타가좌(母鬱二合陀吒迦座四十八)이는 바로 섭위(攝位)이다.를 안치하고, 서남 모서리에 가니구로다(迦尼俱嚧陀四十九)이는 바로 섭위이다.를 안치하고, 서북 모서리에 바저라시리니좌(跋折囉室哩二合尼座五十)를 안치하라. 그리고 외원(外院)의 동면 북쪽 끝에 이르러 제일 먼저 비나야가좌(毗那夜迦座五十一)를 안치하고, 이어 비다야다라좌(毘陀耶二合陀囉座五十二)를 안치하고, 이어 수다회천좌(首陀會天座五十三)를 안치하고, 이어 디다래타좌(提頭賴吒座五十四)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문(院門)의 바로 북쪽에 제석제자좌(帝釋弟子座五十五)를 안치하고, 원문의 바로 남쪽에는 제석천좌(帝釋天座五十六)를 안치하고, 이어 남쪽에 월천좌(月天座五十七)를 안치하고, 이어 바마천좌(跋摩天座五十八)를 안치하고, 이어 성천좌(星天座五十九)를 안치하고, 이어 불사자좌(佛使者座六十)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북면 동쪽 끝부터 첫 번째로 이사나귀왕좌(伊沙那鬼王座六十一)를 안치하고, 이어 바라혜귀좌(婆羅醯鬼座六十二)를 안치하고, 이어 자문다좌(遮文茶座六十三)를 안치하고, 이어 람비가좌(藍毗迦座六十四)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문(院門)의 바로 동쪽에 바저라건다좌(跋折囉健茶座六十五)를 안치하고, 원문의 바로 서쪽에는 비사문왕좌(毗沙門王座六十六)를 안치하고, 이어 서쪽에 구비라약차좌(俱毘囉藥叉座六十七)를 안치하고, 이어 젼다바라바사보살좌(旃達波羅婆娑菩薩座六十八)를 안치하고, 이어 마니바다좌(摩尼跋陀座六十九)를 안치하고, 이어 시다아타좌(斯馱遏他座七十)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남면 동쪽 끝에 첫 번째로 화천좌(火天座七十一)를 안치하고, 이어 비람바주다좌(毗藍婆呪馱座七十二)를 안치하고, 이어 나라연좌(那羅延座七十三)를 안치하고, 이어 미로시카라좌(彌嚧尸佉囉座七十四)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문(院門)의 바로 동쪽에 비루다가좌(毗樓茶迦座七十五)를 안치하고, 원문의 바로 서쪽에는 염마단다좌(琰摩檀茶座七十六)를 안치하고, 이어 서쪽에 염마제자좌(琰摩弟子座七十七)를 안치하고, 이어 긴나라왕좌(緊那羅王座七十八)를 안치하고, 이어 비샤자왕좌(毗舍遮王座七十九)를 안치하고, 이어 나찰사왕좌(囉刹娑王座八十)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서면 문 남쪽에 첫째로 난타용왕좌(難陀龍王座八十一)를 안치하고, 이어 일천좌(日天座八十二)를 안치하고, 이어 마리지좌(摩唎支座八十三)를 안치하고, 이어 아소라왕좌(阿素囉王座八十四)를 안치하고, 이어 염라왕좌(閻羅王座八十五)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문(院門)의 바로 북쪽에 우바난타용왕좌(憂婆難陀龍王座八十六)를 안치하고, 이어 지천좌(地天座八十七)를 안치하고, 이어 비루박사좌(毗樓博叉座八十八)를 안치하고, 이어 건달바좌(乾闥婆座八十九)를 안치하고, 이어 풍천좌(風天座九十)를 안치하라. 그리고 원(院)의 동북 모서리에 기리기리구로다좌(枳唎枳唎俱嚧陀座九十一)를 안치하고, 동남 모서리에 바저라셰나좌(跋折囉迻那座九十二)를 안치하고, 서남 모서리에 바슈비가좌(婆楡鞞伽座九十三)를 안치하고, 서북 모서리에 바저라시카라좌(跋折囉尸佉羅座九十四)를 안치하라.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은 삼중원(三重院)에서 각각 네 모서리의 섭위(攝位)를 제외한 그 밖의 자리에 차례대로 각기 따로 연화좌(蓮華座)를 만든다.
12주단법(肘壇法)을 간략히 설명하여 마친다.
16주(肘)는 그림 가운데서 말한 것과 같이 하고, 자릿수의 다소(多少)와 위(位) 사이의 넓고 좁음은 그 시주(施主)의 공양구(供養具)의 다소에 따라 가감(加減)해서 만든다. 이를 하방(下方)을 장엄하는 법이라고 이름한다.
다음에 화로 가운데 있는 연꽃에 적백색 가루를 발라 장식하고 나서 단의 동북쪽의 네 자가 되는 땅에 4주가 되는 단을 만든다. 그리고 단 위에 순수하게 적색과 백색의 두 가지 색의 가루만을 사용하여 계도(界道)를 만들고 아울러 연화좌(蓮華座)를 만든다. 이어 중정(中庭)의 관정단(灌頂壇) 위에 오직 백색가루 한 색만으로 계도를 만들고 연화좌를 만든 다음 온갖 것을 안치하여 모든 위지(位地)를 끝마친다. 그리고 아사리는 일어나 서쪽 문 앞에 서서 단 안의 모든 자리의 분위(分位)를 살피되, 무엇이 잘되었고 무엇이 잘못되었으며 무엇이 골고루 갖추어졌고 무엇이 골고루 갖추어지지 않았는지 자세하게 검사하고 교정하여 골고루 갖추어지지 않은 곳은 다시 알려서 수리(修理)하게 하라. 그리고 다시 한 번 대결계법(大結界法)을 지은 다음 바저라를 쥐고 온갖 결호(結護)를 한다. 이어 간략히 공양을 마치고 머물되, 먼저 단에 들어가 있던 제자를 수호하고 그 밖의 사람은 도량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라. 여섯째 날의 장엄하는 법을 설명하여 마친다.
이어 일곱째 날의 아침에 아사리는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입은 다음 세 자가 되는 황색 천으로 자기 정수리를 싼 후에 네 자가 되는 붉은 색 천으로 이마를 감아 머리에 묶는다. 이를 이름하여 머리에 천관을 쓰는 법이라고 한다. 이어 앞서 매듭을 맺은 진언을 송한 오색줄을 자기의 오른팔 손목 아래에 묶고 곧 마두호신주인(馬頭護身呪印)을 하여 자기 몸 위에 인(印)한 다음 도량으로 들어간다. 이어 바저라를 쥐고 곧 금강군다리(金剛軍茶利) 등의 대신인주(大身印呪)를 지은 다음 단(壇) 밖으로 세 바퀴를 오른쪽으로 돌고 온갖 작법을 한다. 이어 다시 마두관세음인(馬頭觀世音印)을 결하고 아울러 마두관세음주(馬頭觀世音呪)를 송하며 시방계(十方界)를 결한다. 이어 금은병관(金銀甁盥)을 취하여 각각 깨끗한 물을 가득 채운 다음 낱낱의 대야[盥] 안에 약간의 오곡(五穀)과 용뇌향(龍腦香)과 앞서 비단에 싸 놓았던 7보를 넣은 다음 곧 버드나무 가지와 대나무 가지와 배나무 가지와 잣나무 가지를 각각 잎과 같이 취하여서 모든 대야와 병의 입구를 막고 이어서 7보를 싼 실 끝을 밖으로 내놓아라. 이것은 관정(灌頂)할 때 낱낱의 제자가 이 보물을 받들어 놓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낱낱의 수관(水罐)을 막은 가운데에 각각 한 알의 좋은 석류를 올려 놓은 다음 그 위에 각각 세 자가 되는 생견(生絹)으로 그 가지와 잎을 묶는다. 이어 네 개의 보배 쟁반을 취하여 두 개의 금 쟁반 속에는 향수를 가득 채우고 두 개의 은 쟁반 속에는 다양한 꽃들로 가득 채운다. 이어 온갖 보배꽃과 과일나무를 일일이 받침대에 꽂아서 단 위에 세워 놓아라. 이어 열 개의 오색 보촉(寶燭)을 취하여 동경(銅檠) 위에 놓되, 당문(堂門)을 둥글게 두른 안에 열 지어 놓은 다음 식반(食盤)을 동(銅) 쟁반 위에 갖추어 놓고 낱낱의 쟁반에는 각각 온갖 과식(菓食)과 가장 묘한 과자(菓子)와 석밀(石蜜)과 포도(葡萄)와 사탕(沙糖)과 소(蘇)와 꿀과 우유죽 등을 담아 놓아라. 이어 등잔을 갖추고 낱낱이 기름을 넣어서 각각 등을 밝힌 다음 금은첩합사라(金銀疊合娑羅)와 구리사발[銅鉢]과 다양한 꽃을 담아 놓고, 아울러 그 진언을 송한 동아줄과 흰 겨자와 호마인(胡麻人)과 도곡(稻穀)과 꽃과 8공덕수(功德水)를 그 응하는 대로 모두 다 갖추어 놓아라. 그리고 겸하여 동향로(銅香鑪)와 보자구(寶子具)를 갖추어서 중앙과 네 개의 문에 각각 한 구(具)씩 놓은 다음 여섯 개의 식반(食盤)을 갖추어서 박병(薄餠)과 포투(飽▼(飠+兪))와 염두(䭃頭) 등의 온갖 떡을 구비하여 놓아라. 그리고 각각 20매(枚)씩 모두 가늘게 잘라 부수어서 우유죽과 여러 가지 과자 등과 모두 섞은 다음 한 쟁반에 담아서 태워 공양할 것으로 준비한다. 이어 소(蘇)와 꿀과 우유와 낙(酪)과 청유(淸油)를 각각 그릇에 담은 다음 밀장(蜜漿) 한 되를 구리 사발에 담고 은국자를 함께 놓아라. 이어 오곡과 소두(小豆)와 청과(靑稞)와 대맥(大麥)과 곡식과 대두(大豆) 등을 모두 익혀서 광주리[筐器] 안에 한 개의 국자와 함께 담고 당(堂) 앞에 놓아라. 그리고 두 개의 동조관(銅澡罐)을 첨부하여 놓는데 한 개는 깨끗한 데 사용할 것이고 한 개는 더러운 데 사용할 것이다. 이어 곡시(穀柴)와 송명탄(松明炭) 등을 준비하여야 하니 모두 도량에 들어가서 사용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것들을 모두 다 엄정(嚴整)하게 당문(堂門) 밖 양상(兩相)의 밧줄 안에 놓아라.
이어 아사리는 잘 갖추어졌는지 아닌지를 일일이 자세히 살핀 다음 모두 손을 밧줄 안으로 넣어서 수관(水灌)과 꽃과 향과 8공덕수를 문의 서쪽에 줄지어 놓고, 납촉(蠟燭)과 식반(食盤)과 등(燈)과 장작과 탄(炭) 등을 문의 동쪽에 줄지어 놓아라. 이어 양부(兩部)의 청악(淸樂)으로, 장적(長笛)과 퉁소[簫]와 생황[笙]과 필률(筆篥)과 비파(琵琶)61)와 격죽(擊竹)과 공후(箜篌)62)와 방향(方響)63)과 쟁엽(箏葉)64)과 동발(銅鈸)65) 등을 각각 양사(兩事)를 갖추어 도량문(道場門)의 동서 양변(兩邊)에 상대해서 줄지어 놓아라. 그리고 나서 또 두 명의 제자를 도량 안으로 들여보내어 서쪽 벽 가까운 아래에 모직요[氈褥]를 펴게 하라. 이와 같이 다 준비하여 마친 다음에 아사리는 문의 동서쪽에 다시 법사(法事)를 지어서 호지(護持)하여 정(定)하게 하고 한 사람이라도 그곳에서 위좌(位坐)를 어지럽히지 못하게 하라. 이어 아사리는 모든 사람의 대중들을 보내어서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입게 한 다음 각각 도량을 향하여 중정(中庭)에서 열 지어 앉게 하라. 해가 서쪽에 이를 때 아사리는 당(堂) 바깥으로부터 손에 향로를 들고 도량 안에 들어가 오른쪽으로 한 바퀴 돌아 행도(行道)하고 나서 세 번 예배한다. 곧 향로를 놓고 나와서 자기 손에 금수관(金水罐) 한 개를 들고 단의 서쪽 문에 이르러 무릎을 꿇고 지심으로 관세음십일면보살주(觀世音十一面菩薩呪)를 백여덟 번 송하라. 만일 모든 부처님을 청하여 좌주(座主)로 삼을 때에는 그 해당되는 부(部)에 따라 각각 본주(本呪)를 백여덟 번 송하고 단에 들어가 좌주위(座主位)의 자리에 놓아라. 그 뒤를 이어 제자가 낱낱의 수관을 받들어서 아사리에게 준다. 이어 내원(內院)의 네 모서리와 동면의 중심에 각각 수관을 하나씩 놓고 또 외원(外院)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관을 하나씩 놓고 또다시 외원의 동쪽과 남쪽과 북쪽의 문에 각각 수관을 하나씩 놓고 그 단의 서쪽 문의 좌우 양변에도 각각 수관 하나씩을 놓아라. 그리고 그 서쪽 문에 있는 수관의 여러 나무 가지 위에 오색 줄을 감고 어림잡아 도량을 한 바퀴 둥글게 돌아 양을 헤아린 다음 곧 그 줄을 당겨서 도량을 한 바퀴 둘러싼다. 이어 보수(寶樹)를 내원으로 가지고 들어가 좌주위(座主位) 위의 네 모서리에 각각 한 그루씩을 놓고 네 개의 문 가운데에도 각각 한 그루씩을 놓아라. 이어 갖가지 색의 꽃들과 과일나무 등을 자리에 따라 한 그루씩 놓은 다음 오색 보촉(寶燭)을 취하여 내원의 좌주위 앞에 세 개의 보촉을 놓고 외원 네 면의 정중앙의 존자위(尊者位) 위에도 각각 하나씩 놓아라. 그리고 등화(燈火)를 놓되, 먼저 내원의 네 모서리의 좌주위의 사이에 네 잔의 등을 놓고 나머지 자리에도 따로 네 잔의 등을 놓아라. 이어 온갖 향과 꽃과 반(盤) 등을 놓은 다음 식반을 놓되, 먼저 내원의 좌주위 앞에 네 개의 반식(盤食)을 놓고 그 나머지 자리에도 각각 한 반(盤)씩을 놓아라. 그리고 나서 시주물을 다음과 같이 놓아라. 그 모든 불위(佛位)와 반야위(般若位)에는 각각 금과 상품의 비단 등의 물건을 놓고, 모든 보살 앞에는 모두 은과 품질 좋은 잡릉채(雜綾綵) 등을 놓고, 모든 금강 앞에는 각각 동전(銅錢)과 만채백(縵綵帛) 등을 놓고, 모든 천(天) 등의 앞에는 모두 각각 한 가지의 동전을 놓는다.그 보물 등의 많고 적음은 시주(施主)의 마음대로 한다.
도량(道場)을 해산하는 날 그 불전 앞에 놓았던 물건은 부처님을 조성하는 데 사용하고, 반야 앞에 놓았던 물건은 『반야경(般若經)』과 그 밖의 모든 경들을 베껴 쓰는 데 사용하며, 모든 보살 앞에 놓았던 물건은 보살에 관계되는 데 사용한다. 그리고 그 금강 앞에 놓았던 물건과 천(天) 등에 놓았던 물건은 아사리가 가지고 법용(法用)에 따라 사용한다. 또한 두관(頭冠)으로 사용했던 비단과 두 개의 산개(傘盖)와 수관(水罐)을 묶었던 비단 역시 아사리가 사용한다. 이어 대향로(大香鑪)로 장엄한다. 먼저 내원의 좌주위(座主位) 앞에 향로 하나를 놓고 외원(外院)의 네 개의 문에 향로 한 개씩을 놓은 다음 다시 외원의 네 개의 문에도 각각 향로 한 개씩을 놓아라. 이어 서쪽 문의 수관 근처에 대향로를 놓는데, 이것은 아사리가 받들어 가고 오며 법사를 행할 때 쓸 것이다. 화로마다 따로 각각 온갖 뛰어난 향을 태워서 연기가 나게 한 다음 화로 곁에 수관 하나를 놓고 또 식반(食盤)과 등(燈)을 각각 하나씩 놓아라.
이어 아사리는 네 개의 문을 돌면서 다시 자세히 살펴보되, 반드시 잘 검사하고 교정하여서 골고루 잘 갖추어지게 한 다음 손에 향로를 들고 단의 외변(外邊)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한 바퀴 돌며 행도하고 나서 곧 향로를 제자리에 놓아라. 그리고 서쪽 문 밖의 수관 위에 있는 오색 줄의 끝을 취하여 그 한 끝을 잡아당겨 오른쪽으로 돌며 단 외변에 있는 도량의 깃대 위로 돌아 다시 서쪽 문에 도달하기까지 한 바퀴를 돌고 묶는다. 이어 제자 한 사람이 단의 서쪽 문 밖에 아사리를 위하여 모직요를 깔되, 그 자리는 단문(壇門)과 세 자쯤 떨어진 곳으로 하고 앞에 모든 공양구(供養具)와 향과 꽃 등의 물건을 줄지어 놓아라. 이어 아사리는 향로를 받들고 범찬패(梵讚唄)를 하며 향과 꽃과 공양구를 나가서 맞이하고, 네 명의 제자가 공양구와 향수 등의 그릇을 들고 아사리의 뒤를 따른다. 아사리는 손에 향로를 들고 도량으로 이끌어들여서 오른쪽으로 한 바퀴 돈 다음 단의 서쪽문 밖의 자리 앞에 놓아라. 그리고 차례대로 줄지어 낱낱의 향과 꽃과 쟁반[盤]과 접(楪)과 공양구와 소(蘇)와 꿀과 우유와 낙(酪)과 호마인(胡麻人)과 그 밖의 모든 음식과 땔나무와 숯과 송명(松明) 등의 이와 같은 물건을 화로 곁에 모두 펼쳐 놓아라. 이 일을 다 마친 다음 또 두 개의 산개[蓋]를 도량 곁에 기대 놓아라. 자색 산개는 북쪽에 놓고 비색 산개는 남쪽에 놓아라. 또 도량의 동북 바깥의 측면에 있는 백단(白壇) 위에는 다섯 쟁반의 음식과 다섯 잔의 등을 놓고 온갖 것을 안치한 다음 아사리는 도량 밖으로 나아가 문(門)의 좌우 상(相)에 있는 두 명의 신왕(神王) 앞에 각각 향로와 등과 식반(食盤)을 하나씩 놓아라. 이어 당(堂)의 계단을 내려와서 중정(中庭)의 백단(白壇) 위에 이르러 네 잔의 등과 네 쟁반의 음식을 놓은 다음 선대상자(宣臺牀子)를 하나씩 놓는데 이것은 중인(衆人)의 관정단위(灌頂壇位)이다. 이어 악기[音樂]를 차례로 줄지어 놓고 도량 문 밖의 양 상(相)에 앉는다.
이어 아사리는 다시 한 번 두루 검사하여 교정하고 나서는 곧 도량으로 들어가 단의 서쪽 문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손으로 향로를 들고 다시 공양하기를 아뢴다. 곧 한 번 찬탄하는 소리를 내고 이 소리가 그치면, 문 밖에서 모든 음악을 일시에 연주한다.산화불곡(散花佛曲)을 연주하되, 곡(曲)이 끝나면 곧 그친다. 이어 아사리는 쟁반 안에 있는 꽃을 집어 향수(香水) 속에 넣어서 조금 젖게 한 다음 곧 이 꽃을 자기 손바닥 안에 넣고 청불인(請佛印)을 결하여 먼저 내원 중심의 좌주(座主)를 청하고 진언을 일곱 번 송하며 오고 가게 하라. 그 작법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이와 같이 하여서 청하여 오면, 곧 화좌인(華座印)을 결하고 진언을 일곱 번 송하기를 역시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하여 자리에 안치한 다음 곧 그 손바닥 안에 있던 꽃을 놓아라. 이어 내원은 동쪽 항렬마다 차례대로 낱낱이 인(印)을 결하여 봉청(奉請)하고 각각 본주(本呪)를 일곱 번씩 송하며 왔다갔다하되, 자리를 만드는 법은 모두 위에서 말한 화좌(華座)의 작법과 같이 한다. 이어 북쪽 항렬을 청하되, 위의 작법에 준해서 하고 또 위의 작법에 준하여 남쪽 항렬을 청하며, 또 역시 위의 작법에 준하여 서쪽 항렬을 청한다. 이어 중외원(中外院)에 이르러 먼저 동쪽 항렬로부터 일일이 인(印)을 결하고 각각 본주(本呪)를 일곱 번씩 송하며 왔다갔다하되, 모두 본법(本法)과 같이 한다. 또한 위의 작법과 같이 화좌인(華座印)을 결한다. 그리고 역시 위의 작법에 준하여 북쪽 항렬을 청하고 역시 위의 법에 준하여 남쪽 항렬을 청하며 또 위의 법에 준하여 서쪽 항렬을 청한다. 이어 대외원(大外院)에 이르러 먼저 동쪽 항렬로부터 일일이 인을 결하고 각각 본주(本呪)를 일곱 번씩 송하며 왔다갔다하고 모두 화좌(華座)를 만들어서 앞에서와 같이 안치하라. 그리고 역시 위의 작법에 준하여 북쪽 항렬을 청하고 또 위의 법에 준하여 남쪽 항렬을 청하고 또한 위의 작법에 준하여 서쪽 항렬을 청한 다음 모두 화좌를 만들어서 앞에서와 같이 안치하라. 만일 그 해당되는 부(部)에 인과 진언이 없으면, 모든 부처님을 청할 때에 일체제불인법(一切諸佛印法)을 사용하고 모든 보살을 청할 때에는 일체보살인법(一切菩薩印法)을 통용한다. 금강을 청할 때에도 또한 일체금강인법(一切金剛印法)을 사용하고 모든 천을 청할 때에도 역시 일체제천인법(一切諸天印法)을 사용하며, 모든 귀신 등을 청할 때에도 역시 일체제귀신법(一切諸鬼神法)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여 낱낱이 차례대로 모두 봉청(奉請)하기를 마친 다음에 삼마야대결계법(三摩耶大結界法)을 결한다. 인법(印法)은 다음과 같다.
좌우의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손바닥 안에서 서로 교차시키고 두 손의 가운뎃손가락을 세우되, 비스듬히 펴서 끝을 서로 맞대어 놓은 다음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의 등 쪽을 잡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집게손가락의 밑마디의 줄무늬에 붙여서 잡는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저라 상가례 삼마라 삼마염 반다반다 사바하
唵一跋折囉二合二商迦禮三三摩羅四三摩焰五盤陀盤陀六莎 訶七66)
이 인을 결하고 진언을 일곱 번 송한 다음 인을 오른쪽으로 세 바퀴 돌리면 대결계(大結界)라고 이름하니 이렇게 하여 안위(安慰)하고 좌정(坐定)한다. 이어 말향(末香)을 취하여 단 안에 있는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금강 등의 위에 뿌린 다음 꽃을 뿌리는 법사를 한 번 행한다. 이어 세 번 예배하고 세 바퀴를 행도(行道)한 다음에 문 밖에서 모든 음악을 연주하게 한다.아미타불곡(阿彌陀佛曲)을 연주하되, 곡이 끝나면 곧 그친다.
이어 아사리는 향로를 들고 나가 여섯 명의 제자들로 하여금 각각 한 가지씩을 잡게 하는데 한 명은 화수(華水)를 잡고, 두 명은 함께 익힌 오곡을 잡고, 한 명은 식반(食盤)을 받들고, 한 명은 꿀물잔을 들고, 한 명은 횃불을 들고 아사리 뒤를 따라가서 모두 모든 배종(陪從)과 수호 귀신들에게 베풀어 주고 나아가서 모든 아귀(餓鬼) 부류에게도 널리 베풀어 주어서 모두 만족하게 하라.
이와 같이 사방과 상하에 모두 흩어서 베풀고 난 후 아사리는 손을 씻고 양치질한 다음 도량 안으로 들어가 세 번 예배한다. 그리고 다시 찬패(讚唄)하는 작법사(作法事)를 마치면 문 밖에서 음악을 연주한다.관세음곡(觀世音曲)을 연주하되, 곡이 끝나면 그친다. 이어 아사리는 바저라를 잡고 열 명의 제자를 불러 당(堂) 앞에 와서 서되, 한 명은 납촉(蠟燭)을 받들게 하고 한 명은 향로를 들게 하며 한 명은 화반(華盤)을 들게 하고 한 명은 향반(香盤)을 들게 하며 한 명은 수건[巾]을 들게 하라. 그리고 이 다섯 명을 이끌되, 아사리보다 앞서서 가게 하고 아사리는 뒤에서 다섯 명의 뒤를 따라 나간다. 또 다섯 명으로 하여금 한 명은 조관을 들게 하고, 한 명은 3의(衣)를 받들게 하며, 한 명은 흰 겨자반[白芥子盤]을 받들게 하고, 한 명은 말향반(末香盤)을 받들게 하며, 한 명은 안실향반(安悉香盤)을 받들게 한 다음 뒤에 악기[音樂]를 따르게 하여 각각 전후 차례대로 아사리의 뒤를 따라가게 하라. 아사리는 바저라를 잡고 빈번히 바저라를 돌리면서 가되, 범찬패(梵讚唄)를 행하여서 법을 받을 모든 사람들을 영접한다. 이 때 사람들은 아사리가 오는 것을 보고 일어나 걸어간다. 아사리는 도착하고 나서 향로를 다시 받아 앞에 세워 두고 촉(燭)과 향(香)과 꽃과 악기를 모두 각각 저 문(門)의 양 상(相)에 나란히 세워 놓아라.
이어 아사리가 문 옆에 이르면 조관과 흰 겨자와 삼의를 든 세 사람은 아사리를 쫓아가 서로 멀어지지 않게 하라. 아사리는 입으로 불교(佛敎)를 전하여 대중들에게 펴 보이며 말하기를, ‘그대들은 모두 이와 같은 비밀법을 보고 배우기를 원하는가?’라고 한다.대중들이 대답하기를, “기꺼이 보고 배우기를 원합니다”라고 한다. 이어 아사리는 조관의 물을 취하여 오른손 안에 담고 군다리심주(軍茶利心呪)를 송한 다음 그 물에 진언을 송하고 일일이 대중들의 정수리에 뿌린다. 그리고 흰 겨자에 진언을 송하여서 대중들을 때리기를 역시 위의 법과 같이 한다. 이와 같이 낱낱이 차례대로 때리고 난 다음에 아사리는 다시 범찬(梵贊)을 하며 모든 대중을 인도하여서 그 대중들로 하여금 음악을 연주하며 뒤를 따라오게 하고 그 음악소리가 끊어지지 않게 하라. 대중들은 각각 몸과 입으로 선한 일을 생각하며 도량처(道場處)를 향하여 당(堂)의 계단 아래와 가까운 서남 모서리에 선다. 그리고 마음을 안정하고 무릎을 꿇고 앉아 음악을 연주한다.곡이 끝나면 곧 그친다.
이어 아사리는 흰 겨자를 쥐고 마두보살주(馬頭菩薩呪)를 송하되, 진언을 일곱 번 송하고 나서 세 번씩 낱낱의 머리 위를 내리친다. 그리고 호신인(護身印)을 결하여서 낱낱 제자의 몸 위에 인(印)하여 호신(護身)하여 준다. 몸에 인(印)하는 법은 군다리법 가운데에서 말한 것과 같다. 이어 조관의 물을 낱낱의 제자에게 주어서 손을 씻고 양치질을 하게 한 다음 도량의 계단 위 바로 문(門)에 해당하는 곳에 미리 털방석을 펴놓되,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을 앉히는 자리에 준한다. 이어 아사리는 대중들을 이끌고 서쪽 계단 위로 올라간 다음 자리 위에 서서 곧 세 번 예배하고 모두와 함께 과거ㆍ현재ㆍ미래의 3업(業)의 죄를 참회하되, 실오라기만큼도 숨기는 것이 없이 모두 드러내어서 참회한다. 그리고 모든 음악을 계단 아래에서 연주하게 한다.곡이 끝나면 곧 그친다. 아사리는 도량에 들어가 그 제자로 하여금 깨끗한 전석을 당(堂) 안에 펴게 하고 향과 꽃과 납촉(蠟燭) 등의 그릇을 놓게 하라. 그 조관 등은 우선 놓지 말고 뒤를 따라 받들게 하여 행하고 예배한다. 이어 모든 부처님의 만행공덕법사(萬行功德法事)를 우러러 찬탄하며 말씀드리되, 다음과 같이 게송으로 찬탄한다.
지혜로우시며 정진하시는
부처님께 귀의하옵니다.
나라연(那羅延)의 힘 지니신
골쇄신(骨鎖身)이시여,
이 반야바라밀다는 8만 4천 법문의 창고이며
만행공덕의 근본이니
대자비하신 아버지께서 항상 두루
모든 6도(道) 중생을 위하시도다.
이렇게 찬탄하며 한 바퀴 행도(行道)하고 나서 세 번 절하고 다시 물러나 도량문(道場門)을 나온다. 그러면 문 밖에서 음악이 일시에 모두 울린다.곡이 끝나면 곧 그친다. 이어 아사리는 다시 대중들에게 대호신법(大護身法)을 해주며 흰 겨자로 각각 한 번씩 때리고 또 신인(身印)을 결하여서 심마(心魔)를 항복시킨다. 그리고 조관의 물에 낱낱의 진언을 송하여 모든 제자들의 가슴을 사람마다 한 번씩 때린다. 그리고 수인(手印)을 결하여 낱낱이 인(印)해 준 다음에 향수를 낱낱의 몸에 뿌린다. 이어 향로의 향을 쏘여 호정(護淨)해 주고, 바저라로 낱낱이 정수리에 인(印)해 준 다음 다시 향수로 손을 씻고 양치질하게 하라.음악을 그친다. 아사리는 그 대중을 부르되, 나이가 많은 사람 순으로 낱낱이 문 옆의 자리 위에 나아가 예배하고 꿇어앉게 하라. 이어 아사리는 황색 비단을 가지고 대제자(大弟子)의 눈을 가린 다음 제자의 손을 잡고 관세음보살삼매인(觀世音菩薩三昧印)을 결하게 하여 인 가운데에 꽃을 놓아라. 그리고 아사리는 제자의 머리를 잡아끌어서 도량으로 들어가 단의 서쪽 문 앞에 단을 향하여 서되, 아사리는 문의 북쪽에 서고 제자는 문의 남쪽에 선다. 그리고 아사리는 관세음삼매주(觀世音三昧呪)를 송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반모바바 야 사바하
唵一般母波婆去音夜二莎 訶三67)
이 진언을 일곱 번 송하고 나서 제자들로 하여금 손 안에 있는 꽃을 마음대로 단 안으로 던지게 하여 꽃이 부처님들의 연화좌에 떨어지면 눈을 가린 비단을 풀어 준다. 그리하여 위지(位地)를 보게 하고 세 번 절하게 한 다음에 아사리는 말하라.
“너희가 던진 꽃이 아무 부처님과 반야와 아무 보살과 아무 금강과 아무 천 등의 위(位)에 떨어졌다. 그 떨어진 곳을 잘 기억하여 잊지 말라.”
꽃을 던진 후68) 도량 안의 문(門) 남쪽에 꿇어앉아서 뒤의 제자가 오기를 기다린 다음 곧 물러나게 하여 서변(西邊)에 앉게 하고 그 나머지 제자들도 낱낱이 이에 준하여 모두 다 주위에 둘러앉게 하라. 아사리 역시 이 법에 준하여 꽃을 던진 후 악인(樂人)을 부르되, 계단 위로 올라가 단(壇) 쪽으로 횡렬(橫列)로 앉아서 여러 곡의 음악을 연주하게 하라. 이어 아사리는 위의를 엄정히 하고 모든 제자들을 거느려 예계(禮啓)하고 나서 일시에 행도(行道)하여 단을 세 바퀴 돌고 위(位)에 의거하여 앉는다.
이어 아사리는 스스로 단 안의 좌주위(座主位) 위에 있는 수관을 취한 다음 다시 나와서 단의 서쪽 문 밖에 이르되, 한 명의 제자를 보내어서 손에 비색 산개[蓋]를 들고 아사리의 뒤를 쫓아오게 하라. 그리고 도량을 오른쪽으로 돌아 나와 중정(中庭)의 관정단(灌頂壇) 위에 이른 다음 서쪽 문으로부터 들어가 상자(牀子) 옆에 도달하여 몸을 바로 하고 선다. 이어 아사리는 관정법인(灌頂法印)을 결하고 왼발을 정(丁)자처럼 하여 서되, 오른발과 세 치쯤 떨어지게 하고 왼쪽 무릎을 곧게 펴서 선다. 그리고 오른손을 아래로 내려뜨려 새끼손가락을 펴고 집게손가락을 약간 구부린 다음 그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을 고리 모양으로 구부려라. 엄지손가락 역시 조금 구부려서 가운뎃손가락과 집게손가락과 2푼쯤 떨어뜨려 놓고 왼손 역시 그렇게 하라. 이어 수관(水罐)을 양손으로 들어올려 자기의 정수리 위에 들고 소리내어 심주(心呪)를 일곱 번 송한 다음 부어서 곧바로 아래로 흐르게 하라. 정수리에 부을 때 마음과 입으로 발원하고무엇무엇이라고 말한다. 발원하기를 마치고 나서는 곧 깨끗한 옷을 입고 도량 안으로 들어가서 도량문 옆에 있는 한 명의 제자로 하여금 자색 산개를 들고 아사리의 머리 위에 씌우게 하라. 그리고 단의 서쪽 문에 이르러 도량을 오른쪽으로 행도(行道)하여 한 바퀴 돈다. 아사리는 다시 차례대로 낱낱의 제자를 불러서 단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앞에 준해서 수관을 들고 물러 나와 관정단(灌頂壇)에 이르러 서쪽 문으로 들어간다. 그 비색 산개를 든 제자는 아사리를 좇아 법대로 뒤를 따르되, 제자에게 산개를 씌워 주고 외단(外壇)에 이른다. 이어 아사리는 그에게 법인(法印)을 결하여 주고 수관을 받든 다음 묻는다.
‘네가 전에 던진 꽃이 어느 부처님의 자리에 떨어졌느냐?’
그리하여 반야와 보살과 금강과 모든 천과 신귀(神鬼) 등의 그 말한 데에 따라 본인(本印)을 지어 주고 인을 정대(頂戴)하게 한 후에 인의 끝을 위로 향하게 하여 손바닥 안에 꽃을 놓아라. 또한 인(印)에 물을 받들게 하여 본주(本呪)를 송하고 그의 정수리 위에 붓는다. 이 때 제자는 마음과 입으로 앞에서와 같이 발원한다.무엇 무엇이라고 한다. 이어 수관 안에 있는 보물을 거두고 이 보물을 앞의 진언을 송한 동아줄에 묶어서 영원히 몸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라. 목숨이 끊어질 때 반드시 이 보물로 신험(信驗)을 삼도록 하기 위하여 관정(灌頂)하여 주는 것이다. 관정을 끝낸 다음 곧 깨끗한 옷을 입고 도량에 들어가 자색 산개로써 영접하고 예배하는 법사(法事)를 더하되, 한결같이 아사리의 위의(威儀)와 나아가고 멈추는 것에 준하여 하게 하고, 단의 서쪽 문에 이르러 본위좌(本位坐)에 의거해 세 번 예배하도록 한다.
이어 아사리는 다시 단 안으로 들어가 수관을 취하고 낱낱이 위에 준하여 차례대로 영송(迎送)하는 관정법사(灌頂法事)를 하되, 조금도 다름없이 모두 두루하게 하라. 아사리는 예배하고 공양한 다음 모든 대중을 거느리고 행도하여서 세 바퀴를 돌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앉는다. 이어 아사리는 단의 서쪽 문의 화로 근처 서쪽에 몸을 단정히 하고 앉아 그 화로 속에 곡식과 땔나무를 태워라. 그리고 마땅히 먼저 화천인(火天印)을 결하고 본주(本呪)를 송하여서 화로 안에 앉힌 다음 향과 꽃과 소(蘇)와 꿀과 음식과 호마인(胡麻人) 등에 각각 일곱 번씩 본주를 송하고 태워야 한다. 그리고 나서 아사리는 마음속으로 기억하기를, ‘우선 화천(火天)이 나와 화로의 외변(外邊)에 앉았으니, 지금 부처님과 반야와 모든 보살 등에게 공양하고자 한다’고 한다. 이어 마두관세음인(馬頭觀世音印)을 결하고 본주(本呪)를 송하여 청하고 연화인(蓮花印)을 결하여서 화로 안에 앉게 하라. 아사리는 바저라를 잡고 차례대로 모든 입단제자(入壇弟子)들을 부르되, 낱낱이 아사리에게로 오면 오른쪽으로 돌아 예배하게 하고 꿇어앉아 합장하게 한 다음 그 손으로 바저라 끝을 받들게 하라. 그리고 아사리는 오른손을 제자의 손 위에 놓아 바저라를 잡고 왼손으로는 호마인(胡麻人)을 잡는다. 그리고 본심주(本心呪)를 일곱 번 송하여서 태운 다음 소(蘇)를 취하여 스물한 번 진언을 송하여 사른다. 이와 같이 사르고 나서 그 제자로 하여금 본위좌(本位坐)에 의거 예배하고 물러가게 하되, 그 밖의 나머지 제자들의 낱낱의 법사(法事)도 모두 두루 앞에서와 다름없이 한 다음 다시 본인(本印)을 결하고 심주(心呪)를 송하여서 마두보살(馬頭菩薩)을 본래의 자리로 보낸다. 이어 좌주(座主)를 청하여 그 본인을 결하고 본심주를 송하며 연화인(蓮華印)을 결하여서 화로 안에 앉힌 다음 그 본주(本呪)를 송하고 모든 향과 꽃과 호마인과 소와 꿀과 우유와 낙(酪)과 음식과 갖가지 과일과 기름 등의 물건을 태워서 공양하라. 다시 본인을 결하고 그 본주를 송하여서 본위(本位)로 보낸다.
이어 내원(內院)의 낱낱의 차례대로 낱낱의 부처님과 반야와 보살과 금강과 천 등을 청하여 각각 본인을 결하고 그 본주를 송하며 연화인을 결하여서 화로에 앉게 한 다음 그 본주를 백여덟 번이나 일흔일곱 번을 송하되, 모두 다 통용해도 된다. 그리고 모든 향과 꽃과 호마인과 소와 꿀과 우유와 낙(酪)과 음식과 갖가지 과일과 기름 등의 물건을 태워서 공양을 마친 후 다시 본인을 결하여서 본위로 돌려보낸다.
이와 같이 모든 위(位)를 각각 맞이하여 받아들이고 공양하며 보내는 법을 앞에서와 다름없이 한다. 그 받들어 청하고 보내는 법은 모두 먼저 동면 북쪽 끝의 첫 번째 좌위(座位)에서 시작하여 남쪽 끝의 첫 번째 좌위에서 마쳐 동면을 끝낸 다음 북면 동쪽 끝의 첫 번째에서 시작하여 서쪽 끝의 첫 번째 좌위에서 마쳐 북면을 끝낸다. 이어 남면 동쪽 끝의 첫 번째 좌위에서 시작하여 서쪽 끝의 첫 번째 좌위에서 마쳐 남면을 끝낸 다음, 서면 남쪽 끝의 첫 번째 좌위에서 시작하여 북쪽 끝의 첫 번째 자리에서 마친다.
한 원(院)을 이와 같이 한 다음에 나머지 원(院)도 역시 그렇게 하라. 이와 같이 차례대로 모두 두루 마친 다음에 국주(國主)인 황제(皇帝)와 황후(皇后)를 위하여 향과 꽃 등의 모든 물건을 태워 공양하고 그들을 위하여 진언을 마흔아홉 번을 송하여 채운다. 이어 태자(太子)와 모든 왕비주(王妃主)를 위하여 이와 같이 공양하고 또한 진언을 만 마흔아홉 번을 송하라. 그리고 대신(大臣)과 문무백관(文武百官)을 위하여 이와 같이 공양하고 역시 진언을 마흔아홉 번 송하여 채운다. 또한 역겁(歷劫)의 과거와 현재 동안의 모든 스승과 모든 부모들을 위하여 공양하고 진언을 마흔아홉 번 송한 다음 모든 업도(業道)의 모든 관리[官]를 위하여 공양하고 진언을 마흔아홉 번 송하라. 이어 시방의 모든 시주(施主)를 위하여 공양하고 진언을 마흔아홉 번 송한 다음 시방의 진공법계(盡空法界)의 6도 4생(生)의 8난(難)과 8고(苦)로 고통받는 모든 중생을 위하여 공양하고 진언을 마흔아홉 번 송하라. 이어 아사리 자신을 위하여 공양하고 진언을 스물한 번 송하여 채운 다음에 도량의 주인(主人)과 그들의 가정을 위하여 공양하고 진언을 앞에서와 같은 수로 송하라.
이렇게 국주(國主)로부터 주인(主人)에 이르기까지 모두 다 관세음십일면보살대심주(觀世音十一面菩薩大心呪)를 송하고 모두 다 모든 공양법을 쓴다. 그리고 아사리는 모든 부처님과 반야와 보살과 금강과 천 등의 그 해당되는 부[當部]의 법인(法印)을 결하되, 진언은 송하지 않고 낱낱의 차례대로 대중에게 현시(顯示)하며 공양하라. 이렇게 온갖 법사(法事)를 두루 갖추어 한 다음에 반야멸죄인(般若滅罪印)을 결하여서 가슴 위에 놓고 소리내어 입으로 과거와 현재의 3업(業)의 죄를 말하되, 낱낱이 다 진술하여서 지심으로 참회하고 영원히 상속(相續)하는 것을 끊어서 동요하지 않게 하라. 그리고 모든 제자들이 빈번히 부처님께 예배한 다음에 아사리는 금강장군다리찬탄도량성취만원인(金剛藏軍茶利讚歎道場成就滿願印)을 결하고 그 신주(神呪)를 송하라.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살바몯다아디-띠 뎨 바라혜 몌 가가나 감 사만다 사바하
唵一薩婆菩馱阿提瑟恥二合帝二頗囉醯上音迷三伽伽那去音劍平音四娑縵馱五莎 訶
六69)
이와 같이 마흔아홉 번을 송하여 채운 다음에 입으로 찬탄하는 소리를 내고 다음과 같은 게송을 읊는다.
지혜로우시고 정진하시는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나라연의 힘 지니신
골쇄신이시여,
이 반야바라밀은
8만 4천 법문의 창고이고
만행공덕의 근본이며
다라니보문(陀羅尼普門)의 창고입니다.
이와 같은 게송을 읊고 나서 각각 발원하여 말하라.
‘여기에 모인 제자들과 모든 꿈틀거리는 중생들의 종류와 모든 업(業)의 세계에 있는 자들이 이제부터 만일 인간으로 태어난다면 항상 대승의 매우 깊은 경법(經法)과 다라니장(陀羅尼藏)과 시방의 모든 부처님의 대비(大悲)하신 명호를 듣고, 악한 일을 보지 않고, 악한 법을 듣지 않고, 외도를 만나지 않고, 9횡(橫)70)과 8난(難)과 8고(苦)를 당하지 않고, 목숨이 끊어질 때 시방정토에 뜻대로 왕생하여서 항상 모든 부처님을 뵙기 원하오니, 모든 중생 역시 그렇게 되기를 원하옵니다.’
이 때 대중들이 모두 ‘훌륭합니다’라고 찬탄한다.
이어 아사리는 모든 제자를 불러서 낱낱이 차례대로 호신(護身)하여 주고 호신을 끝내고는 날이 밝아올 무렵에 손에 향로를 들고 모든 대중을 이끌며 행도하되, 세 바퀴 돌아 예배하고 물러가게 하라. 이어 아사리는 우러러 사죄하며 말하라.
‘온갖 향과 꽃과 음식공양이 법과 같이 많이 갖추지 못한 것을 크게 참괴(慙愧)하오니, 원하옵건대 모든 성스러운 대중들이시여, 대자비로써 환희를 베풀어 주소서.’
그 후에 손으로 해인(解印)을 결하고 인을 왼쪽으로 돌리며 진언을 일곱 번 송하라. 좌주(座主) 이하도 각각 낱낱이 따로 발견인(發遣印)을 결하고 본주(本呪)를 송하여서 청할 때와 다름없이 각각 보내되, 인을 왼쪽으로 돌려서 흩어 보낸다. 이를 이름하여 거법(去法)이라고 한다. 보내기를 다 마친 후에는 한 명의 제자를 보내어서 시주한 돈과 비단 등의 물건을 두게 하고 앞의 법용(法用)에 의거하여 처분(處分)한다. 또 한 명의 제자를 보내어서 단 안의 음식을 거두게 한 다음 아사리는 세 등분으로 나누되, 한 부분은 절 안의 대중들에게 공양하고, 한 부분은 빈궁한 걸식 아동에게 베풀어 주며, 한 부분은 물과 뭍과 허공의 모든 중생 등에게 나누어 주어야 할 것이니, 입단제자(入壇弟子)와 아사리와 주인 등은 모두 먹지 말아야 한다. 만일 먹으면 법이 모두 효험이 없게 된다. 이미 처분을 끝냈으면 아사리는 관솔불[松明]을 든 채 모든 제자들을 거느리고 단에 들어가서 차례대로 순행(巡行)하며 대중들에게 말하라.
‘이곳은 바로 아무 부처님께서 앉으셨던 자리이고, 이곳은 바로 아무 반야의 자리이며, 이곳은 아무 보살의 자리이고, 이곳은 아무 금강의 자리이며, 이곳은 아무 성승(聖僧)의 자리이고, 이곳은 아무 천(天)의 자리이며, 이곳은 아무 신(神)의 자리이고, 이곳은 아무 귀신의 자리이며, 이곳은 아무 용(龍)의 자리이다.’
이와 같이 낱낱이 차례대로 모두 다 보여 주어서 기억[記念]하게 한 다음에 깨끗한 진흙으로 모두 청소하고 단 위에 있는 색좌(色座)를 없애되, 해가 뜰 때까지 해서는 안 된다. 모든 그 밖의 법도 모두 또한 이와 같이 하고 밖의 모든 것은 그 후에 흩어 버린다.”
이 때 부처님께서 모든 보살마하살과 모든 금강과 아라한 등의 모든 대중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내가 지금 이 회(會)에서 일체의 미묘하고 매우 깊은 비밀다라니인법장(秘密陀羅尼印法藏)을 말할 때, 한량없이 많은 모든 천인(天人)과 팔부중(八部衆)과 모든 대귀신(大鬼神)과 모둔 외도권속(外道眷屬) 등 모두와 필추와 바라문과 우바새가(優婆塞迦)와 모든 선남자와 인비인(人非人) 등이 내가 설하는 이 법인신주(法印神呪)의 희유한 일을 듣고는 환희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그런데 이 때 시방의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한량없이 많고 셀 수 없이 많은 모든 불여래(佛如來)와 모든 보살마하살과 금강밀적(金剛密迹)71)과 대아라한(大阿羅漢)과 성문(聲聞)의 대중 모두와 모든 천룡팔부신(天龍八部神) 등이 각각 향과 꽃과 음식과 의복과 온갖 음악을 흩어 공양하며 동시에 찬탄하니 허공에 가득하였다. 그리고 그들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나서는 모두 크게 환희하며 각각 본뜻[本意]을 내었으니, 주법(呪法)을 말하여 모두에게 갖가지 이익을 주었고, 이 모임에 또 무량한 천(天)들이 있어서 모든 주법(呪法)을 바쳐 신력(神力)으로 불법장(佛法藏)을 보호하였으며 모두가 위엄(威嚴)이 있었으므로 내가 또한 인가하였다. 그러므로 나의 밀장(密藏)에 함께 들어가 널리 도량을 설치하고 도단법(都壇法)을 갖춘 다음 모든 명자(名字)를 늘어놓아 법위(法位)에 위엄 있게 임(臨)하였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 법을 우연히 듣게 된다 하여도 곧 능히 모든 죄를 멸하여 없앨 것이거늘 하물며 다시 법문다라니장(法門陀羅尼藏)을 널리 여는 것이겠는가? 이를 제일 희유한 것을 성취한다고 이름한다. 이 다라니비밀법장은 실성(實誠)하고 미세(微細)하며 또한 보기도 어렵고 듣기도 어려우며 또한 베껴 쓰기도 어렵고 또한 읽기도 어렵고 또 받아 지니기도 어려우며 의취(義趣)와 방편(方便)의 이치도 알기 어렵다. 만일 어떤 필추나 바라문이나 우바새가나 선남자 등이 이 경을 좋아하여 항상 닦고 익히며 독송하고 모든 법인(法印)을 결하며 도량을 널리 시설하고 날마다 향과 꽃과 소(穌)와 등(燈)을 끊이지 않게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 공양하고 위의(威儀)에 모자람이 없이 항상 고행(苦行)하며 경을 독송하고 부처님을 생각하며 두루 법계의 모든 중생을 위하여 과거와 현재의 3업의 죄를 참회하고 부지런히 이들 공덕법문(功德法門)을 닦아서 몸과 마음에 게으름 없이 밤낮으로 정진하며 항상 청정한 행을 닦고 자비로써 모든 중생들을 호념하며 불쌍히 생각하면, 능히 수행자의 모래알같이 많은 겁(劫) 동안의 장애와 어려움을 일으키는 죄를 없앨 것이니, 한 생각에 모두 다 없어질 것이다.
만일 다시 어떤 사람이 보리심을 내어서 모든 질병을 고쳐 주고 너희들에게 깊이 권하며, 또한 모름지기 방편으로 모든 고뇌하는 중생에게 자애롭게 한다면 마땅히 알라. 이와 같이 발심(發心)한 사람은 현세의 몸에서 항상 온갖 과보를 받으리라. 내가 모든 보살들과 함께 수행자를 호위하고 밤낮으로 억념(憶念)하여서 서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니, 횡악(橫惡)이 그 몸을 침해하지 못할 것이며, 만일 목숨이 끊어진 후에는 시방의 정토(淨土)에 뜻대로 왕생하여 항상 모든 부처님을 볼 것이다. 만일 이 법을 행하면서 좋지 않은 마음을 내고 그 중생들을 항상 속이며 망령되이 첨곡(諂曲)한 말을 하고 명예와 이익을 탐하여 구하고 모든 신귀(神鬼)에게 함부로 성내어 꾸짖으며 대위풍(大威風)을 받들어 항상 악한 일을 행하면, 이러한 무리들은 모든 귀신이 항상 그 틈을 보아 뜻밖의 화를 자주 당할 것이며, 온갖 고뇌가 그 몸을 핍박하고, 만일 목숨이 끊어졌을 때에는 다시 형해(刑害)를 받아서 마땅히 지옥에 떨어져 나올 기약이 없게 될 것이다. 그러니 너희 중생들은 모두 모름지기 나의 말을 자세히 듣고 믿고 받아들여서 결정코 의심이 없도록 하라.”
이 때 세존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모임 가운데에 앉아 있던 모든 대중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고 일시에 칭선(稱善)하며 예배하고 물러갔다.
불설장엄도량급공양구지료탁법(佛說莊嚴道場及供養具支料度法)이하의 큰 글자는 모두 경본(經本)이고 작은 글자는 사람의 생각이다.
금동령대(金銅鈴帶) 48도(道)각기 길이가 일곱 자이다., 대패(大珮) 28 도각기 길이가 여섯 자이다., 소패(小珮) 28도각기 길이가 네 자이다., 큰 거울 28면(面)각기 지름이 한 자이다., 작은 거울 40면(面), 유리포화(琉璃泡華) 4백 매(枚)각기 네모나거나 둥근 것이 한 자이다., 채색 큰 깃발 백 자짜리 24구(口)49자짜리도 되며 품질 좋은 새 것으로 한다., 갖가지 채색의 깃발 2백29길이가 한 길로 품질 좋은 새 것으로 한다., 진주(眞珠) 2백 조(條)각기 길이가 다섯 자이다., 너비가 네 자이고 길이가 한 길인 주망(走網)8선(扇), 금은병(金銀甁) 46매한 되들이升, 대동접(大銅▼(木+(一$厶/木))) 4백 매한 자 다섯 치 면(面), 소동접(小銅▼(木+(一$厶/木))) 2백 매각기 일곱 자가 되는 것, 은반(銀盤) 네 면각기 두 자 다섯 치가 되는 것, 잡금은기(雜金銀器) 80 매, 금반(金盤) 네 면너비가 두 자 다섯 치가 되는 것, 금은사라(金銀砂羅) 48매너비가 한 자 이상 되는 것, 금국자 한 매, 은국자 한 매, 동향로보자(銅香鑪寶子) 여섯 구(具), 금향로보자(金香鑪寶子) 한 구, 금은사라 두 매한 되들이로 금이 한 개, 은이 한 개이다., 칠보금은연화(七寶金銀蓮華) 5수(樹)각기 높이가 다섯 자이며 품질 좋은 새 것으로 장엄하게 장식한다., 잡채가화수(雜綵仮華樹) 백각기 품질 좋은 새 것으로 한다., 동촉경(銅燭檠) 12매, 금은잔(金銀盞)과 굴치(屈卮) 등 48매, 오색납촉(五色蠟燭) 10조(條), 동조관(銅澡罐) 26매각기 다섯 되 이상이 들어가는 것, 정포수건(淨布手巾) 세 개, 조두(澡豆) 한 되, 조협(皂莢) 40매, 탄회(炭灰) 한 되, 버드나무 가지 한 속(束).
만일 이와 같은 온갖 보구(寶具)로 도량을 장엄하면 그 시주로 하여금 온갖 무량한 복덕을 얻게 할 수 있다.
품질 좋은 긴 기둥 16근(根)근별(根別)로 경두(徑頭)가 세 치이며 각각 길이가 두 길 다섯 치이다. 자르고 깎아서 구멍을 뚫은 다음 법에 맞게 서로 박는다., 작은 대나무 장대 60매각기 길이가 두 길이고 대략 3지(指)쯤 된다., 금강을 그린 깃발 18구(口), 신왕을 그린 깃발 24구, 사천왕을 그린 깃발 4구, 갖가지 채색의 깃발 백 구각기 길이가 한 길로서 색깔이 좋은 새 것으로 한다., 80 자가 되는 밧줄 12조(條)각기 대략 붓대筆管만한 크기로 한다., 오색 줄 20냥(兩)오색이란 자색ㆍ황색ㆍ비색ㆍ백색ㆍ황색이다. 각기 반드시 등분(等分)하여 색깔별로 엮어서 한 앵두나무 위에 엮되, 각각 색깔별로 따로 만든다. 그렇게 할 수 없으면 여러 색과 섞어 쓴다. 길이가 4백 자가 되게 하여 한 단(段)으로 하고 남은 것으로는 50자를 한 단으로 한다. 또한 반드시 네 단쯤 만들어서 풍족하게 써야 한다., 오색소번자(五色小幡子)몸과 다리를 합하여 총 길이가 세 자이고 너비가 다섯 자이다. 색깔별로 각각 두 개씩 하여 짙은 청색이 둘이고 옅은 청색이 둘이며 비색이 둘이고 백색이 둘이며 황색이 둘이다., 금강갑옷[甲冑金剛] 여덟 구(軀)각각 다섯 자의 높이로 장엄하다. 아름다운 빛깔의 새 것으로 한다., 신왕갑옷[甲冑神王] 8구각각 다섯 자의 높이로 장엄하고 아름다운 빛깔의 새 것으로 한다., 생견(生絹) 60단(段)다섯 자를 쓴다., 정백포(淨白布) 두 길, 흰 비단 한 길, 비색 비단 한 길, 자색 비단 한 길, 황색 비단 세 길, 비색 비단 네 자, 정선혜(淨線鞋) 두 켤레하나는 깨끗한 데 사용할 것이고 하나는 더러운 데 사용할 것이다., 버선 두 켤레하나는 깨끗한 데 사용할 것이고 하나는 더러운 데 사용할 것이다., 이에 준한 말대(衤末帶)정선혜로부터 말대에 이르기까지 사람사람이 모두 각각 다 구비해야 한다.
이와 같이 온갖 채물구(綵物具)로 도량을 장엄하면, 시주가 무량무변한 온갖 복덕을 획득하여 제일(第一)을 만족하게 된다.이상(以上)은 경(經)이다.
깨끗한 쇠똥 다섯 되조두(糟頭)를 먹이지 않은 송아지 똥을 깨끗한 광주리에 받들어 취하면 이를 깨끗하다고 한다., 용뇌향(龍腦香) 열다섯 냥(兩), 소합향(穌合香) 열다섯 냥, 울금향(鬱金香) 열다섯 냥, 상호화향(上好和香) 한 근(斤), 침수향(沈水香) 두 근, 훈륙향(熏陸香) 두 근, 안실향(安悉香) 두 근, 백교향(白膠香) 한 근, 단향가루[壇香未] 두 근, 단찰(檀札) 두 근, 잡초향(雜草香) 다섯 근, 잡초화(雜草華) 다섯 근, 잡수화(雜樹華) 다섯 되만일 없으면 채색 비단을 잘라서 충당하되, 모두 품질 좋은 새 것으로 한다., 도곡화(稻穀華) 세 되, 교맥화(蕎麥華) 세 되.
이와 같이 온갖 꽃과 향을 공양하면 시주가 마땅히 3업(業)이 청정해지고 몸에서 항상 깨끗한 향기가 나며 보는 사람들이 모두 환희하고 태어날 때마다 몸이 항상 단정하며 큰 명성을 얻는다.
청락음성(淸樂音聲) 양 부(部)그 악사(樂士) 등으로 하여금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입게 한 다음 익힌 여러 음식들을 먹지 못하게 해야 한다., 금 두 냥(兩), 은 두 냥, 산호 두 냥, 수정 두 냥, 호박 두 냥, 진주 두 냥, 바사유리(波斯琉璃) 두 냥입법인(入法人)의 다소(多少)를 헤아려 사서 풍족하게 쓰도록 한다., 도곡(稻穀)ㆍ소두(小豆)ㆍ소맥(小麥)ㆍ대맥(大麥)ㆍ청과(靑稞)이 오곡(五穀)은 구걸하여서 한 되를 얻어야 하며 사서는 안 된다. 7보와 섞은 다음 비단 조각에 싸서 사용할 것이다.
모든 의복과 7보와 오곡과 음악을 공양하면 시주가 3업의 묵은 재앙을 모두 없애고 항상 안락을 얻게 된다.이상은 경(經)이다.
가장 좋은 적토 가루 한 석(石), 황토 가루 한 석, 건람정(乾藍淀) 가루 한 석, 고운 탄가루 한 석, 멥쌀가루 한 삭추라(麤羅), 호마인(胡麻人) 한 되, 백밀(白蜜) 한 되나쁜 것들은 걸러낸다., 호우소(好牛蘇) 일곱 근나쁜 것들은 걸러낸다., 맑은 호마유 한 말 다섯 되태워서 공양할 것이다., 흰 겨자 한 말 다섯 되7일 동안 쓸 것을 헤아려서 충족하게 한다., 송명(松明) 스무 근, 곡목시(穀木柴) 다섯 속(束)축축한 것은 말린다., 숯 150근, 등(燈) 5백 잔(盞), 기름 다섯 말등을 켜는 데 사용한다., 과식(果食) 5백 쟁반온갖 종류를 모두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가장 좋은 과자(果子), 석류(石榴) 3백 알[顆], 큰 밤 5백 알, 말린 큰 대추 5백 알, 곳감 5백 알, 배[梨] 5백 알, 호도인(胡桃人) 5백 알, 사탕(沙糖) 25냥, 건포도 한 근 반이상의 과자(果子)는 벌레 먹거나 파손되지 않은 것으로 하여야 하니 모두 가장 좋은 것을 취한다., 박병(薄餠)ㆍ부투(䴺▼(麥*主))ㆍ엽두(飪頭: 볶은 쌀과자) 각 5백 매, 당당단(餳糖團) 5백 알.
이 밖의 모든 떡[餠]들은 그 국내인(國內人)이 숭상하는 데 따라 부정식(不淨食)만을 제외하고 그 밖의 것은 모두 사용한다. 수시로 과자를 모두 다 갖추어 놓아야 한다.
건갱미반(乾粳米飯) 세 되, 갱미유죽(粳米乳粥) 두 되이상은 적토(赤土) 등의 오색 가루로 120주(肘)의 단(壇)을 만들 때에 준해서 요량할 때이니, 만일 16주 이하의 도단(都壇)일 경우에는 다음에 준해서 헤아려라.
앞의 음식 등은, 그 음식을 만드는 사람으로 하여금 향탕에 목욕하고 깨끗이 재계(齋戒)하게 하여야 하며 맛보거나 버려서는 안 된다.
청과(靑稞)ㆍ소두(小豆)ㆍ조(粟)ㆍ대맥(大麥)ㆍ대두(大豆).
이와 같은 다섯 가지를 각각 두 되씩 익혀서 깨끗한 광주리에 같이 담고 아울러 작은 국자를 곁들인다. 그리고 꿀물 두 되를 은사발에 담고 아울러 은국자를 곁들이되, 익힌 곡식을 담은 광주리에 함께 가까이 놓아라. 이것은 호계(護界)하는 모든 선신(善神) 등에게 뿌려서 공양할 때 사용하려는 것이다.이상은 경(經)이다.
이와 같은 공양구(供養具)를 엄정히 준비하여 도량을 건립하고 다시 온갖 의복으로 장엄한 다음 공양을 시설(施設)하면, 능히 시주의 4중과 5역과 아승기[阿闡提] 백억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겁 동안에 지은 모든 나쁜 죄를 없애어 한 생각에 모두 와서 소멸시킬 것이니, 아무도 능히 악업의 과보를 받게 할 수 없다. 그 시주는 현세(現世)에 6바라밀(波羅蜜)을 모두 획득하고 3업이 청정하며 태어날 때마다 신통을 구족하고 몸의 모습이 단엄(端嚴)하며 뜻대로 자재하게 소원이 모두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항상 삼보께서 이 시주를 호념하시어 가고 머물고 앉고 눕는 모든 때와 곳에서 몸과 마음이 안온할 것이다. 공덕의 힘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큰 과보를 얻는다.
보집회단하방장엄십육주도(普集會壇下方莊嚴十六肘圖)
중앙에 길이와 너비가 2주(肘)가 되는 하나의 원(院)을 만들고, 이 원의 정중앙에 연화좌(蓮華座)를 만든 다음 연화좌 위에 바퀴통과 바퀴살과 바퀴테를 모두 온전히 갖춘 윤(輪)을 만든다. 이것은 도량주(道場主)가 앉을 자리인데 그 시주가 좋아하는 부처님 등을 따라서 도량주를 삼고 반야와 보살 등을 뜻대로 안치하라. 그리고 그 외원(外院)은 길이와 너비가 4주가 되게 하여 12위(位)를 안치하며 그 네 모서리에 각각 지인바저라(地印跋折羅)의 형상을 만든다. 그 모습은 금강역사(金剛力士)가 잡고 있는 저(杵)와 같이 하고, 두 저를 서로 교차시킨다.십자형으로 한다. 두침(頭枕)의 네 모서리는 모두 청흑색으로 한다.
동북각인(東北角印)은 소마하(穌摩訶)라고 이름하고, 동남각인은 소바싣디가라(穌皤二合悉地二合伽羅)라고 이름하며, 서남각인은 바저라건다(跋折囉健茶)라고 이름하고, 서북각인은 화신(火神)이라고 이름한다. 이들을 이름하여 금강지인(金剛地印)이라고 한다.
동면의 북쪽 끝 첫 번째 화좌(華座)를 이름하여 불모반야위(佛母般若位)라고 한다. 연화좌 위에 그 방위의 인을 만들고 두 쌍의 선도(線道)를 교철(交徹)시켜 각(角)에 인한다. 그 인은 한 각에 한 번 인하여 화좌 위에 버티어 놓고 광염(光焰)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화좌는 불심위(佛心位)이다. 연화좌 위에 부처님 얼굴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남면의 동쪽 끝 첫 번째 화좌는 금강모마마계위(金剛母摩麽雞位)이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안치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는 금강왕위(金剛王位)이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서쪽 항렬에서 남쪽 끝 첫 번째 좌주(座主)는 수다회천(首陀會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화염광(火焰光)을 만든다. 두 번째 좌주는 바라마천(跋囉摩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화염광을 만든다.
북면의 서쪽 끝 첫 번째 좌주는 관세음왕(觀世音王)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봉오리를 만들고 광염(光焰)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는 관세음모(觀世音母)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봉오리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그 바저라는 모두 금색으로 하고 모든 광염은 황적색으로 한다. 이하 모두 그렇게 하여 제1원(院)을 마친다.모두 사각인(四角印)을 섭위(攝位)라고 이름하고, 화좌(花座) 위에 있는 인은 정위(正位)라고 이름한다. 아래의 예도 모두 그러하다.
다음에 제2원을 길이와 너비가 8주가 되게 하여 26위를 안치하며 네 모서리에 지인(地印)의 형상을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펼쳐서 안치하라. 동북각인(東北角印)을 바슈비가(婆揄毘伽)라고 이름하고, 동남각인을 아기니구로다(阿耆尼俱嚧陀)라고 이름하며, 서남각인을 카륵가다시라(佉力伽陀施羅)라고 이름하고, 서북각인을 바다니차예바(波陀尼差曳婆)라고 이름한다.
동면의 북쪽 끝 첫 번째 좌주(座主)를 미묘성불정(微妙聲佛頂)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사발의 형상을 안치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아미타불정(阿彌陀佛頂)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불두정(佛頭頂)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를 일체불정(一切佛頂)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불정(佛頂)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네 번째 좌주를 석가문불(釋迦文佛)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불정(佛頂)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다섯 번째 좌주를 아촉불정(阿閦佛頂)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불정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섯 번째 좌주를 남방보상불정(南方寶相佛頂)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에 장방보보(長方寶寶)를 만들되, 동서는 짧게 하고 남북은 길게 하라. 그리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남면의 동쪽 끝 첫 번째 좌주(座主)를 오추사마(烏樞沙摩二合)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되, 그 바저라는 잘록한 허리에 세 모서리가 있고 상하의 3고(股)는 봉인(峯刃)을 뾰족하고 날카롭게 하며 색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한다. 그리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는 바저라시카라(跋折囉尸佉囉)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는 아마리다군다리(阿蜜哩多軍茶利)72)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네 번째 좌주는 가니구로다(迦尼俱嚧陀)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다섯 번째 좌주는 바다라바저라(波多囉跋折囉)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섯 번째 좌주는 바저라앙구시(跋折囉央俱施)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서면의 남쪽 끝 첫 번째 좌주(座主)를 샹가라(商迦羅)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오마디비(烏摩提毘)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이어 2주(肘)가 되는 땅에 도량문(道場門)을 만든 다음 그 문의 북쪽 첫 번째 좌주(座主)를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바리다바천(波履跢婆二合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북면의 서쪽 끝 첫 번째 좌주를 육비관세음(六臂觀世音)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봉오리를 만들어 넣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는 반다라바모(盤陀羅婆母)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군지병(君遲甁)옆에 구멍을 뚫은 것을 이름하여 군지라고 한다.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는 구비관세음(九臂觀世音)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보배 꽃줄기를 만들되, 줄기에는 다섯 마디가 있고 마디마다 이빨 모양이 있어서 우초(藕梢)와 같다. 자리 위에 옆으로 뉘어 놓고 머리는 서쪽을 향하게 하며 광염으로 에워싸라. 네 번째 좌주는 마두관세음(馬頭觀世音)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꽃을 만들어 넣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다섯 번째 좌주는 마하세다관세음(摩訶稅多觀世音)당나라에서는 대백관세음(大白觀世音)이라고 한다.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꽃을 만들어 넣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섯 번째 좌주는 십일면관세음(十一面觀世音)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보병(寶甁)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이렇게 하여 제2원을 마친다.
이어 제3원을 길이와 너비가 12주 12위(位)가 되게 하고 네 모서리에 역시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지인(地印)의 형상을 펼쳐 놓아라.
동북각인은 바저라소훔바(跋折囉蘇𤙖二合婆)라고 이름하고, 동남각인은 모울다다가(母鬱陀二合吒迦)이는 섭위(攝位)이다.라고 이름하며, 서남각인은 가니구로다(迦尼俱嚕陀)라고 이름하고, 서북각인은 바저라시리니(跋折囉室哩二合尼)이는 섭위(攝位)이다.라고 이름한다.
동면의 북쪽 끝 첫 번째 좌주를 상덕불(相德佛)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부처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아미타불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부처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를 석가금륜불정(釋迦金輪佛頂)이라고 이름하고, 네 번째 좌주를 석가전법륜불(釋迦轉法輪佛)이라고 이름하며, 다섯 번째 좌주를 전단덕불(栴檀德佛)이라고 이름하고, 여섯 번째 좌주를 백광명불정(白光明佛頂)이라고 이름하며, 일곱 번째 좌주를 무우덕불(無憂德佛)이라고 이름하고, 여덟 번째 좌주를 시방일체불(十方一切佛)이라고 이름하며, 아홉 번째 좌주를 비바시불(毘婆尸佛)이라고 이름하고, 열 번째 좌주를 방광불정(放光佛頂)이라고 이름한다. 이와 같은 자리에 모두 연꽃을 만들고 연화좌 위에 부처님 형상을 만든 다음 광염으로 에워싸라.
남쪽 항렬의 동쪽 끝 첫 번째 좌주를 바저라다하사(跋折囉吒訶娑)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되, 그 색은 순황색(純黃色)으로 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아사니(阿舍尼)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되, 그 색과 모양은 앞서와 같이 하고 광염으로 에워싼다.이하의 모든 바저라는 그 색깔이 같다. 세 번째 좌주를 니람바다라(尼藍跋陀羅)73)이는 청금강(靑金剛)이라고 한다.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네 번째 좌주를 모울다가(母鬱二合吒伽)이는 정위(正位)이다.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다섯 번째 좌주를 소바휴(穌婆休)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섯 번째 좌주를 소바저라시리니(穌跋折囉室哩尼)이는 정위(正位)이다.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일곱 번째 좌주를 금강인왕(金剛印王)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덟 번째 좌주를 구희야금강(懼嘻耶金剛)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아홉 번째 좌주를 바저라모-띠(跋折囉母瑟致二合)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옆에 주먹의 형상을 만든 다음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 번째 좌주를 모사라(謨娑上音羅)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세요저(細要杵)를 만들되, 그 모양을 금강역사가 쥐고 있는 저(杵)와 같이 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서면(西面)의 남쪽 끝 첫 번째 좌주를 타화자재천왕(他化自在天王)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화락천왕(化樂天王)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를 도솔천왕(兜率天王)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네 번째 좌주를 야마천왕(夜摩天王)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이어 2주 되는 땅에 도량문을 만든다. 그 문의 북쪽 첫 번째 좌주를 건달바(乾闥婆)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세요고(細要鼓)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공작왕(孔雀王)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세 번째 좌주를 가로다(伽嚕茶)라고 이름하며, 연화좌의 형상을 만든다. 네 번째 좌주를 나라연천(那羅延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금륜(金輪)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북면의 서쪽 끝 첫 번째 좌주를 비구티(毘俱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두 번째 좌주를 아리다리(阿梨多去音梨)당나라에서는 수심(隨心)이라고 한다.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염주[數珠]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를 마두심(馬頭心)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꽃을 만들어 넣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네 번째 좌주를 일차삼바디가라(一瑳三跋提迦羅)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다섯 번째 좌주를 아모가바샤(阿牟伽皤賖)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견삭(羂索)을 빙 둘러놓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섯 번째 좌주를 사비관세음(四臂觀世音)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백련화(白蓮花)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일곱 번째 좌주를 십일면관세음소심(十一面觀世音小心)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꽃을 만들어 넣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덟 번째 좌주를 십일면관세음대심(十一面觀世音大心)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꽃을 만들어 넣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아홉 번째 좌주를 일체관세음심(一切觀世音心)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꽃을 만들어 넣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 번째 좌주를 마하시리예(摩訶室唎曳)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연꽃을 만들어 넣되 그 꽃을 홍색으로 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이렇게 하여 제3원을 끝낸다.
이어 제4원은 길이와 너비가 16주(肘) 58위(位)가 되게 하고 네 모서리에 지인(地印)의 형상을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펼쳐 놓아라.
동북각인은 기리기리구로다(枳唎枳唎俱嚕陀)라고 이름하고, 동남각인은 바저라셰나(跋折囉西去音那)라고 이름하며, 서남각인은 바슈단다(婆楡檀茶)라고 이름하고, 서북각인은 바저라시카라(跋折囉尸佉羅)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동면의 북쪽 끝 첫 번째 좌주를 비나야가(毘那夜迦)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몽둥이와 같은 형상을 만들되, 몽둥이의 끝을 위로 향하여 연화좌 위에 세우고 몽둥이 끝에 여덟 개의 꽃잎을 만든다. 자루의 길고 짧음에 따라 끝에서부터 아래로 향하여 수촌(數寸)이 되는 곳에 언월인(偃月刃)을 만들어서 인근(刃根)에 자루를 붙이고, 인신(刃身)에 능(楞)을 세워라. 그리고 몽둥이 끝과 인(刃) 사이에 두세 마디를 만들어서 도자구(刀子口)와 같이 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비다야다라(毘陀耶二合陀囉)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咥𠼝二合首羅)의 머리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를 수단오다보살(首檀汚跢菩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금강대(金剛臺)를 만들되, 금강대 위에 연꽃을 펴고 그 잎의 한 부분은 아래로 늘어지고 한 부분은 위로 향하게 하라. 그리고 그 꽃잎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네 번째 좌주는 미륵(彌勒)보살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창날과 같은 모습을 만들되, 창날을 약간 넓게 하고 목은 가늘고 배는 크게 하라. 그리고 순황금색으로 하고 정중앙에 능(楞)을 세우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다섯 번째 좌주를 문수사리보살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여섯 번째 좌주를 허공장(虛空藏)보살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멸죄인(滅罪印)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일곱 번째 좌주를 제두뢰타(提頭賴吒)라고 이름하며, 연화좌에 금강저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덟 번째 좌주를 인다라서다(因陀羅誓多)당나라에서는 제석시자(帝釋侍者)라고 한다.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咥𠼝首羅)의 머리를 만들되, 그 색은 순황색으로 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아홉 번째 좌주는 인다라(因陀羅)제석의 다른 이름이다.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 번째 좌주는 이름하여 월천(月天)이라고 하고, 연화좌 위에 월륜(月輪)의 형상을 만들되, 그 색은 순백색으로 한다.
열한 번째 좌주는 보현(普賢)보살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열두 번째 좌주는 일체성수천(一切星宿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보배 병과 같은 형상을 만들되, 배도 크고 목도 크게 하며 구슬로 배를 두르고 그 입구 위는 청공색(靑空色)으로 하며 산개(傘蓋)와 같은 형상으로 하여서 그 안에 많은 흰 색 점을 찍어라. 그리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세 번째 좌주를 발다서다(勃陀誓多)라고 이름하며, 불탑(佛塔)의 형상을 만들되, 아울러 기단[基]을 네 겹으로 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네 번째 좌주를 다라니장(陀羅尼藏)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보장(寶藏)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남면의 동쪽 끝 첫 번째 좌주를 이름하여 화천(火天)이라 하고, 연화좌 위에 보배 병의 형상을 만들되, 그 병의 입구 위로 화염(火焰)이 솟아나게 하라.
두 번째 좌주를 마가라탈아(摩伽囉脫闍)보살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세 번째 좌주를 지장(地藏)보살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보배 병과 같은 형상을 만들되, 병 밑이 없고 그 입구 끝은 두 개의 언월(偃月)이 서로 버티어 위로 향하여 누워 있는 모습과 같이 한다. 그 병은 청색으로 하고 언월은 순백색으로 하며 광염으로 에워싸라. 네 번째 좌주를 비루다가(毘口樓吒上音迦)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두(咥𠼝首羅頭)당나라에서는 이차극두(二叉戟頭)라고 한다.의 머리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다섯 번째 좌주를 염마라아(閻摩囉闍)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의 머리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섯 번째 좌주를 염마단다(閻摩旦茶)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사람의 형상을 만든다. 얼굴은 부처님과 같고 눈은 약간 크며 물고기 비늘 갑옷을 입고 반신(半身)을 내놓고 있다. 그리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일곱 번째 좌주를 수심금강(隨心金剛)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덟 번째 좌주를 바슈비가(婆楡毗伽)이는 정위(正位)이다.라고 하며, 연화좌 위에 금강저(金剛杵)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아홉 번째 좌주를 비람바주다(毗藍婆呪馱)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의 머리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 번째 좌주를 공덕천(功德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여의주(如意珠)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한 번째 좌주를 대변천신(大辯天神)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열두 번째 좌주를 미로시카라(彌嚧尸佉囉)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의 머리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세 번째 좌주를 일체귀(一切鬼)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복돌도(伏突刀)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네 번째 좌주를 일체나찰(一切羅刹)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검을 세운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서면의 남쪽 끝 첫 번째 좌주를 아소라(阿素囉)왕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각궁을 세운 형상[竪角弓]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마리지천(摩唎支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천선(天扇)의 형상을 만들되, 그 부채 안에 서국(西國)의 만자(卍字)를 그리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를 이름하여 천자(天子)라 하니 연화좌 위에 순황적색으로 일륜(日輪)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네 번째 좌주를 산지대장군(散脂大將軍)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검(劒)을 세운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다섯 번째 좌주를 일체천(一切天)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여섯 번째 좌주를 난다나가라아(難陀那去音伽羅闍)라고 이름하며, 뱀과 같은 형상으로 머리를 들어 바라보고 있다.
이어 2주가 되는 땅에 도량문(道場門)을 만든다. 그 문의 북쪽 첫 번째 좌주를 우바난다나가라아(優婆難陀那去音伽羅闍)라고 이름하며, 몸의 모습은 앞의 난다(難陀)의 형상과 같고 역시 머리를 들어 보고 있다. 두 번째 좌주를 이름하여 지천(地天)이라 하며, 연화좌 위에 7보가 가득 찬 보배 단지의 형상을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세 번째 좌주를 비리예리디(毘𠼝齯唎知)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네 번째 좌주를 긴나라(緊那上音囉)라고 이름하며, 연화좌를 만든다. 다섯 번째 좌주를 마후라가(摩睺羅伽)라고 이름하며, 연화좌를 만든다. 여섯 번째 좌주를 비로바차(毘嚧跛叉)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견삭을 빙 둘러놓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북면의 서쪽 끝 첫 번째 좌주를 일컬어 풍천(風天)이라고 하며, 연화좌 위에 깃대를 세워 놓은 모습을 만들되, 깃대 위에 깃발을 매달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두 번째 좌주를 바로나디바(皤嚧那提婆)당나라에서는 천수(天水)라고 한다.라고 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들고 연화좌 밑에는 물결무늬를 만든다. 세 번째 좌주를 시다아타(斯馱遏去音他)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네 번째 좌주를 마니주다(摩尼呪陀)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광염의 형상을 만든다. 다섯 번째 좌주를 전다바라바사(旃陀波羅婆娑)보살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청련화를 만들어 넣되, 아직 피지 않은 것으로 하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섯 번째 좌주를 구비라약차(俱毘囉藥叉)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두를 순청철색(純靑鐵色)으로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일곱 번째 좌주를 비사문왕(毗沙門王)이라고 이름하며, 문 안에 안치하고, 연화좌 위에 오절추(五節椎)를 만들되, 팔릉(八楞)이 이루어져 있는 보배 기둥[寶柱]과 같은 모습으로 하고 순황금색으로 만든다. 그리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여덟 번째 좌주를 바저라건다(跋折囉揵茶)이는 정위(正位)이다.라고 하며, 연화좌 위에 바저라를 만들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아홉 번째 좌주를 샹기니(商枳儞)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병(甁)과 같은 모습을 만들되, 배를 약간 좁게 하고 가운데 능(楞)을 세운 다음 능좌(楞左) 위에 입[口]을 탁구(鐸口)와 같게 하고 그 색은 순청색으로 한다. 그리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 번째 좌주를 람비가(藍毗迦)라고 이름하며, 연화좌를 만든다.
열한 번째 좌주를 자문다(遮文茶)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은사발과 같은 것을 만들어서 둥근 보배[圓寶]로 밑을 받들고 그 사발의 배[腹]의 왼쪽에 신왕(神王)의 눈[目]과 같은 한 개의 눈을 치우쳐 열고, 광염으로 에워싸라. 열두 번째 좌주를 바라혜귀(婆羅醯鬼)라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검을 세운 형상을 만든다. 열세 번째 좌주를 이새바라(伊濕伐二合羅)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의 머리를 만든다. 열네 번째 좌주를 이사나귀왕(伊沙那鬼王)이라고 이름하며, 연화좌 위에 희리수라의 머리를 순황색으로 만든다.
이 16주(肘)의 보집회단(普集會壇)에는 넓은 단과 간략한 단이 있으니, 넓은 것은 16주 안에 209개의 연화좌위(蓮華座位)를 만들고, 간략한 것은 16주 안에 139개의 연화좌위를 만든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만일 국왕과 대신과 장자(長者)를 위할 때에는 갖가지의 가장 묘한 공양구(供養具)와 칠보기(七寶器) 등을 모두 갖춘다. 그리고 아사리는 총명하고 영리한 많은 제자들을 거느리고 마땅히 넓은 단을 만들어야 한다. 만일 그 시주가 갖가지의 가장 묘한 공양구와 칠보기들을 갖추지 못하고 아사리에게 총명하고 영리한 제자가 많이 없다면 마땅히 간략한 단을 만들어야 한다.
십육주단법(十六肘壇法)을 설하여 마친다.
'매일 하나씩 > 적어보자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어보자] #4988 불설당래변경(佛說當來變經) (2) | 2024.10.20 |
---|---|
[적어보자] #4987 불설다린니발경(佛說陀隣尼鉢經) (5) | 2024.10.20 |
[적어보자] #4985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11권 (3) | 2024.10.19 |
[적어보자] #4984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10권 (7) | 2024.10.19 |
[적어보자] #4983 불설다라니집경(佛說陀羅尼集經) 9권 (0) | 2024.10.19 |
댓글